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551B1 -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551B1
KR102195551B1 KR1020187019118A KR20187019118A KR102195551B1 KR 102195551 B1 KR102195551 B1 KR 102195551B1 KR 1020187019118 A KR1020187019118 A KR 1020187019118A KR 20187019118 A KR20187019118 A KR 20187019118A KR 102195551 B1 KR102195551 B1 KR 102195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rtual currency
password
identification cod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870A (ko
Inventor
다와이 유앤
예페이 조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콜들라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콜들라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콜들라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13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태이며,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또는 상기 씨드 암호와 자체 정의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화폐 지갑을 암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고, 상기 비밀키에 대응되는 식별 코드를 구비하는 저장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 주소에 지불한 상기 가상화폐를 접수하며; 입력된 지불 주소에 따라 상기 지불 주소에 대응되는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며; 상기 제2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는 거래정보를 발표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식별 코드를 서로 스캔하여 정보를 교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은 가상화폐 저장거래 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한다.

Description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본 출원은 2017년 05월 05일자로 제출한 특허 명칭이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인 제2017103131003호 중국 특허출원을 인용하였으며, 상기 특허는 인용되는 방식으로 전부 본 출원에 병합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화폐 지불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이 고속 발전하는 현재에서, 실물 화폐는 사람들의 자금 유동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따라 가상화폐가 출현되었으며,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첨단 기술에서 실물 화폐를 대체하여 유통되는 정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의미한다.
종래의 가상화폐는 각 운영사의 서버에 저장되고, 충전 및 지불이 필요할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되지만, 가상화폐를 원격 서버에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하는 방식은 계좌 등 사적인 정보가 불법 분자에 의해 도용되기 쉬워 가상화폐의 저장 및 거래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가상화폐의 저장거래 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긴급히 해결하여야할 과제로 되었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태이며,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또는 상기 씨드 암호와 자체 정의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화폐 지갑을 암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고, 상기 비밀키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구비하는 저장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 주소에 지불한 상기 가상화폐를 접수하며; 입력된 지불 주소에 따라 상기 지불 주소에 대응되는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며; 상기 제2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는 거래 정보를 발표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식별 코드를 서로 스캔하여 정보를 교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단말은, 지불할 금액과 상기 지불 주소를 입력한 후 트리거되는 전송 동작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자체 정의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자체 정의 암호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대한 확인 동작을 입력 받고, 상기 자체 정의 암호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거래 전송을 확인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지불할 금액을 전송하는 거래 동작을 확인하고 거래 기록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은 가상화폐 거래 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이하의 도면들로부터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기타 도면들을 획득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거래 과정의 화면 캡처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한 화면 캡처이며,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는 것에 대한 미리 배치한 화면 캡처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이미 존재하는 지갑을 복구하는 것에 대한 미리 배치한 화면 캡처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상용 지불 주소를 미리 배치하는 화면 캡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고 일부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기타 모든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제1 단말(1) 및 제2 단말(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1)은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태이며, 맞춤 제작을 통해 제1 단말(1)이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또는 상기 씨드 암호와 자체 정의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화폐 지갑을 암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고, 즉, 각각의 씨드 암호는 복수 개의 비밀키에 대응될 수 있으며, 가상화폐의 종류는 비트코인, 라이트코인일 수 있으며, 가상화폐 지갑은 제1 단말(1)에 등록된 계좌으로 이해될 수 있고, 씨드 암호는 제1 단말(1)에서 랜덤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생성 방법은 해당 분야의 성숙된 기술로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며, 하나의 씨드 암호는 여러가지 부동한 종류의 가상화폐에 대응될 수 있고, 씨드 암호를 획득한 후 백업하여야 하며, 씨드 암호를 다른 사람한테 누설하여서는 안되며, 씨드 암호가 분실되면 지갑 내의 가상화폐를 잃어버리게 되고, 구체적인 백업 방식은 기록을 적어놓거나 복사하여 파일에 붙혀 놓는 방식 등이 있다. 자체 정의 암호는 씨드 암호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알려 자체로 설정하는 암호일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자모 또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밀키는 씨드 암호와 자체 정의 암호로부터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씨드 암호로부터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비밀키에 의해 지갑 내의 가상화폐의 안전한 저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키에 대응되는 식별 코드를 구비하는 저장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 주소에 지불한 상기 가상화폐를 접수하며; 저장 주소는 지갑 내의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주소로 이해할 수 있고 부동한 종류의 가상화폐는 부동한 저장 주소에 대응될 수 있으며, 즉, 비트코인은 어느 한 종류의 저장 주소에 대응되고 라이트코인은 다른 한 종류의 저장 주소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동일한 종류의 가상화폐는 복수 개의 부동한 저장 주소에 대응될 수 있고, 즉, 가상화폐의 종류가 모두 비트코인일 경우에도 복수 개의 부동한 저장 주소에 대응될 수 있으며; 기타 단말은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저장 주소로 가상화폐를 지불하며, 즉,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는 외부로부터 지갑에 지불하는 지불 입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1)은 입력된 지불 주소에 따라, 상기 지불 주소에 대응되는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한다. 지불 주소는 제1 단말(1)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제3자는 제1 단말(1)내의 지갑으로부터 가상화폐를 지불하는 기타 단말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2)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는 거래 정보를 발표하고, 부동한 가상화폐의 종류에 따라 관련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며, 즉, 가상화폐의 종류가 비트코인일 경우, 비트코인과 관련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가상화폐의 종류가 라이트코인일 경우, 라이트코인과 관련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또한, 제2 단말(2)은 제1 단말(1)의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업데이트된 후의 가상화폐의 금액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단말(2)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3자와 연결되어 지불 거래의 과정을 실현하며, 거래 정보는 거래 시간, 거래 금액, 수수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과 상기 제2 단말(2)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식별 코드를 서로 스캔하여 정보를 교류한다. 상응한 제1 단말(1) 또는 제2 단말(2)에서 카메라 권한을 개통하여야 하며, 즉, 제2 단말(2)은 제1 단말(1)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식별 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제2 단말(2)에서 카메라 권한을 개통하여야 한다), 제1 단말(1)은 제2 단말(2)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식별 코드를 스캔할 수 있으므로(제1 단말(1)에서 카메라 권한을 개통하여야 한다), 전자기파로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식별 코드로 정보를 전송하여 비밀키의 안전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가상화폐의 저장거래 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식별 코드는 QR코드이고, 바코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현재 통상적인 QR코드를 식별 코드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광범위한 사용에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비밀키는 또한 공개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공개키는 상기 저장 주소를 생성하며, 상기 공개키는 한 줄의 이진 코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공개키를 통해 제3자가 상기 저장 주소를 더욱 용이하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써 상기 시스템의 보급에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공개키와 상기 비밀키는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다. 비밀키는 공개키와 같이, 모두 한 줄의 이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공개키는 외부에 공개 표시될 수 있고 비밀키는 영원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공개키와 비밀키를 쌍으로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키가 용이하게 해독되지 않도록 하며 가상화폐의 저장이 더욱 안전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지불 주소는 상기 제1 단말(1)내에 미리 저장되고 표기되어 있다. 매번 제3자에게 가상화폐를 지불할 때마다 지불 주소를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용 지불 주소를 제1 단말(1)내에 미리 저장할 수 있고, 표기는 지불 과정을 편리하도록 지불 주소에 대응되는 명칭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지불 주소를 제1 단말(1)내에 저장하고 표기하여 지불 과정을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제1 단말(1)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씨드 암호를 복구한다. 씨드 암호가 분실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통해 씨드 암호를 복구할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은 씨드 암호를 통해 자체 정의 암호를 복구함으로써 자체 정의 암호가 분실될 경우에도 상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기에 상기 시스템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단말은, 지불할 금액과 상기 지불 주소를 입력한 후 트리거되는 전송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자체 정의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지불할 금액과 상기 지불 주소를 입력한 후 트리거되는 전송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자체 정의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거래 과정의 화면 캡처이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금 주소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불 주소에 대응되고, 복수 개의 지불할 금액과 상기 지불 주소를 입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송한다. 제1 단말은 지불할 금액과 상기 지불 주소를 입력한 후 트리거되는 전송 동작을 입력 받은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자체 정의 암호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고, 상기 자체 정의 암호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고, 상기 자체 정의 암호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도 2c는 거래 과정의 기다림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생성된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가 디스플레이되고, 도면의 "열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단말에 대응되고, 스캔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취소 또는 기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거래 전송을 확인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지불할 금액을 전송하는 거래 동작을 확인하고 거래 기록 정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거래 전송을 확인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지불할 금액을 전송하는 거래 동작을 확인하고 거래 기록 정보를 형성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은 "스캔"을 통해 제1 단말의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를 스캔한 후,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불 주소와 지불할 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내어 "거래전송"을 확인하는 트리거 동작을 일으키도록 하며, 거래 전송을 확인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전송의 기다림을 디스플레이한 후, 도 2h,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기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정보는 거래 시간, 거래 금액, 수수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은 가상화폐의 저장거래 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한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가상화폐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은, 잔액을 리프레시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잔액을 리프레시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한 화면 캡처이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액을 리프레시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스캔한 후 복귀하는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스캔한 후 복귀하는 식별 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한다. 제1 단말이 스캔한 것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에 따라 제2 단말에 생성된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식별 코드이고, 스캔한 후 제1 단말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 후의 가상화폐의 금액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생성된 저장 주소에 대응되는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생성된 저장 주소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제2 단말은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도면의 "콜드 지갑"은 제1 단말에 대응되고, UTXO 수량은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 하는 식별 코드의 데이터에 대응된다(데이터량이 클 경우, 복수 개의 분할된 식별 코드를 순차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은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한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상기 방법 전에 상기 제1 단말을 미리 배치하고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사용자가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알려 주는 제1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사용자가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알려주는 제1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는 것에 대한 미리 배치한 화면 캡처이고, 초기 화면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하며, 그 위의 팝업창은 사용자가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알려 주는 제1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 및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2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제1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 및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상기 사용자를 알려 주는 제2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제1 단말은 상기 제1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받게 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는 생성된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 및 씨드 암호 하부의 "암호를 적어서 안전한 곳에 보관하였음"에 대응되는 제2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의 동작의 편이를 위하여, "복사", "QR코드 생성"의 버튼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취소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다시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제2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다시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단말은 상기 제2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다시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씨드 암호에 대하여 복사, 붙이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씨드 암호 입력창에 내용이 입력된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씨드 암호 입력창에 내용이 입력된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단말은 상기 씨드 암호 입력창에 내용이 입력된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는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되면, 상기 씨드 암화와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지갑의 비밀키 및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상응한 저장 주소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씨드 암화와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지갑의 비밀키 및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상응한 저장 주소를 생성한다. 제1 단말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다림 화면,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장 주소 식별 코드 및 하부의 공개키를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이미 존재하는 지갑을 복구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이미 존재하는 지갑을 복구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이미 존재하는 지갑을 복구하는 것에 대한 미리 배치한 화면캡처이고, 제1 단말은 이미 존재하는 지갑을 복구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입력창에 입력된 내용의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입력창에 입력된 내용의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단말은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입력창에 입력된 내용의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는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씨드 암호와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따라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비밀키 및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상응한 저장 주소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씨드 암호와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따라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비밀키 및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상응한 저장 주소를 생성한다. 제1 단말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다림 화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장 주소 식별 코드 및 하부의 공개키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은 상기 시스템을 미리 설치하여 상기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한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은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지불할 금액의 데이터량이 클 경우, 제1 단말이 일일히 스캔하도록 복수 개의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은,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지불금 약량이 클 경우에도 상기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하 상용 지불 주소의 설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상용 지불 주소를 미리 배치하는 화면 캡처이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하여 "통신록"의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의 옵션의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후의 동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화면에 상기 지불주소에 대응되는 명칭, 부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은 지불 주소를 제1 단말에 저장하고 표기함으로써 지불 과정을 편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프로그램의 명령과 관련되는 하드웨어로 완성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수행 시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플롭티컬 디스크 등 프로크램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분리 부재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아닌 것일 수 있으며, 유닛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부재는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상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의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분 모듈 또는 전부의 모듈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이해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 실시 형태는 소프트웨어와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실현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기술에 대한 공헌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플롭티컬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가 각 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일부 부분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한다.
유의할 것은, 상술한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설명할 뿐 이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상기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 방안에 대하여 수정을 할 수 있으며, 또는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술 특징을 균등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상응한 기술 방안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태이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랜덤으로 생성되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또는 상기 씨드 암호와 상기 씨드 암호 생성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체 정의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화폐 지갑을 암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고, 상기 비밀키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구비하는 저장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 주소에 지불한 상기 가상화폐를 접수하며;
    입력된 지불 주소에 따라 상기 지불 주소에 대응되는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고;
    상기 제2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가상화폐를 지불하는 거래 정보를 발표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식별 코드를 서로 스캔하여 정보를 교류하되,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지불할 금액을 전송하는 거래 동작을 확인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가상화폐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스캔한 후 복귀하는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는 공개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공개키는 상기 저장 주소를 생성하며, 상기 공개키는 한 줄의 이진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키와 상기 비밀키는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쌍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주소는 상기 제1 단말에 미리 저장되고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6.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자체 정의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씨드 암호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7. 청구항1의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지불할 금액과 상기 지불 주소를 입력한 후 트리거되는 전송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자체 정의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체 정의 암호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대한 확인 동작을 입력 받고, 상기 자체 정의 암호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지불할 금액에 대한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거래 전송을 확인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지불할 금액을 전송하는 거래 동작을 확인하고 거래 기록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가상화폐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가상화폐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잔액을 리프레시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저장 주소의 식별 코드를 스캔한 후 복귀하는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생성된 저장 주소에 대응되는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스캔하도록 상기 가상화폐의 금액을 업데이트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전에 상기 제1 단말을 미리 배치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사용자가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알려주는 제1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 및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백업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제2 알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알림정보에 대한 트리거 확인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새로운 지갑의 씨드 암호를 다시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씨드 암호 입력창에 내용이 입력된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되면, 상기 씨드 암호와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지갑의 비밀키 및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상응한 저장 주소를 생성하고; 또는,
    이미 존재하는 지갑을 복구하는 트리거 동작을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씨드 암호 입력창에 입력된 내용의 확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내용이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정의 암호를 설정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자체 정의 암호 확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체 정의 암호 입력창 및 입력창을 확인하는 상기 확인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상기 씨드 암호와 상기 자체 정의 암호에 따라 상기 이미 존재하는 지갑의 비밀키 및 상기 가상화폐를 저장하는 상응한 저장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지불할 금액의 식별 코드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사용방법.
KR1020187019118A 2017-05-05 2017-09-22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KR102195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13100.3 2017-05-05
CN201710313100.3A CN107194676A (zh) 2017-05-05 2017-05-05 一种虚拟币存储交易系统及其使用方法
PCT/CN2017/102850 WO2018201657A1 (zh) 2017-05-05 2017-09-22 一种虚拟币存储交易系统及其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870A KR20180135870A (ko) 2018-12-21
KR102195551B1 true KR102195551B1 (ko) 2020-12-28

Family

ID=5987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118A KR102195551B1 (ko) 2017-05-05 2017-09-22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80318A1 (ko)
EP (1) EP3457343A4 (ko)
JP (1) JP6603792B2 (ko)
KR (1) KR102195551B1 (ko)
CN (1) CN107194676A (ko)
WO (1) WO2018201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89206A1 (en) * 2018-02-15 2019-08-22 Gk8 Ltd Cryptocurrency wallet and cryptocurrency account management
CN108573140B (zh) * 2018-05-02 2020-06-30 大连声鹭科技有限公司 智能印章及其建立在云端服务器且基于区块链技术的智能印章服务系统
CN108681890A (zh) * 2018-05-21 2018-10-19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私密信息的处理方法、处理设备以及处理系统
CN108776895A (zh) * 2018-05-28 2018-11-09 夸克链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模式移动冷钱包的实现
CN108510258A (zh) * 2018-06-01 2018-09-07 黄君 一种基于usb otg设备的区块链数字货币转账系统
CN108959465B (zh) * 2018-06-19 2022-03-0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业务数据的存储、读取方法、装置及服务器
US11025425B2 (en) 2018-06-25 2021-06-01 Elasticsearch B.V. User security token invalidation
US11223626B2 (en) 2018-06-28 2022-01-11 Elasticsearch B.V. Service-to-service role mapping systems and methods
CN108898016A (zh) * 2018-06-29 2018-11-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攻击防护方法及装置
US11196554B2 (en) * 2018-07-27 2021-12-07 Elasticsearch B.V. Default password removal
CN110830414B (zh) * 2018-08-07 2022-04-08 吴勋 加密方法和装置、解密方法和装置
CN109118187B (zh) * 2018-08-30 2021-07-23 神州数码融信软件有限公司 区块链钱包的恢复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85801B (zh) * 2018-10-25 2020-02-21 恩旺股份有限公司 一種線上及線下的虛擬貨幣轉移方法及其系統
US11023598B2 (en) 2018-12-06 2021-06-01 Elasticsearch B.V. Document-level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US20220027866A1 (en) * 2018-12-07 2022-01-27 All It Top Co., Ltd. Digital virtual currency issued by being matched with biometric authentication signal, and transaction method therefor
KR102060976B1 (ko) * 2019-02-01 2020-01-03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디지털 가상화폐를 qr(또는 bar)코드와 매칭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전송 방법
JP2022065210A (ja) * 2019-02-26 2022-04-27 株式会社AndGo 暗号通貨を避難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US20200356989A1 (en) 2019-05-07 2020-11-12 Puzzzle Cybersecurity Ltd. Transferring digital assets possession over a unidirectional connection
CN110472951A (zh) * 2019-08-19 2019-11-19 韩岳忠 一种基于区块链的虚拟币便携式电子钱包的工作方法
JP7075917B2 (ja) * 2019-10-18 2022-05-26 真敬 森下 管理装置、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端末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CN111401888B (zh) * 2020-03-05 2023-07-07 北京庚金科技有限公司 一种生成多重签名钱包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3790A (zh) * 2013-09-18 2014-09-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过移动终端提供授权的方法及系统
KR101628009B1 (ko) *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CN106533661A (zh) * 2016-10-25 2017-03-22 北京大学 基于组合公钥的密码学货币地址在线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6640B (zh) * 2014-01-07 2015-07-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对用户资源信息进行处理的方法及系统
US20160125403A1 (en) * 2014-04-28 2016-05-05 Chin-hao Hu Offline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CN103927656A (zh) * 2014-05-05 2014-07-16 宋骊平 一种内嵌固定收款地址的比特币终端钱包及其比特币支付方法
WO2015183497A1 (en) * 2014-05-06 2015-12-03 Case Wallet, Inc. Cryptocurrency virtual wallet system and method
JP6304076B2 (ja) * 2015-03-05 2018-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992458A1 (en) * 2015-07-14 2017-01-19 Fmr Llc Computationally efficient transfer processing, auditing, and search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10089609B2 (en) * 2015-12-14 2018-10-0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s for online/offline synchronization
CN106204041B (zh) * 2016-07-14 2018-10-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卡券使用系统、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3790A (zh) * 2013-09-18 2014-09-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过移动终端提供授权的方法及系统
KR101628009B1 (ko) *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CN106533661A (zh) * 2016-10-25 2017-03-22 北京大学 基于组合公钥的密码学货币地址在线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7343A1 (en) 2019-03-20
US20190080318A1 (en) 2019-03-14
JP2019517038A (ja) 2019-06-20
CN107194676A (zh) 2017-09-22
EP3457343A4 (en) 2019-11-06
JP6603792B2 (ja) 2019-11-06
KR20180135870A (ko) 2018-12-21
WO2018201657A1 (zh)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551B1 (ko) 가상화폐 저장거래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US20210224795A1 (en) Escrow non-face-to-face cryptocurrency transa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phone number
US201502546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urrency paper wallet
CN107533702B (zh) 支付系统中的动态支付账户指示符
CN108717652B (zh) 订单处理系统及方法、订单服务端、第二客户端
WO2019224719A1 (en) Secure multiple cryptocurrency wallet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1897165A (zh) 数据处理系统中验证用户的方法
CN103778728A (zh) 一种在自动柜员机上无银行卡实现交易的方法及系统
CN106779698B (zh) 一种支付标记的分发及其安全支付方法、系统及装置
CN102968717A (zh) 一种电子支付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3400265A (zh) 一种基于位置信息的快速支付方法及系统
WO2014090094A1 (zh) 基于二维码的取款系统以及基于二维码的取款方法
CN101236675A (zh) 一种借助于用户手机短信核验银行终端设备合法性的方法
CN105554908A (zh) 实现扫码蓝牙自动连接方法、主设备、从设备和系统
CN103942897A (zh) 一种在atm机上实现无卡取款的方法
CN101599192B (zh) 实现银行卡安全保护的方法
US20230093581A1 (en) Method for directly transferring electronic coin data sets between terminals, payment system, currency system and monitoring unit
CN109922109A (zh) 服务提供方法、系统及设备
KR20140145190A (ko) 전자 거래 방법
KR20150011933A (ko) 가맹점 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CN111062717A (zh) 一种数据转移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35470A2 (ja) データ構造、送信装置、受信装置、決済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80183805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ation of simple, sequential and parallel requests with means of authorization through previously defined parameters
US20200090139A1 (en) Voucher verification auxiliary device, voucher verification auxiliary system, and voucher verification auxiliary method
US20210385093A1 (en) Digital signature terminal and secure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