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081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081B1
KR102197081B1 KR1020140020191A KR20140020191A KR102197081B1 KR 102197081 B1 KR102197081 B1 KR 102197081B1 KR 1020140020191 A KR1020140020191 A KR 1020140020191A KR 20140020191 A KR20140020191 A KR 20140020191A KR 102197081 B1 KR102197081 B1 KR 10219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cover
reflective surface
protruding suppor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846A (ko
Inventor
김범준
김창수
유병수
이범연
정재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0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튜브 형태의 투광성 커버, 상기 커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돌출 지지부, 상기 돌출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 및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의 일단과 상기 제2 반사면의 일단은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면의 일단은 수직 중앙면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반사면의 일단은 상기 수직 중앙면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중앙면은 상기 커버의 중앙을 지나고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수직이고, 상기 모서리의 높이는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각각의 일단의 높이보다 낮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ON APPARATUS}
실시 예는 튜브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는 형광등이나 삼파장 등의 광원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전력 소비 대비 발광 효율이 높아 실내외 인테리어 등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9는 일반적인 튜브형 조명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고하면, 튜브형 조명 장치(1)는 인쇄회로기판(10), 발광 다이오드(20), 방열판(30), 및 투광 튜브(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20)는 인쇄회로기판(10) 상부에 원하는 밝기를 구현할 수 있을 정도의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다. 발열판(30)은 인쇄회로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투광 튜브(40)는 발광 다이오드(2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0)을 둘러싸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들로부터 발광 다이오드(20)를 보호할 수 있으며, 투광성이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20)에서 발산된 빛을 통합하여 외부로 넓게 발산할 수 있다.
튜브형 조명 장치(1)는 특정 방향(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전방)으로 빛을 발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향각(beam angle)이 대략 120°~135°의 각도 범위 내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지향각 향상 및 눈부심을 줄일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튜브(tube) 형태의 투광성 커버(cover); 상기 커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돌출 지지부; 상기 돌출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 및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의 일단과 상기 제2 반사면의 일단은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면의 일단은 수직 중앙면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반사면의 일단은 상기 수직 중앙면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중앙면은 상기 커버의 중앙을 지나고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수직이고, 상기 모서리의 높이는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각각의 일단의 높이보다 낮다.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단과 접하고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지지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반사부의 모서리는 상기 수직 중앙면에 정렬되고,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수직 중앙면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수직 중앙면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 지지부; 및 상기 수직 중앙면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돌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1 돌출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돌출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2 발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 지지부와 상기 제2 돌출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각각의 일단의 높이는 수평 중앙면보다 높고, 기준값 보다 낮으며, 상기 수평 중앙면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수직 중앙면에 수직한 면이고, 상기 기준값은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상면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구동부의 하면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한 직선의 연장선이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만나는 점의 높이일 수 있다.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부의 높이는 상기 구동부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타 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커버의 최하단과 접하고, 수평 중앙면과 평행한 면이고, 상기 수평 중앙면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수직 중앙면에 수직한 면이고, 상기 커버의 최하단은 상기 반사부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의 가장 낮은 부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튜브 형태의 투광성 커버(tube type cover); 상기 커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돌출 지지부; 상기 돌출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요철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반사면들과 모서리들을 포함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첫 번째 반사면의 일단은 수직 중앙면의 일 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의 내주면의 일 영역에 연결되고, 마지막 번째 반사면의 일단은 상기 수직 중앙면의 타 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의 내주면의 다른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첫 번째 반사면의 일단 및 상기 마지막 번째 반사면의 일단은 수평 중앙면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중앙면은 상기 커버의 중앙을 지나는 면이고, 상기 수평 중앙면은 상기 커버의 중앙을 지나고 상기 수직 중앙면과 수직인 면이다.
짝수 번째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수직 중앙면에 정렬될 수 있고, 상기 반사면들 및 상기 모서리들은 상기 수직 중앙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지향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커버를 제거한 조명 장치의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 각각의 일단의 높이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반사면들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지향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부를 나타낸다.
도 19는 일반적인 튜브형 조명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1)의 외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커버(110)를 제거한 조명 장치(200-1)의 내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모듈(12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200-1)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200-1)는 커버(110), 발광 모듈(120), 반사부(130), 구동부(140), 연결 캡(connection cap, 152, 154), 및 전극핀(161,162)을 포함한다.
커버(110)는 투광성일 수 있으며, 튜브(tube) 형태일 수 있다. 커버(110)는 발광 모듈(120), 반사부(130), 및 구동부(140)를 수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수납된 구성물들(120,130,140)을 보호할 수 있으며, 발광 모듈(120) 및 반사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커버(110)는 투광성이고 광을 확산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수지, 올레핀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합성 수지 재질을 사출 성형 등을 통하여 커버(110)를 형성할 수 있다.
발광 모듈(120)은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일 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기판(124), 및 다수의 발광 소자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4)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커버(110)의 길이 방향(101)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형일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들(122)은 제1 방향(101, 도 2 참조)으로 기판(12) 상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은 커버(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는 커버(11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발광 소자들(122)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커버(110)는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에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 지지부(113)를 가질 수 있다. 돌출 지지부(113)는 커버(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115)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13)는 발광 모듈(120)의 기판(12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돌출 지지부(113)는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3a), 및 돌출부(113a)의 일단과 접하고 발광 모듈(120)의 기판(124)을 지지하는 지지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4)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하기 위하여, 지지부(113b)의 폭(W1)은 기판(124)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으며, 지지부(113b)의 길이는 기판(124)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돌출부(113a)의 폭(W2)은 지지부(113b)의 폭(W1)보다 좁을 수 있다(W2<W1). 돌출부(113a)의 폭(W2)이 지지부(113b)의 폭(W1)보다 좁기 때문에, 지지부(113b)와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114)이 존재할 수 있다.
균일한 배광 또는 대칭적인 배광을 위하여 돌출 지지부(113)는 커버(110)의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중앙면(102)은 제1 영역(115-1), 커버(110)의 중앙(105), 및 제2 영역(115-2)을 지나는 면으로 기판(124)의 상부면에 수직할 수 있다. 제2 영역(115-2)은 제1 영역(115-1)과 마주보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다른 일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13b)의 상부면의 중심선은 커버(110)의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13)는 투광성 재질일 수 있다. 예컨대, 돌출 지지부(113)는 커버(11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발광 소자들(122)로부터 조사된 빛은 반사부(130)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지지부(113b)와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114)을 통하여 커버(110) 밖으로 발산될 수 있기 때문에, 실시 예는 외부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판(124)은 지지부(113b)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균일한 배광 또는 대칭적인 배광을 위하여 발광 소자들(122)은 커버(110)의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130)는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과 제2 영역(115-2) 사이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들(1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130)는 양단이 커버(110)의 내주면(115)에 고정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반사 시트(reflective sheet) 또는 반사판(reflective plate)일 수 있다.
반사부(130)는 커버(110)의 길이 방향(101)으로 연장되는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및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 및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 134-1)은 커버(110) 내주면(115)의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고, 제1 반사면(132) 및 제2 반사면(134) 각각의 나머지 다른 일단은 모서리(131)에 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반사면(132)의 일단(132-1)은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반사면(134)의 일단(134-1)은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면(132) 및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 134-1)은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의 측면들 중 장측면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1 반사면(132) 및 제2 반사면(134) 각각의 나머지 다른 일단은 장측면들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반사부(130)의 모서리(131)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에 연결 또는 고정되는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124)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반사부(130)의 모서리(131)의 높이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에 고정되는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은 수평 중앙면(103)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사부(130)의 모서리(131)는 수평 중앙면(103)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중앙면(103)은 커버(110)의 중앙(105)을 지나는 면으로 수직 중앙면(10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 중앙면(103)은 기판(124)의 상부면과 평행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 중앙면(103)을 기준으로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H)는 수평 중앙면(103)보다 높고, 기준값(a) 보다 낮을 수 있다(0<H<a). 여기서 기준값(a)은 발광 소자들(124)의 상면의 가장자리(201)와 구동부(140)의 하면부의 가장자리(202)를 연결한 직선의 연장선(105)이 커버(110)의 내주면(115)과 만나는 점(203)의 높이일 수 있다.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H)는 수평 중앙면(103)보다 높게 함으로써, 실시 예는 지향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H)를 기준값(a)보다 낮게 하는 이유는 구동부(140)가 삽입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H)를 기준값(a)보다 높을 경우 구동부(140)에 의하여 커버(110) 내에 어두운 부분이 발생 수 있다.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은 오목한 형상의 곡면일 수 있다.
발광 소자들(124)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부(130)의 모서리(13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균등하게 분산 및 반사시키기 위하여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은 반사부(130)의 모서리(13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반사부(13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 모듈(120)과 구동부(140)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반사부(130)는 백색 레지스트(white resist), 백색 안료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 수지, 또는 광 반사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백색안료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탄산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엔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 콜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소스 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110) 및 반사부(130)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이중 사출 성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140)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제2 영역(115-2)과 반사부(130) 사이에 위치하며, 반사부(130)는 구동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140)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제2 영역(115-2)과 반사부(13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면(136,138) 상에 위치하며, 발광 모듈(1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140)는 전극핀(161,162)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발광 모듈(120)에 공급할 수 있다.
발광 모듈(120)과 구동부(140)는 반사부(13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사부(130)에 의하여 분리 또는 격리될 수 있다. 발광 모듈(120)과 구동부(140)의 전기적 연결은 별도의 커넥션 라인(connection line, 미도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모듈(120)과 구동부(140)는 반사부(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 또는 절연될 수 있기 때문에, 실시 예는 구동부(140)의 절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절연지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연결 캡(connection cap, 152, 154)은 커버(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커버(110)를 폐쇄한다. 전극핀(161,162)은 일단이 연결 캡(152,154)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고, 나머지 다른 일단은 구동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200-1)의 지향각(beam angle)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험 결과에 따르면 조명 장치(200-1)는 280°의 지향각을 얻을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일반적인 조명 장치(1)의 지향각은 180° 미만인데 반하여, 실시 예는 180°이상의 큰 지향각을 얻을 수 있으며,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2)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돌출 지지부(113)는 커버(110)와 동일한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돌출 지지부(113-1)는 반사부(130)와 동일한 반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지지부(113-1)가 반사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돌출 지지부(113-1)에 의하여 반사부(130)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을 재반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광도 및 지향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3)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200-3)는 도 4와 다른 구조의 반사부(130-1)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30-1)는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 및 반사 부재(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의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134)의 구조와 동일하나,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의 재질은 커버(110)와 동일한 투광성 재질일 수 있다.
반사 부재(301)는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301)는 반사 물질을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 상에 코팅한 형태이거나, 시트(sheet) 형태의 반사 부재(301)를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 상에 접착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4)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 각각은 오목한 곡면인 반면에, 조명 장치(200-4)의 제1 및 제2 반사면들(512,514) 각각은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다른 지향각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면들(512,514) 각각이 볼록한 곡면인 것을 제외하고는 반사부(130-2)의 구조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반사부(130-2)의 모서리(131)의 높이, 및 제1 및 제2 반사면들(512, 514) 각각의 일단(512-1,514-1)의 높이 등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5)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 134) 각각은 오목한 곡면인 반면에, 도 9에 도시된 반사부(130-3)에 포함된 제1 및 제2 반사면들(612,614) 각각은 평면일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다른 지향각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면들(612,614) 각각이 평면인 것을 제외하고는 반사부(130-3)의 구조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반사부(130-3)의 모서리(131)의 높이, 및 제1 및 제2 반사면들(612, 614) 각각의 일단(612-1,614-1)의 높이 등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6)의 단면도를 나타내다.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사부(130-4)는 제1 및 제2 반사면들(710,172), 및 모서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면들(710,720) 각각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2 이상의 부반사면들(sub-refelctive faces, 712와 714, 722와 7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울기는 수직 중앙면(102, 도 5 참조)을 기준으로 경사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반사면(710)과 제2 반사면(720)은 모서리(13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반사면(710)은 제1 기울기(θ1)를 갖는 제1 부반사면(712)와 제2 기울기(θ2)를 갖는 제2 부반사면(7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반사면(720)은 제3 기울기(θ3)를 갖는 제3 부반사면(722)와 제4 기울기(θ4)를 갖는 제4 부반사면(7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울기(θ1)는 제3 기울기(θ3)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기울기(θ2)는 제4 기울기(θ4)와 동일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지향각을 위하여 제1 내지 제4 기울기들(θ1 내지 θ4)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부반사면들(712,714,722,724) 각각은 평면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다른 지향각을 구현할 수 있다. 반사부(130-4)의 모서리(131)의 높이, 및 제1 및 제2 반사면들(710, 720) 각각의 일단(710-1,720-1)의 높이 등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부반사면(712)과 제2 부반사면(714)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부모서리(sub-edge, 732), 및 제3 부반사면(722)과 제4 부반사면(72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모서리(734)는 수평 중앙면(103)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부모서리(732), 및 제2 부모서리(734)가 수평 중앙면(103)에 정렬되거나, 수평 중앙면(103)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7)의 단면도를 나타내다.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반사부(130-5)는 제1 및 제2 반사면들(810,820), 및 모서리(131)를 포함할 있다. 제1 및 제2 반사면들(810,820) 각각은 곡면인 부반사면(812, 또는 822), 및 평면인 부반사면(814, 8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810)과 제2 반사면(820)은 모서리(13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반사면(810)은 제1 부반사면(812)과 제2 부반사면(8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반사면(820)은 제3 부반사면(822)과 제4 부반사면(8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반사면(814) 및 제4 부반사면(824) 각각은 커버(110)의 내주면과 접하고, 제1 부반사면(812)과 제3 부반사면(822)은 서로 접하여 모서리(1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부반사면(814) 및 제4 부반사면(824)은 평면일 수 있고, 제1 부반사면(812)과 제3 부반사면(822)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부반사면(814) 및 제4 부반사면(824)은 평면일 수 있고, 제1 부반사면(812)과 제3 부반사면(822)은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부반사면(814) 및 제4 부반사면(824)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고, 제1 부반사면(812)과 제3 부반사면(822)은 평면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부반사면(814) 및 제4 부반사면(824)은 볼록한 곡면일 수 있고, 제1 부반사면(812)과 제3 부반사면(822)은 평면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다른 지향각을 구현할 수 있다. 반사부(130-5)의 모서리(131)의 높이, 및 제1 및 제2 반사면들(810, 820) 각각의 일단(810-1,820-1)의 높이 등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부반사면(812)과 제2 부반사면(814)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부모서리(832), 및 제3 부반사면(822)과 제4 부반사면(82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모서리(834)는 수평 중앙면(103)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부모서리(832), 및 제2 부모서리(834)가 수평 중앙면(103)에 정렬되거나, 수평 중앙면(103)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9)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반사면들(930-1 내지 930-n, n>1인 자연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반사부(130-6)는 복수의 반사면들(930-1 내지 930-n, n>1인 자연수), 및 이웃하는 2개의 반사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들(940-1 내지 940-m, m>1인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들(930-1 내지 930-n, n>1인 자연수) 및 모서리들(940-1 내지 940-m, m>1인 자연수)은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반사면들(930-1 내지 930-n, n>1인 자연수) 중 첫 번째 반사면(930-1)의 일단(910-1)은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고, 마지막 번째 반사면(930-n)의 일단(910-2)은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다른 영역과 접할 수 있다.
기판(124)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할 때, 모서리들(940-1 내지 940-m, m>1인 자연수)의 높이는 첫 번째 반사면(930-1)의 일단(910-1) 및 마지막 번째 반사면(930-n)의 일단(910-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홀수 번째 모서리들(예컨대, 940-(2k-1), k≥1인 자연수)은 짝수 번째 모서리들(940-2k, k≥1인 자연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110)의 내주면(115)과 접하는 첫 번째 반사면(930-1) 및 마지막 번째 반사면(930-n) 각각의 일단(910-1,910-2))은 수평 중앙면(10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첫 번째 반사면(예컨대, 930-1)과 마지막 번째 반사면(예컨대, 930-6) 각각의 일단(910-1,910-2)의 높이는 수평 중앙면(103)보다 높고, 기준값(a) 보다 낮을 수 있다(0<H<a). 여기서 기준값(a)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홀수 번째 모서리들(940-(2k-1), k≥1인 자연수)은 수평 중앙면(10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홀수 번째 모서리들(940-(2k-1), k≥1인 자연수)은 수평 중앙면(103)과 발광 소자들(1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짝수 번째 모서리들(940-(2k), k≥1인 자연수)은 수평 중앙면(103)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수평 중앙면(10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짝수 번째 모서리들(940-(2k), k≥1인 자연수)은 수평 중앙면(103)과 홀수 번째 모서리들(940-(2k-1), k≥1인 자연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홀수 번째 모서리들(940-(2k-1), k≥1인 자연수) 중 어느 하나(예컨대, 940-3)는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될 수 있으며, 반사면들(930-1 내지 930-n, n>1인 자연수) 및 모서리들(940-1 내지 940-m, m>1인 자연수)은 수직 중앙면(10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빛의 균등한 분산 또는 반사를 위하여 홀수 번째 모서리들(940-(2k-1), k≥1인 자연수)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짝수 번째 모서리들(940-(2k), k≥1인 자연수)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면들(930-1 내지 930-n, n>1인 자연수)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 오목한 곡면, 또는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들(200-1 내지 200-8)은 절연성 반사부(130, 130-1 내지 130-6)를 사용함으로써, 구동부(140)와 발광 모듈(120)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별도의 절연지로 구동부(140)를 감쌀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 예들(200-1 내지 200-8)은 반사부(130, 130-1 내지 130-6)와 발광 모듈(120)이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배치되고, 커버(110)의 내주면(115)과 접하는 반사부(130, 130-1 내지 130-6) 양단의 높이가 수평 중앙면(103)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지향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200-1 내지 200-8)은 돌출 지지부(113, 113-1)의 구조에 의하여 커버(110) 밖으로 빠져나가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도 및 지향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9)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돌출 지지부(113)를 포함하지 않는다. 발광 모듈(120)은 반사부(130-7)의 일 영역 상에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발광 모듈(120)은 반사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발광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발광 모듈(120)은 도 4와는 반대 방향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반사부(130-7)는 제1 반사면(132a), 제2 반사면(132b), 및 제3 반사면(132c)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30-7)는 내주면(115)의 제1 영역(115-1)과 제2 영역(1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들(1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130-7)는 양단이 커버(110)의 내주면(115)에 고정될 수 있고, 반사 시트(reflective sheet) 또는 반사판(reflective plate)일 수 있으며, 중앙에 기판이 배치될 수 있는 편평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반사부(130)는 커버(110)의 길이 방향(101)으로 연장되는 제1 반사면(132a), 제2 반사면(132b), 및 제1 반사면(132a)과 제2 반사면(132b)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반사면(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a) 및 제2 반사면(132b) 각각의 일단(132-1, 134-1)은 커버(110) 내주면(115)의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고, 제1 반사면(132a) 및 제2 반사면(132b) 각각의 나머지 다른 일단은 제3 반사면(132c)에 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반사면(132a)의 일단(132-1)은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반사면(132b)의 일단(134-1)은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반사면(132c)은 수평 중앙면(103)과 평행할 수 있으며, 커버(110)의 내주면(115)에 연결 또는 고정되는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의 일단(132-1,134-1)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a)과 제2 반사면(132b) 각각의 일단(132-1,134-1)은 수평 중앙면(103)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반사면(132c)은 수평 중앙면(103)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a)과 제2 반사면(132b) 각각의 일단(132-1,134-1)의 높이(H)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각각은 오목한 형상의 곡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제3 반사면(132c)을 기준으로 균등하게 빛을 조사하기 위하여 제1 반사면(132a)과 제2 반사면(132b)은 제3 반사면(132c)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반사부(130-8)는 복수의 반사면들(11-1 내지 11-n, n>1인 자연수), 및 이웃하는 2개의 반사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들(13-1 내지 13-m, m>1인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들(11-1 내지 11-n, n>1인 자연수) 및 모서리들(13-1 내지 13-m, m>1인 자연수)은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반사면들(11-1 내지 11-n, n>1인 자연수) 중 첫 번째 반사면(11-1)의 일단(1100a)은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일 영역과 연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 번째 반사면(11-n, 예컨대, n=4)의 일단(1100b)은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다른 영역과 연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첫 번째 반사면(11-1)의 일단(1100a), 및 마지막 번째 반사면(11-n, 예컨대, n=4)의 일단(1100b)은 수평 중앙면(103)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4)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할 때, 모서리들(13-1 내지 13-m, 예컨대, m=3)의 높이는 첫 번째 반사면(11-1)의 일단(1100a) 및 마지막 번째 반사면(11-n, 예컨대, n=4)의 일단(1100b)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24)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할 때, 홀수 번째 모서리들(예컨대, 13-1, 13-3)은 짝수 번째 모서리(11-2)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홀수 번째 모서리들(예컨대, 13-1, 13-3)은 수평 중앙면(10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짝수 번째 모서리들(예컨대, 13-2)은 수평 중앙면(103)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수평 중앙면(10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짝수 번째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예컨대, 13-2)는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될 수 있으며, 반사면들(11-1 내지 11-n, 예컨대, n=4) 및 모서리들(13-1 내지 13-m, 예컨대, m=3)은 수직 중앙면(10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빛의 균등한 분산 또는 반사를 위하여 홀수 번째 모서리들(예컨대, 13-1, 13-3)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면들(11-1 내지 1-n, 예컨대, n=4)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 오목한 곡면, 또는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200-10)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 에에 비하여 아래로 향하는 빛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1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200-11)가 다른 점은 돌출 지지부의 수, 발광 모듈의 수, 및 돌출 지지부와 발광 모듈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가 1개의 돌출 지지부(113) 및 1개의 발광 모듈(120)을 포함하는 반면에,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는 2개의 돌출 지지부들(113a, 113b), 및 2개의 발광 모듈들(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내주면(115)의 일 영역 형성되는 제1 돌출 지지부(113-3), 및 내주면(115)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돌출 지지부(113-4)를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 지지부(113-3)는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 내주면(115)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 지지부(113-4)는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 내주면(115)의 다른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 지지부(113-3) 및 제2 돌출 지지부(113-4) 각각은 커버(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115)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균일한 배광 또는 대칭적인 배광을 위하여 수평 중앙면(103)에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균일한 배광 또는 대칭적인 배광을 위하여 제1 돌출 지지부(113-3)와 제2 돌출 지지부(113-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돌출 지지부들(113-3, 113-4) 각각의 구조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출 지지부(113-3)는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 내주면(115)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3c), 및 제1 돌출부(113c)의 일단과 접하고 제1 발광 모듈(120a)의 제1 기판(124a)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 지지부(113-4)는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 내주면(115)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돌출부(113e), 및 제3 돌출부(113e)의 일단과 접하고 제2 발광 모듈(120b)의 제2 기판(124b)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3c)의 폭과 제1 지지부(113d)의 폭 간의 관계, 제2 돌출부(113e)의 폭과 제2 지지부(113f)의 폭 간의 관계, 및 제1 및 제2 돌출 지지부들(113-3, 113-4)의 재질 등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200-11)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부(130-9)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기준면을 기준으로 반사부(130)의 높이가 일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면으로부터 반사부(130)까지의 거리가 전 영역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면은 커버(110)의 최하단과 접하고, 수평 중앙면과 평행한 면일 수 있으며, 도 18에서의 기준면(901)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10)의 최하단은 반사부(130)를 기준으로 구동부(140)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커버(110)의 가장 낮은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커버(110) 일단에 인접하는 반사부(130) 일단의 높이와 커버(110) 타단에 인접하는 반사부(130) 타단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기준면(901)을 기준으로 반사부(130-9)의 높이(k1)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반사부(130-9)는 커버(110)의 길이 방향(101)으로 연장되는 제1 반사면(132x)과 제2 반사면(134x), 및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131x)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x)의 일단(132-11)은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일 영역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고, 제2 반사면(134x)의 일단(134-11)은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는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다른 영역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1 반사면(132x) 및 제2 반사면(134x) 각각의 나머지 다른 일단은 모서리(131x)에 접할 수 있다.
기준면(901)을 기준으로 반사부(130-9)의 높이(k1)는 제2 방향(104)으로 진행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2 방향(104)은 제1 방향(101)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향(104)은 구동부(140)에 인접하는 커버(110)의 일 단으로부터 커버(110)의 타 단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반사부(130-9)의 높이는 기준면(901)과 반사부(130-9) 간의 이격 거리(k1)일 수 있다. 예컨대, 반사부(130-9)의 높이는 기준면(901)과 모서리(131x) 사이의 이격 거리(d3)일 수 있다.
기준면(901)과 제1 반사면(132x)의 일단(132-11)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제2 방향(104)으로 진행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기준면(901)과 제2 반사면(134x)의 일단(134-11) 사이의 이격 거리(d2)는 제1 방향(101)으로 진행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커버(110)의 일단에 인접하는 반사부(130-9)의 높이는 낮게 함으로써 실시 예는 구동부(140)가 배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커버(110)의 타 단에 인접하는 반사부(130-9)의 높이는 커버(110)의 일단에 인접하는 반사부(130-9)의 높이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커버(110)의 타 단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반사면들(132x, 134x)의 일부 영역의 곡률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반사부(130-9)는 실시 예들(200-1 내지 200-11)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커버 113: 돌출 지지부
113a: 돌출부 113b: 지지부
120: 발광 모듈 130: 반사부
140: 구동부 152,154: 연결 캡
161,162: 전극핀.

Claims (10)

  1. 튜브(tube) 형태의 투광성 커버(110);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돌출 지지부(113);
    상기 돌출 지지부(113) 상에 배치되는 기판(124), 및 상기 기판(124)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들(122)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120);
    상기 커버(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반사면(132)과 제2 반사면(134), 및 상기 제1 반사면(132)과 상기 제2 반사면(134)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132)의 일단(132-1)과 상기 제2 반사면(134)의 일단(134-1)은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과 연결되는 반사부(130); 및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과 상기 반사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1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13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반사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 지지부(113)와 발광 모듈(12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반사면(13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과 상기 제2 반사면(134)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접하고,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반사면(132)의 일단(132-1)은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반사면(134)의 일단(134-1)은 상기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 지지부(113)는,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3a); 및
    상기 돌출부(113a)의 일단과 접하고, 상기 기판(124)을 지지하는 지지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131) 및 상기 돌출 지지부(113)는 수평 중앙면(103)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면(132)의 일단(132-1)과 상기 제2 반사면(134)의 일단(134-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중앙면(102)은 상기 커버(110)의 중앙(105)을 지나고 상기 기판(124)의 상부면에 수직이고, 상기 수평 중앙면(103)은 상기 커버(110)의 중앙(105)을 지나고 상기 수직 중앙면(102)에 수직인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130)의 모서리(131)는 상기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되고, 상기 돌출부(113a)는 상기 수직 중앙면(102)에 정렬되는 조명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지지부(113)는,
    상기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 지지부(113-3); 및
    상기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돌출 지지부(113-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 지지부(113-3)와 상기 제2 돌출 지지부(113-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120)은,
    상기 제1 돌출 지지부(113-3)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모듈(120a); 및
    상기 제2 돌출 지지부(113-4) 상에 배치되는 제2 발광 모듈(120b)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튜브 형태의 투광성 커버(110);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 상에 배치되는 돌출 지지부(113);
    상기 돌출 지지부(113) 상에 배치되는 기판(124), 및 상기 기판(124)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들(122)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120);
    상기 커버(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요철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반사면들(930-1 내지 930-6)과 모서리들(940-1 내지 940-5)을 포함하는 반사부(130-6); 및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과 상기 반사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1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13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반사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 지지부(113)와 발광 모듈(12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들(930-1 내지 930-6)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접하고,
    첫 번째 반사면(930-1)의 일단(910-1)은 수직 중앙면(102)의 일 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일 영역에 연결되고, 마지막 번째 반사면(930-6)의 일단(920-1)은 상기 수직 중앙면(102)의 타 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110)의 내주면(115)의 다른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모서리들(940-1 내지 940-5) 중 홀수 번째 모서리들(940-1, 940-3, 940-5)과 상기 돌출 지지부(113)는 수평 중앙면(103)을 기준으로 상기 첫 번째 반사면(930-1)의 일단(910-1) 및 상기 마지막 번째 반사면(930-6)의 일단(920-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중앙면(102)은 상기 커버(110)의 중앙(105)을 지나고 상기 기판(124)의 상부면에 수직이고, 상기 수평 중앙면(103)은 상기 커버(110)의 중앙(105)을 지나고 상기 수직 중앙면(102)과 수직인 조명 장치.
  10. 삭제
KR1020140020191A 2014-02-21 2014-02-21 조명 장치 KR10219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91A KR102197081B1 (ko) 2014-02-21 2014-02-21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91A KR102197081B1 (ko) 2014-02-21 2014-02-21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46A KR20150098846A (ko) 2015-08-31
KR102197081B1 true KR102197081B1 (ko) 2020-12-31

Family

ID=5406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191A KR102197081B1 (ko) 2014-02-21 2014-02-2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0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49B1 (ko) 2008-07-04 2010-07-21 조용윤 형광등타입 엘이디 발광장치
US20110103053A1 (en) * 2009-11-02 2011-05-05 Ledtech Electronics Corp. LED Lighting Device
US20120087119A1 (en) 2010-10-11 2012-04-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d lamp
KR101212743B1 (ko) * 2011-10-27 2012-12-14 이슬기 발광 빛이 간접적으로 조사되는 구조의 엘이디 형광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900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렉스모바일 발광효율을 개선한 엘이디 형광등
KR20110101345A (ko) * 2010-03-08 2011-09-16 문종옥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30107114A (ko) * 2012-03-21 2013-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튜브형 led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49B1 (ko) 2008-07-04 2010-07-21 조용윤 형광등타입 엘이디 발광장치
US20110103053A1 (en) * 2009-11-02 2011-05-05 Ledtech Electronics Corp. LED Lighting Device
US20120087119A1 (en) 2010-10-11 2012-04-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d lamp
KR101212743B1 (ko) * 2011-10-27 2012-12-14 이슬기 발광 빛이 간접적으로 조사되는 구조의 엘이디 형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46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0724B2 (en) Lighting device
EP2796782B1 (en) Lighting device
US9557010B2 (en) Lighting device
JP5618097B2 (ja) 光学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発光装置
KR20120017234A (ko) 램프 장치
JP6222445B2 (ja) 照明装置
US20180239073A1 (en) Mouse pad having multiple light guide plates
TWI542814B (zh) 發光二極體燈泡
KR102050055B1 (ko) 조명 장치
KR102388796B1 (ko) 조명 장치
KR101106586B1 (ko) Led 형광등 장치
KR102197081B1 (ko) 조명 장치
KR20220098713A (ko) 조명 장치
CN103912804A (zh) 大角度发光led灯
US10788169B2 (en) Lighting device
KR101651656B1 (ko) 조명 장치
JP5558619B1 (ja) 照明装置
KR102410453B1 (ko) 조명 장치
KR102385942B1 (ko) 조명 장치
KR101491114B1 (ko) Led램프
KR101946267B1 (ko) 조명기기
KR102388286B1 (ko) 조명 장치
JP5457576B1 (ja) 照明装置
US20150016117A1 (en) Wide-angle Light Emitting Diode Bulb
KR20140140913A (ko)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