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173B1 -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173B1
KR102198173B1 KR1020190011236A KR20190011236A KR102198173B1 KR 102198173 B1 KR102198173 B1 KR 102198173B1 KR 1020190011236 A KR1020190011236 A KR 1020190011236A KR 20190011236 A KR20190011236 A KR 20190011236A KR 102198173 B1 KR102198173 B1 KR 10219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wall structure
protective wall
impact
impact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915A (ko
Inventor
최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안피씨이
주식회사 이송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안피씨이, 주식회사 이송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안피씨이
Priority to KR102019001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충격저감용 구조체를 설치하고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외부에서의 폭팔에 의한 충격을 저감시키도록 하며, 방호벽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방호벽 구조체가 2차적으로 파괴되더라도 파편이 내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Proximity explosion protection system to reduce bursting pressure}
본 발명은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충격저감용 구조체를 설치하고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외부에서의 폭팔에 의한 충격을 저감시키도록 하며, 방호벽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방호벽 구조체가 2차적으로 파괴되더라도 파편이 내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부대뿐만 아니라 군부대와 인접한 지역에서는 인명과 여러 주요시설물을 적의 포탄이나 미사일 등의 포격으로 인한 외부 충격과 위험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호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호 구조물들은, 흙이나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벙커(Bunker)의 형태로 두꺼운 벽과 슬라브로 구성된 구조적 특성을 갖도록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된다.
특히 최근 들어 발생한 연평도 포격 사건은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군부대뿐만 아니라 민간시설까지도 언제든지 포격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개연성을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포격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지하벙커나 방호 구조물의 구축 및 이에 대한 효율적 운용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더욱이 현재 사용 중인 철근콘크리트 벙커나 방호 구조물은 포격을 받아 손상될 경우, 부재 단면의 속이 찬(solid) 특성으로 인하여 균열이 모든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어 손상이 전체 단면으로 전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막고자 부재의 두께를 늘릴 경우 막대한 양의 재료가 소요되며 무게도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적으로부터 포격을 당할 경우 붕괴범위를 국소화(局所化)하여 군부대나, 민간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나아가 국가 안보상 중요시설 및 군사 보호시설, 민간인 보호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도 다중의 안전장치를 갖춘 방어구조물을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미 UFC에서 제시된 방호벽 설계도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방호벽은 옹벽설계와 유사해 보이나 근본적인 차이점은 옹벽 설계가 일방향 하중만을 고려한 반면, 방호벽 설계는 반사중첩압력을 고려한 양방향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특히, 입사압력보다 큰 반사중첩압력으로부터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벽 배면의 기초부가 전면보다 긴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방호벽은 방호수준을 충족함과 동시에 활동성 유지를 위하여 방호벽 배면에 위치한 보호건물(Protective Installment) 내부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종래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방호 구조물은 방호벽의 외측에 포탄이 접촉하여 폭발이 이루어질 경우, 폭발충격에 의해 외측에 위치되는 방호벽의 전면부 콘크리트가 파괴되면서, 그 압력이 실내를 향하는 방호벽의 배면부로 전달되어 배면부에서도 2차적으로 콘크리트의 파괴가 이루어지면서 그 파편이 방사상으로 비산하게 된다.
도 2는 방호벽체에 대한 접촉폭발을 묘사하기 위하여 TNT 6.3㎏을 방호벽으로부터 포탄 반경 61㎜를 이격하여 폭발하는 경우를 설정하여 폭발현상이 방호벽 거동 및 보호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한 도면이다.
여기서, 벽체 두께는 300㎜, 450㎜ 및 600㎜ 3가지 경우로 설정하였으며, 두께별로 방호벽 중심부 2000㎜×2000㎜ 면적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취성재료인 콘크리트는 폭압에 의한 휨변형이 크지 않다. 반면, 배면파쇄 및 관통에 취약한 경향이 있다. 벽체 두께가 300㎜에서는 배면이 콘 형태로 70%이상 파쇄되었다. 이 경우 벽체 전면에서의 관입구와 배면에서의 파쇄구가 연결되어 벽체는 관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벽체 두께가 450㎜에서는 폭압에 의한 배면파쇄가 발생하기 직전인 임계상태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배면파쇄 발생 직전 상황으로 관통 및 파쇄로부터 가장 경제적 두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다. 벽체 두께가 600㎜에서는 폭압에 의한 전면탄흔만 발생하였다.
요컨대, 철근콘크리트 방호벽이 관통 및 파쇄로부터 보호시설의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최소철근비 이상의 철근배근과 동시에 450㎜ 이상의 벽체 두께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벽체 두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방호벽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으며, 실험에서보다 더 큰 폭압이 발생될 경우에는 450㎜의 두께에서도 배면으로 파편이 비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방호벽은 폭발충격에 의한 직접적인 파손뿐만 아니라 이러한 콘크리트 파편이 실내에서 사람이나 내부 시설물을 가격하여 인명피해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방호벽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외부에서 폭발에 의한 충격을 저감시키고, 방호벽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파괴되더라도 실내로 파편이 비산되지 않고 인명 및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055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중공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충격저감 구조체를 설치하여, 충격저감 구조체에서 근접폭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폭발압력을 저감시켜 방호벽 구조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호플레이트를 고정시켜, 폭발에 의해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파괴되더라도, 실내로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로서, 포탄이나 로켓의 충격 및 폭발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도록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연장되는 방호벽 구조체와, 전면에 다수개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구조체로서, 배면이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충격저감 구조체와, 일정 두께의 철판으로,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는 표면에 가해지는 폭발충격을 저감시키도록 하며,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호벽 구조체 배면의 콘크리트가 2차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편이 사방으로 비산되는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호벽 구조체는 일정 형상의 거푸집에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내측으로 타설하여 형성시키되,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거푸집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전체면으로 고정용 스터드 볼트를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형태로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방호벽 구조체와 일체로 양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무근콘크리트 블럭이 삽입될 설치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접하는 설치공 사이에는 충격저감용 중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공은 사각형의 단면구조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은 십자형의 단면구조로 상기 각 설치공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공과 상시 중공은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배면은 일면으로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배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가 상기 방호벽 구조체에 밀착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공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슬리브를 관통삽입시키고, 상기 슬리브에 볼트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결합공으로 상기 볼트의 일단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시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가 상기 방호벽 구조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를 상기 방호벽 구조체에 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공 내측으로 상기 무근콘크리트 블럭을 삽입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충격저감 구조체가 설치되어, 포탄이나 로켓 등이 방호벽 구조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서 근접폭발되도록 하여 방호벽 구조체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을 최소화시키도록 함과 함께,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배면부의 콘크리트가 2차적으로 파괴되더라도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에 의해 콘크리트 파편이 실내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 인명 및 시설물의 보호가 보다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 UFC에서 제시된 방호벽 설계도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방호벽의 접촉폭발에 따른 영향을 실험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 구조체의 정면 및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C-C'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 구조체가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 구조체의 상부에 이동용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시스템의 상부에 지붕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 구조체의 정면 및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C-C'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은 방호벽 구조체(10)와, 외부로 노출되는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충격저감 구조체(20)와, 실내로 향하게 되는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호벽 구조체(10)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로서, 포탄이나 로켓 등의 충격 및 폭발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연장되는 벽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호벽 구조체(10)는 연속설치를 위해 단위모듈로 제작됨에 바람직하며, 일정 형상의 거푸집에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거쳐 완성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보호플레이트(30)가 설치되는 거푸집 벽면 내측면에 고정용 스터드 볼트(11)를 미리 일정 간격을 두고 보호플레이트(30) 설치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격자형태로 다수개 설치한 다음, 고정용 스터드 볼트(11)가 방호벽 구조체(10)와 일체로 양생되도록 한다.
충격저감 구조체(20)는 전면에 다수개의 중공(22)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구조체로서,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전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특정형상의 무근콘크리트 블럭(40)이 삽입될 수 있는 설치공(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인접하여 형성되는 각 설치공(21) 사이에는 충격저감용 중공(22)이 형성된다.
상기의 충격저감 구조체(20)의 구조를 도 5 내지 도 9를 통해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외부로 노출되는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설치공(21)은 사각형의 단면구조로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설치공(21)에는 설치공(21)과 대응되는 형상의 무근콘크리트 블럭(40)이 삽입된다. 그리고 충격저감용 중공(22)은 인접하는 설치공(21) 사이에 개재되도록 십자형태의 단면구조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설치공(21)과 중공(22)은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측면 두께보다는 작은 깊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면으로 설치공(21)과 중공(22)이 관통되지 않고 일면으로 배면 전체가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전면 일츠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배면에서는 어느 한 지점으로 집중되지 않고,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전체면으로 하여 방호벽 구조체(10)에 전달되어,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으로는 충격이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한다.
이러한 충격저감 구조체(20)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상에 무근콘크리트 블럭(40)이 삽입되어, 폭발에 의한 충격발생시 무근콘크리트 블럭(40)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방호벽 구조체(10)를 보호하도록 함과 함께, 설치공(21)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22)으로 인해 구조체의 무게를 절감시키도록 함과 함께, 중공(22)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중공(22) 내에서 완화되도록 하며 탄두 관성압력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전면구조에 의해,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이 줄어들도록 하여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으로는 보다 적은 압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아울러,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배면에는 상기 중공(22)과 연통되는 결합공(23)이 관통형성되며, 이러한 결합공(23)에 볼트(25)를 체결하여 충격저감 구조체(20)가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보호플레이트(3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서,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플레이트(30)는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방호벽 구조체(10) 배면의 콘크리트가 2차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되는 파편이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호플레이트(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형태로 배치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용 스터드 볼트(1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1)이 복수개 형성되며, 보호플레이트(30)를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에 배치시킨 다음, 스터드 볼트(25)의 단부가 고정공(31)으로 관통되도록 한 다음, 너트체결 또는 철판용접 등을 통해 보호플레이트(30)가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 일측이 전면에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콘크리트가 파손되더라도, 보호플레이트(30)의 전체면이 격자형태로 설치된 스터드 볼트(25)에 고정되어 이러한 파손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호벽 구조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충격저감 구조체(20)가 설치되어, 포탄이나 로켓 등이 방호벽 구조체(1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충격저감 구조체(20)의 전면에서 폭발되도록 하여 근접폭발을 통해 폭발압력을 최소화시켜 방호벽 구조체(10)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며,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배면부의 콘크리트가 파괴되더라도 방호벽 구조체(10)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30)에 의해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 구조체가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충격저감 구조체(20)에 형성된 결합공(23)과 대응되는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슬리브(24)를 관통삽입시킨 다음,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슬리브(24)에 볼트(25)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충격저감 구조체(20)의 결합공(23)으로 볼트(25)의 일단부를 삽입시킨 다음, 중공(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25)의 단부에 너트(26)를 체결시켜 충격저감 구조체(20)가 방호벽 구조체(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배면 전체가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충격저감 구조체(20)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충격저감 구조체(20)의 배면 전체로 펼쳐지면서 충격이 분산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충격저감 구조체(20)는 단일의 구조체로 방호벽 구조체(10)의 전면에 결합되지 않고 다수개로 분할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이러한 단일 충격저감 구조체(20)의 하중을 줄여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충격저감 구조체(20)를 방호벽 구조체(10)에 조립시킨 다음, 충격저감 구조체(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공(21)에 무근콘크리트 블럭(40)을 삽입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무근콘크리트 블럭(40)은 접촉폭발시 폭발충격을 완화해주도록 하며, 아울러, 무근콘크리트 블럭(40)이 파괴되면서 설치공(21)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은 설치공 간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22)으로 전달되며, 이러한 폭발압력은 중공(22) 내에서 상쇄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 구조체의 상부에 이동용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방호벽 구조체(10)의 상부에 이동형 브라켓(50)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이러한 이동형 브라켓(5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시스템 단일 모듈을 상, 하차시나 이동시 지게차 등에 매달아 사용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시스템의 상부에 지붕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우천시에는 양측으로 배치되는 방호벽 구조체(10)의 상부에 지붕덮개(6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방호벽 구조체 11 : 고정용 스터드 볼트
20 : 충격저감 구조체 21 : 설치공
22 : 중공 23 : 결합공
24 : 슬리브 25 : 볼트
26 : 너트
30 : 보호플레이트 31 : 고정공
40 : 무근콘크리트 블럭
50 : 이동용 브라켓
60 : 지붕덮개

Claims (8)

  1.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로서, 포탄이나 로켓의 충격 및 폭발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도록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연장되는 방호벽 구조체;
    전면에 다수개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구조체로서, 배면이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충격저감 구조체; 및
    일정 두께의 철판으로,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는 표면에 가해지는 폭발충격을 저감시키도록 하며,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호벽 구조체 배면의 콘크리트가 2차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편이 사방으로 비산되는 않도록 하며,
    상기 방호벽 구조체는 일정 형상의 거푸집에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내측으로 타설하여 형성시키되,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거푸집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전체면으로 고정용 스터드 볼트를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형태로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방호벽 구조체와 일체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2. 삭제
  3.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로서, 포탄이나 로켓의 충격 및 폭발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도록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연장되는 방호벽 구조체;
    전면에 다수개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구조체로서, 배면이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충격저감 구조체; 및
    일정 두께의 철판으로,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는 표면에 가해지는 폭발충격을 저감시키도록 하며,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전달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호벽 구조체 배면의 콘크리트가 2차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편이 사방으로 비산되는 않도록 하며,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무근콘크리트 블럭이 삽입될 설치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접하는 설치공 사이에는 충격저감용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사각형의 단면구조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은 십자형의 단면구조로 상기 각 설치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공과 상시 중공은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배면은 일면으로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배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가 상기 방호벽 구조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방호벽 구조체의 전면에 슬리브를 관통삽입시키고, 상기 슬리브에 볼트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의 결합공으로 상기 볼트의 일단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시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가 상기 방호벽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 구조체를 상기 방호벽 구조체에 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공 내측으로 상기 무근콘크리트 블럭을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KR1020190011236A 2019-01-29 2019-01-29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KR10219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36A KR102198173B1 (ko) 2019-01-29 2019-01-29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36A KR102198173B1 (ko) 2019-01-29 2019-01-29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15A KR20200093915A (ko) 2020-08-06
KR102198173B1 true KR102198173B1 (ko) 2021-01-04

Family

ID=7204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236A KR102198173B1 (ko) 2019-01-29 2019-01-29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0216A (ja) * 2016-02-24 2017-08-31 黒沢建設株式会社 飛行体の落下に対する防護建造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700A (ja) * 1988-10-21 1990-04-27 Yasuji Nakajima 被破砕物爆破時における飛散防止装置
KR101355235B1 (ko) 2011-07-06 2014-01-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국방용 방어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0216A (ja) * 2016-02-24 2017-08-31 黒沢建設株式会社 飛行体の落下に対する防護建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15A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916B2 (en) Construction block
US7677151B2 (en) Protective structure and protective system
US20120216483A9 (en) Construction block
US7144187B1 (en) Cabled massive security barrier
US11421963B2 (en) Lightweight enhanced ballistic armor system
US7895798B2 (en) Structural system with high absorption capacity to impactive and impulsive loads
US20110226166A1 (en) Overhead protection system
US2346196A (en) Bombproof shelter
US7000550B1 (en) Ablative blast resistant security door panel
Elliott et al. The protection of buildings against terrorism and disorder.
US6973864B1 (en) Protective structure and protective system
KR102198173B1 (ko) 근접폭발을 유도한 폭발압력저감 방호 시스템
US20160017626A1 (en) Watchtower
KR100885925B1 (ko) 대단면 원통형 구조물인 사일로의 발파해체 방법
US20020092415A1 (en) Passive armour for protection against shaped charges
US9151577B2 (en) Pyramid-sphere bunker system
KR200494043Y1 (ko)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
US3753553A (en) Topple tower
GB2534197A (en) Protective wall
EP3128282A2 (en) Security fence assembly method for ballistic purposes
KOVÁCS Barriers for physical perimeter protection of military facilities against vehicle born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US20070214951A1 (en) Blast protection system
RU2284446C2 (ru) Ловушка для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Kovács Physical perimeter security of military facilities
US20240060750A1 (en) Reactive protective arm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