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843B1 -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843B1
KR102195843B1 KR1020180145181A KR20180145181A KR102195843B1 KR 102195843 B1 KR102195843 B1 KR 102195843B1 KR 1020180145181 A KR1020180145181 A KR 1020180145181A KR 20180145181 A KR20180145181 A KR 20180145181A KR 102195843 B1 KR102195843 B1 KR 10219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external
behavior information
user accou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881A (ko
Inventor
김태형
감철웅
차재희
김민지
변미주
김태원
조한웅
안세준
박지원
장봉재
방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18014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8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7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integrated multimedia messaging subsystem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는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수집된다.

Description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EXTERNAL SERVICE}
본 발명은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IMS(Instant Message Service)는 전자우편 프로그램이나 웹 브라우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발신자가 보낸 메시지가 수신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에 즉시 뜨도록 하는 실시간 온라인 의사소통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채팅, 음성 및 영상통화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MIM(Mobile Instant Messenger) 서비스라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3838호에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메신저 앱을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쇼핑, 인터넷, 음악 감상, 동영상 시청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메신저 앱을 이용한 상품 구입을 통해 손쉽게 쇼핑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모바일 쇼핑의 이용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메신저 앱을 통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는 경우,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로그인 과정이 요구되며, 이러한 별도의 로그인 과정으로 인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기 위한 액션 플로우가 단절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메신저 앱 내에서 제 3 서비스를 이용(예를 들어, 상품의 구입, 주문, 예약 등)하는 경우, 사용자의 제 3 서비스의 별도 가입이 요구된다. 이 때, 사용자는 제 3 서비스를 가입하기 위해 정보 제공 동의를 위한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 3 서비스의 이용에 많은 번거로움을 느끼게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3838호
본원 발명은 서비스 앱 내에서 외부 서비스의 URL에 접근하는 경우, 상품의 주문 전까지 회원 가입, 인증, 로그인 절차 등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회원 가입 및 별도의 로그인 없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서비스 앱을 통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쇼핑 중 별도의 로그인 과정 및 개인 정보의 제 3 자 제공 동의 절차로 인해 발생되는 액션 플로우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는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수집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외부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고,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는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비스 앱를 통해 외부 서비스 에 접근하는 경우, 상품의 주문 전까지 회원 가입, 인증, 로그인 절차 등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회원 가입 및 별도의 로그인 없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앱을 통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쇼핑 중 별도의 로그인 과정 및 개인 정보의 제 3 자 제공 동의 절차로 인해 발생되는 액션 플로우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앱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에 대하여 임시 로그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 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로그인 및 회원가입 없이 바로 이용하도록 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로그인 및 회원가입 없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발생된 사용자의 행태 정보(예를 들어, 저관여 행태 정보 및 고관여 행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탐색 의도를 파악할 수 있고, 수집된 행태 정보를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 전달하도록 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 내지 9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에 대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에 대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자 단말에서 멤버쉽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외부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외부 서버(130)는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외부 서버(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외부 서버(130)와 연계된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외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서비스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20)(또는 서비스 앱)은 복수의 외부 서버(130)와 연동하여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실행된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 앱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 앱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를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이 요청한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비스 앱은 메시지 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파트너 사의 계정으로서 메신저 앱에 친구로 등록된 공식 파트너 친구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선택받고,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고, 메신저 앱을 통해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의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식 파트너 친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메신저 앱에서 임시 식별자를 이용하여 로그인 없이 탐색 가능한 연계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메신저 앱의 대화창을 통해 친구로부터 특정 상품의 URL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특정 상품의 URL을 선택받고, 선택된 URL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요청할 수 있고, 메신저 앱을 통해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의 페이지를 인앱브라우저(웹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서비스는 메신저 앱의 공식 파트너 친구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메신저 앱을 통해 전달되는 모든 URL 정보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진입 및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메신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으며, 타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탐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진입 및 탐색 중에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의 진입 역시 행태 정보의 하나일 수 있다. 즉,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의 진입 역시 행태 정보이므로, 외부 서비스의 페이지 요청, 진입, 수신 과정에서도 임시 식별자가 발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떤 액션이 입력되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에서의 해당 액션과 관련된 행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 때, 행태 정보가 발생됨에 따라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발급 또는 확인될 수 있다.
임시 식별자는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구분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임시 식별자 자체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파악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 페이지를 진입한 시점에 발급 또는 확인될 수 있다. 또는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외부서비스의 서비스페이지를 요청하는 시점에도 발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된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가 발급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에서 어떤 액션(예를 들어, 카트 담기, 주문하기 등)을 취한 경우, 사용자의 액션에 의한 트리거(trigger)를 통해 행태 정보가 발생됨으로써, 임시 식별자가 발급될 수도 있다.
즉, 임시 식별자가 발급 또는 확인되는 시점은 특정 시점에 종속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 서비스 앱에 가입 처리된 사용자 계정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에 생성되는 임시 식별자를 이용하여 외부 서비스에 사용자 계정 정보 제공의 동의 절차 없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될 수 있다. 외부 서비스의 임시 로그인은 서비스 앱을 통한 사용자 계정 정보 제공의 동의 절차 없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프로세스이며, 사용자는 임시 식별자를 이용하여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외부 서비스의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 등에 대한 제약 없이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임시 로그인은 외부 서비스가 임시 식별자를 이용하여 서비스 앱의 사용자임을 판단(구분)하여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이 되는 시점은 임시 식별자가 발급 또는 확인된 시점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수행되는 사용자의 액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로 진입 시또는 해당 서비스 페이지 내에서의 메뉴 클릭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제약 없이 외부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생된 행태 정보는 사용자 계정 마다 발급 또는 확인된 각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서비스 앱 또는 외부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동의 절차 없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된 행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외부 서버(130)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임시 식별자와 매칭된 행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또는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 맞춤형 또는 개인화된 정보에 기초하여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저관여 행태 정보 및/또는 고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을 처리할 경우, 서비스 앱 또는 외부 서비스를 통해 동의 절차에 대한 동의 확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동의 확인 페이지는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의 제 3 자 제공에 대한 동의, 외부 서비스(또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서비스앱)의 이용약관, 마케팅 수신 여부에 대한 동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동의 확인 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의 제 3 자 제공(외부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입력받은 경우,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집되어 외부 서버(130)로 전달되거나 또는 외부 서버(130)에 의해 직접 수집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개인 정보가 요구되지 않은 외부 서비스를 요청 받은 경우, 서비스 앱을 통해 해당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임시 로그인된 상태로 이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별도 가입 및 로그인 등과 같은 제약 사항 없이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가 요구되는 서비스 수행을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플로우까지 사용자가 도달한 경우에 서비스 앱을 통해 동의 절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고,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확인되고, 발생된 행태 정보는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할 수 있는 서버로서, 복수의 외부 서버(130)와 연계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파트너 사의 계정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서비스 앱에 등록된 공식 파트너 친구를 통해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임시 식별자를 발급할 수 있다. 서비스 계정은 서비스 앱(또는 서비스 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이미 동의하여 가입된 계정에 해당하므로 추가 동의 없이 임시 식별자를 발급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계정은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될 수 있다.
임시 식별자는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구분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임시 식별자 자체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파악할 수는 없으며, 임시 식별자는 외부 서비스 마다 별도로 발급 또는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 페이지를 진입한 시점에 발급 또는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요청하는 시점에도 발급될 수 있다. 외부 서비스의 관리자는 임시 식별자를 통해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 간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 페이지를 진입한 시점에 발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요청한 시점에 발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임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된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가 발급될 수도 있다.
임시 로그인은 외부 서비스의 제공 주체가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을 판단 및 구분하여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이 되는 시점은 임시 식별자가 발급 또는 확인된 시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임시 식별자를 이용하여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외부 서비스의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 등에 대한 제약 없이 탐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임시 식별자 별로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서비스 앱에서 제공하는 동의 절차 없이 수집할 수 있다.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저관여 행태 정보 및/또는 고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지 않으며,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을 위해 동의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서비스 앱을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가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으로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일반적으로 탐색하는 경우에 개인 정보를 요청 또는 수집하지 않지만, 고관여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사용자의 액션이 수행된 경우에 동의 절차를 통해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버(130)로 수집된 개인 정보 및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연계되거나 또는 직접 사용자 단말(110)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130)는 외부 서버(130)를 관리하는 계정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서비스 앱에 등록된 공식 파트너 친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앱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요청한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130)는 메신저 앱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직접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 여기서, 공식 파트너 친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서비스 앱에서 임시 식별자를 이용하여 로그인 없이 탐색 가능한 연계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외부 서버(130)는 해당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외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서버(1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자 단말(110)로 외부 서비스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로 외부 서비스가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앱이 메신저 앱일 경우, 외부 서버(130)는 외부 서버(130)가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가 사용자 계정의 친구로서 메신저 앱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메신저 앱을 통해 광고 메시지 또는 타겟팅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된 해당 메시지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를 외부 서버(130)로 요청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전달받은 개인 정보 및 행태 정보를 각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임시 식별자를 기준으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전달받은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에 가입 또는 등록된 회원을 검색할 수 있고, 전달받은 임시 식별자와 검색된 회원을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130)는 전달 받은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임시 식별자가 외부 서비스의 특정 회원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 서비스를 임시 식별자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로그인부(210), 요청부(220), 서비스 제공부(230), 행태 정보 발생부(240) 및 동의 확인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부(210)는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앱은 메신저 앱일 수 있다.
요청부(220)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 앱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는 예를 들어, 외부 URL 또는 서비스 앱 내의 '선물하기' 메뉴에 포함된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요청한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서비스 앱을 통해 수신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30)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30)는 서비스 앱의 웹뷰(web view)를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30)는 서비스 앱에서 다른 컴포넌트를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iOS와 같이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웹뷰 이외의 컴포넌트 또는 네이티브 브라우저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30)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의 제공이 가능한 타서비스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된 상태로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에 대한 멥버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30)는 멤버쉽 카드, 멤버쉽 바코드, 적립 포인트, 적립 스탬프, 회원 등급과 관련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행태 정보 발생부(240)는 제공된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임시 식별자는 서비스 앱을 통한 동의 절차 없이 발급되고, 사용자 계정은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생된 행태 정보는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서비스 앱에서 제공하는 동의 절차 없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저관여 행태 정보 및/또는 고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관여 행태 정보는, 사용자 계정,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외부 서버(130) 간의 동의 없이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비교적 가벼운 액션에 기반한 것으로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진입, 탐색, 위시 리스트 생성, 장바구니 담기,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된 외부 서버(130)의 외부 서비스와의 인터렉션(interaction), 서비스 앱 내의 선물하기 메뉴에 대해 입점된 상품 탐색, 확인, 위시 리스트 생성, 장바구니 담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는 것일 수 있다. 고관여 행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외부 서버(130) 간의 동의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비교적 무거운 액션에 기반한 것으로서 상품의 주문, 예약, 결제, 회원 가입, 멤버쉽 발급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동의 확인부(250)는 서비스 앱을 통해 동의 절차에 대한 동의 확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동의 확인 페이지를 통해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동의 확인부(250)는 기설정된 복수의 동의 항목 중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의 항목을 선별하여 동의 확인 페이지를 통해 노출할 수 있다. 동의 확인 페이지는 기설정된 복수의 동의 항목 중 예를 들어, 특정 고관여 행태 정보에서 요구하는 제 3 자 개인 정보 제공 및 외부 서비스의 이용 약관 등에 대한 동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별도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 없이 임시 로그인 상태로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심도 깊은 액션에 대해서는 제 3 자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를 통한 오스 (OAuth) 인증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요청부(410), 서비스 제공부(420), 식별자 관리부(430), 수집부(440), 행태 정보 전달부(450) 및 동의 요청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부(4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부(410)는 서비스 앱의 대화창에 입력된 URL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앱의 선물하기 메뉴, 스타일 메뉴, 주문하기 메뉴, 헤어샵 메뉴, 뮤직 메뉴 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부(420)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부(420)는 외부 서비스가 웹뷰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식별자 관리부(430)는 서비스 앱을 통한 동의 절차 없이 임시 식별자를 발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계정은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될 수 있다.
식별자 관리부(43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서비스 앱, 외부 서비스 간의 3자 인증을 통한 연동을 위해 개인 정보 및 인증 절차가 요구되었다. 하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사용자 및 서비스 앱 간의 2자 인증을 통해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앱을 통한 외부 서비스에 대한 탐색에 관하여 별도의 개인 정보 및 인증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서비스 앱에 기등록된 회원이므로 별도의 동의 절차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가벼운 액션(저관여 행태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외부 서비스에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지 않고, 임시 로그인된 상태로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외부 서비스의 이용 시, 심도 깊은 액션(고관여 행태 정보)에 대해서는 개인 정보가 요구되므로, 사용자, 서비스 앱, 외부 서비스 간의 3자 인증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집부(440)는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각 임시 식별자 별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부(440)는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서비스 앱에서 제공하는 동의 절차 없이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저관여 행태 정보 및/또는 고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지 않으며,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될 수 있다.
수집부(440)는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을 처리함에 따라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행태 정보 전달부(450)는 외부 서버(130)로 저관여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전달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130)로 개인 정보 및 고관여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전달할 수 있다.
행태 정보 전달부(450)에서 저관여 행태 정보 및 고관여 행태 정보를 모두 외부 서버(130)에 전송함으로써, 외부 서버(130)에서는 사용자가 탐색한 상품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관여 행태 정보가 고관여 행태 정보로 이어질 확률이 많으므로, 본원 발명은 수집된 저관여 행태 정보 및 고관여 행태 정보를 외부 서버(13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또는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의 요청부(460)는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을 위해 동의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동의 요청부(46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서비스 앱을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버(13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외부 서버(13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행태 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판단되어 외부 서버(13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할 수 있다(S601). 여기서, 서비스 앱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관리되는 메신저 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602).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버(130)로부터 서비스 앱을 통해 수신된 타켓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음으로써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하거나 외부 서버(130)로 외부 서비스를 직접 요청할 수 있고, 외부 서비스에 대한 임시 식별자의 발급을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외부 서버(130)로 요청하면(S603), 외부 서버(1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S604).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하고, 서비스 앱을 통한 동의 절차 없이 외부 서비스에 대한 임시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발급할 수 있다(S605).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외부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버(130)로부터 외부 서비스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계정에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될 수 있다(S606).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을 통해 수신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웹뷰를 통해 제공하고(S607), 제공된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S608).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에서 다른 컴포넌트를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iOS와 같이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웹뷰 이외의 컴포넌트 또는 네이티브 브라우저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의 제공이 가능한 타서비스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행태 정보는 서비스 앱의 공식 파트너 친구(예를 들어, 플러스 친구)의 타겟 메시지, 메신저 앱의 대화창을 통해 지인으로부터 특정 상품의 URL, 사용자가 웹뷰를 통해 탐색한 상품을 탐색한 경우 발생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웹뷰 진입, 상품 위시리스트, 카트 담기 또는 선물하기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상품 확인, 상품 위시리스트, 카트 담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행태 정보가 발생되면, 행태 정보의 발생을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알리고(S609),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한 후(S610),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611). 이 때, 단계 S605가 생략된 경우,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하고, 임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임시 식별자가 발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임시 식별자를 발급할 수도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2).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S613),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저관여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외부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S614),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행태 정보에 고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5).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고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S616),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12). 다른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고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S617),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을 위해 동의 절차를 사용자 단말(110)로 요청할 수 있다(S618).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에 수집에 대한 동의를 입력받고(S619), 서비스 앱을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에 수집에 대한 동의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620).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를 더 수집하고(S621), 개인 정보 및 고관여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외부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S622).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22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외부 서버(13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행태 정보가 외부 서버(13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할 수 있다(S630). 여기서, 서비스 앱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관리되는 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631).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버(130)로부터 서비스 앱을 통해 수신된 타겟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음으로써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외부 서버(130)로 요청하면(S632), 외부 서버(1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S633).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110)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외부 서버(130)로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1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외부 서비스에 대한 임시 식별자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하고, 서비스 앱을 통해 동의 절차 없이 외부 서비스에 대한 임시 식별자를 발급할 수 있다(S634).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외부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635). 이와 달리, 외부 서비스는 외부 서버(130)에 의해 사용자 단말(11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계정에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될 수 있다(S636).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을 통해 수신한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를 웹뷰를 통해 제공하고(637), 제공된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S638). 행태 정보는 서비스 앱의 공식 파트너 친구(예를 들어, 플러스 친구)를 통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웹뷰 진입, 상품 위시리스트, 카트 담기 또는 선물하기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상품 확인, 상품 위시리스트, 카트 담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행태 정보가 발생되면, 행태 정보의 발생을 외부 서버(130)로 알리고(S639), 외부 서버(130)는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한 후(S640),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641).
이 때, 외부 서버(130)는 수집된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42).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S643), 외부 서버(130)는 임시 식별자와 저관여 행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644). 다른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S645), 외부 서버(130)는 행태 정보에 고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6).
행태 정보에 고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S647), 행태 정보에 저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2). 다른 예를 들어, 행태 정보에 고관여 행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S648),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을 위해 동의 절차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649).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요청받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을 위한 동의 절차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S650).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입력받고(S651), 서비스 앱을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의 수집에 대한 동의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653).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한 개인 정보를 외부 서버(130)로 전달하면(S654), 외부 서버(130)는 임시 식별자와 고관여 행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655).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30 내지 S65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7은 종래의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앱의 대화창을 통해 외부 서비스로 진입하였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서비스 앱은 메신저 앱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표시하고, 외부 서비스를 통해 상품 화면(700)을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외부 서비스의 상품 화면(700)을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장바구니(카트)' 버튼(701)을 선택함으로써, 상품 주문을 위한 절차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상품 주문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기 전, 외부 서비스의 로그인 화면(710)을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카카오 로그인' 버튼(711)을 선택하면,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과 외부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간의 연동을 위한 오스 인증(OAuth 인증) 절차가 진행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과 외부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간의 로그인 연동을 위한 개인정보의 제 3 자 동의 화면(720)을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동의' 버튼(721)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제 3 자에게 제공됨으로써,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과 외부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간에 연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110)은 외부 서비스의 로그인 화면(730)을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로그인 화면(730)을 통해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외부 서비스에 로그인(731)된다. 이 때,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계정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습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팝업창(732)을 통해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장바구니(카트) 화면(740)을 표시하고, 장바구니(카트) 화면(740)에 표시된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료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문하기' 버튼(741)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주문 절차가 진행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배송지 화면(750) 및 결제 화면(미도시)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필요 정보(예를 들어, 배송지 정보, 결제 정보 등)를 입력받아 해당 상품의 주문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와 메신저 앱과 외부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해 오스(OAuth) 인증을 이용하였다. 이 때,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과 외부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기 위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외부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개인 정보의 제 3 자 제공 동의 과정을 거친 후, 오스 인증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오스 인증은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 서비스를 통한 상품 주문 절차의 진행 중 갑자기 액션 플로우가 단절되는 느낌을 받게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의 대화창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앱은 메신저 앱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서비스에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앱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서비스 앱을 통한 동의 절차 없이 임시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발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은 별도의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의 인증 프로세스 없이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되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매신저 앱의 웹뷰를 통해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로 진입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로그인 과정은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상품 화면(80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서비스의 상품 화면(800)을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장바구니(카트)' 버튼(801)을 선택함으로써, 상품 주문을 위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장바구니(카트)' 버튼(801)의 선택 시,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된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임시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발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장바구니(카트)' 버튼(801)을 선택하였으므로, 사용자 행태 정보가 저관여 행태 정보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저관여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외부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장바구니(카트) 화면(810)을 표시하고, 장바구니(카트) 화면(810)에 표시된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료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주문하기' 버튼(811)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주문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주문하기' 버튼(811)의 선택 시,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의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된 경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앱 및 사용자 계정 간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주문하기' 버튼(811)을 선택하였으므로, 사용자 행태 정보가 고관여 행태 정보에 속한다고 판단하여,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개인 정보 제공의 동의 절차에 대한 동의 확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상품 주문을 위한 절차의 진행 중 제 3 자 동의 화면(8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의 제 3자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팝업창(821)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동의하고 결제 계속하기" 버튼(822)이 선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개인 정보(예를 들어, CI,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등) 및 고관여 행태 정보를 임시 식별자와 함께 외부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할 기존 회원을 찾고, 매핑되는 회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규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배송지 화면(830) 및 결제 화면(미도시)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필요 정보(예를 들어, 배송지 정보, 결제 정보 등)를 입력받아 해당 상품의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또는, 배송지 정보 및 결제 정보가 개인 정보에 포함되어 외부 서버(130)에게 제공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배송지 화면(830)에 배송지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고, 결제 화면(미도시)에 결제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해당 상품의 주문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행태 정보에 따라 별도의 로그인 또는 회원 가입 없이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외부 서비스를 관리하는 외부 서버(130)는 사용자의 저관여 액션을 통해 사용자가 어떤 컨텐츠, 서비스, 상품에 관심을 가졌고, 어떤 계기로 고관여 행태 정보에 관한 액션까지 수행하게 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에 대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멤버쉽 서비스와 관련된 배너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멤버쉽 서비스와 관련된 배너(900)를 통해 서비스 앱(메신저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배너(900)는 QR 코드(9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스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QR 코드 스캔 화면(910)을 통해 배너(900)의 QR 코드(901)를 스캔하면, QR 코드(901)에 매칭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공식 파트너 친구 추가 단계 혹은 멤버쉽 발급 동의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스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메신저 앱)이 아닌 타서비스 앱의 QR 코드 스캔 화면(920)을 통해 QR 코드(921)를 스캔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타서비스 앱을 통해QR 코드(921)와 연동되는 링크(922)를 표시하고, 해당 링크(922)를 통해 서비스 앱(923)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쉽 분기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b,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면, 분기 화면(930)은 사용자의 상태 식별을 위해 존재하는 페이지로, 분기 화면(930)을 통해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 유무, 멤버쉽 유무, 사용자가 보유한 멤버쉽 타입 등이 식별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분기 화면(930)의 화면 전환이 빠른 경우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분기 화면(930)을 백서비스단에서 처리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 가능한 분기 화면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분기 화면(930)은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서 멤버쉽 서비스가 계속 진행하고,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 등록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분기 화면(930)은 사용자가 멤버쉽이 없고, 외부 서버(130)가 사용자 계정에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멤버쉽용 친구 추가를 위한 팝업을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멤버쉽이 없고, 외부 서버(130)가 사용자 계정에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멤버쉽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분기 화면(930)은 사용자가 미등록된 멤버쉽을 보유한 경우, 미등록 멤버쉽 페이지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등록된 멤버쉽을 보유한 경우, 등록 멤버쉽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멤버쉽 유무 및 보유한 멤버쉽 타입 등의 확인은 외부 서버(1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를 외부 서버(130)로 전달하면, 외부 서버(130)는 임시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멤버쉽 등록 여부 및 바코드, 보유 포인트, 등급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임시 식별자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됨으로써, 외부 서비스(예를 들어, 멤버쉽)에 직접 가입하지 않고도, 바코드 생성, 보유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쉽용 친구 추가 팝업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의 멤버쉽을 가지고 있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이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분기 화면(940) 상에 멤버쉽용 친구 추가 팝업 화면(94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멤버쉽용 친구 추가 팝업 화면(941)의 '확인' 버튼(942)을 입력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등록 멤버쉽을 신규로 발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에게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외부 서버(130)로 전달하면, 도 9f와 같이 멤버쉽 바코드,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미등록 멤버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등록 멤버쉽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f를 참조하면, 미등록 멤버쉽 화면(950)은 서비스 앱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발급된 임시 식별자가 외부 서버(130)로 전달된 상태로, 멤버쉽 바코드(951), 포인트 정보(952) 및 멤버쉽 등록 버튼(953)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등록 멤버쉽이 발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웰컴 포인트가 지급되고, 관련 정보가 팝업의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미등록 멤버쉽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 구입시, 미등록 멤버쉽의 바코드(951)를 이용하여 적립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등록 멤버쉽을 통해 이용되는 멤버쉽 서비스는 사용자의 행태 정보 중 저관여 행태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멤버쉽 등록 버튼'(953)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회원 등록을 위한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의 제 3 자 제공 동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g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멤버쉽 등록 버튼'(953)을 선택한 경우, 등록 멤버쉽을 통해 이용되는 멤버쉽 서비스는 사용자의 행태 정보 중 고관여 행태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을 통해 동의 절차에 대한 '동의 확인 창'(960)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제 3 자 제공 동의 및 공식 파트너 친구의 약관 동의에 대한 '멤버쉽 동의'(961)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9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 멤버쉽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h를 참조하면, 등록 멤버쉽 화면(970)은 사용자가 기등록된 멤버쉽 회원이거나, 미등록 멤버쉽의 사용자가 '멤버쉽 등록 버튼'(953)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등록 멤버쉽 화면(970)은 멤버쉽 바코드, 멤버쉽 포인트 외에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971)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공식 파트너 친구와의대화창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i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된 외부 서버(130)와의 대화창 화면(980)을 통해 멤버쉽 적립, 차감, 보유 포인트 안내 등의 알림 메시지(981)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에 대한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멤버쉽 서비스와 관련된 미니 포스터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매장은 QR 코드를 포함하는 미니 포스터(1000)를 통해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스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QR 코드 스캔 화면(1001)을 통해 미니 포스터(1000)의 QR 코드(1002)를 스캔할 수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에 매칭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계정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QR 코드에 매칭되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화면(10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친구추가'(1011) 버튼을 입력받아 친구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계정 화면(1010)은 멤버쉽 카드, 진행중 이벤트와 같은 공지 사항(101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멤버쉽 카드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멤버쉽 카드 화면(1020)을 통해 서비스 앱의 월렛(wallet) 에서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멤버쉽 카드(102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하여 적립한 적립 스탬프(102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된 오프라인 매장과의 대화창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e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공식 파트너 친구로 등록된 오프라인 매장의 대화창 화면(1030)을 통해 멤버쉽 적립, 차감, 보유 포인트 안내 등의 알림 메시지(1031)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친구 등록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f를 참조하면, 도 10b에서 도 10c로 진행되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의 대화창 상에 오프라인 매장의 프로필이 팝업창(1041)이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친구 추가에 대한 '확인' 버튼(1022)을 입력받으면, 오프라인 매장이 공식 파트너 친구로 친구 리스트에 등록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자 단말에서 멤버쉽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멤버쉽 카드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앱에서 제공하는 월렛(wallet)을 통해 멤버쉽 카드(1100)를 오프라인 매장에 제시할 수 있다. 멤버쉽 카드(1100)는 예를 들어, 상호명(1101), 멤버쉽 카드 바코드 및 번호(1102) 및 적립 스탬프(11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멤버쉽 카드를 스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기(미도시)는 서비스 앱과 연동된 관리자 앱의 스캔 화면(1110)을 통해 사용자의 멤버쉽 카드를 스캔(1111)하고,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기(미도시)의 관리자로부터 적립할 스탬프의 수(1112)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 적립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c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적립할 스탬프의 수(1121)를 입력받고, '적립' 버튼(1122)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의 대화창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d를 참조하면, 도 11c에서 스탬프가 적립되면,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 매장과의 대화창(1130)을 통해 스탬프 적립 알림 메시지(1131)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의 대화창을 통해 타겟 메시지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e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 매장과의 대화창을 통해 이벤트, 멤버쉽 등과 관련된 타겟 메시지(1132)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e를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e를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서비스 제공 서버
130: 외부 서버
210: 로그인부
220: 요청부
230: 서비스 제공부
240: 행태 정보 발생부
250: 동의 확인부
410: 요청부
420: 서비스 제공부
430: 식별자 관리부
440: 수집부

Claims (18)

  1. 사용자 단말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는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수집되는 것이되,
    상기 임시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동의 절차 없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발급되고,
    상기 사용자 계정은 상기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동의 절차 없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해 수집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저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저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지 않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고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동의 절차에 대한 동의 확인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의 확인 페이지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상기 외부서버에 의해 수집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의 확인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복수의 동의 항목 중 상기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의 항목을 선별하여 상기 동의 확인 페이지를 통해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멥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9.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외부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하여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동의 절차 없이 상기 임시 식별자를 발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은 상기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동의 절차 없이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저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저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지 않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저관여 행태 정보를 상기 임시 식별자와 함께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행태 정보는 고관여 행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관여 행태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 수행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이 요구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 수집을 위해 동의 절차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개인 정보를 더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고관여 행태 정보를 상기 임시 식별자와 함께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18.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서비스 앱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고,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 외부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행태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임시 식별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발생된 행태 정보는 상기 확인된 임시 식별자에 매칭되어 수집되고,
    상기 임시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동의 절차 없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발급되고,
    상기 사용자 계정은 상기 발급된 임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외부 서비스에 임시 로그인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45181A 2018-11-22 2018-11-22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9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81A KR102195843B1 (ko) 2018-11-22 2018-11-22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81A KR102195843B1 (ko) 2018-11-22 2018-11-22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81A KR20200059881A (ko) 2020-05-29
KR102195843B1 true KR102195843B1 (ko) 2020-12-28

Family

ID=7091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81A KR102195843B1 (ko) 2018-11-22 2018-11-22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040B1 (ko) * 2021-12-24 2022-08-22 김재균 어플리케이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30120422A (ko) * 2022-02-09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계정에 친구를 추가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168A (ja) * 2001-06-27 2003-01-17 Ntt Data Corp 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40B1 (ko) 2008-11-27 2010-09-07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007797A (ko) *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방형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8732802B2 (en) * 2012-08-04 2014-05-20 Facebook, Inc.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user from a third party application based on action types
KR20140086809A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멤버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201735B1 (ko) * 2013-12-23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168A (ja) * 2001-06-27 2003-01-17 Ntt Data Corp 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81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476B2 (en) Managing data on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10621377B2 (en) Managing data on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801825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networking over mobile devices using profiles
US20070214180A1 (en) Social network application for processing image or video data from wireless devices of use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20090024530A1 (en) Automatic gift messaging system
US20140039995A1 (en) System and Method of Customer Acquisition Leveraging Social Media and Automating Billing Reflecting Rewards for Customer Acquisition
KR102195843B1 (ko)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7280290A (ja) 地域広告システム
JP2017537402A (ja) ウェブページの商品情報に対応する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生成する方法及びサーバ、並びに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受信するデバイス
US20230300098A1 (en) Managing data on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786268B1 (ko) 이동 단말의 sms를 활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FR3028638A1 (fr) Procede de mise en relation entre un terminal mobile et un serveur d'un fournisseur de service
US11349799B2 (en) Managing data on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TWI705402B (zh) 一種基於社群網站的會員系統與其運作方法以及基於社群網站的會員訂餐系統的運作方法
KR20090127396A (ko) 모바일 쿠폰 교환 시스템
KR20230147838A (ko) Rcs 메시지를 이용한 메시지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RU94018U1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учета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акетов данных
JP2012256269A (ja) 紙媒体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紙媒体関連情報提供方法
KR20150021089A (ko) 핫팩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핫팩 서비스 서버, 통신용 단말기 및 방법
KR20090015181A (ko) 마일리지를 이용한 쿠폰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