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28B1 - 복합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28B1
KR102195228B1 KR1020160067683A KR20160067683A KR102195228B1 KR 102195228 B1 KR102195228 B1 KR 102195228B1 KR 1020160067683 A KR1020160067683 A KR 1020160067683A KR 20160067683 A KR20160067683 A KR 20160067683A KR 102195228 B1 KR102195228 B1 KR 10219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water
liquid
steam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138A (ko
Inventor
김규종
김대희
김정래
김현정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2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9/00Regenerating or otherwise treating steam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4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ndensa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복합발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담수화부에서 생성된 증기를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저온의 액체산소 또는 저온의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응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응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발전 시스템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스화부의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저온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담수화부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복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火力發電)은 기체연료, 액체연료 또는 화석연료(化石燃料)를 연소시켜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로 회전기기를 회전시켜 발전하는 방식으로,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출됨으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로 가스터빈을 회전시켜 1차로 발전하고, 가스터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증기로 증기터빈을 회전시켜 2차로 발전하는 복합발전(復合發電)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복합발전은 두 차례에 걸쳐 발전하기 때문에 화력발전보다 열효율이 우수하고, 환경오염이 적으며, 정지 후 재가동하는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복합발전은 석탄을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에 비하여 발전소의 건설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가스화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부와 상기 가스화부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발전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의 폐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화시키는 담수화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담수화부는 상기 발전부의 폐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고, 해수의 가열시 생성되는 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복합발전 시스템은 해수의 가열시 생성된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응축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복합발전 시스템과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6685호(2016년 04월 05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복합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복합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공기를 액체산소와 액체질소로 분리하는 공기분리기와 상기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산소를 공급받아 연료를 연소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기를 가지는 가스화부; 상기 가스화부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발전하며, 발전시 생성된 증기를 해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복수기를 가지는 발전부; 상기 복수기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한 후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하는 담수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화부에서 생성된 증기는 상기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액체산소와 액체질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응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담수화부에서 생성된 증기를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저온의 액체산소 또는 저온의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응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응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가스화부(100), 발전부(200) 및 담수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스화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화부(100)는 기체연료, 액체연료 또는 화석연료(化石燃料)를 연소하여 가연성 가스인 합성가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가스화기(110), 공기분리기(130), 폐수처리기(140) 및 정제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석탄을 연료로 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한 후 발전하는 시스템을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이라 한다. 석탄은 슬러리(Slurry) 형태로 투입되거나, 미분탄 형태로 투입될 수 있다. 슬러리 형태의 석탄은 산화제인 공기 또는 산소와 함께 물이 투입되고, 미분탄 형태의 석탄은 산화제인 공기 또는 산소와 함께 증기가 투입된다.
이하에서는, 화석연료인 미분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스화기(110)는 미분탄을 연소하여 원시(Raw) 합성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미분탄을 가스화기(1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석탄저장용기(121)와 석탄저장용기(121)에 저장된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기(125)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화기(110)에서 미분탄을 연소하기 위해서는 산화제인 산소가 필요하며, 공기분리기(130)는 산소는 생성될 수 있다. 불순물이 제거된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면 산소와 질소의 끓는점의 차이로 인하여 공기는 저온의 액체산소와 저온의 액체질소로 분리된다. 공기분리기(130)에서 분리된 액체산소는 열교환을 거친 후 가스화기(110)로 공급될 수 있다.
가스화기(110)에서 미분탄이 연소됨으로 인하여 생성된 원시 합성가스에는 이산화탄소, 황화카르보닐(COS) 및 황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황화카르보닐(COS) 및 황화수소가 산성 가스이다.
석탄에는 불연소 물질인 석탄회분이 대략 2∼20% 정도 함유되어 있다.
석탄회분의 대략 20%는 가스화기(110)의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용융되어 여러 입자가 응결된 슬래그(Slag)가 되어 물과 함께 가스화기(110)의 하부와 연통 설치된 호퍼(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폐수처리기(140)는 가스화기(110)에서 배출된 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폐수처리기(140)에서 처리된 물은 가스화기(110)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석탄회분의 나머지 대략 80%는 각 입자별로 연소되어 원시 합성가스의 흐름에 따라 비산하며, 정제장치(150)는 가스화기(110)에서 생성된 석탄회분이 함유된 원시 합성가스를 정제할 수 있다.
정제장치(150)는 원시 합성가스에 함유된 플라이애쉬를 포함한 분진을 분리한 후 집진하여 제거하는 분진제거기(151), 분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가수분해하여 황 성분을 제거하는 가수분해기(153), 황 성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산성가스와 순수 합성가스로 분리하는 산성가스제거기(155) 및 산성가스를 황과 황산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황제거기(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수분해기(153)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가스는 폐수처리기(140)로 유입되어 처리될 수 있고, 폐수처리기(140)는 사워가스(Sour Gas)를 황제거기(157)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황제거기(157)는 테일가스(Tail Gsa)를 사용처로 이송할 수 있다.
산성가스제거기(155)에서 분리된 순수 합성가스는 발전부(200)로 공급되어 발전을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발전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전부(200)는 가스터빈(210), 폐열회수보일러(220), 증기터빈(230) 및 복수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터빈(210)은 산성가스제거기(155)에서 분리된 순수 합성가스를 공급받아 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스터빈(210)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산성가스제거기로부터 공기 및 합성가스를 각각 공급받아 합성가스를 연소하는 연소기 및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된 연소가스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발전기를 구동하는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빈을 구동시킨 연소가스는 고온 상태로 배출될 수 있으며, 폐열회수보일러(220)는 가스터빈(21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할 수 있다.
폐열회수보일러(220)로 유입되어 증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배기가스는 폐열회수보일러(220)의 내부에 설치된 탈질(脫窒)모듈(미도시) 등에 의해 정제된 후, 연돌(煙突)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증기터빈(230)은 폐열회수보일러(220)에서 생성된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또 다른 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고, 증기터빈(230)의 구동에 사용된 증기는 복수기(240)에서 응축되어 폐열회수보일러(220)로 재유입될 수 있다.
복수기(240)의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냉각수가 필요하므로, 해수를 이용하여 복수기(240)의 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기(240)의 증기를 응축시킨 후 배출되는 해수는 상대적으로 고온이므로, 복수기(24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담수화시키면 해수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담수화부(300)에서 생성된 증기를 공기분리기(130)에서 생성된 저온의 액체산소 또는 저온의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응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응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다음에는, 공기분리기(130)에서 생성된 저온의 액체산소 또는 저온의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담수화부(300)에서 생성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담수화부(300)는 해수를 저장하는 해수저장통, 상기 해수저장통의 해수를 가열하는 열원(熱源), 상기 해수저장통과 일측이 연통되며 해수의 가열시 생성된 증기가 통과하는 증기관로(310) 및 증기관로(310)의 증기가 응축되면서 생성되는 담수가 저장되는 담수저장통(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해수를 담수화부(30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해수관로(411)가 설치될 수 있고, 해수관로(411)로 유입된 해수는 복수기(240)의 증기를 응축시킨 후, 복수기(24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복수기(240)에서 배출된 해수가 담수화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분리기(130)에서 생성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413)가 설치될 수 있고, 액체가스관로(413)와 증기관로(310) 사이에는 일측은 액체가스관로(413)와 열교환하고 타측은 증기관로(310)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41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공기분리기(130)에서 생성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에 의하여 증기관로(310)의 증기가 응축된다.
복수기(240)와 담수화부(300) 사이의 해수관로(411) 및 액체가스관로(413)에는 해수관로(411) 및 액체가스관로(413)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421) 및 제2밸브(42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밸브(421)를 이용하여 담수화부(300)로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제2밸브(423)를 이용하여 열교환기(415)와 열교한하는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의 양의 조절할 수 있다. 제2밸브(423)는 열교환기(415)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41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가스관로(413)와 열교환기(4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는 액체가스관로(413)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와 열교환기(4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이고, 증기관로(310)와 열교환기(4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는 증기관로(310)의 증기와 열교환기(4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공기분리기(130)에서 생성된 저온의 액체산소 또는 저온의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담수화부(300)에서 생성된 증기를 응축시켜 담수화한다. 그러면, 담수화부(300)에서 생성된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응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열교환기(415)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413)의 부위와 열교환기(415)와 열교환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413)의 부위는 연통관로(413a)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고, 연통관로(413a)에는 연통관로(413a)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제3밸브(42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열교환기(415)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를 바이패스시켜 배출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해수관로(511)에서 분기된 해수분기관로(511a)를 포함할 수 있다. 해수분기관로(511a)의 일측은 복수기(240)와 열교환하기 전의 해수가 통과하는 해수관로(511)와 연통되고, 타측은 복수기(240)와 담수화부(300) 사이의 해수관로(511)와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기(515)는 일측은 해수분기관로(511a)와 열교환하고 타측은 액체가스관로(513)와 열교환하는 열교환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515)와 열교환한 해수가 통과하는 해수분기관로(511a)의 부위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증기관로(310)를 감쌀 수 있다. 그러면, 열교환기(515)를 매개로, 공기분리기(130)에서 생성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와 열교환한 해수분기관로(511a)의 해수에 의하여 증기관로(310)의 증기가 응축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은 열교환기(515)와 증기관로(310) 사이의 해수분기관로(511a)에는 증기관로(310)의 증기와 열교환하는 해수분기관로(511a)의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27)가 설치될 수 있고, 액체가스관로(513)에는 액체가스관로(513)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2밸브(52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온도센서(527)에서 감지한 온도에 따라 액체가스관로(513)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열교환기(515)를 매개로, 해수분기관로(511a)의 해수와 열교환하는 액체가스관로(513)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증기관로(310)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데 필요한 해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밸브(523)는 열교환기(515)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513)의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수분기관로(511a)와 열교환기(5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는 해수분기관로(511a)의 해수와 열교환기(5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이고, 액체가스관로(513)와 열교환기(515)가 열교환한다는 의미는 액체가스관로(513)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열교환기(515)가 열교환한다는 동일한 의미이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515)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513)의 부위와 열교환기(515)와 열교환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513)의 부위는 연통관로(513a)에 의하여 상호 연통될 수 있고, 연통관로(515a)에는 연통관로(515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3밸브(52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열교환기(515)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를 바이패스시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스화부
130: 공기분리기
200: 발전부
240: 복수기
300: 담수화부

Claims (6)

  1. 공기를 액체산소와 액체질소로 분리하는 공기분리기와 상기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산소를 공급받아 연료를 연소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기를 가지는 가스화부;
    상기 가스화부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발전하며, 발전시 생성된 증기를 해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복수기를 가지는 발전부;
    상기 복수기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한 후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하는 담수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화부에서 생성된 증기는 상기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액체산소와 액체질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응축되며,
    상기 복수기의 증기와 열교환한 후 배출되는 해수를 상기 담수화부로 공급하는 해수관로;
    상기 담수화부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통과하는 증기관로;
    일측은 상기 복수기와 열교환하기 전의 해수가 통과하는 상기 해수관로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복수기와 상기 담수화부 사이의 상기 해수관로와 연통된 해수분기관로;
    상기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
    일측은 상기 해수분기관로와 열교환하고 타측은 상기 액체가스관로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해수가 통과하는 상기 해수분기관로의 부위는 상기 증기관로와 열교환해 상기 증기관로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기의 증기와 열교환한 후 배출되는 해수를 상기 담수화부로 공급하는 해수관로;
    상기 담수화부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통과하는 증기관로;
    상기 공기분리기에서 생성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액체가스관로;
    일측은 상기 액체가스관로와 열교환하고 타측은 상기 증기관로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발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상기 액체가스관로의 부위와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상기 액체가스관로의 부위는 연통관로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고,
    상기 복수기와 상기 담수화부 사이의 상기 해수관로, 상기 액체가스관로 및 상기 연통관로에는 상기 해수관로, 상기 액체가스관로 및 상기 연통관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발전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기와 상기 담수화부 사이의 상기 해수관로에는 상기 해수관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증기관로의 사이의 상기 해수분기관로에는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액체가스관로에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에 따라 상기 액체가스관로의 개폐 정도(程度)를 조절하는 제2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발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기 전의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상기 액체가스관로의 부위와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액체산소 또는 액체질소가 통과하는 상기 액체가스관로의 부위는 연통관로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고,
    상기 연통관로에는 상기 연통관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3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발전 시스템.
KR1020160067683A 2016-05-31 2016-05-31 복합발전 시스템 KR10219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83A KR102195228B1 (ko) 2016-05-31 2016-05-31 복합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83A KR102195228B1 (ko) 2016-05-31 2016-05-31 복합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38A KR20170136138A (ko) 2017-12-11
KR102195228B1 true KR102195228B1 (ko) 2020-12-28

Family

ID=6094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683A KR102195228B1 (ko) 2016-05-31 2016-05-31 복합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2218B (zh) * 2022-02-25 2023-10-1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温气冷堆热电水三联供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813A (ja) * 1998-08-25 2000-02-29 Toshiba Corp 冷熱貯蔵型負荷平準化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発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4274B2 (ja) * 2014-04-04 2017-09-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排熱回収システム及び排熱回収方法
KR101644237B1 (ko) * 2014-09-25 2016-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화력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813A (ja) * 1998-08-25 2000-02-29 Toshiba Corp 冷熱貯蔵型負荷平準化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発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38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2620T3 (es) Mé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la combustión en una caldera que quema con oxígeno.
EP2431579B1 (en) Multipurpose thermal power plant system
JP5107419B2 (ja) 酸素燃焼ボイラの燃焼制御装置
JP5448858B2 (ja) 酸素燃焼発電プラントとその運転方法
US20110113779A1 (en) Carbon Dioxide Capture Interface and Power Generation Facility
RU2471080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й газификацией, а также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ES267082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generación de gas caliente con calentamiento integrado de un medio caloportador
KR102195228B1 (ko) 복합발전 시스템
JP2012063041A (ja) 酸素燃焼ボイラ
US20080302106A1 (en) Integration of coal fired steam plants with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plants
KR20170136144A (ko) 복합발전 시스템
KR101644236B1 (ko) 석탄 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KR101644237B1 (ko) 복합화력발전 시스템
KR101592766B1 (ko) 복합화력발전 시스템
JP2011178572A (ja) ケミカルループ反応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発電システム
JP7236194B2 (ja) ガスタービン設備およびガス化設備ならびにガスタービン設備の運転方法
CN209944283U (zh) 高速循环燃烧系统
KR102116590B1 (ko) 폐열회수 보일러
KR101592765B1 (ko) 복합화력발전 시스템
KR101593826B1 (ko) 복합화력발전 시스템
KR102132044B1 (ko) 복합 화력발전 시스템
KR102074017B1 (ko) 복합 화력발전 시스템
KR102113792B1 (ko) 복합 화력발전 시스템
KR101704877B1 (ko) 석탄 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KR20170136139A (ko) 복합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