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358B1 - Identification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Identification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6358B1 KR102196358B1 KR1020190044761A KR20190044761A KR102196358B1 KR 102196358 B1 KR102196358 B1 KR 102196358B1 KR 1020190044761 A KR1020190044761 A KR 1020190044761A KR 20190044761 A KR20190044761 A KR 20190044761A KR 102196358 B1 KR102196358 B1 KR 102196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e
- display means
- management
- smart devic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8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41000244206 Nemat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958 fum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0291 Nematode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507 A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405 Pinus dens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70 Pinus dens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941 Rangifer tarand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9 gna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86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6—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or identifying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산림관리 등을 목적으로 수목의 생장상황을 측정 및 관찰하기 위해 수목의 상태를 식별하여 정보를 취득하거나, 병해충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수목 즉 감염의심목 등에 대한 식별, 시료채취 등을 함에 있어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와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In more detail, to measure and observe the growth status of trees for the purpose of forest management, etc., to obtain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state of trees, or to identify trees suspected of being infected with pests, i.e., suspected infections, and sample collection. It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to automatically identify and collect information on a tree to be managed using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ip capable of wrapping a tree trunk of a tree to be managed, a first display means including a unique code a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a smart device, and a plurality of tree size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A second display means represented by a symbol and a fixing means that surrounds and fixes the strip around the tree trunk, and when the strip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One of the tree sizes is specified as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nd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산림관리 등을 목적으로 수목의 생장상황을 측정 및 관찰하기 위해 수목의 상태를 식별하여 정보를 취득하거나, 병해충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수목 즉 감염의심목 등에 대한 식별, 시료채취 등을 함에 있어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와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In more detail, to measure and observe the growth status of trees for the purpose of forest management, etc., to obtain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state of trees, or to identify trees suspected of being infected with pests, i.e., suspected infections, and sample collection. It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to automatically identify and collect information on a tree to be managed using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산림은 국토의 많은 부분을 이루는 귀중한 자산이므로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하여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기능이 조화롭고 알맞게 발휘될 수 있도록 경영 및 관리되어야 한다. 특히 산림은 생태환경적인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최적 발휘되도록 보전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산림이 건전하게 보전되기 위해서는 수목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수목에 대한 관리는 살아있는 생명체를 다루기 때문에 수목의 생장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병충해 등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까다로우면서도 중요한 관리라고 할 수 있다. Forests are valuable assets that make up a large part of the country, so they must be managed and managed so that their functions can be harmoniously and appropriately display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for the happy life of the people. In particular, forests should be preserved and managed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optimally exhibited while maintaining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oundness. Systematic management of tre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order to preserve the forest in a healthy way. Since the management of trees deals with living organism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growth situation of trees and prevent them from being damaged by diseases and pests, which is a very difficult and important management.
일반적으로 수목관리는 식재된 수목이 계획한 장소에서 목적에 맞도록, 주변과 어우러지면서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도 있다. 그리고 식재된 수목의 아름다움을 유지함으로써 경관을 향상시켜 인간에게 편안함과 휴식을 주기 위한 것이다. 수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수목의 생장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관찰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이 적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수목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병충해에 대한 예방 및 사후조치이다. 일단 수목이 병충해에 감염되면 주변 수목으로 번져나가 산림자원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산림의 피해로 인한 2차 피해, 예를 들어 산사태 등의 재난까지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general, tree management is to ensure that the planted trees grow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to suit the purpose in the planned place, and to solve the problem of safety to minimize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 And by maintaining the beauty of the planted trees,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landscape and give humans comfort and relaxation. In order to manage trees efficiently,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growth status of trees is necessary, and necessary measures must be taken in a timely manner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resul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management of trees is prevention and follow-up measures against pests and diseases. This is because once a tree is infected with pests and diseases, it spreads to the surrounding trees, causing serious damage to forest resources, as well as secondary damage caused by forest damage, for example,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한편, 우리나라 산림에는 여러 가지 수종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침엽수림이 전체 수목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검역 및 확산예방을 위한 방제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소나무재선충이란 크기 1mm 내외의 실 같은 선충으로서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의 몸 안에 서식하다가 새순을 갉아 먹을 때 상처부위를 통하여 소나무에 침입하는 해충이다. 소나무 안으로 침입한 소나무재선충은 빠르게 증식하여 수분, 양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소나무를 죽게 한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치료약이 없어 일단 감염되면 감염목은 100% 말라 죽기 때문에 일명 '소나무 에이즈'라고도 불리운다. 감염된 소나무류는 당해년도에 80%, 이듬해에 20%가 고사하게 된다. 소나무재선충 병에 감염되는 수종은 소나무류인 소나무, 해송, 잣나무, 섬잣나무 등이다. 일단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치료가 안 되고, 주변 수목에 대한 감염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발견되는 즉시 벌채하여 비닐(타포린)을 씌운 후 약제로 훈증하여 목질내부에 있는 솔수염하늘소 유충을 죽이거나, 벌채 후 소각 또는 1.5c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유충을 죽이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감염목에 대한 벌채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tree species in Korean forests, but among them, coniferous forests account for 40% of the total tre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quarantine pine nematodes and control activities to prevent spread. Pine tree nematodes are thread-like nematodes of about 1 mm in size, and are pests that inhabit the body of vector insects (Brush Beard Sky Cow, Northern Beard Sky Cow) and invade the pine tree through the wound when gnawing on the shoots. Pine tree nematodes that invade into the pine tree rapidly multiply and block the passage of moisture and nutrients, causing the pine tree to die. Since there is no cure for pine tree nematode disease, once infected, the infected tree is 100% dry and dies, so it is also called pine tree AIDS. Infected pines die 80% in the year and 20% in the following year. The tree species that are infected with the pine nematode disease are pines such as pine, sea pine, pine, and Japanese pine. Pines once infected with pine tree nematodes cannot be treated and the infection rate to surrounding trees is fast, so they are immediately felled and covered with vinyl (tarpaulin), and then fumigation with a drug to kill or cut off the larvae After incineration or crushing to a size of 1.5 cm or less, the method of killing the larva should be used. Regardless of which method is used, harvesting of infected trees is essential.
소나무재선충의 감염목을 조기에 발견하여 벌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예찰활동을 통하여 감염의심목을 발견해내고, 감염의심목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검경(현미경검사)하며, 검경결과에 따라 감염목으로 판정되면 해당 감염목들에 대하여 벌채계획을 수립하여 벌채한 뒤 훈증, 파쇄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관리활동에 있어서는, 병해충의 확산예방과 효율적인 방제를 위하여 모든 기록들이 체계적으로 기록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In order to detect and harvest the infected tree of the pine tree nematode at an early stage, the tree of suspicion is found through continuous surveillance activities, and samples of the suspected tree are collected and examined under a microscope (microscopy). For the affected tre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gging plan and take measures such as fumigation and shredding after harvesting.In this series of management activities, all records must be systematically recorded and managed to prevent the spread of pests and effectively control them. do.
소나무재선충 구제활동과 관련되는 현재의 업무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일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활동은, 감염의심목을 조기발견하고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검경하기 위한 예찰활동인데, 예찰활동은 월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수행하며, 예찰 중 감염 의심목이 발견되면 신속히 신고함으로써 산림에 대하여 소나무재선충 발생지와 미발생지로 구분하게 된다. 예찰활동 중 감염의심목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감염의심목에 대하여 가슴높이 부위에 마킹테이프를 둘러 표시한 후 감염의심목과 관련되는 필요정보를 취득하여 작성하며, 감염의심목 정보는 예찰, 신고 및 진단대장에 따라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게 된다. 이 때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는 일련번호, GPS좌표, 수목종류, 가슴높이지름, 조사일, 조사자 등이 된다. 그리고 감염의심목들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는 데, 이는 감염의심목이 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이 확실한지 여부를 검경하기 위함이다. 감염의심목의 시료는 벌도하여 채취하게 되는데, 시료는 시료봉투에 넣고 시료봉투의 겉면에는 취득정보에 대하여 기입하게 되고, 시료채취 정보 또한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련번호, 채취장소, GPS좌표, 채취일자, 채취자, 연락처 등의 정보가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병해충 발생 여부를 검경하게 되는데, 신규발생지 경우 국립산림과학원에 검경 요청하게 되며, 검경결과 정보 또한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검경결과 감염목으로 판정되면 해당 수목에 대하여 피해고사목 방제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방제계획 수립하고, 방제계획에 따라 방제대상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게 된다. 방제대상목은 빨간색 페인트로 표시한 후 표식라벨 부착하고, 작업 방법에 따라 파쇄, 소각, 매몰, 그물망피복, 훈증처리 등을 하며, 그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들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에 포함되는 정보로는 일련번호, 작업일, 작업자, GPS좌표 등이 있다. The current work process related to the pine tree nematode control activity is as follows. The first activity to be performed is to detect suspicion of infection early and to quickly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infection. The surveillance activity is carried out periodically at least once a month, and if any suspected infection is found during the surveillance, it is promptly reported. For the pine tree nematodes, it is divided into the origin and the non-occurrence. If a suspected infection is found during the surveillance activity, the suspected infection is marked with a marking tape around the chest height, and then necessa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spected infection is obtained and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is, it is registered in the'Integrated Forest Pest Control System'. The information to be included at this time includes serial number, GPS coordinates, tree type, chest height, survey date, and investigator. In addition, samples of suspicious trees are collected to examine whether the suspicious tree is infected with re-nematode disease. Samples suspected of infection are collected by punishment. The samples are placed in a sample bag and the acquisition information is written on the outside of the sample bag, and the sample collection information is also registered in the'Integrated Forest Pest Control System'. Information such as serial number, collection location, GPS coordinates, collection date, collector, and contact information will be entered. In addition, the collected sample is inspected for the occurrence of pests. In the case of a new occurrence, the inspection request is made to the National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the inspection result information is also registered in the'Integrated Forest Pest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as an infected tree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tree is subjected to control treatment of the tree. To this end, a control plan is established and a total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the control target site according to the control plan. Control target trees are marked with red paint, labeling is attached, and crushed, incinerated, buried, net covering, fumigation, etc.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work method, and the information acquired in the process is written. Serial number, work day, worker, GPS coordinates, etc.
이와 같이 예찰에서 시작하여 감염의심목 발견, 시료채취 및 검경을 거쳐 마지막에 방제처리를 위한 조치로 이어지는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관리활동은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으로서 많은 관계자들이 참여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어 취득되는 각각의 정보들은 정보시스템 내부에 축적하여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작업방식은, 예찰과정에서 감염의심목 발견 후부터 시작되는 각각의 업무단계를 진행함에 있어 모든 정보의 취득 및 작성을 수기로 하고 있으며, 수기로 작성된 각각의 정보자료들을 각각 따로 관리되다가 필요에 따라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재입력하여 관리하고 있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즉 감염의심목이나 고사목에 부착하는 마킹테이프나 표식라벨 또는 시료채취용 봉투의 표기는 모두 수기로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각 업무단계별 취득한 정보는 전산화 작업이 명확하지 않아 정보 유실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각 업무단계별로 부여하여 관리되는 일련번호들은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보관리가 취약한 실정이다. In this way, the management activities for pine tree nematodes, which start with surveillance, discover suspicious infections, collect samples, and finally lead to measures for control treatment, are a series of systematic activities where many stakeholders participate, and occur in the process. Each acquired information must be accumulated and utilized within the information system. However, the current working method requires that all information is acquired and prepared by hand in each work step starting from the discovery of the suspected infection in the surveillance process, and each information data written by hand is managed separately. According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re-entered and managed in the'Integrated Forest Pest Control System'. In other words, marking tape, label, or sample collection bag attached to suspected infection or dead trees are all handwritten and managed, and the information acquired by each business step is not clearly computerized, so there is a risk of loss of information. And because the serial numbers assigned and managed by each business step are not 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is weak.
따라서 소나무재선충 구제과정이나 수목관리를 체계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첫 단계인 예찰활동에서 부터 마지막 단계인 방제조치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취득되거나 작성되어야 하는 정보들을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자동 기록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관성 있는 정보로 생성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될 뿐만 아니라 업무담당자들 간에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도구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감염의심목 발견단계에서 부터 감염의심목에 대한 정보취득과 식별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기술이 개발된다면 소나무재선충 구제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병충해 관리나 기타 일반적인 수목의 생장관리에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process of extermination of pine tree nematodes or tree management, information that must be acquired or prepared in a series of processes from the first step (preliminary activity to the last step, control measures) is automatically acquired and automatically recorde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be creat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as well as shared in real time among business managers and devices or tools that can support it. For this,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acquiring and identifying information on suspicious trees is required from the stage of detection of suspicious trees.If such a technology is developed, not only the process of extermination of pine reindeer nematodes, but also management of other diseases and pests It will be useful in management.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과 관련되는 모든 정보를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취득함과 동시에 관리대상 수목임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ee to be managed is automatically It aim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that can be visually identified as a tree to be managed upon acqui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과 관련되는 정보에는 관리대상 수목의 크기, 수종, 고유번호, 위치, 조사일시, 조사자 등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정보들은 수목관리용 식별띠의 일정부분을 스마트기기로 한번만 촬영하면 스마트기기에서 한꺼번에 모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ee to be managed, such as th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the tree type, the unique number, the location, the date and time of the survey, and the investigator, and such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The aim i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that enables a smart device to identify all at once by taking a picture of a certain part once with a smar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의 고유번호와 시료채취를 위한 시료봉투의 고유번호를 서로 일치시키기 위하여 시료봉투에 부여될 고유번호를 자신의 고유번호와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e management capable of assigning a unique number to be assigned to a sample bag equal to its own number in order to match the unique number of the tree to be managed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sample bag for sample collection. It aims to provide a dragon identification strip.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에 부착했을 때 관리대상수목의 크기가 자동으로 측정되어 고유번호 및 수종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제시될 수 있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that can be presente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a unique number and tree species by automatically measuring the size of a tree to be managed when attached to a tree to be manag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모든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등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tree to be managed using the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strip, such as acquiring all information on the tree to be managed using the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strip, transmitting it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managing it as a databas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anaged tre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 또는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스마트기기로 스캔하는 경우, 수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리대상 수목 또는 시료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제공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is scanned with a smart device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n a tree to be managed or a sample collected, the tree management system can detect the information on the tree or sample to be managed.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to th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찰, 감염의심목 정보, 시료채취 정보, 검경결과, 벌채계획, 방제처리결과 등 산림 방제활동에 관련되는 일련의 활동들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e in which information on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to forest control activities, such as forecasting, information on suspicion of infection, sample collection information, speculum results, logging plans, and control treatment results, can be registered and managed. It aims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band that can wrap a tree trunk of a tree to be managed,-a first display means including a unique code a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a smart device; -Second display means for continu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tree siz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And a fixing means capable of surrounding and fixing the strip around the tree trunk. Including, when the band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one of the plurality of tree size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is specified as the tree siz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It is preferable to use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that is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제1표시수단 바로 옆에 표시되는 수목크기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거나,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표시되는 표시창;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창은 상기 제1표시수단 옆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when the band is wrapped around and fixed to the tree trunk, the size of the tree displayed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among the plurality of tree sizes is the management object. When used as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by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e size of a tree, or when the strip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one of the plurality of tree sizes is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 display window specified and displayed as;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display window is preferably positioned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and is preferably used as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표시수단은 상기 띠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1표시수단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에는 수목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 third display means including the same contents as the first display means; It further comprises, wherein the third display means is also preferably a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movable from the band, in the first display means, information recognizable as the smart devic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ree type.
뿐만 아니라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기호, 바코드, 이차원바코드, 큐알코드, 삼차원바코드, RFID 또는 NFC로 이루어진 태그이며, 상기 제2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first display means is a tag composed of numbers, letters, symbols, barcodes, two-dimensional barcodes, QR codes, three-dimensional barcodes, RFID or NFC,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is a number, character o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ymbol.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은, 수목관리용 식별띠, 스마트기기, 수목관리 서버 및 수목정보DB를 포함하는 수목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는, -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 상기 제1표시수단이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와 함께 촬영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상기 고유코드,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수목관리 서버는, -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목정보DB에 저장하고 -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상기 수목정보DB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a smart device, a tree management server, and tree information DB, wherein the tree management The dragon identification band includes:-a band capable of wrapping a tree trunk of a tree to be managed;-a first display means including a unique code a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the smart device; -Second display means for continu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tree siz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And a fixing means capable of surrounding and fixing the strip around the tree trunk. Including,-When the band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one of the plurality of tree size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is specified as the tree siz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Displayed; The smart device,-When the first display means is photographed together with the tree siz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after identifying the unique code and the tree siz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the unique code, the tre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And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size, GPS coordinates for a location, shooting date,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tree management server; The tree management server includes:-storing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ree information DB when receiving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provi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tree information DB when requesting info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or terminal; It is preferably characterized by tha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은, 스마트기기로 인식가능한 제1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고유번호를 스마트기기에서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display means that can be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 unique number for a tree to be managed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by smart devices.
또한 수목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제2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한 바퀴 둘러서 부착하였을 때 식별띠 종단의 겹쳐지는 부위 근처에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가 특정되어 자동으로 나타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ncludes a second indication means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tree, when the identification strip is attached to the trunk of the tree to be managed,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is specified near the overlapping part of the end of the identification strip. It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appearing.
뿐만 아니라 제1표시수단은 식별띠의 일단부에 표시되며,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스마트기기로 스캔 또는 촬영하게 되면 제1표시수단에 포함된 고유번호와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ans is displayed at one end of the identification band, and when the identification band is wrapped around and fixed to the trunk of the tree to be managed, one of the plurality of tree size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is Since the tree size is specifi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scanning or photographing with a smart device has the effect of recognizing the unique number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t once.
그리고 제1표시수단에는 수목종류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스마트기기로 촬영하게 되면 제1표시수단에 포함된 관리대상 수목의 고유번호, 제2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는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는 물론 수목의 종류까지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since the first display means can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ree, when the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is photographed with a smart device, it is displayed by the unique number of the tree to be managed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recognize not only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but also the type of tree at once.
또한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표시되는 표시창을 구비할 수 있고, 그 표시창은 제1표시수단 옆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복수의 수목크기 중 표시창에 포함된 수목크기를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기기에서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a display window may be provided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tree sizes is specified and displayed as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nd the display window is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Since it can be locat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from the tree size included in the display window among the plurality of tree sizes, so there is an effect that a smart device can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뿐만 아니라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며,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부터 분리 가능한 제3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제3표시수단을 분리하여 시료봉투에 붙일 수 있으므로,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고유코드를 시료봉투에 부여할 수 있게 되어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에 일관성 있는 고유코드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ncludes the same content as the first labeling means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abeling means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when collecting a sample for a tree to be managed, the third labeling means should be separated. Since it can be attached to the sample bag, a unique code identical to that of the first display means can be assigned to the sample bag, thereby providing a consistent unique code to the information on the tree to be managed.
그리고 수목관리용 식별띠로부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와 제1표시수단이 함께 촬영되는 경우, 관리대상 수목의 고유코드 및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고유코드,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수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목정보DB에 저장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수목정보DB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들을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when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nd the first display means are photographed together from the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strip, the unique code and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re identified, and then the unique code,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and the location A smart device including an application that generates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GPS coordinates, shooting date and time,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and sends it to the tree management server, and when receiving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t is stored in the tree information DB and info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or terminal Since it provides a tre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stored in the tree information DB upon request for provision, there is an effect of systematic and consistent management of the trees subject to management by using the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수목관리정보가 수목관리시스템에 저장되어 등록되거나 시료가 채취되어 시료채취정보가 등록된 이후, 관계자들이 관리대상 수목 또는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스마트기기로 스캔하는 경우, 수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리대상 수목 또는 시료에 대한 현재상태(예를 들어, 검경결과 감염목 판정) 등의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병충해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fter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tree to be managed is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tree management system, or after the sample is collected and the sample collec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tree to be managed or the collected sample In the case of scanning with a smart device, the tree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the tree or sample to be managed (for example, determination of infected trees as a result of speculum) to the smart device, thus systematically performing pest manag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은,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일괄 인식하여 서버로 보내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 수목과 관련되는 정보를 수기로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수기작성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와 오류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하기 때문에 소나무재선충 감염의심목의 검경 및 감염목 확인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nd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tree to be managed as a smart device and send it to the server for managemen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writ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ual by h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the occurrence of errors due to the handwriting, and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accurate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all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a speculum of suspected pine tree nematode infection and confirmation of infected tree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또한, 예찰, 감염의심목 정보, 시료채취 정보, 검경결과, 벌채계획, 방제처리결과 등 산림 방제활동에 관련되는 일련의 활동들에 관한 정보가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tree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register and manage information on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to forest control activities such as forecasting, infection suspicion information, sample collection information, speculum results, harvesting plans, and control treatment resul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구분선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표시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다른 위치에 표시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제3표시수단을 가지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1 shows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dentification strip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is attached to a tree trunk of a tree to be man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dividing line among the identification bands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display window among th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having a display window at a different position among the identification bands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third display means among the identification bands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smart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features become clear, and accordingl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as it is already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among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omit it.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far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of.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in which specific embodiments are indicated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various elements of the embodiment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corresponding element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의 일 실시예로서 도 1(a)는 앞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뒷면 즉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되는 면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도 2(a)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된 모습이며, 도 2(b)는 나무줄기에 부착된 식별띠(10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나무줄기에 부착된 식별띠(100) 중에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되어야 하는 부분을 다시 재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FIG. 1 is an embodiment of a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표시하는 식별띠(100)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중 사람의 가슴높이 쯤 되는 곳에 한 바퀴 둘러 감싸서, 육안으로 쉽게 눈에 띄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101)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표시수단(110), 제2표시수단(120) 및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101)는 외부에 노출되어 부착되는 것이므로, 비, 바람, 추위, 더위 및 햇빛 등 수시로 변하는 가혹한 기후조건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 강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에 인쇄되어 표시되는 각종 정보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훼손 또는 변색되지 않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순한 종이 재질로 하는 것 보다는 합성수지 성분 등이 포함되어 내구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성분으로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표면에는 비닐코팅이 되도록 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tree
상기 제1표시수단(110)은, 관리대상 수목(10)에 부여될 고유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코드는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과 같이 무선통신망에 연결이 가능하고, 카메라 등을 통하여 화면 인식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단말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 통신기능까지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QR코드로 함으로써,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등을 통하여 상기 QR코드를 인식시키게 되면 상기 고유코드를 비롯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저장된 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QR코드가 아니더라도 바코드, 2차원바코드 또는 3차원바코드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용 태그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는 OCR기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까지 직접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원활한 인식과 인식속도, 인식오류 예방, 제작비용 등을 감안할 때 QR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QR코드로 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코드, 2차원바코드 또는 3차원바코드 등으로 하거나,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하는 경우에도 QR코드로 하는 경우에 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근거리무선통신 관련 태깅방법에 따라 인식시키도록 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표시수단(110)은 상기 띠(101)의 양방향 종단 중 일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서 부착했을 때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제1표시수단(110) 옆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splay means 110 include a unique code to be assigned to the
한편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는 수목종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상기 수목종류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띠(101)의 표면에 상기 수목종류를 사람이 직접 식별할 수 있도록 문자,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별도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띠(101)의 색상을 달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별로 수목종류가 구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101)의 색상도 달리 하면서 상기 띠(101)의 표면상에 수목종류(150)가 문자로 표시되게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수목종류(150)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수목종류별로 제작하도록 하고, 업무담당자들로 하여금 각각의 수목종류별로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소지하고 다니다가, 관리대상 수목(10)에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부착하고자 할 때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종류(150)에 해당하는 것으로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display means 110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tree. When the tree type is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means 110, the tree type may b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제2표시수단(120)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띠(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중 사람가슴높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숫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정책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대한 지름이 아니라 둘레 또는 반경 등을 측정하기 위한 숫자로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a)에 도시된 사례에서,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16.1 부터 17.2까지 0.1cm 단위로 연속적으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지름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연속적으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도 2(b)에서 보듯이 상기 띠(101)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10)를 한 바퀴 돌아서 감쌌을 때 상기 띠(101)가 이어지는 경계부분(102)에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서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직경이 16.8cm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표시수단(120)은 상기 경계부분(102) 옆에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크기가 표시되는 일종의 측정수단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숫자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스마트기기에서 인식 가능한 기호나 부호 또는 문자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를 스마트기기로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어야 하므로 눈금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나 줄자처럼 눈금이 들어가게 되면 스마트기기로 인식하여 식별하는데 방해가 되고 이로 인하여 인식오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120, as shown in Fig. 1 (a),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display a plurality of tree siz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한편 스마트기기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인식시킬 때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상기 띠(101)가 이어지는 경계부분(102)을 중심으로 그 좌우 주변이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마트기기에 필수적으로 인식되어야 하는 촬영영역에는 상기 경계부분(102)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숫자 즉,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특정되는 크기가 포함되어야 하며(도 2의 사례에서 16.8), 이와 더불어 상기 제1표시수단(110)도 같이 한꺼번에 포함될 수 있는 범위가 필수적인 촬영영역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로 인식시키기 위한 촬영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촬영영역(180)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이 촬영되는 제1표시영역(181)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나타나는 크기영역(182)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포함되는 수목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촬영 시, 촬영자의 촬영화면상에 상기 제1표시영역(181)이 식별되어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제1표시수단(110)의 옆에 있는, 상기 경계부분(102)에 가장 인접한 숫자 즉 상기 크기영역(182)도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한 후, 상기 제1표시영역(181)과 상기 크기영역(182)이 같이 포함되어 촬영되도록, 상기 촬영화면상에서 상기 촬영자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촬영된 사진에서는, 상기 제1표시영역(181)에서 QR코드를 인식하여 고유코드 및/또는 수목종류를 식별해내고, 상기 크기영역(182)에 있는 숫자를 OCR기능을 이용하여 읽어 들인 후 그 크기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스마트기기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전체가 포함되어 촬영되거나,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연속적으로 표시된 다른 숫자가 더 포함되어 촬영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표시영역(181)과 상기 크기영역(182)이 포함되어 촬영된 경우라면 얼마든지 상기 제1식별코드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recognizing the tree
도 1(b)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띠(101)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쌌을 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띠(101)에서 상기 제1표시수단(110) 쪽 뒷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띠(101)의 뒷면에 일정폭과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접착제를 도포한 후 보호필름을 덮어 놓는 방법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 할 때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접착제 이외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140)으로서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수단(110)의 뒤쪽 일부에만 도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띠(10)의 뒷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 (b), the fixing means 140 is a means capable of fixing the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구분선(103)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앞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쪽의 상기 띠(101)의 종단 쪽 앞면에 구분선(103)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마트기기로 상기 촬영영역(180)을 촬영할 때,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상기 띠(101)가 이어지는 상기 경계부분(102)이 분명하게 식별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상기 구분선(103)를 포함하게 되면, 스마트기기로 상기 촬영영역(180)로 촬영할 때 상기 크기영역(182)의 식별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분선(103)은 상기 띠(101)의 색상과 구분될 수 있는 색으로 상기 띠(10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가진 바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FIG. 3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에서 표시창(160)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의 앞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띠(101)의 종단 사이에 표시창(16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창(160)은 상기 띠(101)에 장방형의 구멍을 내어 만든 투시창으로서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나무크기 중 하나만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표시창(16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에 해당하는 숫자가 특정되어 상기 표시창(16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영역(180) 중 상기 크기영역(182)에는 상기 표시창(160)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표시창(160)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창(160)에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특정되는 숫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인식시킬 때 크기를 표시하는 숫자 등을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인식속도 또한 빨라질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식별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창(160)은 상기 띠(101)의 상기 경계부분(102)과 일정거리를 두도록 하여 상기 표시창(16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에 공백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아닌 숫자들은 상기 촬영영역(180)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촬영영역(180)이 쉽게 구별되고, 인식해야 할 부분이 명확해 지고 이로 인하여 인식률이 높아지고 인식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표시창(160) 테두리를 진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 스마트기기에서 상기 크기영역(182)의 인식과 크기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육안식별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And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창(160)의 위치를 도 5처럼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도 5는 상기 표시창(160)을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가 아니라 그 반대쪽으로 오게 하는 경우이다. 상기 표시창(160)이 도 5와 같이 위치하게 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특정되는 숫자가 상기 표시창(16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에는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일정거리를 두도록 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에 공백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아닌 숫자들은 상기 촬영영역(180)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촬영영역(180)이 쉽게 구별되고, 인식해야 할 부분이 명확해 지고 이로 인하여 인식률이 높아지고 인식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position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표시수단(110), 상기 제2표시수단(120) 및 상기 고정수단(140)외에 제3표시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창(160) 또는 구분선(103)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3표시수단(130)은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QR코드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동일한 QR코드를 상기 제3표시수단(13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은 상기 띠(10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띠(101)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대한 시료를 담을 수 있는 시료봉투(200) 위에 부착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에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포함되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대한 고유코드 및 수목종류와 똑같은 내용을 가진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상기 시료봉투(200)에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료봉투(200)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서 채취한 시료라는 것을 명확히 할 수 있으므로, 시료봉투(200)의 관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 기재 또는 오입력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하여 스마트기기로 촬영하여 촬영된 정보가 수목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뒤에는, 상기 시료봉투(200)에 부착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스마트기기 또는 PC등에 연결된 스캐너로 인식시키면 동일한 고유코드를 가지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관한 정보 즉 수목종류, 가슴높이지름, GPS위치, 조사일시, 조사자 등이 스마트기기 또는 PC의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으므로, 시료채취 과정에서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많은 정보들이 상기 시료봉투(200)에 링크시켜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third display means 130 is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first display means 110, the second display means 120 and the fixing means 14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n. In this embodiment, it is also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20)에 대한 구성도를 보여준다. 상기 수목관리시스템(20)은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상기 스마트기기(300), 수목관리 서버(400) 및 수목정보DB(5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위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태블릿PC 등과 같이 무선통신망에 연결이 가능하고, 카메라 등을 통하여 화면 인식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 대신 QR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스캐너 등이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도 가능하며, 카메라 또는 스캐너와 함께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 통신기능까지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와 상기 제1표시수단(110)이 함께 스캔되거나 촬영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상기 고유코드,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600)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ee management system 20 using an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e management system 20 is a system using the tree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20)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방제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먼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예찰활동과정에서, 소나무재선충 감염의심목(10)이 발견될 때 예찰업무 담당자는 상기 감염의심목(10)의 나무줄기 중 가슴높이 부위에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수목의 종류별로 가지고 다니다가, 상기 감염의심목(10)의 수종에 맞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선택하여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신의 스마트폰(3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상기 촬영영역(180)이 포함된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30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촬영영역(180)을 구분하고 분석하여 상기 감염의심목(10)에 부여되는 고유코드와 수목종류를 식별해 내고, 상기 스마트폰(300)에 포함되어 있는 GPS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고유코드, 상기 수목크기, 상기 GPS좌표, 촬영날짜 및 상기 스마트폰(300)의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염의심목(10)에 대한 시료를 채취한 뒤 채취한 시료를 시료봉투(200)에 담게 되는 경우,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떼어서 상기 시료봉투(200)에는 붙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for performing a task related to controlling pine tree nematodes using the tree management system 20 using the
한편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가 포함된 감염의심목 신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정보와 함께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업무관련자에 대하여 상기 신고정보와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료봉투(200)를 전달받은 검경담당자는 상기 시료봉투(200)에 포함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PC(600)등에 연결된 QR코드 스캐너로 스캔하거나 스마트기기(300)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서 상기 시료봉투(200)에 담긴 시료를 채취한 감염의심목(1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로 부터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검경담당자가 상기 감염의심목(10)을 감염목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감염목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상기 검경담장자의 PC(600) 등을 통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검경결과까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which received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검경결과까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검경결과가 포함된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방제계획 담당자 또는 관계 업무담당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제계획 담당자가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방제계획과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상기 방제계획과 관련되는 정보까지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제계획에 따라 방제대상지에 대한 전수조사, 방제대상목에 대한 파쇄, 소각, 매몰, 훈증처리 등을 수행하는 경우 방제담당자들이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방제결과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상기 방제계획 수행과 관련되는 정보까지 포함하여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제계획 수행과정에서 훈증더미에 부착하는 경고스티커 등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동일한 QR코드가 인쇄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inspection result,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is also preferable to transmit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spection result to a person in charge of a control plan or a person in charge of related tasks. In addition, wh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trol plan establishes a control plan,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to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plan, and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n and store it in the tree information DB (500). 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a total investigation on the control target site, crushing, incineration, burial, fumigation, etc. for the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control plan, the control personnel are required to access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and input the control results. It is preferable that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lan in the tree management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tree information DB 5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e QR code as the first display means 110 is printed and attached to the warning sticker attached to the fumigation pile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control plan.
그리고 소나무재선충 구제활동과 관련되는 각각의 업무담당자들이 자신의 PC(600)나 스마트기기(300)로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소나무재선충 구제업무 관련으로 수목관리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되어 있는 수목관리정보를 찾아서 제공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수목관리정보에는 상기 검경정보, 상기 방제계획과 관련되는 정보, 상기 방제계획의 수행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목정보DB(500)에 포함된 GPS좌표 정보등을 활용하여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수목의 발생 분포도를 점묘도, 히트맵 등으로 나타내거나 지도와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별로 분포지역을 한눈에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each business person in charge of the pine tree nematode extermination activity accesses the tree management server 400 with his or her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관리대상 수목 또는 감염의심목
100 수목관리용 식별띠
101 띠 110 제1표시수단
120 제2표시수단 130 제3표시수단
140 고정수단 150 수목종류
160 표시창 180 촬영역역
181 제1표시영역 182 크기영역
200 시료봉투
300 스마트기기 또는 스마트폰
400 수목관리 서버
500 수목정보DB
600 PC 또는 단말기10 Trees subject to management or suspected infection
100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101
120 Second indication means 130 Third indication means
140 Fixing means 150 Tree types
160
181
200 sample bag
300 smart device or smartphone
400 tree management server
500 Tree Information DB
600 PCs or terminals
Claims (7)
-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숫자가 연속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된 숫자 중 상기 제1표시수단 바로 옆에 위치하는 숫자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며,
상기 제1표시수단은 큐알코드로 표시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표시수단이 바로 옆에 위치하는 숫자와 함께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수단에 포함된 상기 고유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제1표시수단 바로 옆에 위치하는 숫자를 OCR로 읽어들여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식별한 후, 상기 고유코드,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수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The tre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so that the tree of the tree to be managed can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tree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at a time when the tree is taken with a smart device. As a band that can be wrapped around the stem,
-A first display means including a unique code a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a smart device;
-Second display means in which numbers are continuously display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And
-A fixing means capable of enclosing and fixing the strip around the tree trunk; Including,
When the band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a number positioned immediately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among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is specified as the size of the tree of the management target tree, and the first display means and Are displayed together,
The first display means is displayed as a QR code,
The smart device recognizes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means when the first display means is photographed with a number located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and determines the number located right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After reading in OCR and identifying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tre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code, the tre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GPS coordinates for the shooting location, the shooting date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is generated to manage the tre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martphone including an applic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된 숫자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표시되는 표시창;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창은 상기 제1표시수단 바로 옆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window in which one of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is specified and displayed as the size of the tree to be managed when the band is wrapped around the tree trunk and fixed;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display window is located next to the first display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상기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표시수단은 상기 띠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display means including the same contents as the first display means; It further comprises, wherein the third display means is a tree management identification band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eparable from the band
상기 제1표시수단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에는 수목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display means, the identification band for tree management recognized as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recognizable by the smart device further includes a tree ty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761A KR102196358B1 (en) | 2019-04-17 | 2019-04-17 | Identification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761A KR102196358B1 (en) | 2019-04-17 | 2019-04-17 | Identification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2025A KR20200122025A (en) | 2020-10-27 |
KR102196358B1 true KR102196358B1 (en) | 2020-12-29 |
Family
ID=7313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4761A KR102196358B1 (en) | 2019-04-17 | 2019-04-17 | Identification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63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252A (en) * | 2021-04-23 | 2022-11-01 | 주식회사 이콘비즈 | Device, server, terminal and method for diagnosing tree vitalit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33838B (en) * | 2023-03-31 | 2024-07-12 |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Three-dimensional tree symbol dynamic generation method, device, terminal and mediu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5030A (en) * | 2005-09-16 | 2007-04-26 | Ekomu:Kk | Tree maintenance apparatus, tree maintenance program and tree maintenance method |
KR101523582B1 (en) * | 2013-11-20 | 2015-05-28 | 김수환 | Measuring apparatus for tree growth amount |
-
2019
- 2019-04-17 KR KR1020190044761A patent/KR1021963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5030A (en) * | 2005-09-16 | 2007-04-26 | Ekomu:Kk | Tree maintenance apparatus, tree maintenance program and tree maintenance method |
KR101523582B1 (en) * | 2013-11-20 | 2015-05-28 | 김수환 | Measuring apparatus for tree growth amou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252A (en) * | 2021-04-23 | 2022-11-01 | 주식회사 이콘비즈 | Device, server, terminal and method for diagnosing tree vitality |
KR102652541B1 (en) * | 2021-04-23 | 2024-03-29 | 주식회사 이콘비즈 | Device, server, terminal and method for diagnosing tree vita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2025A (en) | 2020-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33788B1 (en) | Spore state discrimination | |
Barbosa et al. | RGB vegetation indices applied to grass monitoring: A qualitative analysis | |
JP5510833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Luvisi et al. | RFID-plants in the smart city: Applications and outlook for urban green management | |
KR102196358B1 (en) | Identification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 |
CN206192923U (en) | X-ray contraband detection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 |
CN108140118A (en) | For identifying the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of at least one plant plant being planted on arable land | |
KR102222918B1 (en) | IoT Strap of Tree for Smart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 |
ES2908475T3 (en) | Control of harmful organisms | |
KR20220020863A (en) |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damaged wood using position data in an electronic map | |
CN110956096B (en) | Forestry infection epidemic wood remova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Doan | An efficient system for real-time mobile smart device-based insect detection | |
Green et al. | Plantation Loblolly pine seedling count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ry: a case study | |
JP2013162800A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 |
Backoulou et al. | Using Multispectral Imagery to Compare the Spatial Pattern of Injury to Wheat Caused by Russian Wheat Aphid1 and Greenbug1 | |
JP5621880B2 (en) | Observation management system and observation equipment | |
JP2015133994A (en) | Observation apparatus, and observation management system | |
KR102422963B1 (en) |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Pine Wilt Disease using Smart Device | |
WO2019215009A1 (en) | Control of nematodes | |
Wallace et al. | Preliminary estimate of a Gray Treefrog (Hyla versicolor) population at a protected site in New Brunswick using photo identification and community science | |
Molloy et al. | A practical guide to using camera traps for wildlife monitoring in natural resource management projects | |
Dahanayake et al. | Smart tea leaves disease analyser: Mobile based disease detecting and solutions providing system | |
KR20180133610A (en) | Insect pest image acquisition method for insect pest prediction system of cash crops | |
Kiktev et al. | Apple Fruits Monitoring Diseases on the Tree Crown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
Guleria et al. | Designing Assembled System for Plantdisease Diagnosis Using IoT and Andro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