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853B1 -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853B1
KR102195853B1 KR1020187037278A KR20187037278A KR102195853B1 KR 102195853 B1 KR102195853 B1 KR 102195853B1 KR 1020187037278 A KR1020187037278 A KR 1020187037278A KR 20187037278 A KR20187037278 A KR 20187037278A KR 102195853 B1 KR102195853 B1 KR 10219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rget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arget
matching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375A (ko
Inventor
다오쿠안 리우
춘흐어 양
야오 탕
샤이 리우
신양 싱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5Continuous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당해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것을 확정하였을 경우, 목표 단말은 이미 분실되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이때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즉시 관련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분실 알림을 통해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될 수 있고,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며, 따라서 목표 단말이 분실된 기초하에서 목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줌을 피하는 것을 구현한다.

Description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610346314.6이고, 출원일이 2016년 5월 24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반하여 제출되며, 당해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되어 참고로 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에 괸한 것이다.
현대 통신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끊임없이 향상함 에 따라, 스마트폰은 예를 들어 전화 하고, 문자 메시지를 보내며, 쇼핑 및 표를 예약하는 등과 같은 여러가지의 기능을 구비한다. 이와 동시에, 스마트폰에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연락인의 전화 번호, 문자 메시지의 내용, 각종 계정과 패스워드 등 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매우 많은 중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폰의 가격이 통상적으로 비교적 비싸기에, 스마트폰은 비교적 쉽게 불법 행위자의 절도 목표로 된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절도 현상이 날로 빈번해지고 있으며, 매우 많은 사용자가 모두 불법 행위자에 의해 스마트폰을 도난당한적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일단 도난당하면 사용자에게 매우 큰 귀찮음을 가져올 수 있고, 심지어 사용자에게 거대한 경제적 손실을 직접적으로 가져올 수 있다.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개시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 -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지시함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특징 정보와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상기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매칭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특징 정보가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것은,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함 -;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련 단말은 목표 계정에 로그인한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과 서로 같거나, 또는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의 관련 계정과 서로 같다.
여기서,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징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정보는 상기 예정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을 제어하여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로그아웃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단말 분실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유닛; 상기 제1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와 상기 제1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상기 매칭 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매칭 관계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 특징 정보가 상기 제1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유닛; 상기 제3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련 단말은 목표 계정에 로그인한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과 서로 같거나, 또는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의 관련 계정과 서로 같다.
여기서,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징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정보는 상기 예정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을 제어하여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로그아웃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서버를 제공하는 바, 상기 서버는,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수단은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고; 당해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을 통해, 서버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것을 확정하였을 경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이때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즉시 관련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분실 알림을 통해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될 수 있고,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 예를 들어 경찰에 신고하고, 목표 단말을 즉시 찾거나 또는 목표 단말에 저장된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를 즉시 수정하는 등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목표 단말이 분실된 기초하에서 목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줌을 피하는 것을 구현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할 수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서로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서로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반면, 이는 단지 특허 청구 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서로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당해 방법은 서버에 사용되고,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1에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 밴드 등일 수 있다.
목표 단말의 소유자는 가끔씩 목표 단말을 분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이 불법 행위자에 의해 도난당하거나 또는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목표 단말을 어느 한 지점에 떨어뜨리는 등이 있다. 목표 단말이 분실될 경우, 목표 단말이 분실된 기초하에서 목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즉시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림하여,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하여, 더 나아가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 예를 들어 경찰에 신고하고, 목표 단말을 즉시 찾거나 또는 목표 단말에 등록된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 등을 즉시 수정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버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거나, 또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주기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당해 매칭 관계에 따라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서로 같은지 여부를 확정하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같지 않은 것으로 확정될 경우, 단계 S102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특징 정보는 현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특징 정보는 예정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사람들의 특징 정보는 다르다.
예를 들어, 음성 특징 정보는 사람이 말할 때의 소리의 음색일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의 말할 때의 소리의 음색이 다르며; 지문 특징 정보는 또한 사람의 지문 영상 등일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의 지문 영상이 다르며; 및, 특징 정보는 또한 사람의 홍채 영상 등일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의 홍채 영상이 다르다.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의 두 가지 방식을 통해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에서, 도 2를 참조하면, 하기의 S1011 내지 S1013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1에서,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서버는 목표 단말에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목표 단말이 당해 획득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 제1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그 다음 서버에 제1 특징 정보를 송신하며; 서버는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마침 목표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말할 때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당해 소리의 음색을 획득하여 제1 특징 정보로 한다. 또는, 목표 단말의 화면이 잠금 상태에 있고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목표 단말의 화면을 잠금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는 지문을 이용하여 목표 단말의 화면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즉,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목표 단말의 지문 식별 구역을 터치하고,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목표 단말의 지문 식별 구역을 터치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획득하여 제1 특징 정보로 할 수 있다.
S1012에서,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목표 단말의 소유자 본인을 포함하고,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비교적 신뢰하는 사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비교적 신뢰하는 사람은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배우자, 자녀 또는 부모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목표 단말의 소유자 본인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대한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의 특징 정보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단계에서, 서버는 로컬로부터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사전에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자신의 특징 정보를 하나의 기록으로 구성하여 서버에 저장된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에 저장한다. 이렇게 본 단계에서, 서버는 로컬에 저장된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에서 목표 단말의 식별자에 서로 대응되는 특징 정보를 검색하여, 제2 특징 정보로 한다.
S1013에서,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당해 매칭 관계를 획득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계 S1012에서 하나의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였을 수 있고,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을 획득하였을 수도 있다.
하나의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였을 경우, 본 단계에서, 서버는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서로 같은지 여부를 비교하여,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다를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하고;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서로 같을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됨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였을 경우, 서버는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에 제1 특징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에 제1 특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에 제1 특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됨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방식에서, 서버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요청을 목표 단말에 송신할 수 있고; 목표 단말이 당해 획득 요청을 수신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마침 목표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말할 때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당해 소리의 음색을 획득하여 제1 특징 정보로 한다. 또는, 목표 단말의 화면이 잠금 상태에 있고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목표 단말의 화면을 잠금 해제해야하는 경우,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는 지문을 이용하여 목표 단말의 화면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즉,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목표 단말의 지문 식별 구역을 터치하고,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목표 단말의 지문 식별 구역을 터치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제2 특징 정보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의 특징 정보를 목표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단계에서, 목표 단말은 로컬로부터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사전에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자신의 특징 정보를 하나의 기록으로 구성하여 목표 단말에 저장된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에 저장하고, 이렇게 본 단계에서, 목표 단말은 로컬에 저장된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에서 목표 단말의 식별자에 서로 대응되는 특징 정보를 검색하여, 제2 특징 정보로 한다.
여기서, 목표 단말은 하나의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을 획득할 수도 있다.
하나의 제2 특징 정보가 획득될 경우, 본 단계에서, 목표 단말은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서로 같은지 여부를 비교하여,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다를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하고;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서로 같을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됨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였을 경우, 목표 단말은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에 제1 특징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에 제1 특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2 특징 정보에 제1 특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됨을 지시하기 위한 매칭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당해 매칭 관계를 생성한 후, 목표 단말은 서버에 당해 매칭 관계를 송신하고; 서버는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당해 매칭 관계를 수신한다.
단계 S102에서, 당해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되,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지시한다.
당해 대응 관계가 제1 특징 정보와 제2 특징 정보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할 경우,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이 불법 행위자에 의해 도난당하거나 또는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목표 단말을 어느 한 지점에 떨어뜨리는 등과 같이 목표 단말을 분실하였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단계는 하기의 S1021 내지 S1022의 흐름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1021에서,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되,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관련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 밴드 등일 수 있다.
관련 단말은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소유하는 다른 하나의 단말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배우자, 자녀 또는 부모가 소유하는 단말 등과 같은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비교적 신뢰하는 사람이 소유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관련 단말은 목표 계정 로그인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목표 계정은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과 서로 같거나, 또는 목표 계정은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의 관련 계정과 서로 같다.
여기서, 목표 계정은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은행 계정 또는 전화 번호 등등과 같은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계정이다. 목표 단말의 소유자는 사전에 서버에 목표 계정의 관련 계정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계정이 목표 단말의 전화 번호일 경우, 관련 계정은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설치된 당해 전화 번호와 바인딩된 예를 들어 가족 번호 등등과 같은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소유자는 사전에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당해 대응 관계를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에 위치할 수 있고, 기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서버에 위치할 경우, 본 단계에서, 서버는 로컬로부터 당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고;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기타 기기에 위치할 경우, 본 단계에서, 서버는 기타 기기로부터 당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한다.
서버가 당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한 경우,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하고, 그 다음 당해 대응 관계에서의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한다.
S1022,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한다.
서버는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에 분실 알림 명령을 송신하되, 당해 분실 알림 명령은 분실 알림을 출력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당해 분실 알림 명령은 목표 단말의 식별자를 휴대할 수 있다.
관련 단말이 당해 분실 알림 명령을 수신할 경우, 관련 단말은 당해 분실 알림 명령으로부터 목표 단말의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고, 그 다음 목표 단말의 식별자 및 목표 단말의 현재의 위치 정보에 따라 분실 알림을 출력하며, 당해 분실 알림은 목표 단말의 분실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텍스트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단말은 관련 단말의 화면에 목표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다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다는 음성을 플레이하여,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관련 단말이 보낸 분실 알림을 알게 될 경우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 예를 들어 경찰에 신고하고, 목표 단말을 즉시 찾거나 또는 목표 단말에 저장된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를 즉시 수정하는 등 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목표 단말이 분실된 기초하에서 목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주게 됨을 피하는 것을 구현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당해 분실 알림은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여기서, 서버는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목표 단말이 당해 획득 요청을 수신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에 내장된 위치 확정 장치를 이용하여 목표 단말에 대해 위치 확정을 하여,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서버에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며; 서버는 목표 단말이 송신한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는 또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목표 단말이 당해 획득 요청을 수신할 경우, 목표 단말은 목표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사진을 찍어, 서버에 수집한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는 목표 단말이 송신한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를 수신한다.
이렇게, 관련 단말이 분실 알림을 출력하는 동시에,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등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관련 단말이 출력하는 분실 알림을 통해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되는 동시에,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등등을 알게 될 수도 있으며,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다시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등등에 따라 목표 단말을 찾을 때 찾는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만약 목표 단말에 예를 들어 전화 번호 또는 은행 계정 등과 같은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계정에 로그인하였으면,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재산이 손해보지 않음을 보호하기 위해, 단계 S102 이후에, 서버는 목표 단말의 로그아웃을 제어하여 목표 단말이 현재 이미 로그인한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이와 같이,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목표 단말에서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사용하여 불법적 조작을 할 수 없게 함으로써, 목표 단말의 소유자의 재산이 손해보지 않음을 보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고; 당해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을 통해, 서버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것을 확정하였을 경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이때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즉시 관련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분실 알림을 통해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될 수 있고,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 예를 들어 경찰에 신고하고, 목표 단말을 즉시 찾거나 또는 목표 단말에 저장된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를 즉시 수정하는 등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목표 단말이 분실된 기초하에서 목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줌을 피하는 것을 구현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당해 방법은 단말에 사용되며,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01에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서버가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여야 할 경우, 서버가 단말에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단말이 당해 획득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 단말은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할 경우, 단말은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말할 때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당해 소리의 음색을 획득하여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로 한다. 또는, 단말의 화면이 잠금 상태에 있고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단말의 화면을 잠금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 단말의 현재 사용자는 지문을 이용하여 단말의 화면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즉,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말의 지문 식별 구역을 터치하고, 단말의 현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말의 지문 식별 구역을 터치할 경우, 단말은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여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로 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단말의 소유자 본인을 포함하고, 단말의 소유자가 비교적 신뢰하는 사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의 소유자가 비교적 신뢰하는 사람은 단말의 소유자의 배우자, 자녀 또는 부모 등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단말의 소유자 본인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대한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의 특징 정보를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단계에서, 단말은 로컬로부터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는 사전에 단말의 식별자와 자신의 특징 정보를 하나의 기록으로 구성하여 단말에 저장된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에 저장하고, 이렇게, 본 단계에서, 단말은 로컬에 저장된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 단말의 식별자와 특징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에서 단말의 식별자에 서로 대응되는 특징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로 한다.
단계 S203에서,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따라 매칭 관계를 구성한다.
단말이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및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획득할 경우, 단말은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따라 매칭 관계를 구성할 수 있고, 그 다음 단계 S204를 수행한다.
단계 S204에서, 서버에 당해 매칭 관계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버가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할 경우, 당해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은 서버가 단말의 현재 사용자와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것을 확정할 경우,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이때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단말의 소유자가 즉시 관련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분실 알림을 통해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될 수 있어,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 예를 들어 경찰에 신고, 단말을 즉시 찾거나 또는 단말에 저장된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를 즉시 수정하는 등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분실의 기초하에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줌을 피하는 것을 구현한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이런 방식은 모두 본 개시의 정신과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분실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당해 장치는 서버에 응용되고, 당해 장치는 제1 획득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을 포함한다.
제1 획득 모듈(11)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1 제어 모듈(12)은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지시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획득 모듈(11)은 제1 수신 유닛(111), 제1 획득 유닛(112) 및 구성 유닛(113)을 포함한다.
제1 수신 유닛(111)은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획득 유닛(112)은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구성 유닛(113)은 상기 제1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와 상기 제1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상기 매칭 관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획득 모듈(11)은 제2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수신 유닛은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매칭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획득 유닛에 이해 획득된 상기 제2 특징 정보가 상기 제1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모듈(12)은 제2 획득 유닛(121) 및 제1 제어 유닛(122)을 포함한다.
제3 획득 유닛(121)은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며; 제어 유닛(122)은 상기 제3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관련 단말은 목표 계정에 로그인한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과 서로 같거나, 또는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의 관련 계정과 서로 같다.
여기서,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징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정보는 상기 예정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을 제어하여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로그아웃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고; 당해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을 통해, 서버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와 목표 단말의 예정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것을 확정하였을 경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이때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목표 단말의 소유자가 즉시 관련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분실 알림을 통해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알게 될 수 있어, 되도록 빨리 상응한 조치, 예를 들어 경찰에 신고하고, 목표 단말을 즉시 찾거나 또는 목표 단말에 저장된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를 즉시 수정하는 등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목표 단말이 분실된 기초하에서 목표 단말의 분실로 인해 목표 단말의 소유자에게 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줌을 피하는 것을 구현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서버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당해 서버(2900)는 하나의 서버로서 제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29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2922), 및 메모리(2932)가 대표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어셈블리(292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어셈블리(29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명령,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293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각각의 한 그룹의 명령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어셈블리(2922)는 명령을 수행하여, 상술한 서버 측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서버(2900)는 서버(2900)의 전원 관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원 어셈블리(2926), 서버(2900)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50)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29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2900)는 메모리(2932)에 저장된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유사한 운영 시스템을 운영시킬 수 있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개시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어떠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에서의 주지의 상식 또는 관용적인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에 의해 지적된다.
본 개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고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행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단말 분실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 -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지시함 -;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을 제어하여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로그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특징 정보와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상기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매칭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징 정보가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는,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함 -, 및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단말은 목표 계정에 로그인한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과 서로 같거나, 또는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의 관련 계정과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정보는 상기 예정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방법.
  9. 단말 분실 알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제1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제2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을 제어하여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로그아웃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이 이미 분실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유닛; 및
    상기 제1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와 상기 제1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상기 매칭 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목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매칭 관계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 특징 정보가 상기 제1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특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유닛;
    제3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관련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게 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목표 단말의 식별자와 관련 단말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단말은 목표 계정에 로그인한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과 서로 같거나, 또는 상기 목표 계정은 상기 목표 단말에 로그인된 계정의 관련 계정과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알림은 상기 목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현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정보는 상기 예정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및 음성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분실 알림 장치.
  17.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단말의 현재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예정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의 관련 단말을 제어하여 분실 알림을 출력하며,
    상기 매칭 관계가 매칭되지 않음을 지시함을 확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단말을 제어하여 현재 이미 로그인된 계정을 로그아웃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삭제
  19. 삭제
KR1020187037278A 2016-05-24 2016-08-02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2195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346314.6A CN105915714A (zh) 2016-05-24 2016-05-24 终端丢失提示方法及装置
CN201610346314.6 2016-05-24
PCT/CN2016/092866 WO2017201874A1 (zh) 2016-05-24 2016-08-02 终端丢失提示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375A KR20190009375A (ko) 2019-01-28
KR102195853B1 true KR102195853B1 (ko) 2020-12-29

Family

ID=5674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278A KR102195853B1 (ko) 2016-05-24 2016-08-02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77924B2 (ko)
EP (1) EP3249570B1 (ko)
JP (1) JP6474886B2 (ko)
KR (1) KR102195853B1 (ko)
CN (1) CN105915714A (ko)
RU (1) RU2685693C1 (ko)
WO (1) WO2017201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660A1 (zh) * 2017-06-21 2018-12-27 深圳支点电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信息发布方法和移动终端
WO2018232650A1 (zh) * 2017-06-21 2018-12-27 深圳支点电子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通信账号防护功能的移动终端和相关产品
CN108305438B (zh) * 2018-02-27 2020-11-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防丢预警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婴儿床
CN109086635A (zh) * 2018-08-24 2018-12-25 合肥合纵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在丢失后对个人信息进行保护的系统
CN110535883B (zh) * 2019-09-27 2021-12-24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位置信息处理方法和系统
CN113794802B (zh) * 2021-08-12 2022-10-14 荣耀终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532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画像配信システム
US20140273880A1 (en) 2013-03-12 2014-09-18 Bluebox Secur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 State
CN105050061A (zh) * 2015-06-23 2015-1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声纹信息的消息发送方法及装置
US20150347857A1 (en) 2014-06-03 2015-12-03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identiti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37504C (zh) * 2004-09-24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个人移动终端智能报警方法
CN101198119B (zh) * 2006-12-09 2012-02-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自动报失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便携式终端
EP2417546B1 (en) * 2009-04-10 2018-01-03 Koninklijke Philips N.V. Combined authentication of a device and a user
KR101541305B1 (ko) * 2009-05-21 201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보호를 위한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에서 수행되는 정보 보호 방법
TW201447788A (zh) * 2013-06-04 2014-12-16 Tiny Finder Co Ltd 物件追蹤服務系統及其方法
CN105447362A (zh) * 2014-09-15 2016-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安全监控方法及系统
RU157543U1 (ru) * 2014-12-18 2015-12-10 Чао-Хун ЛИНЬ Главный прибор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тери предмета и осуществления контроля за предметом
US20160241531A1 (en) * 2015-02-13 2016-08-18 Yoti Ltd Confidence values
CN104700050A (zh) * 2015-03-17 2015-06-10 上海天奕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安全定位方法及装置
CN104899490B (zh) * 2015-05-27 2018-05-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定位方法及用户终端
US9538335B1 (en) * 2015-07-22 2017-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erring device theft based on historical location data
CN105224883A (zh) * 2015-09-30 2016-01-0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生物特征信息泄露预警方法、装置及服务器
CN105430163A (zh) * 2015-10-28 2016-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的追踪方法及追踪系统
US10111032B2 (en) * 2015-11-11 2018-10-23 Tile, Inc. Location history access for lost tracking device
CN105468954A (zh) * 2015-11-27 2016-04-06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找回方法及装置
US10095746B2 (en) * 2015-12-03 2018-10-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extual ownership
CN105550560A (zh) * 2015-12-09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账户登录状态管理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532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画像配信システム
US20140273880A1 (en) 2013-03-12 2014-09-18 Bluebox Secur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 State
US20150347857A1 (en) 2014-06-03 2015-12-03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identities
CN105050061A (zh) * 2015-06-23 2015-1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声纹信息的消息发送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9570A1 (en) 2017-11-29
JP6474886B2 (ja) 2019-02-27
US20170344762A1 (en) 2017-11-30
RU2685693C1 (ru) 2019-04-23
JP2018522428A (ja) 2018-08-09
EP3249570B1 (en) 2019-04-10
US9977924B2 (en) 2018-05-22
KR20190009375A (ko) 2019-01-28
WO2017201874A1 (zh) 2017-11-30
CN105915714A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853B1 (ko) 단말 분실 알림 방법 및 장치
US10856149B2 (en) Cross-device login to improve service efficiency
CN105306204B (zh) 安全验证方法、装置及系统
US20200051046A1 (en) Smart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12238B2 (en) Identity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US11007190B2 (en) Smart broadcast device
CN110178179B (zh) 用于向电子设备用户认证的语音签名
US9843911B2 (en) Remotely activated monitoring service
US10638320B2 (en) Wireless network typ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22975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voice user interface and selectively managing incoming communications
US20150324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resence monitoring
US20180315048A1 (en) Security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smart card application
US10477396B2 (en) Affiliation and disaffiliation of computing devices
KR20170126388A (ko) 비즈니스 프로세스 수행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4579665B (zh) 鉴权方法及装置
WO2018209897A1 (zh) 敏感信息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WO2016124008A1 (zh)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7104952B (zh) 一种智能家居用户鉴权方法、用户终端及中央控制设备
RU263126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оса информации
KR102558762B1 (ko) 홈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N113722687A (zh) 一种应用软件登录方法、装置、介质及设备
CN115331290A (zh) 权限设置方法、装置、机器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526864B1 (ko) 지문 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관리서버를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를 위한 관리서버
CN111182161A (zh) 一种社区通讯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