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66B1 -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66B1
KR102196566B1 KR1020200019039A KR20200019039A KR102196566B1 KR 102196566 B1 KR102196566 B1 KR 102196566B1 KR 1020200019039 A KR1020200019039 A KR 1020200019039A KR 20200019039 A KR20200019039 A KR 20200019039A KR 102196566 B1 KR102196566 B1 KR 10219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hood cap
supply hood
auto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미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신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신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신공조
Priority to KR102020001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F24F2003/163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10)과 열교환소자(120)와 필터부재(130)와 배기송풍기(150)와 급기송풍기(140)와 제1전동댐퍼(160)와 연결덕트(170)와 제2전동댐퍼(180)와 제3전동댐퍼(190)와 제어회로부(200)로 구성되어,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를 구현하여 먼지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며, 먼지 또는 부식으로 인한 필터망의 교체를 필터망 손상없이 쉽게 교체하도록 하고, 급기후드캡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Duct Applied with Energy Recovery Ventilator having Supply Air Hood Cap Self-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모드를 구현하여 먼지, 곤충 사체 등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시켜 급기후드캡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먼지 또는 부식으로 인해 꽉 막혀있는 기존의 후드캡 망을 손쉽게 교체하여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월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기존에 설치된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열교환기는 1년 이상 사용하면 외기의 강제급기로 인해 실외급기구가 새털, 곤충, 배설물, 보푸라기, 먼지등으로 막혀서 실질적인 열교환을 못하여 전력효율이 저하되고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해서, 내부청소와 필터교체를 주기적으로 하지만 외부 후드캡망은 청소를 하지 못하므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전열교환기로부터 외부 후드캡까지 보온 상태여서 곤충의 서식 특성상, 외부 후드캡 필터망에서 배설하거나 곤충 사체가 쌓여서 심각한 오염이 발생하여 설치 후 1년 이상 경과하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실질적으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1년 이상 사용하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전열교환기 내부에 연결덕트를 만들어 주기적으로 OA후드캡 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서 급기후드캡 망에 묻은 먼지를 밖으로 불어내는 방식으로 먼지가 떡지는 걸 미연에 방지하며 OA로 신선한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해주는 방식을 도입이 요구된다.
한편, 후드캡을 정기적으로 교체하여야 신선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데, 이를 무시하고 형식적인 후드캡 설치만 되고 있고, 실제 건설현장에서는 애초에 이러한 문제점을 간과하고 교체불가한 시공법으로 시공되어 후드캡 자체의 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급기후드캡 필터망에 부착된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털어내려고 해도 먼지의 떡진 현상과 벌레사체등이 달라붙어 필터망이 삭아서 부서지거나 파손되어 후드캡 전체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교체 불가이기에 이를 보안하고자 필터망의 교체를 쉽게 하여 신선한 공기를 상시 유입하여 기존에 설치 시공된 전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41954호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65126호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터망의 교체를 쉽게 하고 신선한 공기를 상시 유입하여 전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급기후드캡 필터망의 교체를 쉽게하여 망 교체만으로도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기존에 설치 시공된 전열교환기의 기능을 향상시켜 본래의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일측에 환기부 입구와 급기부 출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환기부 출구와 급기부 입구가 구비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유로와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소자; 상기 유입유로와 배출유로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부재; 상기 환기부 출구에 인접하도록 배출유로에 구비되어 배출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송풍기; 상기 급기부 출구에 인접하도록 유입유로에 구비되어 유입유동을 발생시키는 급기송풍기; 상기 환기부 출구에 구비되어 실내공기 배출을 단속하는 제1전동댐퍼; 상기 환기부 출구와 급기부 입구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형 사이클론 덕트 또는 오발 덕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와 환기부 출구의 통로를 단속하는 제2전동댐퍼; 상기 급기부 입구에 구비되어 실외공기 유입을 단속하는 제3전동댐퍼; 및 상기 배기송풍기로 운전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전동댐퍼 및 제3전동댐퍼는 폐쇄 상태로 되며, 상기 제2전동댐퍼는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배기송풍기가 구동하여 상기 배기송풍기의 바람이 상기 급기부 입구에 구비된 급기후드캡 방향으로 송풍시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의 필터망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바깥쪽으로 불어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를 제공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최초 구동시 최소 3분간 구동하거나,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구동하거나, 운전정지시 최소 3분간 구동하도록, 오토클린모드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의 필터망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필터망에 부착되는 먼지량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일측에는 상기 필터망에 부착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센서부재의 먼지량 신호값에 의해 오토클린모드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일측에는 해충이 기피하는 590㎚ 내지 650㎚, 또는 590㎚ 내지 620㎚, 또는 620㎚ 내지 650㎚대역의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을 구비한 해충접근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접근방지부재는,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LED모듈의 구동시 상기 제어회로부의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하는 PWM 제어칩에서 상기 LED모듈의 구동을 위하여 스위칭방식으로 전원을 제공할 때 발생하는 스위칭신호를 이용하여 해충이 기피하는 30㎑ 내지 50㎑의 초음파를 송출하는 초음파발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 외측에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에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LED모듈로 배터리 전원을 자가 공급하는 충전제어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관로에는 오토클린모드 작동시 상기 배기송풍기의 풍속을 가속화시켜 상기 급기후드캡의 필터망 전체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벤츄리튜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 내주면에는 상기 배기송풍기의 바람을 회오리 형태로 발생시켜 상기 필터망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사이클론발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후드캡은, 상기 급기부 입구에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외주면으로 확장되어 건물 외벽에 밀착되는 외측플랜지부와, 상기 접속부 입구와 상기 외측플랜지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망이 안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플랜지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방향으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후드캡 입구에 곡면형태로 말린 상태에서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펼쳐진 후 외주면 가장자리가 상기 커버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안착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망 외주면에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PVC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망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면 또는 전체 외면에는 이물질 부착 방지되는 슬립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코팅층 가공전 단계에서 상기 필터망의 표면과 격자눈 모서리 부분을 샌딩 또는 부식처리하여 라운드처리한 후 슬립코팅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코팅층은 경질아노다이징 또는 티타늄코팅 또는 다이아몬드코팅 또는 투명실리콘층을 포함하는 세라믹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송풍기의 풍속을 가속화시켜 상기 벤츄리튜브로 송풍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시 상기 급기후드캡의 필터망 전체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송풍기의 바람을 상기 사이클론발생부재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발생시켜 상기 필터망으로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로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 제어신호를 원격 전송하는 통신가능한 스마트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를 구현하여 먼지에 의한 막힘과 부식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급기후드캡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 신선한 외기(OA)를 급기(SA)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급기후드캡 필터망을 손쉽게 교체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기존에 설치 시공된 전열교환기의 기능을 향상시켜 본래의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을 구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급기후드캡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필터망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우징(110)과 열교환소자(120)와 필터부재(130)와 급기송풍기(140)와 배기송풍기(150)와 제1전동댐퍼(160)와 연결덕트(170)와 제2전동댐퍼(180)와 제3전동댐퍼(190)와 제어회로부(200)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110)은 건물 외벽에 매설되도록 외관을 형성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환기부 입구(RA:return air)와 급기부 출구(SA:supply air)가 동일방향으로 구비되고, 타측에 환기부 출구(EA:exhaust air)와 급기부 입구(OA:outdoor air)가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며, 환기부 입구(RA)로부터 환기부 출구(EA)로 연통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유로(111)와 급기부 입구(OA)로부터 급기부 출구(SA)로 연통 형성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유로(112)가 구비된다.
다음, 열교환소자(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어 배출유로(111)와 유입유로(112)의 교차 유동에 의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킨다.
다음, 필터부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유로(112)와 배출유로(111)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프리필터(131) 및 헤파필터(132)로 구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데, 프리필터(131)는 털, 곤충, 배설물, 보푸라기, 머리카락 또는 큰 먼지를 걸러 헤파필터(13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급기송풍기(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부 출구(SA)에 인접하도록 유입유로(112)에 구비되어 유입유동을 발생시키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배기송풍기(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부 출구(EA)에 인접하도록 배출유로(111)에 구비되어 배출유동을 발생시키는 시로코팬(sirocco fa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제1전동댐퍼(MD:motorized damper)(160)는 풍량 제어용 조절판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부 출구(EA) 전단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 배출을 단속한다.
다음, 연결덕트(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부 출구(EA)와 급기부 입구(OA)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형 사이클론(cyclone) 덕트 또는 오발(oval) 덕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서, 배출유로(111)로부터 분기되어 환기부 출구(EA)로 유동하는 바람을 급기부 입구(OA)로 전환시킨다.
참고로, 오발 덕트는 설치를 위한 충분한 자유공간 확보와 열손실 최소화와 누유방지와 우수한 강도와 미려한 외관을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 제2전동댐퍼(180)는 풍량 제어용 조절판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부 출구(EA)에 인접한 연결덕트(170) 입구에 구비되어 연결덕트(170)와 환기부 출구(EA)의 통로를 단속한다.
다음, 제3전동댐퍼(190)는 풍량 제어용 조절판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부 입구(OA)에 구비되어 급기부 출구(SA)로의 실외공기 유입을 단속한다.
다음, 제어회로부(2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제어회로부(200)는 제1전동댐퍼(160) 및 제3전동댐퍼(190)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제2전동댐퍼(180)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여서, 급기부 입구(OA)를 통해 실외공기를 급기하고 환기부 출구(EA)를 통해 실내공기를 환기하면서 열교환소자(120)에 의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여기서, 환기부 출구(EA)에는 급기후드캡(210)과 동일한 구성의 환기후드캡(220)이 구비된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후드캡 오토클린시에, 제어회로부(200)는 제1전동댐퍼(160) 및 제3전동댐퍼(190)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며, 제2전동댐퍼(180)를 개방 상태가 제어하고, 배기송풍기(150)가 구동하여 배기송풍기(150)의 바람이 급기부 입구(OA)에 구비된 급기후드캡(210) 방향으로 송풍시켜 급기후드캡(210) 내부의 필터망(211)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 주로 먼지와 곤충사체와 배설물을 바깥쪽으로 불어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를 제공한다.
예컨대, 제어회로부(200)는, 환기시스템의 최초 구동시 최소 3분간 구동하거나,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구동하거나, 운전정지시 최소 3분간 구동하도록, 오토클린모드를 작동하여서, 설치환경 또는 계절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청소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급기후드캡(210)의 필터망(211)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어회로부(200)는 필터망(211)에 부착되는 먼지량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미리 설정된 기준치의 저항값을 초과하면 필터망(211)에 먼지량이 과도하게 부착된 상태로 간주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급기후드캡(210) 내부 일측에는 필터망(211)에 부착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재(212)가 구비되고, 제어회로부(200)는 센서부재의 먼지량 신호값에 의해 오토클린모드를 작동할 수 있는데, 센서부재(212)는 필터망(211)에 부착된 먼지량에 따른 필터망(211)의 개별 홀의 크기 변화 또는 필터망(211)의 색상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먼지량의 미리 설정된 기준치 초과여부를 감지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기후드캡(210) 내부 일측에는 해충이 기피하는 590㎚ 내지 650㎚, 또는 590㎚ 내지 620㎚, 또는 620㎚ 내지 650㎚대역의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을 구비한 해충접근방지부재(213)를 포함하여, 상시 급기후드캡(210) 내부로의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여 급기후드캡(210)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해충접근방지부재(213)는, 급기후드캡(21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회로부(20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LED모듈의 구동시 제어회로부(200)의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하는 PWM 제어칩에서 LED모듈의 구동을 위하여 스위칭방식으로 전원을 제공할 때 발생하는 스위칭신호를 이용하여 해충이 기피하는 30㎑ 내지 50㎑의 초음파를 송출하는 초음파발생부재(214)를 더 포함하여서, 빛 출사와 연동하여 초음파를 송출하여 상시 급기후드캡(210) 내부로의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여 급기후드캡(210)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급기후드캡(210) 외측에는 태양전지판(미도시)이 구비되고, 급기후드캡(210) 내부에는 충전배터리(미도시) 및 LED모듈로 배터리 전원을 자가 공급하는 충전제어회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서, 외부전원 공급 없이도 센서부재(212)와 해충접근방지부재(213)와 초음파발생부재(214)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급기후드캡(210) 내부 관로에는 오토클린모드 작동시 배기송풍기(150)의 풍속을 가속화시켜 급기후드캡(210)의 필터망(211) 전체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벤츄리튜브(Venturi tube)(미도시)가 형성되거나, 급기후드캡(210) 내주면에는 배기송풍기(150)의 바람을 회오리 형태로 발생시켜 필터망(211)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사이클론발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급기후드캡(210)은, 급기부 입구(OA)에 연결되는 접속부(210a)와, 접속부(210a) 외주면으로 확장되어 건물 외벽에 밀착되는 외측플랜지부(210b)와, 접속부(210a) 입구와 외측플랜지부(210b) 내주면에 형성되어 필터망(211)이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로 구성되고, 외측플랜지부(210b)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방향으로 외기 유입구(210c-1)가 형성된 커버(210c)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망(211)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서, 급기후드캡(210) 입구에 곡면형태로 말린 상태에서 부피가 축소되어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펼쳐진 후 필터망(211)의 외주면 가장자리가 커버(210c) 내주면에 밀착되어 안착부에 지지되고, 필터망(211) 외주면에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PVC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밀폐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서, 필터망(211)을 급기후드캡(210)에 쉽게 장착하도록 하고, 역순으로 분리하여 쉽게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격자눈을 구성하는 와이어(211a)의 외측 테두리(211b)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되고, 급기후드캡(210) 내부의 소켓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필터망(211)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면 또는 와이어(211a)의 전체 외면에는 이물질 부착 방지되는 슬립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어서, 미세먼지의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필터망(211)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슬립코팅층 가공전 단계에서, 필터망(211)의 표면과 격자눈 모서리 부분을 샌딩 또는 부식처리하여 라운드처리한 후 슬립코팅 가공하여서, 먼지부착을 최소화하며 슬립코팅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코팅층은 경질아노다이징 또는 티타늄코팅 또는 다이아몬드코팅 또는 투명실리콘층을 포함하는 세라믹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기송풍기(150)와 연동하거나 급기송풍기(140) 단독으로, 급기송풍기(140)의 풍속을 가속화시켜 벤츄리튜브로 송풍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시 급기후드캡(210)의 필터망(211) 전체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급기송풍기(140)의 바람을 사이클론발생부재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발생시켜 필터망(211)으로 분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회로부(200)는 보일러 컨트롤러(미도시)에 인접하여 부설될 수 있는데, 제어회로부(200)로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 제어신호를 원격 전송하는 통신가능한 스마트기기(300)를 더 포함하여서, 스마트기기(300)를 통해 환기시스템의 작동 여부 또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외출시에도 원격지에서 제어회로부(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를 구현하여 먼지에 의한 막힘과 부식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 또는 부식으로 인한 급기후드캡 필터망을 쉽게 교체하도록 하여 기존의 설치 시공된 전열교환기의 기능을 향상시켜 본래의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망 손상없이 쉽게 교체하도록 하고, 급기후드캡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 신선한 외기를 급기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하우징 111 : 배출유로
112 : 유입유로 120 : 열교환소자
130 : 필터부재 131 : 프리필터
132 : 헤파필터 140 : 급기송풍기
150 : 배기송풍기 160 : 제1전동댐퍼
170 : 연결덕트 180 : 제2전동댐퍼
190 : 제3전동댐퍼 200 : 제어회로부
210 : 급기후드캡 211 : 필터망
211a : 와이어 211b : 외측 테두리
212 : 센서부재 213 : 해충접근방지부재
214 : 초음파발생부재 220 : 환기후드캡
300 : 스마트기기

Claims (17)

  1. 일측에 환기부 입구와 급기부 출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환기부 출구와 급기부 입구가 구비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유로와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소자;
    상기 유입유로와 배출유로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부재;
    상기 환기부 출구에 인접하도록 배출유로에 구비되어 배출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송풍기;
    상기 급기부 출구에 인접하도록 유입유로에 구비되어 유입유동을 발생시키는 급기송풍기;
    상기 환기부 출구에 구비되어 실내공기 배출을 단속하는 제1전동댐퍼;
    상기 환기부 출구와 급기부 입구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형 사이클론 덕트 또는 오발 덕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와 환기부 출구의 통로를 단속하는 제2전동댐퍼;
    상기 급기부 입구에 구비되어 실외공기 유입을 단속하는 제3전동댐퍼; 및
    상기 배기송풍기로 운전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전동댐퍼 및 제3전동댐퍼는 폐쇄 상태로 되며, 상기 제2전동댐퍼는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배기송풍기가 구동하여 상기 배기송풍기의 바람이 상기 급기부 입구에 구비된 급기후드캡 방향으로 송풍시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의 필터망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바깥쪽으로 불어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를 제공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최초 구동시 최소 3분간 구동하거나,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구동하거나, 운전정지시 최소 3분간 구동하도록, 오토클린모드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의 필터망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필터망에 부착되는 먼지량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일측에는 상기 필터망에 부착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센서부재의 먼지량 신호값에 의해 오토클린모드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일측에는 해충이 기피하는 590㎚ 내지 650㎚, 또는 590㎚ 내지 620㎚, 또는 620㎚ 내지 650㎚대역의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을 구비한 해충접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접근방지부재는,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LED모듈의 구동시 상기 제어회로부의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하는 PWM 제어칩에서 상기 LED모듈의 구동을 위하여 스위칭방식으로 전원을 제공할 때 발생하는 스위칭신호를 이용하여 해충이 기피하는 30㎑ 내지 50㎑의 초음파를 송출하는 초음파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 외측에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에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LED모듈로 배터리 전원을 자가 공급하는 충전제어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 내부 관로에는 오토클린모드 작동시 상기 배기송풍기의 풍속을 가속화시켜 상기 급기후드캡의 필터망 전체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벤츄리튜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 내주면에는 상기 배기송풍기의 바람을 회오리 형태로 발생시켜 상기 필터망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사이클론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후드캡은, 상기 급기부 입구에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외주면으로 확장되어 건물 외벽에 밀착되는 외측플랜지부와, 상기 접속부 입구와 상기 외측플랜지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망이 안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플랜지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방향으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후드캡 입구에 곡면형태로 말린 상태에서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펼쳐진 후 외주면 가장자리가 상기 커버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안착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 외주면에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PVC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면 또는 전체 외면에는 이물질 부착 방지되는 슬립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코팅층 가공전 단계에서 상기 필터망의 표면과 격자눈 모서리 부분을 샌딩 또는 부식처리하여 라운드처리한 후 슬립코팅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코팅층은 경질아노다이징 또는 티타늄코팅 또는 다이아몬드코팅 또는 투명실리콘층을 포함하는 세라믹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송풍기의 풍속을 가속화시켜 상기 벤츄리튜브로 송풍하여, 오토클린모드 작동시 상기 급기후드캡의 필터망 전체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송풍기의 바람을 상기 사이클론발생부재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발생시켜 상기 필터망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로 급기후드캡 오토클린모드 제어신호를 원격 전송하는 통신가능한 스마트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KR1020200019039A 2020-02-17 2020-02-17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KR10219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39A KR102196566B1 (ko) 2020-02-17 2020-02-17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39A KR102196566B1 (ko) 2020-02-17 2020-02-17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66B1 true KR102196566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39A KR102196566B1 (ko) 2020-02-17 2020-02-17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354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열교환기
JP2013011605A (ja) * 2011-06-29 2013-01-17 Delphi Technologies Inc 粒子状物質センサにおける汚染の識別特性を検出診断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78044B1 (ko) * 2015-06-10 2015-12-16 구기승 천정 카세트 에어컨 실내기 부착용 자가 발전식 복합 기능 기류 확산 팬
KR101717374B1 (ko) * 2015-10-12 2017-03-16 김상동 열회수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열회수환기 제어방법
KR101841954B1 (ko) 2017-03-31 2018-03-26 탑에어주식회사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5126B1 (ko) 2018-08-16 2019-04-03 송두삼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33428B1 (ko) * 2019-05-13 2019-10-17 김완중 전열교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환경 통합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354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열교환기
JP2013011605A (ja) * 2011-06-29 2013-01-17 Delphi Technologies Inc 粒子状物質センサにおける汚染の識別特性を検出診断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78044B1 (ko) * 2015-06-10 2015-12-16 구기승 천정 카세트 에어컨 실내기 부착용 자가 발전식 복합 기능 기류 확산 팬
KR101717374B1 (ko) * 2015-10-12 2017-03-16 김상동 열회수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열회수환기 제어방법
KR101841954B1 (ko) 2017-03-31 2018-03-26 탑에어주식회사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5126B1 (ko) 2018-08-16 2019-04-03 송두삼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33428B1 (ko) * 2019-05-13 2019-10-17 김완중 전열교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환경 통합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7B1 (ko)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KR101946255B1 (ko)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US9103555B2 (en) Multiple zone climate control system
CN1963325A (zh) 空气调节器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20120028045A (ko)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CN106678975A (zh) 新风空调
KR101939616B1 (ko) 미세 분사식 운무 유니트가 연동하여 팬 모터의 낮은 소비전력 운전이 가능한 고효율 차단막 구조를 이루는 건물 출입구용 에어운무기
ES2290113T3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filtrar aire.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KR102200834B1 (ko) 급기후드캡 및 내부 미세먼지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KR102196566B1 (ko) 급기후드캡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JP2006010184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JP4617967B2 (ja) 換気装置
KR20190000356U (ko) 급기관의 자가청소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KR20200100235A (ko)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KR102052346B1 (ko) 건물 실내의 공조시스템
US20060085898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2210161B1 (ko)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909668B1 (ko) 고효율의 열교환 구조를 적용한 환기장치
CN208533430U (zh) 一种控尘装置及扫地车
JP4678092B2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CN2697520Y (zh) 一种用于箱式换热机组的通风、防尘装置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RU212512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насекомых, встраиваемое в вентиляционную систем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