KR102198486B1 -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Google Patents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486B1
KR102198486B1 KR1020190051297A KR20190051297A KR102198486B1 KR 102198486 B1 KR102198486 B1 KR 102198486B1 KR 1020190051297 A KR1020190051297 A KR 1020190051297A KR 20190051297 A KR20190051297 A KR 20190051297A KR 102198486 B1 KR102198486 B1 KR 10219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current
filtering
unit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350A (ko
Inventor
김연중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4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or compensating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2M2001/0064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14Capacitor filters, i.e. capacitors whose parasitic inductance is of relevance to consider it as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상용 전원으로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부 및 노이즈 필터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필터링 전류를 노이즈 필터부로 출력하는 노이즈 보상부를 포함하고, 노이즈 필터부는, 노이즈 보상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라인에 흐르는 EMI 노이즈를 시간 지연 없이 빠르게 감지할 수 있고, 보상 전류를 통해 EMI 노이즈가 홈 어플라이언스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NOISE FILTER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로서, 일반적으로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동작한다. 예를 들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동작한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정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기조화기, 세탁기, 냉장고와 같은 홈 어플라이언스들은 각각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유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가 운전하는 동안 전자파 노이즈(electro-magnetic interference noise; EMI noise)가 발생하게 되며, EMI 노이즈는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전원 라인을 통해 흐르는 차동모드 노이즈(differential mode noise)와, 접지단(ground)을 경유하여 전원으로 돌아오는 공통모드 노이즈(common mode noise)로 구분된다.
EMI 노이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다른 전자기기나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EMI 노이즈를 감지 및 저감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선행기술 1(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02685)과 같이, 공통모드 노이즈를 감지 및 저감하는 방안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차동모드 노이즈는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 전류와 함께 흐르기 때문에, 공통모드 노이즈에 비해 감지 및 저감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동모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전원 라인에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용량이 큰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경우, 차동모드 노이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는 있으나, 소자의 크기 및 단가가 증가하며, 역률(power factor)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용량이 작은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경우, 차동모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량이 작은 커패시터를 전원 라인에 연결하는 경우에도,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지하고,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노이즈 필터부와, 노이즈의 유출 방향을 고려하여,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흐르는 보상 전류가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노이즈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상용 전원으로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부 및 노이즈 필터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필터링 전류를 노이즈 필터부로 출력하는 노이즈 보상부를 포함하고, 노이즈 필터부는, 노이즈 보상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상용 전원으로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부 및 노이즈 필터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필터링 전류를 노이즈 필터부로 출력하는 노이즈 보상부를 포함하고, 노이즈 필터부는, 노이즈 보상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라인에 흐르는 EMI 노이즈를 시간 지연 없이 빠르게 감지할 수 있고, 보상 전류를 통해 EMI 노이즈가 홈 어플라이언스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라인에서 EMI 노이즈가 유출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노이즈 필터링 장치의 설계 변경 없이 EMI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를 저감함으로써, 다른 전자기기나 사용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가 포함된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가 포함된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가 포함된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200)는,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부(210), 정류부(220), dc 단 커패시터(C), 전압 강압부(230), 및/또는 노이즈 보상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필터부(210) 및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링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상용 전원(201)에 연결될 수 있고, 상용 전원(201)으로 흐르는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이하, 노이즈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전류는, 예를 들면, 고조파(harmonic)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노이즈 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제1 필터링 전류로 명명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노이즈 보상부(2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노이즈 보상부(2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부(210)에서 생성된 보상 전류에 의해 상용 전원(201)으로 유출되는 노이즈 전류가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보상부(2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제2 필터링 전류로 명명할 수 있다.
정류부(220)는,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부(210)에 접속될 수 있다.
정류부(220)는, 예를 들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류부(22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201)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용 교류 전원(201)이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정류부(220)는, 예를 들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Half-Bridge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220)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201)이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dc 단 커패시터(C)는, 예를 들면, 정류부(220)의 출력단인 dc 단에 접속될 수 있고, 정류부(2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다.
전압 강압부(230)는, 예를 들면, 정류부(220)의 출력단인 dc 단에 접속될 수 있고, dc 단 전압을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강압부(230)는, dc 단 커패시터(C) 양단의 전압을 강압할 수 있고, 강압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전압 강압부(230)는, 예를 들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강압부(230)는, 전력변환장치(200)에 구비된 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크기의 전압(예: 5V, 7.5V, 10V, 15V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부(210)로부터 제1 필터링 전류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증폭기(amplifier)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전압 강압부(23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가 포함된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상용 전원(201)으로 흐르는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필터링 인덕터(Ls1, Ls2)와 제1 및 제2 필터링 커패시터(Cs1, Cs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용 전원(201)으로 흐르는 전류에 포함된 성분 중, 저주파 성분은 제1 및 제2 필터링 인덕터(Ls1, Ls2)를 통해 흐르도록 유도될 수 있고, 고주파 성분인 노이즈 전류는 제1 및 제2 필터링 커패시터(Cs1, Cs2)를 통해 흐르도록 유도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제1 필터링 커패시터(Cs1)에 직렬 연결되어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제1 트랜스포머(211)와, 제2 필터링 커패시터(Cs2)에 직렬 연결되어 노이즈 전류를 감지하는 제2 트랜스포머(2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머(211)는, 예를 들면, 노이즈 보상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제2 필터링 전류가 흐르는 제1 입력 코일부와, 제1 필터링 커패시터(Cs1)에 직렬 연결되고, 제1 입력 코일부에 흐르는 제2 필터링 전류에 따라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코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트랜스포머(212)는, 예를 들면, 정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르는 제2 입력 코일부와, 제2 입력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는 출력 코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기(24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용 전원(201)에서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점, 노이즈 성분의 크기가 작은 점 등을 고려하여, 클래스 AB 증폭기(class AB amplifier)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증폭기(241)를 통해 노이즈 필터부(210)로부터 수신된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증폭기(241)의 증폭비는, 예를 들면,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구성들의 임피던스(impedance) 값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증폭기(241)에 구비된 제3 및 제4 커패시터(C3, C4)는, 예를 들면, 제1 필터링 전류의 직류(DC)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전압 강압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Vcc)이 인가되는 제1 및 제2 커패시터(C1, C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강압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Vcc)은, 제1 커패시터(C1)의 일단이 연결되는 a 노드와, 제1 커패시터(C1)의 타단과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이 연결되는 b 노드에 각각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b 노드를 기준으로, a 노드는 +15 V, c 노드는 -15 V의 전위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압 강압부(230)에서 15 V의 전압이 노이즈 보상부(240)에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이즈 보상부(240)는, 예를 들면, 증폭기(241)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인덕터(L)와 제5 커패시터(C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덕터(L)와 제5 커패시터(C5)는, 예를 들면, 증폭기(241)에 대한 저주파의 입력을 차단할 수 있어, 증폭기(241)에 구비된 회로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전원으로 유출되는 노이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정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필터링 커패시터(Cs2)를 통해 제2 트랜스포머(212)의 제2 입력 코일부로 흐르는 경우, 제2 트랜스포머(212)의 제2 출력 코일부에서 제1 필터링 전류가 생성되어 제1 전류 패스(Ipath1)를 따라 노이즈 보상부(240)로 출력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에서 출력된 제1 필터링 전류가 제1 전류 패스(Ipath1)를 따라 노이즈 보상부(240)로 입력되는 경우, 증폭기(241)에 구비된 제1 스위치(TR1)가 동작(ON)할 수 있고, 노이즈 보상부(240)는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하여 제2 필터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필터링 신호는, 제2 전류 패스(Ipath2)를 따라 노이즈 필터부(21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필터링 전류가 제2 전류 패스(Ipath2)를 따라 노이즈 필터부(210)에 구비된 제1 트랜스포머(211)의 제1 입력 코일부로 흐르는 경우, 제1 트랜스포머(211)의 제1 출력 코일부에서 보상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보상 전류는, 제1 필터링 커패시터(Cs1)에서 제1 트랜스포머(211)로 향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정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트랜스포머(212)의 제2 입력 코일부를 통해 제2 필터링 커패시터(Cs2)로 흐르는 경우, 제2 트랜스포머(212)의 제2 출력 코일부에서 제1 필터링 전류가 생성되어 제3 전류 패스(Ipath3)를 따라 노이즈 보상부(240)로 출력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부(210)에서 출력된 제1 필터링 전류가 제3 전류 패스(Ipath3)를 따라 노이즈 보상부(240)로 입력되는 경우, 증폭기(241)에 구비된 제2 스위치(TR2)가 동작(ON)할 수 있고, 노이즈 보상부(240)는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하여 제2 필터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필터링 신호는, 제4 전류 패스(Ipath4)를 따라 노이즈 필터부(21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필터링 전류가 제4 전류 패스(Ipath4)를 따라 노이즈 필터부(210)에 구비된 제1 트랜스포머(211)의 제1 입력 코일부로 흐르는 경우, 제1 트랜스포머(211)의 제1 출력 코일부에서 보상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보상 전류는, 제1 트랜스포머(211)에서 제1 필터링 커패시터(Cs1)로 향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 중, 제2 트랜스포머(212)로 흐르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제1 트랜스포머(211)로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어, 상용 전원(201)으로 유출되는 EMI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부(220)에서 EMI 노이즈가 유출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노이즈 필터링 장치의 설계 변경 없이 EMI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 예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31), 실내기(31)에 연결되는 실외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31) 및 실외기(2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31)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는, 연결된 실내기(31)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외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리모컨(미도시)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연결되어, 실내기(31)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실내기(3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3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 예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102b)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측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예를 들면,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외기(21) 및/또는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0: 전력변환장치
201: 상용 전원
210: 노이즈 필터부
220: 정류부
230: 전압 강압부
240: 노이즈 보상부
C: dc 단 커패시터

Claims (10)

  1. 상용 교류 전원으로 출력되는 노이즈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부; 및
    상기 노이즈 필터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필터링 전류에 기초하여 제2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필터링 전류를 상기 노이즈 필터부로 출력하는 노이즈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상기 노이즈 필터부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노이즈 필터부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필터링 전류를 수신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제1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는 제2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상기 노이즈 보상부는, 상기 제2 트랜스포머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필터링 전류를 증폭하여, 상기 제1 트랜스포머에 상기 제2 필터링 전류를 출력하는 클래스 AB 증폭기(class AB amplifi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스포머는,
    상기 노이즈 보상부로부터 상기 제2 필터링 전류가 입력되는 제1 입력 코일부;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필터링 전류에 따라 상기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코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 전류가 흐르는 제2 입력 코일부; 및
    상기 제2 입력 코일부에 흐르는 상기 노이즈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필터링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출력 코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보상부는,
    상기 클래스 AB 증폭기의 일단에 접속되는 인덕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보상부는,
    상기 클래스 AB 증폭기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0. 제1항, 제4항, 제5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노이즈 필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90051297A 2019-05-02 2019-05-02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19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97A KR102198486B1 (ko) 2019-05-02 2019-05-02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97A KR102198486B1 (ko) 2019-05-02 2019-05-02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50A KR20200127350A (ko) 2020-11-11
KR102198486B1 true KR102198486B1 (ko) 2021-01-05

Family

ID=7345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97A KR102198486B1 (ko) 2019-05-02 2019-05-02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4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97306A (zh) 2005-04-26 2005-11-16 哈尔滨理工大学 带有反馈有源低通滤波装置的变频器
JP2010154662A (ja) 2008-12-25 2010-07-08 Sanken Electric Co Ltd 能動フィルタ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5167460A (ja) 2014-03-04 2015-09-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81B1 (ko) * 2015-04-15 2017-02-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m 필터와 dm 필터를 결합한 능동 emi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97306A (zh) 2005-04-26 2005-11-16 哈尔滨理工大学 带有反馈有源低通滤波装置的变频器
JP2010154662A (ja) 2008-12-25 2010-07-08 Sanken Electric Co Ltd 能動フィルタ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5167460A (ja) 2014-03-04 2015-09-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50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1807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8169180B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US10267526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9543884B2 (en) Motor control device of air conditioner using distributed power supply
US20090140680A1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101979452B1 (ko) Emi 노이즈 저감을 위한 액티브 노이즈 필터
KR102034658B1 (ko) Emi 노이즈 저감을 위한 액티브 노이즈 필터
US10516331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KR102198486B1 (ko)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110004685A (ko) 공기조화기
KR102130591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102756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60614B1 (ko) 공기조화기
KR20200007417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63633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0646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190101511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19278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20647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99130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106911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0129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210000096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990143B1 (ko) 압축기 제어 장치
KR10226532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