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953B1 -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 Google Patents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953B1
KR102194953B1 KR1020190060567A KR20190060567A KR102194953B1 KR 102194953 B1 KR102194953 B1 KR 102194953B1 KR 1020190060567 A KR1020190060567 A KR 1020190060567A KR 20190060567 A KR20190060567 A KR 20190060567A KR 102194953 B1 KR102194953 B1 KR 10219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rbon
coating layer
switch
carb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4716A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주)네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프 filed Critical (주)네프
Priority to KR102019006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953B1/en
Publication of KR2020013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7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carbon particles or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에 탄소 및 탄소나노구조를 코팅하는 것으로 고내구성 및 고통전성을 가짐에 따라, 태양광 접속반과 같은 전력제어 설비에 구비되는 개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표면에 제1탄소코팅층, 탄소나노구조층, 제2탄소코팅층을 포함하는 나노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switch control device of a power control facility that can be used for a switch provided in a power control facility such as a solar panel, as the electrode is coated with carbon and carbon nanostructures and has high durability and high conductivity.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used in a switch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a power circuit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a lever member, wherein the electrode is a nano coating layer including a first carbon coating layer, a carbon nanostructure layer, and a second carbon coating layer on a surface. It provides an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equipment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Description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본 발명은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에 탄소 및 탄소나노구조를 코팅하는 것으로 고내구성 및 고통전성을 가짐에 따라, 태양광 접속반과 같은 전력제어 설비에 구비되는 개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switch control device of a power control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by coating a carbon and carbon nanostructure on the electrode, and having high durability and high conductivity, it is provided in a power control facility such as a solar panel It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switch control device of a power control facility that can be used in the switchgear.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모듈)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바꾸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includes a solar panel (module)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an inverter that converts DC power produced from the solar panel into AC power. do.

그리고 태양 전지 어레이와 인버터 사이에서 많은 배선의 결선을 용이하게 해주고 각종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태양광 접속반을 추가 구비하여, 태양광 전지 어레이 구성과 용량에 따라 적정한 어레이의 병렬군을 접속하여 어레이별 케이블을 인버터까지 연결해주고, 다수의 태양전지 어레이의 접속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보수점검 시에 회로를 분리하여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by adding a solar connection panel that facilitates the connection of many wirings between the solar cell array and the inverter and performs various protection functions, it is possible to connect an appropriate array of parallel groups according to the solar cell array configuration and capacity. It connects cables to inverters, organizes the connection of multiple solar cell arrays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nd separates circuits during maintenance and inspection to facilitate inspection work.

그리고 태양광 접속반은 도 1에서와 같이, 개폐기(11), 낙뢰 및 서지 보호 소자(12), 단자대 및 퓨즈(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사용되어 모듈에서 발생되는 직류전력을 직/병렬 연결하여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집합시키는 장치로 인버터를 보호하고 모듈간의 충돌 방지 및 보호기능을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solar connection panel includes a switch 11, a lightning and surge protection element 12, a terminal block, and a fuse 13, and is used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inverter. It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generated DC power in series/parallel and collects the power required by the system. It protects the inverter and prevents collisions between modules and protects them.

이러한 태양광 접속반은 다수개의 전극이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극을 개폐하는 것으로 각 태양광전지판을 제어하게 된다. 다만 상기 태양광 접속반은 다수개의 전극이 집적되어 있으며, 높은 전류를 제어하는 특성상 높은 통전률과 고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존의 개폐기의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동제어구조를 가짐과 더불어 일반적인 구리전극으로 제조되고 있어 발열에 의한 손상이 심함과 더불어 전력 손실도 높게 된다.In such a solar panel,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connected through wires, and each solar panel is controll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odes. However, the solar connection panel is integrat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requires a high current conduction rate and high dura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controlling a high current.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witch, as shown in FIG. 1, since it has a manual control structure and is manufactured with a general copper electrode, damage due to heat generation is severe and power loss is also high.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6548호(000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6548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에 탄소 및 탄소나노구조를 코팅하는 것으로 고내구성 및 고통전성을 가짐에 따라, 태양광 접속반과 같은 전력제어 설비에 구비되는 개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durability and high conductivity by coating carbon and carbon nanostructures on electrodes, and thus power control that can be used for switchgear provided in power control facilities such as solar panel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ode for a facility switch control devic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표면에 제1탄소코팅층, 탄소나노구조층, 제2탄소코팅층을 포함하는 나노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used in a switch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a power circuit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a lever member, wherein the electrode includes a first carbon coating layer, a carbon nanostructure layer, and It provides an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ano-coating layer including a 2 carbon coating layer is formed.

상기 제1탄소코팅층 또는 제2탄소코팅층은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or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may include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상기 제1탄소코팅층 또는 제2탄소코팅층은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 5~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or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may include 5 to 20% by weight of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탄소나노트리(Carbon nanotree)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may include a carbon nanotree.

상기 제1탄소코팅층 또는 제2탄소코팅층은 전파-마그네트론 증착(RF-magnetron sputtering)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마이크로웨이브-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Microwave-PECV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or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is formed by a radio wave-magnetron sputtering process, and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is formed by a microwave-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Microwave-PECVD) process. I can.

상기 제1탄소코팅층 및 제2탄소코팅층은 두께가 50nm~100nm이며, 상기 나노구조층은 두께가 50~80nm일 수 있다.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50 nm to 100 nm, and the nanostructur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80 nm.

상기 전극을 전기전도도가 0.03~0.06S/m일 수 있다.The electrode may have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0.03 to 0.06 S/m.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witch control devic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including the electrode for the switch control device of the power control facility.

상기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는, 모터 회전력을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기어 박스; 상기 구동축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 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연결 및 폐쇄함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 반경방향으로 가변적인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현되며, 상기 구동축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레버 부재와 동일 패턴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동일 거리 이격되도록 분산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출력 신호값을 달리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어 박스를 동작 제어하되,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의 출력 신호값을 기반으로 상기 개폐기의 정상 구동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control device for the power control facility includes a gear box that rotates a drive shaft through a motor rotational force; It has a lever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rotated by the drive shaft, and connects and closes the electrode for the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gea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A switch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power circuit; A rotating plate implemented to have a variable radius in a radial direc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aft to rotate in the same pattern as the lever member;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that are distributedly arranged so as to be equally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rotational plate, and vary an output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ngle of the rotational plat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gearbox is operated and controlled, and a processor for checking and notifying whether the switch is normally driven based on output signal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은 표면에 탄소나노구조를 포함하는 탄소코팅층을 구비함에 따라, 고내구성 및 고통전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어 대량의 전력이 이동하며, 개폐가 잦은 태양광 접속반과 같은 전력제어 설비에 구비되는 개폐기의 전극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the electrode for the switch control device of the power control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rbon coating layer including a carbon nanostructure on its surface, it can have high durabil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t the same time, so that a large amount of power moves, and solar power that is frequently opened and closed. It can be usefully used as an electrode of a switch provided in a power control facility such as a connection board.

도 1은 태양광 접속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박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과 릴레이 소자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 상태 변화에 따른 회전판 회전각도 변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코팅층의 표면 및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트리를 이용한 고내구성 접점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마그네트론 증착기를 간략히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PECVD를 간략히 나타낸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코팅의 순서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극의 실제 적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olar connection panel.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a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mplementing a rotating plate and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attern of a rotational plate rotation angle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 of a carbon coating layer including metal nan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ighly durable contact point using a carbon nano tr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RF-magnetron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microwave-PECV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chematically shows the order of electrod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l application of an electrod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to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since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of them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and step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표면에 제1탄소코팅층, 탄소나노구조층, 제2탄소코팅층을 포함하는 나노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도 14참조).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used in a switch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a power circuit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a lever member, wherein the electrode is a nano coating layer including a first carbon coating layer, a carbon nanostructure layer, and a second carbon coating layer on a surface. It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equipment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ee Fig. 14).

상기 전극은 접촉 및 이탈을 통하여 전력의 연결과 단락을 결정하는 장치로 원형 또는 평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이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철, 알루미늄, 구리 또는 텅스텐,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제작될 수 있다. 구리의 경우 다른 금속에 비하여 전기전도도가 높으며(5X105S/m), 전성과 연성이 높아 가공이 쉽고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건극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물론 금이나 은의 경우 상기 구리에 비하여 뛰어난 물성을 가질 수 있지만, 귀금속에 해당하여 제작시 단가가 상승하게 되므로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electrode is a device that determines the connection and short circuit of power through contact and separation,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circular or flat shape. The electrode may be manufactured by selecting without limitation any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but may be preferably made of iron, aluminum, copper or tungsten, more preferably of copper. Copper has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other metals (5X10 5 S/m), and has high malleability and ductility, so it is easy to process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so it is easy to use as a key electrode. Of course, gold or silver may have superior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copper, but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copper because it is a noble metal and increases the cost during manufacture.

상기 제1탄소코팅층은 상기 전극과 상기 탄소나노구조층 사이에 위치하여 탄소나노구조층이 성장할 수 있는 베이스가 됨과 동시에 전극에 공급된 전력을 탄소나노구조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탄소코팅층 없이 탄소나노구조층을 상기 전극에 형성하는 경우 탄소나노구조(특히 탄소나노트리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구조와 전극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짐에 따라 탄소층이 전극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to serve as a base on which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can be grown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de to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When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is formed on the electrode without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the carbon nanostructure (especially the carbon nanotree structure) is not form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carbon nanostructure and the electrode decreases. Can be separated.

상기 제1탄소코팅층은 전파-마그네트론 증착(RF-magnetron sputtering)공정에 의하여 증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C sputtering의 경우 직류전류를 사용하여 증착하고 있으므로, 대상물이 산화물이나 절연체의 경우 증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대상이 전도체이기는 하지만 직류전류에 의한 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파-마그네트론 증착(RF-magnetron sputtering)공정을 사용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그네트론의 강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증착에 필요한 플라즈마의 대부분을 대상물의 표면으로 모아줌에 따라, 이온화율이 매우 높고 증착속도가 빠르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파-마그네트론 증착(RF-magnetron sputtering)공정을 사용한다(도 12참조).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may be deposited by an RF-magnetron sputtering process. In the case of DC sputtering, which is generally used, since deposition is performed using a DC current, deposition may not be possible if the object is an oxide or an insulato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object is a conductor, it is preferable to deposit using an RF-magnetron sputtering process in order to prevent surface damage due to direct current. In particular, as most of the plasma required for deposition is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by using the strong magnetic field of the magnetron, the ionization rate is very high and the deposition rate is fast, 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wave-magnetron sputtering process is used. (See Fig. 12).

제1탄소코팅층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소코팅층에 탄소만을 증착하는 경우 전기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소의 경우 증착시 기판과 평행한 2차원 구조를 주로 형성하며, 상기 탄소의 2차원 구조는 평면상으로는 전기 전도도가 높지만 평명의 수직방향으로는 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어 전체적으로는 전기전조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소코팅층 형성시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를 동시에 증착하여 전기전도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탄소코팅층은 나노입자 5~2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노입자를 5중량%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낮은 나노입자 함량으로 인하여 전기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탄소의 표면 노출량이 적어져 탄소 코팅층 표면에서 성장하는 탄소나노구조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와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의 비는 C : NI = 3.75 : 1, C : Cr = 3.75 : 1, C : W = 1 : 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may include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When only carbon is deposited on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electrical conductivity may decrease. In the case of carbon, a two-dimensional structure parallel to the substrate is mainly formed during deposition, and the two-dimensional structure of carbon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n a plane, but conductivity may decre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ane. I can. Accordingly, when forming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deposit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to increase electrical conductivity. At this time,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may contain 5 to 20% by weight of nanoparticles, and when the amount of nanoparticles is less than 5% by weight, electrical conductivity may decrease due to a low content of nanoparticles, and in excess of 50% by weight. When included, the amount of carbon exposed to the surface may be reduced, so that a carbon nanostructure layer growing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coating layer may not be formed. Specifically, the ratio of the carbon and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is C: NI = 3.75: 1, C: Cr = 3.75: 1, C: W = 1: 1. desirable.

또한 상기 제1탄소코팅층의 두께는 50nm~100nm, 바람직하게는 60~8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소나노코팅층의 두께가 50nm미만인 경우 탄소나노구조층의 접착력이 약해져 전극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00n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 전기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다(도 10참조).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is preferably 50nm ~ 100nm, preferably 60 ~ 80nm.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rbon nanocoating layer is less than 50 nm, the adhesion of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may be weaken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may decrease, 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100 nm, electrical conductivity may decrease (see FIG. 10).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상기 전극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이 다른 전극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층으로, 수직으로 정렬된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트리(Carbon nanotre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트리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트리의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기본구조로 하여 나뭇가지와 같이 여러개의 분기가 형성된 구조를 통칭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높은 전도도를 가지면서도 비표면적이 큼에 따라 다른 층과의 접촉이 용이하여 기존의 탄소나노튜브에 비하여 높은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도 11참조).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is a layer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ode so that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de is easily transferred to another electrode, and may be a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 or a carbon nanotree. , Preferably it may be a carbon nano-tri. In the case of the carbon nanotree, the carbon nanotube as a basic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branches are formed, such as a tree branch, and has high conductiv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so that contact with other layers is possible. It is easy and can have high conductivity compared to the existing carbon nanotubes (see FIG. 1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트리(carbon nanotree)는 나노 크기의 트리 형태로 합성시킨 탄소 구조물로서, 특히 나노크기 탄소 구조물이 가지는 높은 전기전도성과 전자친화도의 장점을 가지며 탄소를 기반으로 한 나노구조물 중 가장 높은 표면 밀도를 가지기에 차세대 전극 물질로 활용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탄소 나노구조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높은 전기전도성을 기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ree is a carbon structure synthesized in the form of a nano-sized tree. In particular, the carbon nanotree has the advantages of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ectron affinity of the nano-sized carbon structure, and Since it has the highest surface density among structures,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next-generation electrode materia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expected by forming a carbon nanostructure layer using this.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마이크로웨이브-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Microwave-PECV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화학기상증착법은 반응기에 주입된 기체들이 가열된 기판위에서 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증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러한 반응을 더욱 용이하게 한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일반적인 PECVD장비에 마이크로웨이브 설비를 추가하는 것으로 플라즈마를 대상이 되는 전극 표면근처에 직접하여 더욱 높은 효율을 보이는 Microwave-PECVD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13참조).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may be formed by a microwave-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Microwave-PECVD) process. In the general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gases injected into the reactor are deposited through a chemical reaction on a heated substrat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arried out using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which facilitates this reaction using plasma. can do.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microwave-PECVD process showing higher efficiency by directing plasma near the target electrode surface by adding a microwave facility to the existing general PECVD equipment (see FIG. 13).

상기 나노구조층은 두께가 50~80nm일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층의 두께가 50nm미만인 경우 나노구조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탄소나노트리 구조의 형성이 원환하지 못하여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할 수 없으며, 80nm를 초과하는 경우 나노구조층의 내구성이 떨어져 전극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The nanostructur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80 nm. When the thickness of the nanostructure layer is less than 50nm, the formation of the carbon nanotree structure cannot be circular as the thickness of the nanostructure becomes thinner, so the phenomenon of lowe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annot be used, and when it exceeds 80nm, the durability of the nanostructure layer This may shorten the life of the electrode.

상기 제2탄소코팅층은 상기 전극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층으로 상기 탄소나노구조를 보호함과 동시에 탄소나노구조에서 입력되는 전력을 다른 전극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탄소코팅층은 상기 제1탄소코팅층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극의 사용목적 및 환경에 따라 다른 나노입자를 함유하거나 상이한 두께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is a layer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electrode and serves to protect the carbon nano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 power input from the carbon nanostructure to another electrode.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but may contain different nanoparticles or have a different thicknes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environment of the electrode.

상기 전극의 경우 기존의 전극에 비하여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을 전기전도도가 0.03~0.06S/mS/m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의 전기전도도가 0.03S/m미만인 경우 기존의 전극과 차별된 물성이 나타나지 않아 전극으로 사용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The electrode may hav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dur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ctrode. Accordingly, the electrode may have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0.03 to 0.06 S/mS/m. I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is less than 0.03 S/m, propertie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electrode do not appear, and the value of use as an electrode may be degrad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witch control devic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including the electrode for the switch control device of the power control facility.

상기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는, 모터 회전력을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기어 박스; 상기 구동축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 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연결 및 폐쇄함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 반경방향으로 가변적인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현되며, 상기 구동축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레버 부재와 동일 패턴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동일 거리 이격되도록 분산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출력 신호값을 달리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어 박스를 동작 제어하되,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의 출력 신호값을 기반으로 상기 개폐기의 정상 구동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control device for the power control facility includes a gear box for rotating a drive shaft through a motor rotational force; It has a lever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rotated by the drive shaft, and connects and closes the electrode for the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gea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A switch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power circuit; A rotating plate that is implemented to have a variable radius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aft to rotate in the same pattern as the lever member;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that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rotating plate by the same distance, and vary an output signal value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gearbox is operated and controlled, and a processor for checking and notifying whether the switch is normally driven based on output signal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may be included.

이하 본 발명을 상기 개폐기의 작동 및 제어과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operation and control process of the switch.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기 제어 장치(100)는 기어 박스(110), 개폐기(120), 회전판(130),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 프로세서(150)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switch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ar box 110, a switch 120, a rotating plate 130,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a processor 150, and the like. Includes.

기어 박스(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n(n는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기어(111,112,113)가 연속으로 맞물려 구성되며, 이들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모터(114)의 회전력을 원하는 만큼 감속시켜 자신의 구동축(115)을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The gear box 110 is composed of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gears 111, 112, and 113 having different diameters as shown in FIG. It is a device that rotates its own drive shaft 115 by decelerating by as much.

개폐기(120)는 기어 박스(110)의 구동축(115)의 일측에 결합되어, 기어 박스(110)의 구동축(115)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고, 레버 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이다. 이때의 레버 부재는 손잡이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이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The switch 1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shaft 115 of the gear box 110, has a lever member rotated by the drive shaft 115 of the gear box 110, and a power circui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It is a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o open or close. Of course, the lever member at this time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handl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rotate it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power circuit.

회전판(130)는 기어 박스(110)의 구동축(115)의 타측과 결합되어, 개폐기(120)의 레버 부재와 동일 패턴으로 회전된다. 이때의 회전판(130)은 특히, 반경방향으로 가변적인 반지름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The rotat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aft 115 of the gear box 110 and rotates in the same pattern as the lever member of the switch 120. In particular, the rotating plate 130 is implemented in a shape having a variable radius in the radial direction.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는 회전판(130)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 거리 이격되도록 분산 설치되며, 회전판(130)의 회전각도에 따라 출력 신호값을 달리 출력하도록 한다.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are distributedly installed so as to be equally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plate 130, and output signal valu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130.

즉,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은 회전판(130)과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를 추가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개폐기의 현재 상태를 간접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rotating plate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as shown in FIG. 4, and through these,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measure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 142)는 도 5에서와 같이 회전판(130)의 회전각도(θ)가 0도일 때에는 S1=L, S2=H를 출력하고, 90도일 때에는 S1=H, S2=H를 출력하고, 180도일 때에는 S1=H, S2=L을 출력하고, 270도일 때에는 S1=L, S2=H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의 출력 신호값을 통해 회전판(130) 또는 레버 부재의 회전각도, 더 나아가서는 개폐기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역추정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 S1 = L and S2 = H when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rotating plate 130 is 0 degrees, as shown in FIG. 5, At 90 degrees, S1=H and S2=H are output, at 180 degrees, S1=H and S2=L, and at 270 degrees, S1=L and S2=H can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signal values of the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it is possible to inversely estimate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130 or the lever member, and furthermore, whether the switch is open or closed.

계속하여,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조작 패널 또는 중앙 관제실과 같은 외부 장치가 생성 및 전송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기어 박스(11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개폐기(120)가 기어 박스((110)가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자동 개방 또는 패쇄될 수 있도록 한다. Subsequently, the processor 150 receives a control command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er operation panel or a central control room, and operates the gear box 110 in response thereto, so that the switch 120 is It can be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110).

그리고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개폐기(120)의 현재 상태를 간접 측정함으로써, 이로부터 개폐기(120)의 정상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indirectly measu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120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witch 120 is normally driven from thi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 상태 변화에 따른 회전판 회전각도 변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pattern of a rotational plate rotation angle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의 (a)에서와 같이 개폐기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회전판의 회전각도는 0도에서 180도로 연속 변화되며, 이때의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의 출력 신호값은 (S1=L, S2=H), (S1=H, S2=H), 및 (S1=H, S2=L)로 순차 변화된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 6, when the switch is chang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is continuously changed from 0 degrees to 180 degrees,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The output signal values are sequentially changed to (S1=L, S2=H), (S1=H, S2=H), and (S1=H, S2=L).

반면, 도 6의 (b)에서와 같이 개폐기가 개방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회전판의 회전각도는 180도에서 0도로 연속 변화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의 출력 신호값이 (S1=H, S2=L), (S1=L, S2=L), (S1=L, S2=H)로 순차 변화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is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open state as shown in (b) of FIG. 6,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is continuously changed from 180 degrees to 0 degrees, 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The output signal value is sequentially changed to (S1=H, S2=L), (S1=L, S2=L), (S1=L, S2=H).

만약, 개폐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는 반드시 도 6의 (a) 또는 도 6의 (b)의 패턴으로 변화하는 출력 신호값을 생성 및 출력하게 된다. If the switchgear operates normally,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necessarily generate and output output signal values that change in the pattern of FIG. 6A or 6B.

반면, 개폐기가 고장나 개폐기 레버가 움직이지 않거나, 개폐기 레버가 원래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면,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는 상기 변화 패턴을 따르지 않는 출력 신호값을 생성 및 출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witch fails, the switch lever does not move, or the switch lever does not rotate in the orig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generate and output output signal values that do not follow the change pattern. .

또한 개폐기의 성능이 열화되면, 개폐기의 회전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려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의 출력 신호값 변화 속도도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erformance of the switch is deteriorated, the rotation speed of the switch may be abnormally slow, and as a result,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signal value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is abnormally slow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회전판(130)과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를 추가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개폐기의 현재 상태를 간접 측정하고, 더 나아가서는 고장 및 열화 여부까지 확인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late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are additionally provided, and through these,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is indirectly measured,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heck and report whether or not a failure or deterioration has occurred .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개폐기 제어 장치에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S1), 프로세서(150)는 제 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를 통해 개폐기(12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S2). First, when initial power is applied to the switch control device (S1), the processor 150 checks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1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S2).

만약, 개폐기(120)가 개방 또는 패쇄 상태가 아닌 플로팅 상태이면(S1=S2=L 또는 S1=S2=H), 기어 박스(110)의 모터를 동작시켜 개폐기(120)를 폐쇄 상태로 진입시킨다(S1=L, S2=H)(S3). If the switch 120 is in a floating state rather than an open or closed state (S1=S2=L or S1=S2=H), the motor of the gearbox 110 is operated to enter the switch 120 into a closed state. (S1=L, S2=H) (S3).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개폐기 개방 명령이 원격 전송되면(S4), 프로세서(150)는 기어 박스(110)의 모터를 구동하기 시작하여 폐쇄 상태이던 개폐기가 플로팅 상태를 거쳐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S5). In this state, when an open/closer open command is remotely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S4), the processor 150 starts to drive the motor of the gear box 110 so that the open/closed open/closer passes through the floating state ( S5).

단계 S5를 수행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의 출력 신호값을 통해 개폐기 상태 변화를 간접 측정하도록 한다(S6~S9). 즉, 폐쇄 상태이던 개폐기가 플로팅 상태를 거쳐 개방 상태로 변화되었는 지 확인하고(S6, S7), 이와 동시에 폐쇄 상태에서 플로팅 상태로 변화되기까지의 제1 시간과 플로팅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화되기까지의 제2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한다(S8, S9). At the same time as step S5 is performed, the change in the switch state is indirectly measured through the output signal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S6 to S9). In other words, it is checked whether the switch from the closed state has changed from the floating state to the open state (S6, S7),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ime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floating state and from the floating state to the open state. Count the second time of (S8, S9).

만약, 개폐기의 상태가 전혀 변화되지 않으면, 개폐기 완전 고장난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고,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 시간 보다 크면, 개폐기가 열화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S10). If the state of the switch does not change at all, it is confirmed and notified that the switch is in complete failure, and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is greater than the preset time, the switch is confirmed and notified that the switch is in a deteriorated state (S10). ).

반면, 개폐기가 플로팅 상태를 거쳐 개방 상태로 정상 진입하면, 프로세서(150)는 개폐기가 정상 동작 상태임을 확인하고 기어 박스 모터의 구동을 즉각 종료하도록 한다(S11).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normally enters the open state through the floating state, the processor 150 confirms that the switch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and immediately terminates the driving of the gearbox motor (S11).

그리고 개폐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기 설정 주기로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를 추가 확인하고(S12), 이를 통해 상태 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S13).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are additionally checked at a preset period (S12), and whether or not a state change occurs through this (S13).

만약, 외부 명령이 별도 수신되지 않았음에도 개폐기의 상태가 변화되면, 이를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알람을 발생 및 출력함으로써, 관련 후속 조치가 즉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S14). If the state of the switch is changed even though an external command is not separately received, an alarm is generated and output to notify the external device or system administrator, so that the related follow-up measures can be immediately processed (S14).

동일한 방식으로, 개폐기 개방 상태에서 개폐기 폐쇄 명령이 입력되면(S15), 프로세서(150)는 기어 박스(110)의 모터를 또 다시 구동하여 개방 상태이던 개폐기가 플로팅 상태를 거쳐 패쇄 상태가 되도록 한다(S16). In the same manner, when an open/close command is input in the open/closed state (S15), the processor 150 drives the motor of the gearbox 110 again so that the open/closed open/closed state passes through the floating state ( S16).

그리고 개방 상태이던 개폐기가 플로팅 상태를 거쳐 폐쇄 상태로 변화되었는 지 확인하고(S17, S18), 또한 개방 상태에서 플로팅 상태로 변화되기까지의 제3 시간과 플로팅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화되기까지의 제4 시간을 카운팅한다(S19, S20). Also, it is checked whether the open switch has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floating state (S17, S18), and the third time from the open state to the floating state and the third time from the floating state to the closed state. Count 4 hours (S19, S20).

그리고 개폐기의 상태가 전혀 변화되지 않으면, 개폐기 완전 고장난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고, 제3 시간 또는 제4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 시간 보다 크면, 개폐기가 열화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S21). And if the state of the switch does not change at all, it is confirmed and notified that the switch is in complete failure, and if at least one of the third time or the fourth time is greater than the preset time, it is confirmed and notified that the switch is in a deteriorated state (S21). .

반면, 개폐기가 플로팅 상태를 거쳐 폐쇄 상태로 정상 진입하면, 프로세서(150)는 개폐기가 정상 동작 상태임을 확인하고 기어 박스모터의 구동을 즉각 종료하도록 한다(S22).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normally enters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floating state, the processor 150 confirms that the switch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and immediately terminates the driving of the gear box motor (S22).

이때에도 개폐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되는 동안 기 설정 주기로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141,142)를 추가 확인하고(S23), 이를 통해 상태 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S24). Even at this time,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141 and 142 are additionally checked at a preset period (S23), and whether or not a state change occurs through this (S24).

만약, 외부 명령이 별도 수신되지 않았음에도 개폐기의 상태가 변화되면, 이를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알람을 발생 및 출력함으로써, 관련 후속 조치가 즉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S25). If the state of the switch is changed even though an external command is not separately received, an alarm to notify the external device or system administrator is generated and output, so that the related follow-up measures can be immediately processed (S25).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will be. Accordingly, it will be said that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9)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표면에 제1탄소코팅층, 탄소나노구조층, 제2탄소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상기 전극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소코팅층 및 제2탄소코팅층과 구분된 별개의 독립적인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In the electrode used in the switch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power circui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The electrode includes a first carbon coating layer, a carbon nanostructure layer, and a second carbon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and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ode,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equipment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e and independen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소코팅층 또는 제2탄소코팅층은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or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comprises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소코팅층 또는 제2탄소코팅층은 니켈(Ni), 크롬(Cr) 또는 텅스텐(W) 나노입자 5~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or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comprises 5 to 20% by weight of nickel (Ni), chromium (Cr) or tungsten (W) nano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탄소나노트리(Carbon nanotre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is an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bon nanotree (Carbon nanotr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소코팅층 또는 제2탄소코팅층은 전파-마그네트론 증착(RF-magnetron sputtering)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마이크로웨이브-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Microwave-PECV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or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is formed by a radio wave-magnetron sputtering process, and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is formed by a microwave-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Microwave-PECVD) process.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소코팅층 및 제2탄소코팅층은 두께가 50nm~100nm이며, 상기 탄소나노구조층은 두께가 50~8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arbon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carbon coating layer have a thickness of 50 nm to 100 nm, and the carbon nanostructure layer has a thickness of 50 to 8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전기전도도가 0.03~0.06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gea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is 0.03 ~ 0.06S / m.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
A switch control devic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comprising an electrode for the switch control device of the power control facilit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는,
모터 회전력을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기어 박스;
상기 구동축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 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력 제어설비 개폐기 제어장치용 전극을 연결 및 폐쇄함에 따라 전력 회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기;
반경방향으로 가변적인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현되며, 상기 구동축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레버 부재와 동일 패턴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동일 거리 이격되도록 분산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출력 신호값을 달리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어 박스를 동작 제어하되,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소자의 출력 신호값을 기반으로 상기 개폐기의 정상 구동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설비용 개폐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witch control device for the power control facility,
A gear box that rotates the drive shaft through motor rotational force;
A switch that has a lever member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rotates by the drive shaft, and determines whether to open or close a power circuit by connecting and closing an electrode for a power control facility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
A rotating plate that is implemented to have a variable radius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aft to rotate in the same pattern as the lever member;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that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rotating plate by the same distance, and vary an output signal value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ear box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hecks and reports whether the switch is normally driven based on output signal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elements;
Switchgear control device for power control facilities comprising a.
KR1020190060567A 2019-05-23 2019-05-23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KR102194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67A KR102194953B1 (en) 2019-05-23 2019-05-23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67A KR102194953B1 (en) 2019-05-23 2019-05-23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16A KR20200134716A (en) 2020-12-02
KR102194953B1 true KR102194953B1 (en) 2020-12-24

Family

ID=7379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67A KR102194953B1 (en) 2019-05-23 2019-05-23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95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1525B1 (en) 2014-02-20 201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Power switchgear
JP2018018669A (en) * 2016-07-27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4939B2 (en) * 1997-07-25 2004-01-06 日新電機株式会社 Switchgear operating device
KR20070078530A (en)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de for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US7842274B2 (en) * 2006-03-31 2010-11-30 Umicore, S.A. Process for manufacture of silver-based particles and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KR101400163B1 (en) * 2012-02-27 2014-05-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Carbon nanotree and Synthesizing method of carbon nanotree
KR101376548B1 (en) 2012-12-11 2014-03-20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Electric power switch
KR102054538B1 (en) * 2015-12-14 2019-12-10 엘티메탈 주식회사 Fabrication Method of Ag-Ni-C Composite Clad Strip for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of Magnetic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1525B1 (en) 2014-02-20 201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Power switchgear
JP2018018669A (en) * 2016-07-27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16A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3985B2 (en) Amorphous cathode material for battery device
Yousaf et al. Novel pliable electrodes for flexibl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recent progress and challenges
US20190334206A1 (en) Multiple active and inter layers in a solid-state device
Wang et al. Low‐cost metallic anode materials for high performance rechargeable batteries
KR101783567B1 (en)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101263174B1 (en)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ttery device
WO2016114849A1 (en) Hybrid rechargeable battery
WO2010117060A1 (en) Collector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20220024949A (en) Electrode sheet, electrochemical device and its device
WO2018179544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4333054U (en) Electrokinetic cell top cover
WO2006041199A1 (en) Multilayer body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1435756A (en) Lithium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20130202928A1 (en) Busbar including flexible circuit
CN109792036A (en)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2194953B1 (en) Electrodes for controlling breaker switchgear of electric power equipment
CN2798256Y (en) Doubling capacity conducting wire of aluminium coated invar steel core heat resisting aluminium alloy
KR20060124978A (en) Thin film batte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elaporte et al. High Performance Lithium Metal Anode with a Nanolayer of LiZn Alloy for All‐Solid‐State Batteries
JP7440589B2 (en) Composite current coll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battery
WO2022165028A1 (en) Grid energy storage system featuring massively parallel-connected cells
CN100336147C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relay and protective relay device composed thereby
KR20180130892A (en)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Lead Wing having External Force Properties
US20220341048A1 (en) Supply circuit for electrolytic cell comprising a short-circuit device and a disconnector
WO2021136536A1 (en)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ositive electrode sheet, battery cell, and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