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155B1 -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 Google Patents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155B1
KR102196155B1 KR1020200124361A KR20200124361A KR102196155B1 KR 102196155 B1 KR102196155 B1 KR 102196155B1 KR 1020200124361 A KR1020200124361 A KR 1020200124361A KR 20200124361 A KR20200124361 A KR 20200124361A KR 102196155 B1 KR102196155 B1 KR 10219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note
area
imag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철
이도경
Original Assignee
권기철
이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철, 이도경 filed Critical 권기철
Priority to KR102020012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소기억법을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노트시트를 통해 기억장소를 머리속에 생성하고, 격자구역에 의해 기억장소를 다수개의 분할장소로 분할하고, 분할장소에 기억대상을 기록하고 이를 분할장소와 연결하고 기억하며, 분할장소에 기억대상이 기억되었는지 체크표를 통해 체크할 수 있는 노트시트를 포함하는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는 필기와 동시에 장소기억법을 활용하기 위한 분할장소를 만들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기억대상이 분할장소와 제대로 연결되어 기억하고 있는지 테스트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분할영역에 기억대상을 필기하여 기록할 수 있고, 해당 기억대상을 분할영역의 분할이미지와 결합하여 기억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명칭은 해당 분할이미지를 언어로 연결하여 기억하기 쉽도록 도우며 분할번호는 다수의 기억대상들 사이의 순서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빈칸영역은 이미지가 없는 자유영역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이미지에서 일부 이미지를 연결하여 기억하거나 사용자가 이미지를 직접 도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크영역은 사용자가 제1노트시트에 기록된 내용을 분할이미지와 제대로 결합하였는지 테스트하면서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NOTE FOR USING METHOD OF LOCI AND THEREOF METHOD }
본 발명은 장소기억법을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노트시트를 통해 기억장소를 머리속에 생성하고, 격자구역에 의해 기억장소를 다수개의 분할장소로 분할하고, 분할장소에 기억대상을 기록하고 이를 분할장소와 연결하고 기억하며, 분할장소에 기억대상이 기억되었는지 체크표를 통해 체크할 수 있는 노트시트를 포함하는 노트에 관한 것이다.
기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억방법이 있다. 여러번 암송하는 방법, 앞글자끼리 연결하여 외우는 두문자암기방법, 이미지 형태의 장소와 기억할 대상을 연결하여 연결하는 장소기억법(Method of Loci)등이 알려져 있다.
장소기억법은 기억의 궁전, 기억방 등으로도 불리우며, 기원전 2500년 고대 그리스의 시모니데스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소기억법은 먼저 장소의 이미지 심상을 머리속에 기억한 후, 해당 심상에 기억하려는 대상을 연결하여 기억하는 방법이다.
장소기억법에서 이미지 심상은 기억대상을 용이하게 기억하기 위한 매개가 되는 것으로 자신의 집안 내부, 동네 등 이미 기억하고 있는 이미지 심상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장소는 제한되어 있으며 너무 익숙한 장소의 경우 해당 장소와 관련된 다른 기억에 의해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가상의 장소 혹은 자신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장소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장소기억법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가상의 장소를 머리속에 심상으로 만들고 장소를 분할하고 이를 스스로 테스트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개인 장소 이미지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분할된 장소이미지를 기억하지 못하였을 때 다시 장소를 재구성해야하는데 이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소기억법을 누구나 손쉽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준비물 없이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 비용이 낮고, 기록이 편리해야하는데 종래의 기술은 그렇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KR 1020200022884 A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기억법을 활용하기 위한 노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필기와 동시에 장소기억법을 활용하기 위한 분할장소를 만들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기억대상이 분할장소와 제대로 연결되어 기억하고 있는지 테스트할 수 있는 노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는 다수의 제1노트시트를 포함하여, 제1노트시트는 이미지영역, 빈칸영역, 체크영역을 포함한다. 이미지영역은 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며 다수의 분할영역으로 분할되고, 분할영역은 분할이미지, 분할번호, 분할명칭을 포함한다. 빈칸영역은 영역명칭을 포함한다. 체크영역은 체크번호, 체크칸, 체크합계를 포함한다.
한편 노트는 제2노트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노트시트는 다수의 제1노트시트의 이미지가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는 필기와 동시에 장소기억법을 활용하기 위한 분할장소를 만들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기억대상이 분할장소와 제대로 연결되어 기억하고 있는지 테스트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분할영역에 기억대상을 필기하여 기록할 수 있고, 해당 기억대상을 분할영역의 분할이미지와 결합하여 기억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명칭은 해당 분할이미지를 언어로 연결하여 기억하기 쉽도록 도우며 분할번호는 다수의 기억대상들 사이의 순서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빈칸영역은 이미지가 없는 자유영역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이미지에서 일부 이미지를 연결하여 기억하거나 사용자가 이미지를 직접 도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크영역은 사용자가 제1노트시트에 기록된 내용을 분할이미지와 제대로 결합하였는지 테스트하면서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노트시트는 다수의 제1노트시트의 인덱스 역할을 하면서 다수의 제1노트시트에 기록된 내용을 제대로 기억하는지 테스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제2노트시트에 포함된 다수의 이미지에 각각 제목을 기록하여 제1노트시트의 기억을 위한 힌트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표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2노트시트의 표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표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개념도이고, 도 3과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1노트시트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제2노트시트의 표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노트(1)는 필기가 가능한 지류의 묶음으로 도7과 같이 스프링 노트가 될 수도 있으나 본드제본노트나 실제본 노트 등 다양한 형태의 노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억대상(2)을 효과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것으로 기억대상(2)은 기억이 필요한 학습의 학습내용이 되는 것으로 역사적 사실, 세포의 구성요소, 영어단어 등 다양한 학습내용이 될 수 있다.
상기 노트(1)는 다수의 제1노트시트(10)가 포함한다. 아울러 제2노트시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트(1)는 도7과 같이 다수의 노트시트(1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게 된다.
제1노트시트(10)는 이미지영역(100), 빈칸영역(200), 체크영역(300)으로 구성된다.
이미지영역(100)은 이미지(101)가 배경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분할영역(110, 120, 130, 190)으로 분할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영역은 가로 3줄, 세로 3줄의 격자형태로 9개의 분할영역으로 분할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할영역(110)은 상기 이미지영역(100)의 이미지(101)가 분할된 분할이미지(111)와 분할번호(112), 분할명칭(113)을 포함한다.
이때 분할영역의 분할명칭은 분할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의 명칭으로 하여 분할이미지를 언어적으로 연상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영역의 9개의 분할영역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 순서로 분할번호가 각각 1부터 9까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빈칸영역(200) 내에는 빈칸영역을 지칭하는 영역명칭(201)이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빈칸영역의 영역명칭은 상기 이미지영역의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의 명칭으로 할 수 있다.
체크영역(300)은 체크번호(301), 체크칸(302), 체크합계(30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크영역의 체크번호는 상기 이미지영역의 분할영역의 분할번호와 일치하도록 하여 각 분할영역의 기억대상을 테스트한 후 기억여부를 O,X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노트(1)는 제2노트시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노트시트(20)는 상기 다수의 제1노트시트의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여, 일종의 목차나 인덱스와 같은 역할을 하며, 사용자는 제2노트시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제1노트시트의 기억대상을 일괄적으로 테스트하여 확인할 수 있고, 제2노트시트에 키워드를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제2노트시트의 다수의 이미지는 그 순서가 제1노트시트의 노트 내에서의 순서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노트시트를 찾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예은 다음과 같다.
노트의 여러 제1노트시트중 한장을 펼친다. 도1과 같이 비어있는 제1노트시트에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필기를 한다. 이때 사용자가 적절하게 기억대상을 분할영역에 배치하여 필기한다. 도5의 경우 분할영역(110)에 기억대상(2)이 "윤리학"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를 분할명칭인 "창문"과 심상을 연결한다. 이때 창문은 배경이 되는 이미지인 편의점 내부의 이미지의 일부인 것으로 사용자는 편의점 내부 이미지를 전체적인 심상으로 떠올리며 그 중 일부인 창문에 "윤리학"의 내용을 결합하여 기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창문을 유리, 창문틀, 모서리 등 세부적으로 더 분할하여 윤리학의 필기내용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체크영역에서 해당 분할영역의 분할번호인 "1" 옆에 분할이미지인 창문을 연상하면서 창문에 결합된 기억대상인 윤리학의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O,X 등으로 체크하여 기억여부를 기록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노트
2: 기억대상
10: 제1노트시트
20: 제2노트시트
100: 이미지영역
101: 이미지
110, 120, 130, 190: 분할영역
111: 분할이미지
112: 분할번호
113: 분할명칭
200: 빈칸영역
201: 영역명칭
300: 체크영역
301: 체크번호
302: 체크칸
303: 체크합계

Claims (7)

  1. 다수의 노트시트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노트에 있어서,
    상기 노트는 다수의 제1노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트시트는 이미지영역, 빈칸영역, 체크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영역은 이미지가 배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미지영역은 다수의 분할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영역은 상기 이미지영역의 이미지가 분할된 분할이미지와 분할번호, 분할명칭을 포함하며,
    상기 빈칸영역 내에는 영역명칭이 포함되며,
    상기 체크영역은 체크번호, 체크칸, 체크합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는 제2노트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노트시트는 상기 다수의 제1노트시트의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의 분할명칭은 분할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의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영역은 가로 3줄, 세로 3줄의 격자형태로 9개의 분할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영역의 9개의 분할영역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 순서로 분할번호가 각각 1부터 9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영역의 체크번호는 상기 이미지영역의 분할영역의 분할번호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칸영역의 영역명칭은 상기 이미지영역의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의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KR1020200124361A 2020-09-25 2020-09-25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KR10219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61A KR102196155B1 (ko) 2020-09-25 2020-09-25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61A KR102196155B1 (ko) 2020-09-25 2020-09-25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155B1 true KR102196155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361A KR102196155B1 (ko) 2020-09-25 2020-09-25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1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733A (ko) * 2009-12-08 2011-06-15 김슬기 인생 관리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다이어리
KR20120001750U (ko) * 2010-08-12 2012-03-09 상 철 정 로봇교육노트
KR20120134229A (ko) * 2011-06-01 2012-12-12 김지연 인생 관리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다이어리
KR20140011191A (ko) * 2012-07-18 2014-01-28 김경태 흰줄 노트
KR20160133174A (ko) * 2015-05-12 2016-11-2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다용도 스마트 다이어리
KR20200022884A (ko) 2018-08-24 2020-03-04 장진혁 오토바이용 캐노피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733A (ko) * 2009-12-08 2011-06-15 김슬기 인생 관리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다이어리
KR20120001750U (ko) * 2010-08-12 2012-03-09 상 철 정 로봇교육노트
KR20120134229A (ko) * 2011-06-01 2012-12-12 김지연 인생 관리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다이어리
KR20140011191A (ko) * 2012-07-18 2014-01-28 김경태 흰줄 노트
KR20160133174A (ko) * 2015-05-12 2016-11-2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다용도 스마트 다이어리
KR20200022884A (ko) 2018-08-24 2020-03-04 장진혁 오토바이용 캐노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ter Developing and maintaining practical archives: A how-to-do-it manual
Fuchs Teachers Talk: Views from Inside City Schools.
KR102196155B1 (ko) 장소기억법 활용을 위한 노트
Bivins et al. REFLES: An individual microcomputer system for fact retrieval
CN110929012A (zh) 一种从题库自动生成讲义的方法及系统
Avramidis Buildings as unsolicited drawing surfaces: an atlas of Athenian inscriptions
CN211529359U (zh) 一种多媒体信息教学装置
Golla The records of American Indian linguistics
CN216311125U (zh) 一种语文词组学习工具
CN217321427U (zh) 一种小学语文读写训练装置
Richards Foundations of Data and Digital Journalism
JPS5944078A (ja) 学習機器
Kristiyanto et al. Neo Strategy to Use Fixed-Whiteboard Based on Students Thinking Process and Cultural Ethicaly in Learning Physics
Kros et al. Exploring the Archive of the Times before Colonialism
Struwig Surveying Post-Apartheid Curricular Change at Four South African Tertiary Music Departments
Goeing The Changing Dynamics of Scholarly Information Management in Post-Reformation Zurich and its European Context
Choy Tomorrow’s Local Library: The Asia Art Archive in Context
Zapounidis et al. Input and Output in an English Classroom: A Young Learner Corpus of English (YoLeCorE)
Khalila e May Step on your Toes
JPH1178300A (ja) 暗記用ノート
Deary et al. Archival sources for Sir Godfrey Hilton Thomson.
Genung The Community Junior College; an annotated bibliography (Book Review)
Malm The Garland Library of Readings in Ethnomusicology
Diebol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Nesi Self-access system for English languag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