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917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917B1
KR102195917B1 KR1020180150317A KR20180150317A KR102195917B1 KR 102195917 B1 KR102195917 B1 KR 102195917B1 KR 1020180150317 A KR1020180150317 A KR 1020180150317A KR 20180150317 A KR20180150317 A KR 20180150317A KR 102195917 B1 KR102195917 B1 KR 10219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ed
led light
joint member
pcb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316A (ko
Inventor
심유정
Original Assignee
심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유정 filed Critical 심유정
Priority to KR102018015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9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 자동찌는 주변의 조도가 밝아져 LED 불빛이 필요 없는 경우, 또는 낚시를 마지고 낚시 채비를 정리하는 경우에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 분리하여 반대로 끼워넣는 작업을 해야하고, 배터리 반대로 탈결합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배터리 및 부품이 상대적으로 작아 분실될 수 있으며, 특히 낚시를 좋아하는 매니아층은 낚시대를 한번에 여러대를 사용하기 때문에 탈결합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조도센서의 신호를 받아 LED 전구를 제어하는 PCB 모듈의 양극 단자의 인쇄회로가 각각 분리된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해 한쪽 부분만 단선되더라도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양극 인쇄회로부를 찌톱에 밀착하여 부착시 코팅된 양극 인쇄회로부가 휘어지려는 성질이 발생하여 직립된 찌톱이 휘어져 찌톱을 수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우며, LED 전구를 찌톱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시킨 후 열수축 투명 튜브로 감싸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LED 발광 불빛이 열수축 투명 튜브에 반사되어 360°방향으로 광원이 발생하는데 LED 전구가 찌톱과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빛의 조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져 시인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찌톱부, LED 발광부, 이음부재, 찌 몸체부로 구성됨으로써, LED 전구의 미사용시 전자낚시찌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반대방향으로 삽입해야하는 배터리의 탈착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며 무게에 변화없어 동일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LED 전구를 외측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면서 둘레를 따라 360°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전자낚시찌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LED 전구의 +극과 -극 단자를 하나의 인쇄회로부로 연결하여 불량 및 고장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찌톱과 LED 전구를 색을 입히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FOR ELECTRON FLOAT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은 LED 전구의 미사용시 배터리의 탈착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며 무게에 변화없어 동일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LED 전구를 외측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면서 둘레를 따라 360°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전자낚시찌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LED 전구의 양극 단자를 하나의 인쇄회로부로 연결하여 불량 및 고장의 위험성을 감소시켜 제조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함에 있어서 주변의 조도가 낮아 낚시찌를 식별하기 어려운 야간시에는 어두운 곳에서 밝은 빛을 발광하여 낚시찌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자동찌나 야광케미찌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야광케미찌는 일회용으로 수명이 짧고, 자원의 낭비가 심하며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배터리를 내장하여 LED 불빛으로 발광하고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전자 자동찌의 활용도가 높아 선호되고 있다.
기존의 전자 자동찌는 조도가 낮은 야간시에는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꽂아 LED 불빛을 발광시켜 사용하지만 조도가 높은 주간시에는 LED를 계속 켜놓으면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에 배터리를 빼거나 뒤집어서 전류를 흐름을 차단한다.
여기서 낚시찌는 낚시바늘이 위치한 수중의 깊이, 낚시찌의 무게 및 부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중에 떠올라 수면 위로 노출되는 높이가 결정이 되는데 배터리를 삽입했다가 탈착을 하는 경우에는 낚지찌의 무게가 달라져 낚시찌에 무게돌을 추가하는 등의 세팅을 다시 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반대로 꽂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주변의 조도가 밝아져 LED 불빛이 필요 없는 경우, 또는 낚시를 마지고 낚시 채비를 정리하는 경우에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 분리하여 반대로 끼워넣는 작업을 해야하고, 배터리 반대로 탈결합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배터리 및 부품이 상대적으로 작아 분실될 수 있으며, 특히 낚시를 좋아하는 매니아층은 낚시대를 한번에 여러대를 사용하기 때문에 탈결합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자 자동찌는 조도센서의 신호를 받아 LED 전구를 제어하는 PCB 모듈의 +극 단자와 -극 단자의 인쇄회로가 각각 분리된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해 한쪽 부분만 단선되더라도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양극 인쇄회로부를 찌톱에 밀착하여 부착시 코팅된 양극 인쇄회로부가 휘어지려는 성질이 발생하여 직립된 찌톱이 휘어져 찌톱을 수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ED 전구를 찌톱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시킨 후 열수축 투명 튜브로 감싸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LED 발광 불빛이 열수축 투명 튜브에 반사되어 360°방향으로 광원이 발생하는데 LED 전구가 찌톱과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빛의 조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져 시인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LED 전구의 미사용시 전자낚시찌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반대방향으로 삽입해야하는 배터리의 탈착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며 무게에 변화없어 동일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LED 전구를 외측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면서 둘레를 따라 360°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전자낚시찌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LED 전구의 +극과 -극 단자를 하나의 인쇄회로부로 연결하여 불량 및 고장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찌톱과 LED 전구를 색을 입히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자낚시찌의 상단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광 도료 코팅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고, 일정한 간격으로 LED 발광을 통해 주간·야간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찌톱부와,
직선으로 형성된 LED 인쇄회로 형상으로 찌톱부의 일측면에 상단이 밀착되어 접합되고, 하단의 결합 단자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LED 발광부와,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내측 중앙 일측에 격벽이 형성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PCB 모듈 및 조도 센서를 수용하여 지지하고, 상단이 찌톱부의 하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찌 몸체부를 결합시켜주는 이음부재와,
둥근 타원 형상의 찌 몸체의 상단에 수직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이음부재의 하단과 결합되고, 하단에 원기둥 형상의 찌다리가 형성되는 찌 몸체부가 포함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LED 전구의 미사용시 전자낚시찌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반대방향으로 삽입해야하는 배터리의 탈착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며 무게에 변화없어 동일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LED 전구를 외측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면서 둘레를 따라 360°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전자낚시찌의 시인성을 70% 향상시키고, LED 전구의 +극과 -극 단자를 하나의 인쇄회로부로 연결하여 불량 및 고장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찌톱과 LED 전구를 색을 입히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찌톱부와 LED 발광부가 밀착되어 접합된 상단, 중앙 일측, 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중앙 일측에 LED 발광체와 찌톱 몸체 둘레에 열 수축 튜브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찌톱부와 LED 발광부가 접합되고, LED 발광체와 찌톱부의 둘레를 따라 열 수축 튜브가 씌워져 밀착되고, LED 발광체가 위치한 정면은 0.5T의 두께로 도료가 도포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두께가 일정하게 얇아지며 후면에 0.1T의 도료가 도포된 상태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찌톱부, LED 발광부, 이음부재, 찌 몸체부의 결합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재의 하단에 케미 배터리가 삽입되고, 케미 배터리의 상단이 스위치부의 하단을 누르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재의 상단에 PCB 모듈이 삽입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찌 몸체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찌톱부, LED 발광부,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단과 탄성삽입 지지부와 케미 배터리가 삽입된 찌 몸체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찌 결합 나사산과 단턱 나사홈을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케미 배터리의 상단이 스위치부에 맞닿은 실시예와, 찌 결합 나사산과 단턱 나사홈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케미 배터리의 상단이 스위치부와 이격된 실시예를 순서별로 도시한 실시예도.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T'는 두께 단위를 나타내는 Thickness의 약자로 1T는 1mm(millimetre)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1)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찌톱부(100), LED 발광부(200), 이음부재(300), 찌 몸체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찌톱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찌톱부(100)는 전자낚시찌의 상단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광 도료 코팅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고, 측면에 접합된 LED 발광부의 불빛을 통해 발광되어 주간·야간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단 찌톱(110), 찌톱 몸체(120), 찌톱 이음 부재(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 찌톱(110)은 중공 타원형상으로 찌톱부의 상단 끝단에 형성된 반투명 형광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LED 발광체를 수용하여 초록 반투명 형광색을 띄며 내부에서 발광되는 LED 발광체의 불빛을 초록 형광빛으로 발광하여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찌톱 몸체(120)는 직립된 원형 기둥 형상으로 상단 끝단에 결합된 상단 찌톱을 지지하고, 전방에 밀착 결합되는 양극 FPCB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찌톱 이음 부재(130)는 찌톱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으로 LED 발광부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 단자부를 수용하며 이음부재의 상단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LED 발광부(200)는 직선으로 형성된 LED 인쇄회로 형상으로 찌톱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접합되고, 하단을 이루는 결합 단자부가 찌톱부의 하단 일측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이는 양극 FPCB 몸체(210), LED 발광체(220), 결합 단자부(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 FPCB 몸체(210)는 0.5~0.7mm의 두께로 이루어진 직선형상의 단자로 LED 발광체를 지지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PCB 몸체(210)는 플러스(+) 단자 회로부와 마이너스(-) 단자 회로부가 하나의 인쇄회로에 수평을 이루고, 각각의 LED 발광체와 결합 단자부에 접점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양극 FPCB 몸체(210)의 두께는 0.5~0.7mm로 이루어져 찌톱 몸체의 전방 일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열 수축 튜브(240)의 빛 반사를 통해 측면방향으로 360° 전방향으로 빛 반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양극 FPCB 몸체(210)의 두께가 0.5mm 이하로 이루어질 경우 플러스(+) 단자 회로부와 마이너스(-) 단자 회로부를 수평으로 하나의 인쇄회로부에 형성시키기 어렵고, 단선에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가 있고, 두께가 0.7mm 이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찌톱 몸체의 지름과 유사해지거나 더 넓어져 열 수축 튜브의 빛 반사를 통한 측면방향으로 360°로 빛 반사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두께를 0.5~0.7mm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FPCB 몸체(210)는 LED 발광체(220)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정면 부분에는 코팅이 입혀지지 않고, 플러스(+) 단자 회로부와 마이너스(-) 단자 회로부가 하나의 인쇄회로에 수평을 이루며 형성된 후면 부분에는 코팅이 입혀져 이루어진다.
이때, FPCB 몸체(210)의 정면에 코팅을 입히지 않고, 후면에만 코팅을 입히는 이유는 양쪽 부분에 코팅을 입힐 경우 탄성이 강해서 휘어지려는 성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코팅이 입혀진 부분에 도료가 안정적으로 도포되지 않고 긁힘이나 외부 마찰에 의해 쉽게 벗겨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코팅이 입혀지지 않은 정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탄성에 의한 휘어지려는 성질을 최소화하며 도료가 안정적으로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 LED 발광체(220)는 양극 FPCB 몸체의 상단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LED 불빛을 발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단자부(230)는 양극 FPCB 몸체의 하단 끝단에 위치하고 찌톱부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이음부재의 PCB 모듈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PCB 모듈에서 전달받은 ON/OFF 신호 및 전류를 LED 발광체에 전달하여 LED 발광체의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부는 열 수축 튜브(240), 도료(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 수축 튜브(240)는 원형 튜브 형상으로 LED 발광체와 찌톱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LED 발광체에서 발광되는 LED 불빛을 반사하여 측면방향으로 360°로 빛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도료(250)는 밀착된 찌톱부와 LED 발광부 및 열 수축 튜브의 외부 표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발광부의 LED 발광체가 형성된 정면 방향에는 0.5T의 두께로 도포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두께가 일정하게 얇아지며 후면에 0.1T의 도료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정면 방향에 0.5T의 두께로 도포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두께가 일정하게 얇아지며 후면에 0.1T의 도료가 도포되도록 하는 이유는, 정면 방향을 향해 조사되어 상대적으로 강한 불빛이 형성되는 정면은 반사량을 크게 하고, 반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정면에서 가까운 부분부터 반사가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는 후면에서 가까운 부분까지 일정하게 빛이 투과되어 조사되게 하고, 빛 반사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한 불빛이 형성되는 후면은 반사량을 적게 하여 360°방향으로 일정한 불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밀착 결합된 찌톱부와 LED 발광부의 둘레를 따라 360°로 LED 불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전자 자동찌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더라도 360°방향으로 일정한 불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재(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음부재(300)는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내측 중앙 일측에 격벽이 형성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PCB 모듈 및 조도 센서를 수용하여 지지하고, 상단에 찌톱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찌 몸체부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격벽부(310), PCB 모듈(320), 스위치부(330), 찌 결합 나사산(3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부(310)는 직립된 원통 형상의 내측 중앙 일측에 형성된 원형 격벽으로, 중앙에 원형 단자홀(310a)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측면 지지판 삽입홀(310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찌 몸체부에 삽입된 케미 배터리부의 상단 분리시 PCB 모듈 및 스위치부는 이음부재 내측에 지지되고, 케미 배터리부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원형 단자홀(310a)은 이음부재 하단의 하단 삽입홈(312)에 삽입되는 케미 배터리부의 상단 중앙에 위치한 단자를 격벽부의 상단방향으로 관통시켜 스위치부(330)와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부(330)에 케미 배터리부의 배터리 단자가 밀착되며 PCB 모듈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케미 배터리부를 이음부재의 상단방향으로 회전하며 밀어넣으면 원형 단자홀에 관통된 케미 배터리 단자가 스위치부에 밀착되어 PCB 모듈을 통해 LED 발광부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LED 발광체가 점등되고, 케미 배터리부를 이음부재의 하단방향으로 회전하며 분리하면 원형 단자홀에서 케미 배터리 단자가 탈착되면 스위치부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PCB 모듈에 전원공급이 중단됨으로써 LED 발광체가 소등된다.
여기서, 측면 지지판 삽입홀(310b)은 이음부재 상단의 상단 삽입홈(311)에 삽입되는 PCB 모듈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배터리 지지판(322)을 격벽부의 하단방향으로 관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지지판(322)이 격벽부의 하단방향으로 관통되어 격벽부의 하단에 위치한 케미 배터리(420)의 좌·우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PCB 모듈(320)은 격벽부를 기준으로 상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단 삽입홈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좌·우측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배터리 지지판이 격벽부의 측면 홀에 관통되고, 상단 중앙 일측에 조도 센서가 결합되어 감지된 조도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단에 연결된 LED 발광부에 점등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치부(330)는 PCB 모듈의 하단면 중앙에 위치하고, 하단방향으로 돌출된 스위치가 형성되어 배터리부와 맞닿으며 PCB 모듈과 연결된 LED 발광부에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 배터리부의 단자가 상승하여 스위치부의 하단을 밀어올리며 맞닿으면 PCB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고, 케미 배터리부가 하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부의 하단과 이격되면 PCB 모듈에 공급되던 전류가 차단된다.
상기 찌 결합 나사산(340)은 직립된 원통 형상의 하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 형태로 찌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 나사홈(411a)에 맞물려 찌 몸체부를 탈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찌 몸체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찌 몸체부(400)는 둥근 타원 형상의 찌 몸체의 상단에 수직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이음부재의 하단과 결합되고, 하단에 원기둥 형상의 찌다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탄성삽입 지지부(410), 케미 배터리(4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삽입 지지부(410)는 하단방향으로 좁아지는 복수개의 단턱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내측 하단 일측 둘레를 따라 단턱 나사홈(411a)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타원형상의 찌 몸체 상단에 수직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케미 배터리의 하단 둘레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단턱 프레임(411), 3단 단턱 탄성체(412)로 구성된다.
상기 단턱 프레임(411)은 원통 형상으로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형 단턱이 돌출되어 찌 몸체의 상단둘레에 걸쳐지며 하단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이음부재의 찌 결합 나사산에 맞물리는 단턱 나사홈(411a)이 형성된다.
여기서, 단턱 나사홈(411a)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 결합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되며 이음부재와 찌 몸체부를 탈결합시켜주는 것으로, 단턱 나사홈(411a)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3단 단턱 탄성체에 고정된 케미 배터리의 상단이 스위치부(330)와 이격되며 PCB 모듈에 전원이 차단되고, 단턱 나사홈(411a)을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미 배터리의 상단이 스위치부(330)에 맞닿으며 푸싱되어 PCB 모듈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를 통해 케미 배터리를 분리하여 반대방향으로 삽입해야하는 배터리의 탈착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며 무게에 변화없어 동일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3단 단턱 탄성체(412)는 단턱 프레임의 하단에 접합고정된 탄성체로 하단방향으로 둘레 면적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3중 구조의 단턱이 형성되고, 하단 끝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삽입되는 케미 배터리의 하단 내측에 압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단 단턱 단성체(412)는 상단방향을 통해 내부에 삽입되는 케미 배터리의 하단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는 형태로 지지한다.
여기서, 3단 단턱 탄성체(412)의 하단 끝단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단방향으로 삽압되는 케미 배터리의 하단에 압력을 발생시켜 케미 배터리가 쉽게 탈착되거나 반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미 배터리(420)는 직립된 원통 형상으로 하단이 탄성삽입 지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이 이음부재의 찌 결합 나사산과 탄성삽입 지지부의 나사홈의 조임 및 풀림을 통해 접촉 또는 이격되며 이음부재의 PCB 모듈을 통해 LED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찌톱부의 측면에 코팅이 입혀지지 않은 전면을 외측방향에 위치시키고, 양극 단자 배선이 코팅된 LED 발광부의 후면을 밀착시킨 후 찌톱부와 발광부를 접합시킨다(S100).
다음으로, LED 발광부의 상단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LED 발광체의 후면과 밀착된 찌톱부의 둘레에 열 수축 튜브를 위치시킨 후 열을 가하여 밀착고정시키고, LED 발광체의 정면에 0.5T의 도료를 도포시키고, 측면 둘레를 따라 두께가 일정하게 얇아지며 후면에 0.1T의 도료가 도포되도록 도료를 입혀 찌톱부와 발광부를 일체화시킨다(S200).
다음으로, 찌톱부의 하단에 형성된 찌톱 이음 부재에 이음부재의 상단을 삽입하고, LED 발광부의 결합 단자부와 이음부재의 PCB 모듈을 연결한다(S300).
다음으로, 찌 몸체부의 상단 홈에 고정된 탄성삽입 지지부에 케미 배터리를 삽입하여 케미 배터리의 하단 둘레가 3단 단턱 탄성체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된다(S400).
다음으로, 이음부재의 찌 결합 나사산에 탄성삽입 지지부의 단턱 나사홈이 맞물리며 결합되며 케미 배터리의 상단부가 이음부재의 하단 삽입홈에 위치한 스위치부를 밀어올려 LED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한다(S500).
다음으로, 조도 센서의 주변 조도 감지에 따라 설정조도 이하로 감지되면 PCB 모듈을 통해 LED 발광부에 전원이 인가되여 LED 발광체가 발광한다(S600).
다음으로, 조도 센서의 주변 조도 감지에 따라 설정조도 이상으로 감지되거나 낚시를 끝내고 낚시 채비를 정리하는 등 LED 발광체를 소등시에 이음부재의 나사산과 탄성삽입 지지부의 나사홈을 풀림방향으로 회전하여 케미 배터리의 상단을 스위치부에서 이격시킨다(S700).
100 : 찌톱부 110 : 상단 찌톱
120 : 찌톱 몸체 130 : 찌톱 이음 부재
200 : LED 발광부 210 : 양극 FPCB 몸체
220 : LED 발광체 230 : 결합 단자부
240 : 열 수축 튜브 250 : 도료
300 : 이음부재 310 : 격벽부
320 : PCB 모듈 330 : 스위치부
340 : 찌 결합 나사산 400 : 찌 몸체부
410 : 탄성삽입 지지부 420 : 케미 배터리

Claims (7)

  1. 전자낚시찌의 상단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광 도료 코팅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고, 측면에 접합된 LED 발광부의 불빛을 통해 발광되어 주간·야간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찌톱부(100)와,
    직선으로 형성된 LED 인쇄회로 형상으로 찌톱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접합되고, 하단을 이루는 결합 단자부가 찌톱부의 하단 일측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LED 발광부(200)와,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내측 중앙 일측에 격벽이 형성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PCB 모듈 및 조도 센서를 수용하여 지지하고, 상단에 찌톱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찌 몸체부를 결합시켜주는 이음부재(300)와,
    둥근 타원 형상의 찌 몸체의 상단에 수직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이음부재의 하단과 결합되고, 하단에 원기둥 형상의 찌다리가 형성되는 찌 몸체부(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2. 제1항에 있어서 LED 발광부(200)는
    0.5~0.7mm의 두께로 이루어진 직선형상의 단자로 LED 발광체를 지지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양극 FPCB 몸체(210)와,
    양극 FPCB 몸체의 상단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LED 불빛을 발광하는 LED 발광체(220)와,
    양극 FPCB 몸체의 하단 끝단에 위치하고 찌톱부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이음부재의 PCB 모듈과 연결시켜주는 결합 단자부(2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3. 제2항에 있어서 양극 FPCB 몸체(210)는
    플러스(+) 단자 회로부와 마이너스(-) 단자 회로부가 하나의 인쇄회로에 수평을 이루고, 각각의 LED 발광체와 결합 단자부에 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4. 제1항에 있어서 이음부재(300)는
    직립된 원통 형상의 내측 중앙 일측에 형성된 원형 격벽으로, 중앙에 원형 단자홀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측면 지지판 삽입홀이 형성되는 격벽부(310)와,
    격벽부를 기준으로 상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단 삽입홈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좌·우측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배터리 지지판이 격벽부의 측면 홀에 관통되고, 상단 중앙 일측에 조도 센서가 결합되어 감지된 조도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단에 연결된 LED 발광부에 점등신호를 전달하는 PCB 모듈(320)과,
    PCB 모듈의 하단면 중앙에 위치하고, 하단방향으로 돌출된 스위치가 형성되어 배터리부와 맞닿으며 PCB 모듈과 연결된 LED 발광부에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부(330)와,
    직립된 원통 형상의 하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 형태로 찌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홈에 맞물려 찌 몸체부를 탈결합하는 찌 결합 나사산(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5. 제1항에 있어서 찌 몸체부(400)는
    하단방향으로 좁아지는 복수개의 단턱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내측 하단 일측 둘레를 따라 단턱 나사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타원형상의 찌 몸체 상단에 수직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케미 배터리의 하단 둘레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탄성삽입 지지부(410)와,
    직립된 원통 형상으로 하단이 탄성삽입 지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이 이음부재의 찌 결합 나사산과 탄성삽입 지지부의 나사홈의 조임 및 풀림을 통해 접촉 또는 이격되며 이음부재의 PCB 모듈을 통해 LED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미 배터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6. 제5항에 있어서 탄성삽입 지지부(410)는
    원통 형상으로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형 단턱이 돌출되어 찌 몸체의 상단둘레에 걸쳐지며 하단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이음부재의 찌 결합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단턱 프레임(411)과,
    단턱 프레임의 하단에 접합고정된 탄성체로 하단방향으로 둘레 면적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3중 구조의 단턱이 형성되고, 하단 끝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삽입되는 케미 배터리의 하단 내측에 압력을 형성하는 3단 단턱 탄성체(4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7. 찌톱부의 측면에 코팅이 입혀지지 않은 전면을 외측방향에 위치시키고, 양극 단자 배선이 코팅된 LED 발광부의 후면을 밀착시킨 후 찌톱부와 발광부를 접합시키는 단계(S100)와,
    LED 발광부의 상단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LED 발광체의 후면과 밀착된 찌톱부의 둘레에 열 수축 튜브를 위치시킨 후 열을 가하여 밀착고정시키고, LED 발광체의 정면에 0.5T의 도료를 도포시키고, 측면 둘레를 따라 두께가 일정하게 얇아지며 후면에 0.1T의 도료가 도포되도록 도료를 입혀 찌톱부와 발광부를 일체화시키는 단계(S200)와,
    찌톱부의 하단에 형성된 찌톱 이음 부재에 이음부재의 상단을 삽입하고, LED 발광부의 결합 단자부와 이음부재의 PCB 모듈을 연결하는 단계(S300)와,
    찌 몸체부의 상단 홈에 고정된 탄성삽입 지지부에 케미 배터리를 삽입하여 케미 배터리의 하단 둘레가 3단 단턱 탄성체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계(S400)와,
    이음부재의 찌 결합 나사산에 탄성삽입 지지부의 단턱 나사홈이 맞물리며 결합되며 케미 배터리의 상단부가 이음부재의 하단 삽입홈에 위치한 스위치부를 밀어올려 LED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500)와,
    조도 센서의 주변 조도 감지에 따라 설정조도 이하로 감지되면 PCB 모듈을 통해 LED 발광부에 전원이 인가되여 LED 발광체가 발광하는 단계(S600)와,
    조도 센서의 주변 조도 감지에 따라 설정조도 이상으로 감지되거나 낚시를 끝내고 낚시 채비를 정리하는 등 LED 발광체를 소등시에 이음부재의 나사산과 탄성삽입 지지부의 나사홈을 풀림방향으로 회전하여 케미 배터리의 상단을 스위치부에서 이격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의 제조방법.
KR1020180150317A 2018-11-29 2018-11-29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17A KR102195917B1 (ko) 2018-11-29 2018-11-29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17A KR102195917B1 (ko) 2018-11-29 2018-11-29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316A KR20200064316A (ko) 2020-06-08
KR102195917B1 true KR102195917B1 (ko) 2020-12-28

Family

ID=7108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317A KR102195917B1 (ko) 2018-11-29 2018-11-29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9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61Y1 (ko) 2015-06-24 2017-05-29 백종수 밝기 조절과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22Y1 (ko) * 2007-08-17 2011-07-11 지영근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20120033400A (ko) * 2010-09-30 2012-04-09 정경길 전자찌
KR101934565B1 (ko) * 2016-04-05 2019-01-04 신영진 어신 감지용 전자찌
KR101904936B1 (ko) * 2016-11-23 2018-11-21 홍성희 낚시찌용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61Y1 (ko) 2015-06-24 2017-05-29 백종수 밝기 조절과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31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0631A1 (en) [led lamp tube]
US20070133202A1 (en) Led lamp tube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20070103904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CN101292113A (zh)
US20150323154A1 (en) Fuse type vehicle light
CN107339621A (zh) 具有导光体的led灯
KR102195917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 자동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72465A (zh) 光源装置
KR102207609B1 (ko) 수중 집어등
JP3116268U (ja) ランプユニット
KR200390204Y1 (ko) 광 전자찌
US20110006679A1 (en) LED bulb with an enlarged irradiation range by arranging led elements in three-dimension
US2009003324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CN205402287U (zh) 一种便于自动化生产的led球泡灯
JP5229361B2 (ja) Led電球用シーリングライト
CN2876542Y (zh) 一种多光源彩色装饰灯
CN201126155Y (zh) 照明装置
WO2007023261A3 (en) A lamp
US20040105279A1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light softening cover
RU202573U1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лампа
CN211821843U (zh) 360°通体霓虹发光灯
CN219606791U (zh) 一种节能环保led装饰灯
CN220958104U (zh) 一种户外装饰用led旗帜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