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122B1 -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Se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122B1
KR102195122B1 KR1020190034845A KR20190034845A KR102195122B1 KR 102195122 B1 KR102195122 B1 KR 102195122B1 KR 1020190034845 A KR1020190034845 A KR 1020190034845A KR 20190034845 A KR20190034845 A KR 20190034845A KR 102195122 B1 KR102195122 B1 KR 10219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resser foot
excursion
pressing
horizont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4558A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박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현 filed Critical 박정현
Publication of KR2020003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5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 선단과 윗실의 간섭에 의해 유발되는 단사나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재봉기에 있어서,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승강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늘대와,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어 윗실이 삽입 통과하는 바늘구멍을 가지고 상기 바늘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강한 스티칭위치와 상승한 바늘상승위치 간을 승강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바늘가이드공을 가지고 재봉물을 가압하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와 상기 재봉물로부터 상승 이격된 상승해제 높이위치 간을 승강운동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을 지지하는 노루발아암을 가지며, 상기 누름부가 상기 하강가압 높이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이 상기 바늘가이드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정상 수평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구멍을 통과한 상기 윗실이 상기 바늘의 선단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정상 수평위치로부터 소정의 수평편위량만큼 이격된 편위 수평위치로 수평 이동되게 하는 노루발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machin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single thread or deterioration of quality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a needle tip and an upper thread, wherein in a sewing machine, a head frame, and a needle bar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head frame, Sewing with a needle hole through the axis through which the upper thread is inserted, a needle that is combi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needle bar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lowered stitching position and the raised position, and a needle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asses When the pressing unit has a pressing unit that moves up and down between a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hat pressurizes water and an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ewing material, and a presser foot arm supporting the pressing unit, and the pressing unit is at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When the needle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needle can pass through the needle guide hole, and the upper thread passing through the needle hol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ip of the needle when the pressing part is at the lift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e pressing part 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er foot unit for horizontally moving from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to an offset horizontal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orizontal deviation amount.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Sewing machin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재봉기는 바늘이 상하 수직운동하면서 수평으로 배치된 재봉물에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바늘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바늘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윗실은 상부로부터 내려와 바늘구멍을 통과한 다음 하방으로 연장된다. 재봉물은 통상의 재봉기에서는 주로 한 방향으로 선형이동하지만, 자수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재봉기에서는 바늘의 축선에 대해 수평면 내에서 전후좌우로 운동한다.The sewing machine forms a stitch on the horizontally arranged sewing material while the needle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To this end, a needle hole penetr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needle, and the upper thread descends from the top, passes through the needle hole, and then extends downward. Sewing materials mainly move linearly in one direction in a conventional sewing machine, but in sewing machines that form various patterns such as an embroidery machine, they mov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in a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needle.

이러한 재봉물의 전후좌우 수평운동에 의해 바늘구멍 하부의 윗실이 바늘의 선단을 스치게 되는 간섭 현상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윗실은 바늘이 상승할 때 비교적 큰 장력이 가해지므로, 바늘 선단과의 간섭은 윗실에 심대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단사 발생 및 그에 의한 효율저하의 중대한 원인이 되거나 스티치 품질의 저하 요인이 된다. Interference phenomenon in which the upper thread under the needle hole rubs the tip of the needle may frequently occur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wing material. Particularly, since the upper thread is subjected to a relatively large tension when the needle is raised, interference with the needle tip can cause serious damage to the upper thread, which is a serious cause of single yarn occurrence and resulting efficiency decrease or a factor of deterioration of stitch quality.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 선단과 윗실의 간섭에 의해 유발되는 단사나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machin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single yarn or deterioration of quality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a needle tip and an upper threa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재봉기에 있어서,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승강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늘대와,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어 윗실이 삽입 통과하는 바늘구멍을 가지고 상기 바늘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강한 스티칭위치와 상승한 바늘상승위치 간을 승강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바늘가이드공을 가지고 재봉물을 가압하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와 상기 재봉물로부터 상승 이격된 상승해제 높이위치 간을 승강운동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을 지지하는 노루발아암을 가지며, 상기 누름부가 상기 하강가압 높이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이 상기 바늘가이드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정상 수평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구멍을 통과한 상기 윗실이 상기 바늘의 선단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정상 수평위치로부터 소정의 수평편위량만큼 이격된 편위 수평위치로 수평 이동되게 하는 노루발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wing machine, the lower end of the needle bar having a head frame, a needle bar supported by the head frame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a needle hole penetrating the axis in a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upper thread is inserted A needle that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lowered stitching position and the raised needle raised position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ing pressure height position that presses the sewing material with the needle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asses, and the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sewing material. It has a pressing part that moves up and down the liver and a presser foot arm that supports the pressing part, and when the pressing part is in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he needle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needle can pass through the needle guide hole, and the pressing In order to prevent the upper thread passing through the needle hole from interfering with the tip of the needle when the addition is in the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e pressing part is moved horizontally to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horizontal deviation amount. It is achieved by a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er foot unit.

여기서, 상기 노루발아암은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정상 수평위치와 상기 편위 수평위치 간의 편위이동과 복귀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노루발아암에 편위작용력을 가하여 상기 누름부에 상기 편위이동과 상기 복귀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유발시키는 편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히다.Here, the presser foot arm supports the pressing part to enable an excursion movement and a return movement betwee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and an excit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er foot arm during the excursion movement and the return moveme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xcursion driving unit that causes at least one movement.

그리고, 상기 편위구동부는, 상기 노루발아암에 승강방향을 따라 측방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편위프로파일부와, 상기 편위프로파일부에 접촉하여 편위작용력을 가하는 접촉작용부재를 포함하여 접촉작용부재가 편위프로파일부에 접촉작용력을 가하는 것으로, 누름부를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 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cursion driving unit includes an excursion profile portion in which a lateral protrusion height gradually changes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presser foot arm, and a contact action member contacting the excursion profile portion to apply an excitation action force. By applying a contact force to the part, the pressing part can be switched betwee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an eccentric horizontal position.

이러한 접촉작용부재는 구름접촉부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action member has a rolling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편위구동부는, 상기 노루발아암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노루발아암에 상기 편위작용력을 가하는 편위캠롤러와, 상기 노루발아암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편위캠롤러를 회전구동하는 롤러구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xcursion drive unit rotate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presser foot arm and applies the biasing force to the presser foot arm, and a roller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excursion cam roller by interlocking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presser foot arm. Includes.

그리고, 상기 노루발아암에 상기 편위작용력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반작용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게 하는 것으로 누름부가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 간을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by further comprising a reactio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er foot ar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iasing force, the pressing portion may stably move betwee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eccentric horizontal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는 바늘 선단과 윗실의 간섭에 의해 유발되는 단사나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single thread or deterioration of quality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needle tip and the upper thread.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주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바늘과 노루발유니트가 상승위치에 있을 때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윗실의 하강연장부분이 바늘로부터 편위 이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은 제2실시예에서 누름부가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제3실시예에서 누름부가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when the needle and the presser foot unit are in the raised posi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descending extension portion of the upper thread is separated from the needle by deviation.
4 and 5 ar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unit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an offset horizontal pos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6 and 7 ar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an offset horizontal pos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주요 부분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는 헤드프레임(10), 수직축선을 따라 승강가능한 바늘대(100), 노루발유니트(200), 편위구동부 및 반작용탄성부재(500)를 포함한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head frame 10, a needle bar 100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a vertical axis, a presser foot unit 200, an excursion driving part, and a reaction elastic member 500.

헤드프레임(10)은 바늘대(100), 노루발유니트(200)와 같이 운동하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The head frame 10 refers to a structure supporting a structure that moves, such as the needle bar 100 and the presser foot unit 200.

바늘대(100)는 헤드프레임(10)에 승강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단에 바늘(11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늘(110)은, 선단(112)영역에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바늘구멍(111)과 끝단에 바늘팁(113)을 가지며, 바늘대(100)의 승강운동을 따라 하강하여 재봉물(30)을 통과하며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티칭위치와 스티칭위치로부터 상승한 바늘상승위치 간을 승강운동한다.The needle bar 100 is supported by the head frame 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the needle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The needle 110 has a needle hole 111 formed by penetrating the axial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area of the tip 112 and a needle tip 113 at the end, and descends along the lifting motion of the needle bar 100 to make a sewing material ( 30) and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stitching position to form a stitch and the needle up position that has risen from the stitching position.

노루발유니트(200)는 바늘이 통과 가능한 바늘가이드공(221)을 갖는 누름부(220)와 노루발아암(21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presser foot unit 200 includes a pressing unit 220 having a needle guide hole 221 through which a needle can pass and a presser foot arm 210.

누름부(220)는 하강하여 하부면으로 재봉물(30)을 누르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와, 상승하여 재봉물(30)로부터 상승 이격된 상승해제 높이위치 간을 승강운동한다. 바늘가이드공(221)은 누름부(220)가 재봉물(30)을 가압한 상태에서 바늘(110)과 윗실(20)이 함께 통과할 수 있도록 바늘(1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The pressing unit 220 moves up and down between a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hat presses the sewing material 30 to the lower surface by descending, and an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at is rai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sewing material 30 by rising. The needle guide hole 221 is aligned to coincide with the axis of the needle 110 so that the needle 110 and the upper thread 20 can pass together while the pressing part 220 presses the sewing material 30.

노루발아암(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절곡되어 바늘대(100)에 연결되고, 중간영역에서 절곡되어 바늘대(100)를 교차하며 이 영역에 바늘대(100)가 통과하는 교차통과공(211)이 마련되어 있다. 교차통과공(211)은 노루발아암(210)이 바늘대(100)에 대해 소정 범위 내에서 측방 편위 요동이 가능하도록 바늘대(100)가 충분한 여유를 두고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노루발아암(210)이 편위 요동하면 노루발아암(210)의 하단에 연결된 누름부(220)는 바늘대(100)의 축선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편위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편위이동을 통해 노루발아암(210)은 누름부(220)를 지지하여 누름부(220)가 하강가압 높이위치에 있을 때 바늘(110)이 바늘가이드공(221)을 통과할 수 있도록 누름부(220)를 정상 수평위치로 이동시키고, 누름부(220)가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 누름부(220)를 정상 수평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수평편위량(dS)만큼 이격된 편위 수평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누름부(220)가 편위 수평위치로 이격되는 과정에서 바늘가이드공(221)의 내측면은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과 접촉하여 하강연장부분(21)을 바늘(110)로부터 이격시킨다.As shown, the upper end of the presser foot arm 210 is bent and connected to the needle bar 100, and is bent in the middle region to cross the needle bar 100, and the crossing hole 211 through which the needle bar 100 passes. ) Is provided. The cross-passing hole 211 allows the needle bar 100 to pass through with a sufficient margin so that the presser foot arm 210 can sw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needle bar 10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ly, when the presser foot arm 210 swings in an excursion, the pressing portion 2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er foot arm 210 can move a predetermined excur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needle bar 100. Through such an excursion movement, the presser foot arm 210 supports the pressing part 220 so that the needle 110 can pass through the needle guide hole 221 when the pressing part 220 is in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When the pressing unit 220 is moved to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pressing unit 220 is in the lift-release height position, the pressing unit 220 is horizontally separated from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horizontal deviation amount (dS). Move to the position. In the process where the pressing part 220 is separat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excursion, the inner surface of the needle guide hole 221 contacts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and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is inserted into the needle 110. Away from

노루발아암(210)에 마련된 교차통과공(211)에는 바늘대(100)가 유동여유를 가지고 통과하므로, 작업 상황에 따라 누름부(220)에 미세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름부(220)의 흔들림이 스티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흔들림을 방지하지 위해, 노루발아암(210)과 바늘대(100) 사이에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Since the needle bar 100 passes through the cross-passing hole 211 provided in the presser foot arm 210 with a flow margin, minute shaking may occur in the pressing unit 220 depending on the working situation. Shake can negatively affect stitch quality. In order to prevent such shaking, 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resser foot arm 210 and the needle bar 100 so that a force to elastically push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may act.

재봉물(30)의 표면에 스티치를 형성할 윗실(20)은 헤드프레임(10)으로부터 내려와 바늘구멍(111)을 통과한다. 윗실(20)은 통상적으로 바늘구멍(111)의 전방으로부터 인입된 후 후방으로 배출된다. 바늘구멍(111)을 통과한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은 바늘(110)과 함께 하방으로 내려가 누름부(220)의 바늘가이드공(221)을 통과하여 재봉물(30)에 스티치를 형성하며 별도의 장력유지장치를 통해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준비된다.The upper thread 20 to form a stitch on the surface of the sewing material 30 descends from the head frame 10 and passes through the needle hole 111. The upper thread 20 is typically drawn in from the front of the needle hole 111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ar.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eedle hole 111 goes down with the needle 110 and passes through the needle guide hole 221 of the pressing part 220 to the sewing material 30. The stitch is formed and prepared 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tension is maintained through a separate tension holding device.

재봉대상인 재봉물(30)은 도 1의 상태에서 누름부(220)에 의해 가압고정되고 있으며, 이 재봉물(30)은 재봉물(30)을 수평으로 파지하는 수틀에 고정되어 있고, 수틀은 X-Y구동부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요동 운동한다. 이에 의해 재봉물(30)은 바늘(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하며 스티치 위치를 변경하여 원하는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The sewing object 30, which is the sewing object, is pressurized and fixed by the pressing part 220 in the state of FIG. 1, and the sewing product 30 is fixed to a frame that holds the sewing material 30 horizontally, and the frame is The XY driving unit swings back and forth in the horizontal plane. Accordingly, the sewing material 30 moves relative to the needle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hanges the stitch position to form a desired pattern.

편위구동부는 노루발아암(210)에 승강방향을 따라 측방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편위프로파일부(212)와, 편위프로파일부(212)에 접촉하여 편위작용력을 가하는 접촉작용부재(300)로 이루어진다. The excursion driving unit includes an excursion profile portion 212 whose lateral protrusion height gradually changes in the elevating direction to the presser foot arm 210, and a contact action member 300 that applies an excitation force by contacting the excursion profile portion 212.

편위프로파일부(212)는 노루발아암(210)의 하방 연장 구간에 형성되며, 승강방향을 따라 측방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 편위프로파일부(212)에는 접촉작용부재(300)가 접촉하고 있다. 접촉작용부재(300)는 헤드프레임(10)에 지지되어 편위프로파일부(212)에 접촉하며, 편위프로파일부(212)와 접촉하는 면에는 볼베어링이나 롤러베어링과 같은 구름접촉부(310)를 가진다. 이에 의해 노루발아암(210)이 승강할 때 편위프로파일부(212)와 접촉하는 구름접촉부(310)의 작용으로 편위프로파일부(212)의 형상에 따라 노루발아암(210)에 편위작용력이 가해진다. 이 편위작용력은 노루발아암(210) 및 누름부(220)를 측방으로 편위이동시킨다.The excursion profile part 212 is formed in a downward extension section of the presser foot arm 210,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lateral protrusion height gradually changes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A contact action memb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deviation profile portion 212. The contact action member 300 is supported by the head frame 10 to contact the deviation profile part 212, and has a rolling contact part 310 such as a ball bearing or a roller bearing on a surface that contacts the deviation profile part 212. As a result, when the presser foot arm 210 is raised and lowered, an excursion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er foot arm 2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cursion profile portion 212 by the action of the rolling contact portion 310 in contact with the excursion profile portion 212. This biasing force causes the presser foot arm 210 and the pressing portion 220 to be moved laterally.

노루발아암(210)을 사이에 두고 접촉작용부재(300)의 대향측에 반작용탄성부재(500)가 배치되어 있다. 반작용탄성부재(500)는 노루발아암(210)을 접촉작용부재(300)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미는 스프링(510)과, 스프링(510)의 말단에 마련되어 노루발아암(210)에 접촉하는 볼베어링이나 롤러베어링과 같은 구름접촉부(511)를 가진다.A reaction elastic member 50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ing member 300 with the presser foot arm 210 therebetween. The reaction elastic member 500 includes a spring 510 that elastically pushes the presser foot arm 210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ing member 300, and a ball bearing or a ball bearing provided at the end of the spring 510 in contact with the presser foot arm 210. It has a rolling contact portion 511 such as a roller bearing.

도 1은 바늘(110)이 하강하여 스티칭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누름부(220)는 재봉물(30)을 하강가압하고 있고, 바늘(110)이 바늘가이드공(221)을 통과할 수 있는 정상 수평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의 노루발유니트(200) 및 바늘(110)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때 누름부(220)는 재봉물(30)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고, 정상 수평위치에 비해 소정의 수평편위량(dS)만큼 이격된 편위 수평위치에 있다.1 shows a state when the needle 110 descends and is in a stitch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220 is downwardly pressing the sewing material 30, and the needle 110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to pass through the needle guide hole 221.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ser foot unit 200 and the needle 110 of FIG. 1 are raised, and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220 is separated from the sewing material 30 and is in the lift release height position, and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Compared to that, it is in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orizontal excursion amount dS.

도 2의 상태에서 편위프로파일부(212)는 접촉작용부재(300)에 의해 편위작용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누름부(220)는 정상 수평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수평편위량(dS)만큼 편위이동된 편위 수평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누름부(220)의 편위이동 상태는 도 3에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와 같다. 이러한 누름부(220)의 편위이동에 의해 바늘가이드공(221)에 구속되어 있는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은 누름부(220)가 편위이동하는 방향으로 편위이동되며, 이에 의해 윗실(20)은 바늘(110)로부터 이격되어 바늘(110)의 선단(112)이나 바늘팁(113)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이 예방된다.In the state of FIG. 2, the excursion profile part 212 is subjected to an excitation force by the contact action member 300, and thus the pressing part 220 is deviated by a predetermined horizontal deviation amount dS based o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The shifted excursion moves to the horizontal position. The biased movement state of the pressing unit 220 is the same as the state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FIG. 3. The downward extension portion 21 of the upper thread 20 that is constrained by the needle guide hole 221 by the displacement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22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unit 220 is moved, thereby The upper thread 20 is spaced apart from the needle 110 to prevent interference that may occur between the tip 112 of the needle 110 or the needle tip 113.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누름부(220)가 재봉물(30)을 가압하지 않는 상승해제 높이위치에서 누름부(220)가 편위 수평위치로 이동되지 않았을 때,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이 바늘(110)의 선단(112) 또는 바늘팁(113)에 접촉하거나 간섭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간섭 상태는 재봉물(30)이 바늘(110)의 전방으로 상대 이동할 때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바늘(110)이 하강하며 스티치를 형성할 경우 윗실(20)이 바늘(110)의 선단(112)이나 뾰족한 바늘팁(113)에 간섭되어 단사되거나 손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누름부(220)가 후방으로 미리 편위이동하여 윗실(20)과 바늘(110) 사이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단사나 손상이 예방된다. 도 3에 도시된 누름부(220)의 편위 수평위치는, 정상 수평위치에서 바늘가이드공(221)의 축선과 바늘(110)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비해 수평편위량(dS)만큼 이격된 위치이다.3, when the pressing part 220 does not pressurize the sewing material 30, the pressing part 220 is not moved to the eccentric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part 220 does not pressurize the sewing material 30,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of the upper thread 20 (21') shows a state in which the tip 112 or the needle tip 113 of the needle 110 is in contact or interfered with. This interference state inevitably appears when the sewing material 30 moves relative to the front of the needle 110, and in this state, when the needle 110 descends and forms a stitch, the upper thread 20 is the tip of the needle 110 Interfering with the (112) or the pointed needle tip (113) is cut or damag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thread 20 and the needle 110 because the pressing part 220 moves backwards in advance, single yarn or damage is prevented. The deviation horizontal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220 shown in FIG. 3 is spaced apart by a horizontal deviation amount (dS) compared to the axis line of the needle guide hole 221 and the axis line of the needle 110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Position.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고, 변화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새로운 참조부호가 표시된다. 제1실시예와 공통하거나 공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4 to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element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new reference numerals are indicated only for the changed elements. Repetitive descriptions of the configurations that are common or can be sh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도 4 및 도 5은 제2실시예에서 누름부(220)가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누름부(220)를 편위이동시키기 위해 편위캠롤러(1400)가 채용되어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위캠롤러(1400)를 채용하며, 편위캠롤러(1400)의 회전동작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실시되거나, 바늘대(100)와 연동되어 실시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 노루발유니트(1200)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편위프로파일부(212)를 가지지 않고 수직방향에서 측방으로의 돌출이 없는 평탄한 형상의 노루발아암(1210)으로 준비된다.4 and 5 ar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unit 220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an offset horizontal pos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an excursion cam roller 1400 is employed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220 in an excursion. That is,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purpos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viation cam roller 1400 is employed,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eviation cam roller 1400 is performed by a separate driving unit or interlocked with the needle bar 100. do. 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resser foot unit 1200 is prepared as a presser foot arm 1210 having a flat shape that does not have the deflection profile portion 212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oes not protrud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ide.

편위캠롤러(1400)는 단면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반경방향 길이가 다른 방향에 비해 긴 형상을 가지는 캠부재(1410)와, 캠부재(1410)를 지지하는 회전축(1420)과, 캠부재(1410)를 회전구동하는 롤러구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캠부재(1410)는 노루발아암(1210)의 측면과 접촉한다.The eccentric cam roller 1400 includes a cam member 1410 having a longer radial length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than the other direction, a rotation shaft 1420 supporting the cam member 1410, and a cam member ( 1410 may be formed of a roller driving unit that rotates and drives the cam member 1410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er foot arm 1210.

캠부재(1410)는 회전축(1420)에 대해 자유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롤러구동부는 노루발아암(1210)의 승강운동을 캠부재(141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동전동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동전동부는 캠부재(1410)와 노루발아암(1210)의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동마찰부이거나, 노루발아암(1210)의 측면과 캠부재(1410)에 각각 마련되어 상호 맞물리며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기어부가 될 수 있다.The cam member 1410 may be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420, and in this case, the roller driving part is an interlocking transmission part for convert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resser foot arm 1210 in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member 1410. It may be configured, and the interlocking power unit is an interlocking friction unit for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cam member 1410 and the presser foot arm 1210, or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er foot arm 1210 and the cam member 1410, respectively, so as to engage and rotate. It can be an interlocking gear part.

그리고, 캠부재(1410)가 회전축(1420)에 일체회전하도록 결합된 경우, 롤러구동부는 회전축(1420)을 바늘대(100)의 승강운동에 동기시켜 회전시키는 연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m member 1410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tion shaft 1420, the roller drive unit may be configured as an interlocking motor that rotates the rotation shaft 142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needle bar 100.

편위캠롤러(1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20)가 하강가압 높이위치에 있을 때는 단면의 반경방향 길이가 짧은 부분이 노루발아암(1210)의 측면과 접촉하여 바늘(110)이 하강이동하며 재봉물(30)을 통과하더라도 바늘가이드공(221)과 바늘(110)의 간섭이 없는 정상 수평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20)가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는 단면의 반경방향 길이가 긴 부분이 노루발아암(1210)의 측면에 접촉하며 편위작용력을 가하여 누름부(220)가 바늘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수평편위량(dS) 만큼 이동된 편위 수평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누름부(220)의 수평 편위이동 과정에서 바늘가이드공(221)의 내측면이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과 접촉하며 윗실(20)을 바늘(110)의 축선으로부터 이격시켜 윗실(20)이 바늘(110)의 선단(112)이나 뾰족한 바늘팁(113)에 간섭되는 것을 차단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pressing part 220 is in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he eccentric cam roller 1400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er foot arm 1210 and the needle 110 ) Move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sewing material 30 to be positioned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needle guide hole 221 and the needle 110, and as shown in FIG. 5, the pressing part 220 When in the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e long radial length of the cross-section contacts the side of the presser foot arm 1210 and applies a biasing force so that the pressing part 220 moves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rizontally to the axis of the needle (dS ) To move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excursion.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horizontal deviation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220, the inner surface of the needle guide hole 221 contacts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and the upper thread 20 is separated from the axis of the needle 110. The upper thread 20 is blocked from interfering with the tip 112 or the pointed needle tip 113 of the needle 11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노루발유니트(200, 1200)가 바늘대(100)의 승강이동과 동기되어 바늘대(100)의 승강운동을 이용하여 누름부(220)를 편위이동 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다음은, 노루발유니트(2200, 3200)가 별도의 승강구동부를 가잘 수 있는 형태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er foot units 200 and 1200 are synchronized with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needle bar 100 to move the pressing unit 220 in an excursion us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needle bar 100. It is understood as a composition. Next, an embodiment of a form in which the presser foot units 2200 and 3200 can separate separate lifting drives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은 제3실시예에서 누름부가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노루발유니트(2200)는 바늘대(100)와 직접적으로 연동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바늘대(100)의 승강운동에 동기하여 노루발유니트(2200)를 승강구동하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가진다.6 and 7 ar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an offset horizontal pos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presser foot unit 2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spos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directly interlocked with the needle bar 100, and a separate driving unit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presser foot unit 22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movement of the needle bar 100 ( Not shown).

제3실시예에서 편위구동부는 노루발아암(2210)에 설치되며 하향연장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는 편위프로파일부(2212)와, 편위프로파일부(2212)에 접촉하여 누름부(220)가 상승해제 높이위치일 때 편위작용력을 가하는 롤러부재(2600)로 준비된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excursion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the presser foot arm 22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excursion profile unit 2212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a downward extend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unit 220 ascending release height by contacting the excursion profile unit 2212. When in position, it is prepared with a roller member 2600 that applies a biasing force.

이때, 노루발아암(2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간에서 편위이동과 편위이동의 해제를 원활하게 하는 판스프링(2510) 형태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er foot arm 221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2510 that smoothly releases the excursion movement and the excursion movement in some sections, as shown.

제3실시예에서 노루발아암(2210)은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바늘대(100)와 동기되어 승강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편위프로파일부(2212)와 롤러부재(2600)의 작용으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루발아암(2210)이 하강하면, 롤러부재(2600)가 편위프로파일부(2212)에 편위작용력을 가하지 않아 누름부(220)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에서 정상 수평위치로 이동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루발아암(2210)이 상승하면, 롤러부재(2600)가 편위프로파일부(2212)에 편위작용력을 가하여 누름부(220)가 상승해제 높이위치에서 편위 수평위치로 편위이동되어 바늘가이드공(221)의 내측면이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을 바늘(110)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presser foot arm 2210 performs an elevating movemen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eedle bar 100 through a separate driving unit, and in this process, due to the action of the deviation profile unit 2212 and the roller member 2600, Fig. 6 As shown in, when the presser foot arm 2210 descends, the roller member 2600 does not exert an excursion force on the excursion profile portion 2212, so the pressing portion 220 moves from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o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 As shown in FIG. 7, when the presser foot arm 2210 rises, the roller member 2600 applies an excursion force to the excursion profile portion 2212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220 moves from the lifting release height position to the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The deviation is mov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needle guide hole 221 separates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from the needle 110.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실시예는 별도의 편위구동부를 가지지 않고, 노루발유니트(3200)는 바늘(110)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구동축선을 따라 기울여져 배치되는 노루발아암(3210)과 바늘의 승강운동에 동기되어 노루발아암(3210)을 구동축선을 따라 승강구동하는 별도의 구동부를 가진다.8 is a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presser foot unit 3200 is inclined along a driving axi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needle 110, and the lifting motion of the needle and the presser foot arm 3210 It has a separate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presser foot arm 3210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drive axi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제4실시예에서 구동부는 노루발아암(3210)을 구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 이동시키며, 이에 의해 누름부(220)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에서 바늘(110)의 축선과 바늘가이드공(221)의 축선이 일치하는 정상 수평위치에 위치하고, 상승해제 높이위치에서는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이 바늘(110)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편위 수평위치에 위치한다. 이때의 구동축선은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에서의 바늘가이드공(221)의 이동축선에 대응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driving unit slides and lifts the presser foot arm 3210 along the driving axis, whereby the pressing unit 220 moves the axis of the needle 110 and the axis of the needle guide hole 221 at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It is located in the sam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in the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is located in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needle 110. The driving axis at this time corresponds to the movement axis of the needle guide hole 221 i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deviation horizontal posi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늘(110)이 상승하였을 때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이 바늘(110)로부터 이격 되도록 하여 윗실(20)과 바늘(110) 간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단사나 품질저하를 예방한다.As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eedle 110 is raised,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is separated from the needle 110 so that the upper thread 20 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needle and the needle 110, single yarn or quality deterioration is prevented.

이를 위해 노루발유니트(200, 1200, 2200, 3200)의 누름부(220)에 의해 강제된 윗실(20)을 이동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은 윗실(20)이 바늘(1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이동방향이나 이동경로에 따른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이상적인 경우는, 윗실(20)의 이격 방향은 바늘구멍(111)의 축선과 바늘(110)의 축선이 포함된 평면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윗실(20)의 이동방향이 바늘구멍(111)의 축선과 바늘(110)의 축선이 포함된 평면을 다소 벗어나더라도 본 발명의 취지를 달성하는 데 문제가 없다. 다만, 윗실의 하강연장부분이 바늘의 표면에 길게 접촉하여 감지 않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To this end, in moving the upper thread 20 forced by the pressing part 220 of the presser foot units 200, 1200, 2200, 3200,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upper thread 20 from interfering with the needle 110 All possible movement directions or possible paths are considered. For example, in the most ideal case, the direction of separation of the upper thread 20 is preferably made within a plane including the axis of the needle hole 111 and the axis of the needle 110. However, even 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thread 20 is slightly out of the plane including the axis of the needle hole 111 and the axis of the needle 110, there is no problem in achiev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upper thread's descending extension does not touch the needle surface for a long time to detect it.

그리고 윗실(20)은 통상적으로 직선 경로를 따라 이격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곡선경로 혹은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누름부(220)의 바늘가이드공(221)이 그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선회중심에 대해 선회운동하며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 간을 왕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And the upper thread 20 generally moves in a spaced direction along a straight path. However, in some cases, it may move along a curved path or an arc-shaped path.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needle guide hole 221 of the pressing part 220 pivots about an arbitrary pivoting center spaced therefrom and reciprocates betwee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an eccentric horizontal position.

또한, 실시예들에서 노루발아암(210, 1210, 2210, 3210)은 바늘구멍(111)에서 윗실(20)이 배출되는 후방에 위치하여 편위작용력에 의해 바늘(110)의 후방으로 이동하며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을 바늘(110)로부터 편위 이격시킨다. 그러나, 노루발아암의 위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바늘(110)의 좌우측이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고, 노루발아암이 편위작용력을 받는 방향 또한 도시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the presser foot arm (210, 1210, 2210, 3210) is located at the rear from which the upper thread 20 is discharged from the needle hole 111 and moves to the rear of the needle 110 by the biasing force, and the upper thread (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20) is offset from the needle 11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presser foot arm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r in front of the needle 11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er foot arm receives the biasing force is also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

본 발명에서 누름부(220)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에서 편위작용력이 해제되어 정상 수평위치에 위치하고, 상승해제 높이위치에서 편위작용력을 받아 편위 수평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나 반대로 하강가압 높이위치에서 편위작용력을 받아 정상 수평위치에 위치하고, 상승해제 높이위치에서 편위작용력이 해제되어 편위 수평위치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노루발아암은 항상 편위작용력을 받는 상태로 지지되고, 누름부(220)가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 편위작용력이 해제되어 편위 수평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누름부(220)가 하강가압 높이위치에 있을 때 편위작용력을 해제하여 정상 수평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unit 220 is located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by releasing the excursion force at the lowering and pressing height position, and is converted to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by receiving the excursion force at the ascending release height position. However,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be placed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by receiving the excursion force at the lowering pressure height position, and the excursion force may be released at the lift release height position to be converted to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In addition, the presser foot arm is always supported in a state of receiving an excursion force, and when the pressing portion 220 is in the lift-release height position, the excursion force is released to move to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or the press portion 220 is lowered and pressurized. When in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lease the biasing force to move to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그리고, 편위프로파일부(212)는 누름부(220)가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 접촉작용부재(300)로부터 편위작용력을 받도록 접촉작용부재(300)의 방향으로 측방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편위작용력의 방향 및 접촉작용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편위프로파일부(212)의 측방 돌출높이는 완만하게 선형적으로 변하여 노루발아암(210)의 승강이동에 따라 누름부(220)가 선형적으로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 간을 편위이동 및 복귀이동 하도록 할 수 있으나, 측방 돌출높이의 변화를 조절하여 승강 중 정상 수평위치와 편위 수평위치 간의 전환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cursion profile part 212 has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ing member 300 so as to receive the biasing force from the contacting member 300 when the pressing part 220 is in the lift-release height position. However, it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biasing force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ing member 300. In addition, the lateral protrusion height of the excursion profile part 212 changes linearly so that the pressing part 220 linearly moves and returns betwee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eccentric horizontal position according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resser foot arm 210. It can be moved, but it is possible to intermittently switch betwee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during ascent by adjusting the change in the lateral protrusion height.

바늘가이드공(22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부 구간이 개방되어 트인 형상으로 준비될 수도 있다. 다만, 윗실(20)의 하강연장부분(21)과 접촉하여 하강연장부분(21)을 바늘(1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면 된다.The needle guide hole 221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ome sections may be opened to be prepared in an open shape. However, it only needs to be able to contact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of the upper thread 20 to separate the descending extension part 21 from the needle 110.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작용탄성부재(500)는 스프링(510)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스프링(510)의 작용력은 노루발아암(210) 자체의 고유 탄성력이 대신할 수도 있으며,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 등 다른 형태의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eaction elastic member 500 is provided with a spring 510, but the acting force of the spring 510 may be replaced by the intrinsic elastic force of the presser foot arm 210 itself, and other forms such as a plate spring or a coil spring It can also be replaced with a spring.

dS : 수평편위량 10 : 헤드프레임
20 : 윗실 21, 21' : 하강연장부분
30 : 재봉물 100 : 바늘대
110 : 바늘 111 : 바늘구멍
112 : 바늘선단 113 : 바늘팁
200, 1200, 2200, 3200 : 노루발유니트
220 : 누름부 221 : 바늘가이드공
210, 1210, 2210, 3210 : 노루발아암
211 : 교차통과공 212, 2212 : 편위프로파일부
300 : 접촉작용부재 310 : 구름접촉부
1400 : 편위캠롤러 1410 : 켐부재
1420 : 회전축 2600 : 롤러부재
500 : 반작용탄성부재 510 : 스프링
511 : 구름접촉부 2510 : 판스프링
dS: horizontal deviation 10: head frame
20: upper thread 21, 21': descending extension part
30: sewing material 100: needle bar
110: needle 111: needle hole
112: needle tip 113: needle tip
200, 1200, 2200, 3200: Presser foot unit
220: pressing part 221: needle guide hole
210, 1210, 2210, 3210: Presser foot arm
211: cross-pass hole 212, 2212: excursion profile part
300: contact action member 310: rolling contact portion
1400: excursion cam roller 1410: cam member
1420: rotating shaft 2600: roller member
500: reaction elastic member 510: spring
511: rolling contact part 2510: leaf spring

Claims (6)

재봉기에 있어서,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승강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늘대와,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어 윗실이 삽입 통과하는 바늘구멍을 가지고 상기 바늘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강한 스티칭위치와 상승한 바늘상승위치 간을 승강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바늘가이드공을 가지고 재봉물을 가압하는 하강가압 높이위치와 상기 재봉물로부터 상승 이격된 상승해제 높이위치 간을 승강운동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을 지지하는 노루발아암을 가지며, 상기 누름부가 상기 하강가압 높이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이 상기 바늘가이드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정상 수평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상승해제 높이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구멍을 통과한 상기 윗실이 상기 바늘의 선단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정상 수평위치로부터 소정의 수평편위량만큼 이격된 편위 수평위치로 수평 이동되게 하는 노루발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In the sewing machine,
Head frame,
A needle bar supported by the head frame so as to move up and down,
A needle that passes through the axis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has a needle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thread is inserted,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needle bar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lowered stitching position and the raised needle raising position;
It has a pressing portion that moves up and down between a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hat presses the sewing material with a needle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asses and a lift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sewing material, and a presser foot arm supporting the pressing portion, When the pressing part is in the downward pressing height position, the needle is in a normal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needle can pass through the needle guide hole, and when the pressing part is in the lifting release height position, the upper thread passing through the needle hole is And a presser foot unit for causing the pressing unit to horizontally move from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to an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horizontal deviation amoun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ip of the need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루발아암은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정상 수평위치와 상기 편위 수평위치 간의 편위이동과 복귀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노루발아암에 편위작용력을 가하여 상기 누름부에 상기 편위이동과 상기 복귀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유발시키는 편위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er foot arm supports the pressing portion so as to enable an excursion movement and a return movement between the norm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excursion horizontal position,
And an excursion driving unit that applies an excitation force to the presser foot arm to induce at least one of the excursion movement and the return movement to the press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위구동부는, 상기 노루발아암에 승강방향을 따라 측방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편위프로파일부와, 상기 편위프로파일부에 접촉하여 편위작용력을 가하는 접촉작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excursion driving unit includes an excursion profile unit in which a lateral protrusion height gradually changes in the elevation direction to the presser foot arm, and a contact action member for applying an excitation action force by contacting the excitation profile uni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작용부재는 구름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act action member is a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lling contact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위구동부는, 상기 노루발아암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노루발아암에 상기 편위작용력을 가하는 편위캠롤러와, 상기 노루발아암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편위캠롤러를 회전구동하는 롤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excursion driving unit includes an excursion cam roller rotating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presser foot arm and applying the biasing action force to the presser foot arm, and a roller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excursion cam roller in association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presser foot arm.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루발아암에 상기 편위작용력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반작용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a reactio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er foot ar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iasing force.
KR1020190034845A 2018-09-21 2019-03-27 Sewing machine KR1021951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3930 2018-09-21
KR1020180113930 2018-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558A KR20200034558A (en) 2020-03-31
KR102195122B1 true KR102195122B1 (en) 2020-12-30

Family

ID=7000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45A KR102195122B1 (en) 2018-09-21 2019-03-27 Sew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1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898B1 (en) * 2020-08-06 2022-07-19 박정현 Sew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5503A (en) * 2007-10-17 2009-05-0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Presser foot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4755B2 (en) * 2004-12-13 2011-01-19 Juki株式会社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5503A (en) * 2007-10-17 2009-05-0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Presser foot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558A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644B1 (en) Multi-head embroidery machine
KR20080082361A (en) Embroidery
JP4848176B2 (en) Sewing machine free presser
CN1957126A (en) Yarn feeder of yarn feeding device in weft knitting machine
US9297101B2 (en) Presser-foo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CN1978725A (en) Sewing machine
KR102195122B1 (en) Sewing machine
KR101085302B1 (en) Sewing machine presser foot and sewing machine using the same
CN101275345A (en) Sewing machine
CN1800476B (en) Inserting strip sewing machine
EP2138619B1 (en) Transporter for transporting sewing material while operating a sewing machine
JP4623423B2 (en) Embroidery presser of embroidery sewing machine
CN111936687B (en) Sewing machine
JP2007006912A (en) Needle bar driv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US7322304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H022295Y2 (en)
US6298798B1 (en) Buttonhole form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KR100358930B1 (en) Presser foot stopper for embroidery machine
JP2006169696A (en) Method and device for cord-sewing
CN111270410B (en) Device for monitoring running track of spindle of high-speed braiding machine
KR102421898B1 (en) Sewing machine
CN112981756B (en) Presser foot drive arrangement and embroidery machine
CN220789023U (en) Automatic presser foot equipment
CN220012995U (en) Sewing machine with adjustable cloth feeding mechanism
CN102943356A (en) Paillette embroidering device and paillette embroiderer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