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899B1 -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 Google Patents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899B1
KR102194899B1 KR1020200124069A KR20200124069A KR102194899B1 KR 102194899 B1 KR102194899 B1 KR 102194899B1 KR 1020200124069 A KR1020200124069 A KR 1020200124069A KR 20200124069 A KR20200124069 A KR 20200124069A KR 102194899 B1 KR102194899 B1 KR 10219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aggregate
bogie
unit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용
이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트랙
주식회사 씨엠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트랙, 주식회사 씨엠,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트랙
Priority to KR102020012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8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04Removing the ballast; Machines therefor, whether or not additionally adapted for taking-up bal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32Installing or removing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g. sole-plates, rail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02Removing or re-contouring ball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03Displacing or storing ballast
    • E01B2203/032Displacing or storing ballast with special use or configuration of convey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ggregates on a ballasted track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ggregates on a ballasted track, which allows the recovered aggregates to fall by form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conveyor belt parts and induces the falling aggregates to be moved to a cart part loading the aggregates. Therefore, the apparatus for recovering aggregates on a ballasted track can minimize work time required for recovering the aggregates.

Description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본 발명은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부 간 높이 차를 형성하여 회수된 골재를 낙하시키고, 낙하된 골재가 골재를 적재하는 대차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로 인해, 골재 회수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inducing the collected aggregate to fall by form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conveyor belt portions, and to induce the fallen aggregate to be moved to a bogie portion for loading the aggregate. It is an inventi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collecting the aggregate.

일반적으로, 궤도(track)는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된다. 견고한 노반 위에 도상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부설하며 침목 위에 두 줄의 레일을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서, 레일, 침목, 선로바닥의 3가지 조건이 구비된 상태에서 노반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도상 윗부분을 총칭하여 궤도라고 한다.Generally, a track consists of a rail and its accessories, a sleeper and a roadbed. A roadbed is formed with a constant thickness on a solid roadbed, and sleepers are laid at regular intervals on it, and two rows of rails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leepers, and the three conditions of rail, sleeper, and track floor are provided. The upper part of the road that directly supports the load of the train along with the roadbe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rack.

궤도의 구성 중 도상은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구분된다. 이중 궤도 설치 비용 등을 이유로 자갈도상이 주로 많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자갈도상의 경우, 기차가 고속으로 지나가는 경우 침목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침목과 맞닿는 자갈도상의 자갈 등이 튀게 된다. 이로 인해, 열차가 손상되거나 레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mong the construction of the track, the road is divided into a gravel road and a concrete road. Due to the cost of installing double tracks, gravel roads are mainly installed. However, in the case of gravel roads, when the train passes at high speed, the sleepers are shaken, so that the gravel road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eepers are splashe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in is damaged or the rail is damaged.

따라서, 이러한 자갈도상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치된 자갈도상을 기반으로 한 궤도를 제거하고, 콘크리트도상 및 콘크리트 침목을 기반으로 한 궤도로 대체하는 작업들이 다수 실시되고 있다. 특히, 안전성과 기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트랙(PST)으로 주로 대체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uch a gravel road, a number of tasks have been carried out to remove a track based on the installed gravel road and replace it with a track based on a concrete road and concrete sleepers. In particular, it is mainly being replaced by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track (PST) that can solve safety and existing problem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갈도상을 제거하는 작업을 도시한 실제 작업 현장의 사진이다.1 and 2 are photographs of an actual work site showing an operation of removing a conventional gravel road.

도 1 및 도 2와 같이 기 설치된 레일 및 침목을 제거한 후,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통해 자갈과 같은 골재를 포대에 회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회수된 골재가 담긴 포대는 미도시된 별도의 중장비에 의해 인양되어 대차와 같은 이동수단에 옮겨져 회수된다.After removing the pre-installed rails and sleepers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necessary to recover aggregates such as gravel to the bag through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rain. The bag containing the recovered aggregate is lifted by a separate heavy equipment (not shown) and transferred to a moving means such as a bogie and recovered.

자갈도상을 제거하여 PST 등으로 대체하는 작업은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밤 시간에 진행되어야 하므로 얼마나 짧은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양을 대체할 수 있는지, 즉 신속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작업 방식은 골재가 회수되는데 요구되는 단계수가 많아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인부)가 도 2와 같이 포대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중장비에 의해 작업 과정에서 인명 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있어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과정에서 투입되는 최소 인력수가 많아 공사 인건비가 다수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work of removing the gravel road and replacing it with PST has to be carried out at night when the train is not running, how much can be replac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speed is the most important. However, the conventional working method has a limitation in shortening the working time due to the large number of steps required for collecting the aggregate. In addition, since the worker (worker) must hold the bag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human acciden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work due to heavy equipment, so there is a problem with high risk.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construction labor costs are genera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minimum personnel inputted in the work process.

따라서, 골재를 회수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 단계수 및 투입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quipment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work steps and input manpower in the work of recovering aggregates.

KR 10-1401995호KR 10-1401995

본 발명은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부 간 높이 차를 형성하여 회수된 골재를 낙하시키고, 낙하된 골재가 골재를 적재하는 대차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로 인해, 골재 회수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inducing the collected aggregate to fall by form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conveyor belt portions, and to induce the fallen aggregate to be moved to a bogie portion for loading the aggregate. It is an inventi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collecting the aggreg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대차부; 상기 제1 대차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골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되,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상기 골재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진 제1 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의 일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한 제2 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골재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제2 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낙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를 따라 이동하고, 낙하하여 상기 제2 대차부의 중공부에 적재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ogie movable along a rail;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point of the first bogie portion to receive aggregate; A first conveyor belt unit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and inclined upward so that the aggregate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unit moves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conveyor belt unit positioned below one end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and extend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art parts which are movable along the rail and which load the aggregate and move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aggrega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the first conveyor belt It moves along the par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falls along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and falls and is load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cart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대차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대차부 중 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2 대차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대차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제1 대차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 낙하된 상기 골재는, 상기 제1 대차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대차부 중 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2 대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대차부의 중공부에 적재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ieces, and as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goes from the first bogie portion to the second bogie portion located at an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bogie portions, the second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ogie is lowered, and the aggregate, which is dropped on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bogie, is located at an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bogies from the first bogie. It is sequenti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ogie and is load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bogi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롤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대차부의 상면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ortions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with a pair of roller portion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rolle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gie portion, the width direction It is movable along a pair of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가 상기 제1 대차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접힘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units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so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units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rt uni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양측부에는 각각 그루브부가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각각의 상기 그루브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s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each of the grooves of the pair of second conveyor belts adjacent in a vertical direction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상기 수용부는 회전 가능하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e,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irst conveyor belt portion are integrally rota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상기 제1 대차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대차부는 복수 개의 이음부에 의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car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portions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joints.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부 간 높이 차를 형성하여 회수된 골재를 낙하시키고, 낙하된 골재가 골재를 적재하는 대차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골재 회수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ed aggregate is dropped by form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nveyor belt portions, and the dropped aggregate is guided to be moved to the cart portion for loading the aggregate, thereby minimizing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collecting the aggregat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갈도상을 제거하는 작업을 도시한 실제 작업 현장의 사진이다.
도 3은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1 컨베이어 벨트부와 제 2-2 컨베이어 벨트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수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수용부의 회전체를 통해 제1 컨베이어 벨트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도 8은 인접하는 제2 대차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접하는 제2 대차부 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대차부를 표현한 것이다.
1 and 2 are photographs of an actual work site showing an operation of removing a conventional gravel road.
Figure 3 shows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Figure 4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2-1 conveyor belt unit and the 2-2 conveyor belt unit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unit.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eiving portion.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rotates through the rotating body of the receiving unit.
8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cart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s viewed from above.
9 is an enlarged view of adjacent second balance unit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0 illustrates a second balan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3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고,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3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폭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direction" refers to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3. The'width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formed by the'length direction' and the'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esignated direc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See FIGS. 3 and 4. Figure 3 shows the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는 제1 대차부(4000), 수용부(100),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 및 제2 대차부(40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collecting gravel track aggreg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art unit 4000, a receiving unit 100, a first conveyor belt unit 200, a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and a second cart unit 400. Includ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의 구성 요소의 작동 전 상호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First,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utual position relationship.

제1 대차부(4000) 및 복수 개의 제2 대차부(400)가 연결되어 레일(1)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때, 미도시 되었지만,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즉 제1 대차부(4000)가 위치된 부근이 골재가 회수되어야 하는 작업 구간이다. 따라,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즉 복수 개의 제2 대차부(400) 중 단부에 위치된 제2 대차부(400)는 미도시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장치(일 예로 모터 카(motor car))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대차부(4000) 및 복수 개의 제2 대차부(400)는 동력장치로 인해 레일(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cart part 40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parts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ove along the rail 1.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right side of FIG. 1, that is, the vicinity where the first bogie part 4000 is located, is a working section in which the aggregate should be recovered. Accordingly, the second balance unit 40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1, that is,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lance units 400, is a power device (for example, a motor car) that moves along a rail 1 not shown. (motor car)). Accordingly, the first cart part 40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parts 400 may move along the rail 1 due to the power device.

또한, 수용부(100),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는 제1 대차부(4000)에 위치되며, 작동 전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대차부(4000)에 위치되며, 작동 후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제1 대차부(4000) 및 복수 개의 제2 대차부(400)에 형성된 레일부(4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100 and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 are located on the first cart part 4000, and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300 before operation is partially or entirely of the first cart part 4000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after operation is located at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ail unit 410 formed on the first cart unit 40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units 400.

또한, 중장비(2)는 일 예로 제1 대차부(4000)에 적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heavy equipment 2 may be loaded on the first balance unit 4000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xample.

제1 대차부(4000)는 레일(1)을 따라 이동가능한 대차이다. 레일(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가 형성된다. 제2 대차부(400) 또한 제1 대차부(400)와 같이 레일(1)을 따라 이동가능한 대차이다. 이때, 제2 대차부(400)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대차부(4000) -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대차부(400)와 같은 형태로 레일(1)에 놓여 지게 된다.The first bogie part 4000 is a bogie movable along the rail 1. A plurality of wheels are formed to enable movement along the rail (1). The second bogie 400 is also a bogie movable along the rail 1 like the first bogie 4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art part 400 is formed in plural, and the first cart part 4000-to be placed on the rail 1 in the same form as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parts 400 connected in sequence. do.

수용부(100)는 제1 대차부(4000)의 일 지점에 형성되며, 골재(3)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부(1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receiving part 100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first balance part 4000 and serves to recover the aggregate 3.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는 수용부(100)와 결합된다.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와 수용부(100)의 결합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소재를 이동시키는 장비를 일컫으며, 소재가 휠을 따라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이동된다. 이는 공지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10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200 and the accommoda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Conveyor Belt refers to equipment that moves a material from one point to another, and the material is moved by a belt rotating along a wheel. Since this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는 평면이 아닌, 회수되는 골재(3)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는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 제1-2 컨베이어 벨트부(220) 및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로 나뉘어 수직 방향으로 높이차가 형성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clined upward so that the collected aggregate 3 is raised and lowered in a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a flat surface.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 is divided into a 1-1 conveyor belt part 210, a 1-2 conveyor belt part 220, and a 1-3 conveyor belt part 230 to form a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는 수용부(100)와 결합되되 제1 대차부(4000)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플랫한 형상이며, 제1-2 컨베이어 벨트부(220)는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대차부(4000)의 표면과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는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에서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로 갈수록 수직 방향으로 높아지는 형태의 경사이다.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는 제1-2 컨베이어 벨트부(220)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대차부(4000)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플랫한 형상이다.In more detail, the 1-1 conveyor belt unit 21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100 and has a flat shap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rt unit 4000, and the 1-2 conveyor belt unit ( 22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1-1 conveyor belt portion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and inclined to the first bogie portion (4000). In this case, the slope is a slope of a type that increa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1-1 conveyor belt part 210 to the 1-3 conveyor belt part 230. The 1-3 conveyor belt part 23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1-2 conveyor belt part 220 and has a flat shap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rt part 4000.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중장비(2)에 의해 회수된 골재(3)는 수용부(100)를 거쳐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에 놓이고,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 제1-2 컨베이어 벨트부(220) 및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를 거쳐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의 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골재(3)는 낙하하여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를 따라 이동하여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에 적재될 수 있다.Due to this shape, the aggregate 3 recovered by the heavy equipment 2 is placed on the 1-1 conveyor belt unit 210 through the receiving unit 100, and the 1-1 conveyor belt unit 210, I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1-3 conveyor belt part 230 via the 1-2 conveyor belt part 220 and the 1-3 conveyor belt part 230. 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ggregate 3 may fall and move along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300 to be loaded into the hollow part 420 of the second balance part 400.

도 6은 수용부(10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수용부(100)는 호퍼(110), 지지대(120) 및 회전체(130)를 포함한다. 호퍼(110)를 중장비(2)에 의해 회수되는 골재(3)를 수용한다. 호퍼(110)의 일 지점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출구(111)가 형성되며, 호퍼(110)에 수용된 골재(3)는 배출구(111)를 따라 호퍼(110) 외부로 배출된다.The receiving part 100 includes a hopper 110, a support 120 and a rotating body 130. The hopper 110 accommodates the aggregate (3) recovered by the heavy equipment (2). At least one outlet 111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hopper 110, and the aggregate 3 accommodated in the hopp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pper 110 along the outlet 111.

지지대(120)는 호퍼(110) 및 회전체(130)와 동시에 결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도 6과 같은 막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퍼(110) 및 회전체(130)를 동시에 연결하여 상호 지지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또한, 지지대(120)는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의 측면과 맞닿는다. 이때,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의 벨트와 맞닿는 것이 아닌, 벨트를 측면에서 감싸는 미도시된 브라켓 등에 결합되어 벨트 회전과 독립적으로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 몸체 전체가 지지대(120)와 결합된다.The support 120 is preferably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hopper 110 and the rotating body 130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of the rod as shown in FIG. 6,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each other by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hopper 110 and the rotating body 130. In addition, the support 12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1-1 conveyor belt unit 210. At this time, the entire body of the 1-1 conveyor belt unit 2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belt of the 1-1 conveyor belt unit 210, but is coupled to a bracket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belt from the side, and is independent of the belt rotation. Combined with 120.

회전체(130)는 지지대(120)와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제1 대차부(40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130)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body 130 is coupled to the support 120,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bogie part 4000.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body 130 can rotate 360 degrees based on a plane formed by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따라서, 회전체(130)가 회전할 경우, 호퍼(110), 지지대(120) 및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 전체가 회전체(130)의 회전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된 복선 현장에서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body 130 rotates, the hopper 110, the support 120, and the entir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 are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30 It rotates based 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work efficiency in a double track site where a pair of rails are formed. A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작동 시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며, 제2 대차부(400)의 레일부(410)를 따라 이동한다.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의 일단부의 하부에 위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의 하부에 위치된다.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can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operation, and moves along the rail unit 410 of the second balance unit 400.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300 is located under one end of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 In more detail, it is located below the 1-3 conveyor belt part 230.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이때, 일 예로 4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가 존재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 제2-2 컨베이어 벨트부(320), 제2-3 컨베이어 벨트부(330), 제2-4 컨베이어 벨트부(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는 제1 대차부(4000)에 가장 가깝고, 제2-4 컨베이어 벨트부(340)로 갈수록 제1 대차부(4000)에서 길이 방향으로 멀어진다.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is formed in plural.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re may be four second conveyor belt units 300.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numbers.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includes the 2-1 conveyor belt unit 310, the 2-2 conveyor belt unit 320, the 2-3 conveyor belt unit 330, and the 2-4 conveyor belt unit ( 340). Here, the 2-1 conveyor belt part 310 is the closest to the first cart part 4000, and as it goes to the 2-4 conveyor belt part 340, it is further away from the first cart part 40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그루브부가 형성된다. 이때, 인접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 간에는 각각의 그루브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500)가 형성된다.Groo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ortions 300, respectively. At this time, between the adjacent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a connection unit 500 is formed that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each groove and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와 제 2-2 컨베이어 벨트부(320)가 연결부(500)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인접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 간의 모습을 일 예로 설명하기 위해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 및 제2-2 컨베이어 벨트부(320) 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제2-2 컨베이어 벨트부(320)와 제2-3 컨베이어 벨트부(330), 제2-3 컨베이어 벨트부(330)와 제2-4 컨베이어 벨트부(340) 간에도 동일한 형태로 연결부(50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o describe this in detail.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2-1 conveyor belt part 310 and the 2-2 conveyor belt part 32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500. In order to illustrate the state between the adjacent second conveyor belt units 300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2-1 conveyor belt unit 310 and the 2-2 conveyor belt unit 320 is shown, and the second 2 The connection part 50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between the conveyor belt part 320 and the 2-3 conveyor belt part 330, the 2-3 conveyor belt part 330 and the 2-4 conveyor belt part 340. do.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의 측부에는 제2-1 그루브부(310a)가 형성된다. 제2-1 그루르부(310a)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2 컨베이어 벨트부(320)의 측부에는 제2-2 그루브부(320a)가 형성된다. 제2-2 그루브부(320a)는 제2-1 그루브부(310a)와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 2-1 groove 310a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2-1 conveyor belt 310. The 2-1 groove 310a has a groov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Likewise, a 2-2 groove part 320a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2-2 conveyor belt part 320. It is preferable that the 2-2nd groove part 320a has the same shape as the 2-1st groove part 310a.

이때, 연결부(500)는 제2-1 그루브부(310a) 및 제2-2 그루브부(320a)의 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부(500)는 패널(510)의 내측에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이동롤러(520)로 구성되며, 각 이동롤러는 회전축(521a, 522a)에 의해 패널(510)과 결합되어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500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2-1 groove 310a and the 2-2 groove 320a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500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panel 510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moving rollers 520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moving roller is a panel by a rotation shaft 521a, 522a. Combined with 510 and rotated.

이때, 한 쌍의 이동롤러(521, 522)는 각각 제2-1 그루브부(310a)의 홈 및 제2-2 그루브부(320a)의 홈에 동시에 결합되며, 각각 제2-1 그루브부(310a)의 홈 및 제2-2 그루브부(320a)의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pair of moving rollers 521 and 522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2-1 groove portion 310a and the groove of the 2-2 groove portion 320a, respectively, and each 2-1 groove portion ( I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roove of 310a) and the groove of the 2-2 groove 320a.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인접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 간에 수직 방향으로 상호 지지하며, 후술할 롤러부(3211, 3311, 3411)의 지지와 더불어 각각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가 수직 방향으로의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호 지지하는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adjacent second conveyor belt units 300 are mutually suppor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each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is vertically supported with the support of the roller units 3211, 3311, and 3411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designed to be movable in a form that prevents shaking or tilting in the direction and support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4와 같이 제2-4 컨베이어 벨트부(340), 제2-3 컨베이어 벨트부(330), 제2-2 컨베이어 벨트부(320)가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로부터 순차적으로 제2 대차부(400)의 레일부(4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사다리가 접혔다가 펼쳐지는 것 과 같은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방향으로의 펼침 동작은 전자적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제어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펼쳐지는 동작과 별개로 각각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의 벨트가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2-4 conveyor belt unit 340, the 2-3 conveyor belt unit 330, and the 2-2 conveyor belt unit 320 as shown in FIG. It may be designed to be abl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ail part 410 of the second cart part 400 sequentially from the part 310, and this may constitute a form as if a ladder is folded and then unfolded. I can. The spreading oper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erformed by electronic control, and since electronic control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eparately from the unfolding operation, the belts of each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s 300 rotate.

이때, 펼쳐진 방향과 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의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는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장비의 보관 용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nfolded direction,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units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units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ase of storage of equipment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에는 복수 개의 롤러부가 결합된다. 롤러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각각의 롤러부는 제2 대차부(400)의 레일부(41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된다.A plurality of roller units are coupled to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The roller portions are formed in a pair,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roller portion is design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portion 410 of the second cart portion 400.

도 3 및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 있어서 각각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 한 쌍의 롤러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도면부호를 '3211', '3311', '3411'로 지정하였다. 각각의 롤러부는 제2 컨베이어 벨트부와 롤러바(321, 331, 341)를 통해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roller units are coupled to each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s in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units.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ence numerals are designated as '3211', '3311', and '3411', respectively. Each of the roller units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and roller bars 321, 331, 341.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는 롤러부에 의해 레일부(4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인접한 제2 컨베이어 벨트부와 연결부(500)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각각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는 상호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 함과 동시에 접힘과 펼쳐짐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접힘 시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ly, any on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s is movable along the rail unit 410 by the roller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conveyor belt uni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500. Due to this structure, each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s is interlock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when folded,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I can.

이때, 일 예로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 중 제1 대차부(4000)와 인접한 제2 컨베이어 벨트부(310)는 일 예로 도 4와 같이 제1 대차부(4000)에 롤러부가 아닌 고정된 지지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대차부(4000)의 베이스(4100)와 지지바(4100)를 통해 지지된다. 즉, 레일부(4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다른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20, 330, 34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20, 330, 340)는 일 예로 제1 대차부(4000)에 형성된 레일부(4300)를 따라 이동되어 제2 컨베이어 벨트부(3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대차부(4000)와 인접한 제2 컨베이어 벨트부(3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부가 형성되는 구성 또한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310 adjacent to the first cart part 4000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arts is fixed to the first cart part 4000 as shown in FIG. It can be combined in a bar shape. It is supported through the base 4100 and the support bar 4100 of the first bogie part 4000. That is, it does not move along the rail unit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other second conveyor belt units 320, 330, and 340. The other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units 320, 330, and 340 may be moved along the rail unit 4300 formed on the first cart unit 4000 to be located under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10, for example. have. In this way,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10 adjacent to the first cart unit 40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tability may be improved.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xample,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a roller part is formed may also be included.

도 8을 참조하여, 제2 대차부(4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인접하는 제2 대차부(400)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FIG. 8,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alance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jacent second balance unit 400 viewed from above.

먼저, 인접하는 제2 대차부(400) 간은 이음부(6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음부(600)는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제2 대차부(400)와 제1 대차부(4000) 또한 이음부(600)로 연결될 수 있다.First, the adjacent second balance parts 400 may be connected by a joint part 600. The joint 600 has a shape that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In addition, the second balance part 400 and the first balance part 40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joint part 600.

제2 대차부(400)는 중공부(420)가 형성되며, 중공부(420)에 골재(3)가 적재될 수 있다. 골재(3)는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의 단부에서 낙하되어 중공부(420)에 적재된다. 또한, 제2 대차부(400)는 바퀴가 형성되어 레일(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bogie part 400 has a hollow part 420, and the aggregate 3 may be loaded in the hollow part 420. The aggregate 3 is dropp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300 and is loaded on the hollow part 420. In addition, the second bogie 400 may be moved along the rail 1 because a wheel is formed.

이때, 제2 대차부(400)의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레일부(410)가 형성된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부가 각각 한 쌍의 레일부(4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a pair of rail portions 410 that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 in the length direc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lance portion 400.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roller portions formed on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pair of rail portions 410, respectively.

이때,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된 롤러부에 있어서, 롤러부는 다시 한 쌍으로 형성되어 레일부(410)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확대도는 이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롤러부(3211)는 한 쌍(3211a, 3211b)으로 형성되어 롤러바(321)와 연결된다.At this time, in the roller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portion is formed in a pair again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portion 410. The enlarged view of FIG. 8 schematically shows this, and the roller part 3211 is formed as a pair 3211a and 3211b to be connected to the roller bar 321.

인접하는 제2 대차부(400) 간에는 도 8과 같이 이격된 틈이 형성된다. 이때, 롤러부가 레일부(4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이격된 틈에 롤러부가 삽입되었다가 다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롤러부가 단일 개수가 아닌 한 쌍으로 형성되면 도 8과 같이 어느 하나의 롤러부(3211b)가 이격된 틈에 삽입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롤러부(3211a)가 레일부(410) 상에 위치되므로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롤러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spaced gap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econd balance parts 400 as shown in FIG. 8.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oller part along the rail part 410, the roller part is inserted into a gap temporarily spaced apart and then discharged again. In this process, if the rollers are formed in a pair rather than a single number, as shown in FIG. 8, even if any one roller part 3211b is inserted into the spaced gap, the other roller part 3211a is on the rail part 410 Since it is loc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oothly perform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roller part.

이하에서는, 골재(3)가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에 적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aggregate 3 is loaded in the hollow portion 420 of the second balance portion 400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전자 제어를 통해 도 4와 같이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를 펼치게 된다. First, the operator unfolds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00 as shown in FIG. 4 through electronic control.

다음으로, 중장비(2)가 골재를 들어 올려, 호퍼(110)에 투입한다. 호퍼(110)에 수용된 골재(3)는 배출구(111)를 따라 배출되어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에 놓여 진다. 골재(3)는 제1-1 컨베이어 벨트부(210), 제1-2 컨베이어 벨트부(220) 및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를 따라 이동한다.Next, the heavy equipment (2) lifts the aggregate and puts it into the hopper (110). The aggregate 3 accommodated in the hopper 110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ort 111 and placed on the 1-1 conveyor belt part 210. The aggregate 3 moves along the 1-1 conveyor belt part 210, the 1-2 conveyor belt part 220, and the 1-3 conveyor belt part 230.

다음으로, 제1-3 컨베이어 벨트부(230)의 단부로 이동된 골재(3)는 낙하하여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에 놓여 진다. 골재(3)는 제2-1 컨베이어 벨트부(310)의 단부로 이동하여 낙하한 뒤 제2-2 컨베이어 벨트부(320)에 놓여 진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제2-3 컨베이어 벨트부(330) 및 제2-4 컨베이어 벨트부(34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Next, the aggregate 3 moved to the end of the 1-3 conveyor belt unit 230 is dropped and placed on the 2-1 conveyor belt unit 310. The aggregate 3 moves to the end of the 2-1 conveyor belt part 310 and falls, and then is placed on the 2-2 conveyor belt part 320.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it sequentially moves along the 2-3rd conveyor belt part 330 and the 2-4th conveyor belt part 340.

다음으로, 제2-4 컨베이어 벨트부(340)의 단부로 이동한 골재(3)는 낙하하여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에 적재된다. 따라서,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 중 제1 대차부(400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된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단부는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의 수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별도의 제어 없이도 골재(3)가 자연스럽게 중공부(420)에 적재된다.Next, the aggregate 3 moved to the end of the 2-4 conveyor belt part 340 is dropped and loaded onto the hollow part 420 of the second cart part 400. Therefore,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which is located farthest from the first cart part 4000 of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300, is vertically above the hollow part 420 of the second cart part 400. It is preferred to be located. Due to this, the aggregate 3 is naturally loaded into the hollow portion 420 without separate control.

어느 하나의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에 골재(3)가 가득 차게 되면, 작업자는 전자 제어를 통해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일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접는다. 접힌 후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단부가 비어 있는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의 수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되면, 전과 동일한 원리로 골재(3)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ggregate 3 is filled in the hollow part 420 of any one of the second cart parts 400, the operator folds a part of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electronic control. When the folded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hollow portion 420 of the empty second cart portion 400, the aggregate 3 can be loaded in the same principle as befor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골재 회수 작업에 비하여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골재를 회수하는데 투입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전자 제어만 행하면 되므로 작업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ggregate recovery operation, and since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input to recover the aggregate, but only indirectly performs electronic contro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stability can be improved. .

복수 개의 제2 대차부(400)의 중공부(420)가 전부 골재(3)로 가득 차게 되면, 작업자는 전자 제어를 통해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부(300)를 다시 원복시켜 도 3과 같은 형태로 위치시킨다. 이후 미도시 된 모터 카 등을 통해 제1 대차부(4000) 및 제2 대차부(400)를 레일(1)을 따라 이동시켜 골재 회수 장소로 골재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hollow part 420 of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parts 400 is all filled with the aggregate 3, the operator restores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arts 300 through electronic control, as shown in FIG. Placed in a shape. Thereafter, the first cart part 4000 and the second cart part 400 are moved along the rail 1 through a motor car, which is not shown, so that the aggregate may be moved to the place for collecting the aggregate.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은 수용부(100)의 회전체(130)를 통해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가 회전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See FIG. 7.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200 rotates through the rotating body 130 of the receiving unit 100.

회전체(130)를 통해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이루는 면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복선에서 효과가 극대화된다.Since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200 can be rotated based on a surface formed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rotating body 130, the effect is maximized in a double track.

레일(1)이 단선 레일이 아닌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선 레일(1, 1a)인 환경도 다수 존재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레일(1)에 본 발명에 따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를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레일(1a)에는 골재(3)의 적재 가능하되, 레일(1a)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카(car, 1000)를 위치시킨다. 또한, 회전된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a)의 단부가 카(1000)의 중공부의 수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다.There are also a number of environments in which the rails 1 are not single rails but double rails 1 and 1a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is time, th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any one rail (1), and the aggregate (3) can be loaded on the other rail (1a), bu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ail (1a) Position as many cars as possible (1000). In addition, the end of the rotated first conveyor belt portion 200a is positioned above the hollow portion of the car 1000 in the vertical direction.

미도시 되었지만, 복수 개의 카(1000)는 모터카에 의해서 전체가 이동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카(1000) 간에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ntire plurality of cars 1000 may be moved by a motor car, and the plurality of cars 1000 may be interconnected.

어느 하나의 레일(1)에 위치된 제2 대차부(400)에 골재(3)가 모두 적재되면, 작업자는 전자 제어를 통해 회전체(130)를 도 7과 같이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30)가 회전되면,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 또한 회전체(1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호퍼(110)에 유입되는 골재(3)는 위치가 변경된 제1 컨베이어 벨트부(200a)를 따라 이동한다. 이후, 낙하하여 카(1000) 내부의 중공부에 적재될 수 있다.When all of the aggregates 3 are loaded on the second bogie 400 positioned on any one rail 1, the operator rotates the rotating body 130 as shown in FIG. 7 through electronic contro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ng body 130 is rotated,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200 is also rotated together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30. Therefore, the aggregate 3 flowing into the hopper 110 moves along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200a whose position is changed. Thereafter, it may fall and be loaded into the hollow inside the car 1000.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대차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인접하는 제2 대차부 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A second balan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9 is an enlarged view of adjacent second balance portions.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대차부(400)는 제2 대차부 본체(430)의 일단부에 보관홈(431a)이 형성된다. 또한, 타단부에는 수용홈(431b)이 형성된다. 보관홈(431a)에는 연장바(440)가 삽입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제2 대차부(400)에서 연장된 연장바(440)는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제2 대차부(400)의 보관홈(431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바(440)는 일종의 브릿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 결합된 롤러부는 연장바(440)를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대차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부는 제2 대차부(400)의 레일부(4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 storage groove 431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alance body 430 of the second balance part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a receiving groove (431b)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 extension bar 44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431a, and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extension bar 440 extending from one of the second cart parts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431a of the other adjacent second cart part 400. Therefore, the extension bar 440 can perform a kind of bridge role. In this case, since the roller unit coupled to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can move along the extension bar 440, the problem caused by the spaced gaps between the second cart units can be solv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roller part can stably move along the rail part 410 of the second balance part 400.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대차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대차부를 표현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FIG. 10, a second balan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0 illustrates a second balan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대차부는 중공부(420) 내에 틸팅 가능한 경사패널(46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대차부의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도어(450)가 형성된다.A tiltable inclined panel 460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420 of the second bal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doors 450 that can be elev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gi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대차부(400)에 적재된 골재(3)를 회수 장소(최종적으로 골재(3)가 이동되는 외부의 장소)로 이동시킬 때, 다시 중장비(2)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the aggregate 3 loaded on the second cart unit 400 to a collection location (finally, an external location where the aggregate 3 is moved), the heavy equipment 2 Is usually use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minimizing the working time.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재된 골재(3)를 회수 장소로 이동시킬 때, 중장비(2) 없이 도어(450)의 승강과 경사패널(460)의 틸팅만으로 골재(3)를 제2 대차부(400)로부터 꺼낼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the loaded aggregate 3 to the collection location, the aggregate 3 is only lifted and lowered without heavy equipment 2 and tilted of the inclined panel 460. Since it can be taken out from the second balance unit 4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경사패널(460)은 도 10과 같이 제2 대차부(400) 내에 형성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도 10을 기준으로, 만약 11시 방향에서 5시 방향으로 경사패널(460)이 경사지게 되면, 적재된 골재(3)는 이를 따라 경사지게 된다. 이때, 도어(450)를 승강시키면, 도어(450)와 마주보는 부분이 개방된 제2 대차부 본체(430)의 개방된 부분을 따라 골재(3)가 경사에 의해 쏟아지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중장비 없이도 골재(3)를 제2 대차부(400)로부터 꺼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inclined panel 460 is designed to be tiltable based on a central axis formed in the second balance unit 400. Referring to FIG. 10, if the inclined panel 460 is inclined from 11 o'clock to 5 o'clock, the loaded aggregate 3 is inclined along it. At this time, when the door 450 is raised or lowered, the aggregate 3 is poured due to the slope along the open portion of the second bogie main body 430 where the portion facing the door 450 is ope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aggregate 3 from the second balance unit 400 without additional heavy equipment.

이때, 경사패널(460)이 도 10을 기준으로 1시 방향에서 7시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이와 마주보는 도어(450)가 승강하면 전술한 방향과 반대로 골재(3)가 쏟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450)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경사패널(460)이 경사질 수 있으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져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 때문에 작업 환경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골재(3)를 꺼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ed panel 460 is inclined from 1 o'clock to 7 o'clock based on FIG. 10, and when the door 450 facing it is raised and lowered, the aggregate 3 is pou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described direction. Therefore, the door 450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inclined panel 460 can be inclined, and the aggregate 3 can be taken out to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because 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angle can be freely changed. I can.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work efficienc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0 : 수용부,
200 : 제1 컨베이어 벨트부,
300 : 제2 컨베이어 벨트부,
400 : 제2 대차부,
500 : 연결부,
600 : 이음부,
4000 : 제1 대차부.
100: receiving part,
200: first conveyor belt unit,
300: second conveyor belt part,
400: the second loan,
500: connection,
600: joint,
4000: 1st loan.

Claims (7)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대차부;
상기 제1 대차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골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되,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상기 골재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진 제1 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의 일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한 제2 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골재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제2 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부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낙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를 따라 이동하고, 낙하하여 상기 제2 대차부의 중공부에 적재되고,
상기 제2 대차부의 일단부에 보관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보관홈에는 연장바가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대차부의 상기 중공부 내에는 틸팅 가능한 경사 패널이 형성되되, 상기 제2 대차부의 양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것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
A first bogie movable along the rail;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point of the first bogie portion to receive aggregate;
A first conveyor belt unit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and inclined upward so that the aggregate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unit moves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conveyor belt unit positioned below one end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and extend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art parts which are capable of loading the aggregate and moving along the rail,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ggrega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moves along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falls and moves along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and falls to the second cart unit. Loaded in the hollow part,
A storage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gie 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extension ba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iltable inclined panel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bogie, and doors capable of elev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gi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대차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대차부 중 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2 대차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대차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제1 대차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 낙하된 상기 골재는, 상기 제1 대차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대차부 중 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2 대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대차부의 중공부에 적재되는 것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and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rt portion decreases from the first cart portion to the second cart portion located at an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cart portions. ,
The aggregate dropped on the second conveyor bel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bogie portion is sequentially moved from the first bogie portion to the second bogie portion positioned at an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bogie portions, and the To be loaded in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balance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롤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대차부의 상면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pair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arts,
The roller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gie part, and is movable along a pair of rail part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가 상기 제1 대차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접힘 가능한 것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arts are foldable so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arts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rt part.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양측부에는 각각 그루브부가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부의 각각의 상기 그루브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갈궤도 골재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Groo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 belt portions,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conveyor belt portion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vable in the length direction
Gravel track aggregate recover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24069A 2020-09-24 2020-09-24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KR102194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69A KR102194899B1 (en) 2020-09-24 2020-09-24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69A KR102194899B1 (en) 2020-09-24 2020-09-24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899B1 true KR102194899B1 (en) 2020-12-24

Family

ID=7408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069A KR102194899B1 (en) 2020-09-24 2020-09-24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89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440U (en) * 1986-09-23 1988-05-30 박정치 Bottom-up parking
JPH03233001A (en) * 1990-02-08 1991-10-17 Higashi Nippon Riyokaku Tetsudo Kk Ballast exchange system
KR101401995B1 (en) 2013-08-29 2014-05-30 (주)네비엔 The railwa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slab track
CN107513907A (en) * 2017-08-16 2017-12-26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A kind of subway solid concrete roabed concreting convey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440U (en) * 1986-09-23 1988-05-30 박정치 Bottom-up parking
JPH03233001A (en) * 1990-02-08 1991-10-17 Higashi Nippon Riyokaku Tetsudo Kk Ballast exchange system
KR101401995B1 (en) 2013-08-29 2014-05-30 (주)네비엔 The railwa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slab track
CN107513907A (en) * 2017-08-16 2017-12-26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A kind of subway solid concrete roabed concreting convey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8579B2 (en) Self-propelled precast slab erection machine
CN107060802A (en) Rock-gangway bomb-dug bores shipment complete set of equipments
CN110273375B (en) Bridge erecting machine
CN1152168C (en) Machinery for renewing track
BR112016003000B1 (en) mobile bulk material processing device
KR102194899B1 (en) Device that recovers aggregates generated from gravel tracks
CN1100922C (en) Machine for dismantling old track and laying new track
JP3901657B2 (en) Self-propelled precast slab erection machine
JP3267787B2 (en) Ballast updating machine
US3752334A (en) Industrial bulk material transportation
RU2070950C1 (en) Track tie tamping and ballast levelling device
JP2002047602A (en) Track renewing device
CN206888989U (en) Rock-gangway bomb-dug bores shipment complete set of equipments
CN216040450U (en) Railway switch laying and replacing operation vehicle
US4827848A (en) Railway panel re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with temporary track
CN211256695U (en) Beam conveying structure crossing existing road
KR100687137B1 (en) Steel carrier for constructing upper structure of bridge
CN114017082A (en) Construction process of horizontal support structure rear-dismantling method
RU2093632C1 (en) Machine for treating ballast course or ground base of railway track
KR20100078371A (en) Rapid re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pulling-up facility and scaffold truss with wheels under the bottom of existing and replacing bridges
ES2262466T3 (en) APPARATUS FOR USE IN THE RENEWAL OF A VIA FERREA SYSTEM.
KR100687136B1 (en) Main carrier for constructing upper structure of bridge
CN214988784U (en) Slag turning device for mine car
CN221094775U (en) Paving device for pavement brick construction
JP7412015B2 (en) Crushed rock transport vehicle for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