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592B1 -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 Google Patents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592B1
KR102194592B1 KR1020200093721A KR20200093721A KR102194592B1 KR 102194592 B1 KR102194592 B1 KR 102194592B1 KR 1020200093721 A KR1020200093721 A KR 1020200093721A KR 20200093721 A KR20200093721 A KR 20200093721A KR 102194592 B1 KR102194592 B1 KR 10219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knee
leg
swing
corre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이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우 filed Critical 이선우
Priority to KR102020009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는 골퍼의 양 다리가 꿰어지는 한 쌍의 다리부를 갖는 바지 및 한 쌍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패드 조립체는 다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다리부에 부착 또는 부착 해제되는 복수의 외측 패드 및 골퍼의 양 다리 중 스윙 축이 되는 다리와 접촉 가능하도록 복수의 외측 패드의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내측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복수의 외측 패드를 서로 연결하고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지지부; 패드부에 장착되어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이 설정된 정상 위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센서부와 연동하여 자세 교정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GOLF WEAR WITH SWING CORRECTION FUNCTION}
본 개시는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위한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정지된 공을 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는 운동으로서,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올바른 스윙 자세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도 1을 참고해 보면, 골프 스윙은 공과 적당한 거리를 두고 양 발의 위치를 정하는 스탠스(stance)와 공의 뒤 지면에 클럽을 위치시키고 공을 타격하기 위한 자세를 취하는 어드레스(address), 클럽을 뒤로 이동시켜 위로 들어 올리는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 상태에서 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클럽을 끌어내리는 다운스윙(down swing), 다운스윙된 클럽의 헤드로 공을 타격하는 임팩트(impact) 및 공을 타격한 이후 관성에 따라 클럽 헤드가 공을 지속적으로 밀어내면서 스윙이 마무리되는 피니쉬(finish)와 같은 일련의 연속적인 동작을 포함한다.
이러한 골프 스윙 동작과 관련하여, 골퍼(플레이어)의 자세가 안정적이지 못하는 경우, 목표로 하는 지점까지 공을 정확하게 쳐서 날려보내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공을 타격하기 위해 다운스윙을 시작하면 골퍼의 오른쪽 다리에 집중되어 있던 체중이 왼쪽 다리로 이동되는데, 이때 이동된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골퍼의 몸이 왼쪽으로 밀려버리면 왼쪽 다리가 과도하게 기울어지거나 양쪽 다리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스윙 자세가 무너지게 된다. 이 경우, 임팩트가 완료될 때까지 체중이 실린 강한 스윙을 할 수가 없어 공을 멀리까지 날려보낼 수 없고, 공에 대한 타격의 정확도도 떨어진다. 또한, 임팩트 이후 스윙이 마무리되는 피니쉬에서도 왼쪽 다리에 집중된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스윙 자세가 무너지게 되면 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타격력을 지속시켜 줄 수 없어서 공이 날아가는 거리(비거리)가 줄어들고 공이 날아가는 방향의 정확도도 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골프 실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 중에는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위한 장치들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4983호에는 골퍼의 동작과 골프공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서부로 감지하고,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골퍼에게 제공해주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의 경우, 스크린 골프장과 같은 특정 실내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어서, 다양한 장소에서 스윙 훈련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11호에는 스윙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발판 및 발판에 결합되어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 골프 스윙 자세 보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골프 스윙 자세 보조구는 다양한 장소로의 휴대는 가능은 하지만, 골퍼가 해당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이동하기 어려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 스윙 동작 중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의 이상 자세(부정확한 자세)가 감지되면 이를 골퍼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윙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 상태에서도 이동이 용이한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는 골퍼의 양 다리가 꿰어지는 한 쌍의 다리부를 갖는 바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조립체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리부에 부착 또는 부착 해제되는 복수의 외측 패드 및 상기 골퍼의 양 다리 중 스윙 축이 되는 다리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외측 패드의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내측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상기 복수의 외측 패드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지지부; 상기 패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이 설정된 정상 위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상기 센서부와 연동하여 자세 교정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측 패드는 대퇴부 외측 패드, 무릎부 외측 패드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와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가 연결되고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와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 및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구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드 조립체는 상기 고정구에 끼워져 상기 고정구와 정렬되는 상기 관통구에 체결되는 패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 부재는 체결 나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측 패드는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에 대향되는 대퇴부 내측 패드;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에 대향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 및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에 대향되는 종아리부 내측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와 상기 대퇴부 내측 패드,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와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와 상기 종아리부 내측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압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내측 패드,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 및 상기 종아리부 내측 패드 각각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다리 접촉면을 가지며 휘어짐이 가능한 연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에 장착되고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에 의해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 조립체는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에 착용되는 무릎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에 장착되고 상기 무릎 패드에 의해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 또는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에 장착되는 경사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진동기 및 버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밑단으로부터 상기 다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트임부를 여밈 또는 여밈 해제하는 여밈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는 패드 조립체가 바지 내에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골퍼가 바지를 입는 방식으로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 상태에서도 골퍼가 불편함 없이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또한, 바지에는 트임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패드 조립체를 손쉽게 바지에 부착 또는 부착 해제할 수 있으며, 패드 조립체의 조정 및 패드 조립체의 일부 부품에 대한 교체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리부의 어느 쪽이라도 패드 조립체를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하나의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로도 골퍼가 오른발잡이인지 왼발잡이인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골퍼의 체격 조건(예컨대, 다리 길이)에 맞춰 바지 내에서의 패드 조립체의 부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스윙 자세의 이상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조립체를 부착 해제한 상태에서는 바지의 세탁 및 수선이 용이하므로 골프 웨어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골프 웨어에 있어서 바지 또는 패드 조립체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골프 웨어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에어를 사용하는 경우, 골퍼 혼자서도 스윙 자세, 특히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올바른 자세를 익힐 수 있어서 타구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나가는 슬라이스를 방지할 수 있고 비거리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골프 스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를 우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조립체를 바지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패드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내측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의 탄성 변형된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적용된 패드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골프 스윙 동작 중의 비정상적인 스윙 자세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무릎 패드에 의해 센서부가 눌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1000)(이하, 간단히 '골프 웨어'라고 한다)를 전방(FD)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프 웨어(1000)를 우측방(RSD)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서, 골프 웨어(1000)에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되었다는 것은 골프 웨어(1000)에 스윙 보정 기능을 위한 구성이 갖추어져 있으며, 골프 웨어(1000)를 착용 및 사용함으로써 골프 스윙 자세를 보정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골프 웨어(1000)는 바지(100) 및 바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드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골퍼가 바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련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스윙을 하게 되면, 골퍼의 다리 움직임(특히, 스윙 축이 되는 다리(anchored leg)의 움직임)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변형되는 패드 조립체(200)에 의해 골퍼의 다리 자세를 감지할 수 있으며, 골퍼의 다리 자세가 비정상적인 경우(올바르지 않고 부정확한 경우)에 자세 교정 신호를 골퍼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골퍼'는 골프 웨어(1000)의 착용자로 참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100)는 허리 또는 엉덩이에서 시작되어 발목까지 이어지면서 골퍼의 양 다리를 따로 감쌀 수 있는 하체용 의복으로서, 골퍼의 양 다리가 각각 꿰어지는 한 쌍의 다리부(110, 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지(100)의 상단부에는 벨트 착용을 위한 벨트 고리(1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지(100)의 상단부 양측으로는 포켓(10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골퍼의 엉덩이 부분을 감싸는 바지(100)의 후방부에도 포켓(103)이 구비될 수 있다.
바지(100)를 전방(FD)에서 바라볼 때, 한 쌍의 다리부(110, 120) 중 우측방(RSD)에 위치하는 다리부(110)는 골퍼의 왼쪽 다리가 꿰어지는 왼쪽 다리부(이하, '제1 다리부'라고 한다)로 참고될 수 있으며, 좌측방(LSD)에 위치하는 다리부(120)는 골퍼의 오른쪽 다리가 꿰어지는 오른쪽 다리부(이하, '제2 다리부'라고 한다)로 참고될 수 있다. 바지(100)는 제1 다리부(110)와 제2 다리부(120)에 의해 골퍼의 발목 부분 또는 그 바로 위 부분까지의 다리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기장(L)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바지(100)의 제1 다리부(110)의 내측에 패드 조립체(200)가 구비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패드 조립체(200)는 제2 다리부(120)의 내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골퍼가 오른발잡이인 경우에는 패드 조립체(200)가 제1 다리부(110) 내에 구비될 수 있고, 골퍼가 왼발잡이인 경우에는 패드 조립체(200)가 제2 다리부(1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패드 조립체(200)는 제1 다리부(110)와 제2 다리부(120) 중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가 꿰어지는 쪽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골프 웨어(1000)를 가지고도 오른발잡이의 골퍼는 물론 왼발잡이의 골퍼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1 바지부(110) 및 제2 바지부(120) 각각의 외측부에는 패드 조립체(200)의 부착을 위하여 복수의 고정구(130)가 그 길이 방향(TD-LD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도 3 참고). 여기서, 제1 바지부(110)의 외측부는 도 1에서의 우측방(RSD)을 향하는 측부를 의미하고, 제2 바지부(120)의 외측부는 도 1에서의 좌측방(LSD)을 향하는 측부를 의미한다. 제1 바지부(110) 및 제2 바지부(120) 각각에는 복수의 고정구(13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구(130)가 형성되는 부분을 가릴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조립체(200)를 바지(100)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패드 조립체(200)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내측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패드 조립체(200)는 패드부(210), 지지부(220), 센서부(230) 및 알림부(240)를 포함한다.
패드부(210)는 제1 다리부(110)의 길이 방향(도 1 및 도 2에서의 TD-LD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다리부(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외측 패드 및 골퍼의 양 다리 중 스윙 축이 되는 다리(제1 다리부에 넣어진 다리)와 접촉 가능하도록 복수의 외측 패드의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는 복수의 내측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외측 패드는 대퇴부 외측 패드(211), 무릎부 외측 패드(212)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를 포함하고, 복수의 내측 패드는 대퇴부 외측 패드(211)에 대향되는 대퇴부 내측 패드(214), 무릎부 외측 패드(212)에 대향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에 대향되는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를 포함한다.
패드 조립체(200)가 제1 다리부(110)의 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골퍼가 바지(100)를 착용하면, 대퇴부 내측 패드(214)는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예컨대, 골퍼가 오른발잡이인 경우에 왼쪽 다리)의 대퇴부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릎부 내측 패드(215)는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에 접촉될 수 있고,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는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의 종아리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패드부(210)는 대퇴부 외측 패드(211)와 대퇴부 내측 패드(214), 무릎부 외측 패드(212)와 무릎부 내측 패드(215),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와 종아리부 내측 패드(214)를 서로 소정 간격(D1, D2, D3)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복수의 압축 스프링(2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대퇴부 외측 패드(211)와 대퇴부 내측 패드(214) 사이의 간격(D1), 무릎부 외측 패드(212)와 무릎부 내측 패드(215) 사이의 간격(D2)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와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 사이의 간격(D3)이 동일한 크기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간격(D1, D2, D3)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골퍼가 스윙 전의 상태에 있을 때 다리의 대퇴부 부분, 무릎 부분 및 종아리 부분에 균일한 접촉력(또는 압박력)이 가해지도록, 상대적으로 볼륨이 있는 다리의 대퇴부 부분에 대응되는 대퇴부 외측 패드(211)와 대퇴부 내측 패드(214) 사이의 간격(D1)은 무릎부 외측 패드(212)와 무릎부 내측 패드(215) 사이의 간격(D2)이나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와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 사이의 간격(D3)이 비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D1, D2, D3)을 형성하는 압축 스프링(217)의 개수는 골퍼의 스윙 조건(예를 들어, 타격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와 복수의 내측 패드(214, 215, 216)가 평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 및 복수의 내측 패드(214, 215, 216)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측 패드(214, 215, 216) 각각은 곡면의 다리 접촉면(214f, 215f, 216f)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지만,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도 복수의 내측 패드(214, 215, 216)와 같이 휘어진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퇴부 내측 패드(214), 무릎부 내측 패드(215) 및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는 골퍼의 다리 부위별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의 대퇴부 부분이나 종아리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무릎 부분에 대응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는 대퇴부 내측 패드(214)나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휘어진 판 형상의 대퇴부 내측 패드(214), 무릎부 내측 패드(215) 및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는 골퍼의 다리 부위별 형상에 따라 휘어진 정도(예컨대, 곡률 반경 α1, α2, α3)가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퇴부 내측 패드(214)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나 종아리부 내측 패드(2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는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내측 패드(214, 215, 216)와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패드(211, 212, 213)는 바지(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도록 대응되는 내측 패드(214, 215, 216)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내측 패드(214, 215, 216)는 골퍼의 다리가 다리 접촉면(214f, 215f, 216f)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휘어짐이 가능한 합성수지, 일래스토머 또는 실리콘 재료 등의 연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웨어(1000)의 탄성 변형된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20a)가 적용된 패드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0)는 골퍼의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예를 들어, 굽힘)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20)는 변형 전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골퍼의 스윙 자세가 정상적인 범위를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는 지지부(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지지부(220)에 의해 무릎부 외측 패드(212)의 상방으로 대퇴부 외측 패드(211)가 연결되고, 무릎부 외측 패드(212)의 하방으로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의 지지부(2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22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20, 220a)를 구성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스프링은 골퍼의 나이, 성별 등에 따른 신체 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타격력을 크게 낼 수 있는 신체 조건을 갖는 골퍼의 경우, 상대적으로 타격력을 작게 내는 신체 조건을 갖는 골퍼에 비해 많은 개수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또는 스프링이 패드 조립체(200)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부(230)는 패드부(210)에 장착되어 골퍼의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부 외측 패드(212)에 장착되고 골퍼의 스윙 시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밀려 이동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에 의해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30)는 무릎부 외측 패드(212)에 장착되어 골퍼의 스윙 시 축이 되는 다리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경사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0)가 경사각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골퍼의 다리 움직임 도중 무릎 부분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부(230)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에 장착될 수도 있다. 센서부(230)에 의해 골퍼의 비정상적인 스윙 자세를 감지하는 방식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알림부(240)는 센서부(23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골퍼의 스윙 자세가 비정상적인 경우의 자세 교정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알림부(240)는 진동 신호를 발생하는 진동기 및 알림음을 발생하는 버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230)와 같이 무릎부 내측 패드(215)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알림부(240)는 패드 조립체(200)에 장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알림부(240)가 패드 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되는 형태로 골프 웨어(10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8을 다시 참조해 보면, 대퇴부 외측 패드(211), 무릎부 외측 패드(212)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211h, 212h, 213h)가 형성된다. 대퇴부 외측 패드(211), 무릎부 외측 패드(212)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를 바지(100)에 부착하기 위해, 대퇴부 외측 패드(211), 무릎부 외측 패드(212)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 각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211h, 212h, 213h)는 제1 바지부(110)에 형성되는 고정구(130)에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패드 조립체(200)는 고정구(130)에 끼워져 고정구(130)와 정렬되는 관통구(211h, 212h, 213h)에 체결되는 패드 고정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고정 부재(250)는 일 실시예에서와 같은 체결 나사를 포함하지만(도 4 참고), 패드 고정 부재(2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끈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대퇴부 외측 패드(211) 및 무릎부 외측 패드(212) 사이 및 무릎부 외측 패드(212)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213)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2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를 바지(100)에 부착할 때, 복수의 외측 패드(211, 212, 213)는 골퍼의 체격 조건에 맞춰 제1 다리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구(130) 중에서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패드 조립체(200)의 부착 또는 부착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바지(100)의 제1 다리부(110)에는 밑단(111)으로부터 제1 다리부(110)의 길이 방향(TD-LD 방향)으로 연장하는 트임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다리부(110)에는 트임부(112)를 여밈 또는 여밈 해제할 수 있는 여밈 부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여밈 부재(113)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지지만, 여밈 부재(11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여밈 부재(113)는 지퍼 테이프, 스냅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제2 다리부(120)에도 제1 다리부(110)와 마찬가지로 트임부 및 여밈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골프 스윙 동작 중의 비정상적인 스윙 자세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골프 스윙 동작 중 공을 타격하기 위해 다운스윙을 시작하면 골퍼(10)의 오른쪽 다리(11)에 집중되어 있던 체중이 왼쪽 다리(12)로 이동되는데, 이때 이동된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골퍼(10)의 몸이 왼쪽 방향(도 10에서 RDS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왼쪽 다리(12)가 기준선(S1)에 대해 과도하게 기울어지게 되고 양쪽 다리(11, 12)의 무릎 부분(11a, 12a)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스윙 자세가 무너지게 된다. 이 경우, 왼발이 지면을 안정적으로 디뎌주지 못하고 골반이 뒤로 빠지게 되어 왼쪽 무릎(12a)이 목표 방향을 향하지 못하고 밀린다거나 임팩트 순간 갑자기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스윙 자세에서는 임팩트가 완료될 때까지 체중이 실린 강한 스윙을 할 수 없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3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골프 웨어(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 스윙을 할 때, 스윙 동작 중 도 10에서와 같은 비정상적인 스윙 자세가 발생되면, 즉 스윙 축이 되는 다리(12)의 무릎 부분(12a)이 정상 위치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골퍼(10)의 왼쪽 무릎(12a)에 접촉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가 무릎부 외측 패드(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센서부(230)를 누르게 되고, 센서부(230)는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여 알림부(240)에 자세 교정 신호(진동이나 알림음)를 발생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상 위치 범위'는 무릎부 외측 패드(212)와 무릎부 내측 패드(215) 사이의 간격(D2)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스윙 동작 중 발생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215)의 밀리는 정도를 정상 위치 범위로 설정하고, 무릎부 내측 패드(215)의 밀리는 정도가 설정된 정상 위치 범위를 초과하여 무릎부 외측 패드(212)를 향해 더 많이 밀리는 경우에 센서부(230)는 자세 교정이 필요한 스윙 이상 자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230)가 경사각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센서부(230)는 기준선(S1)에 대해 기울어진 왼쪽 다리(12)의 무릎 다리선(S2)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스윙 자세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정상 위치 범위'는 정상적인 스윙일 때 기준선(S1)에 대해 기울어지는 무릎 다리선(S2)의 기울기 범위로 정해질 수 있으며, 설정된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센서부(230)는 자세 교정이 필요한 스윙 이상 자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릎 다리선(S2)은 왼발과 센서부(230)를 잇는 가상선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패드(26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무릎 패드(260)에 의해 센서부(230)가 눌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골프 웨어(1000)는 무릎 패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릎 패드(260)는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에 접촉되는 밀착부(261)와, 밀착부(261)의 일측에서 연장하는 누름부(262) 및 밀착부(261)를 골퍼의 무릎 부분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261)는 골퍼의 무릎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휘어진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263)는 골퍼의 무릎 부분을 감쌀 수 있는 고무 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정상적인 스윙 자세가 발생되는 경우, 골퍼의 무릎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무릎 패드(260)는 골퍼의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을 따라 그대로 이동되어 센서부(230)가 무릎부 내측 패드(215)에 의해 눌리는 것보다 더욱 정확하게 센서부(230)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무릎 패드(260)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골퍼의 스윙 자세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알림부(240)를 통해 골퍼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위한 골프 웨어(1000)는 골프 스윙 동작 중 자세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시 골퍼에게 즉각적인 알림을 줌으로써 골퍼의 자세를 바로 교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웨어(1000)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스윙 연습을 함으로써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골프 웨어(1000)는 실내에서뿐만 아니라 실외(예컨대, 필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러프, 벙커, 해저드와 같은 다양한 장소에서도 스윙 자세, 특히 다운스윙 및 임팩트 시의 스윙 자세를 올바르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바지 110: 제1 다리부
112: 트임부 113: 여밈 부재
120: 제2 다리부 130: 고정구
200: 패드 조립체 210: 패드부
211: 대퇴부 외측 패드 212: 무릎부 외측 패드
213: 종아리부 외측 패드 214: 대퇴부 내측 패드
215: 무릎부 내측 패드 216: 종아리부 내측 패드
217: 압축 스프링 211h, 212h, 213h: 관통구
220, 220a: 지지부 230: 센서부
240: 알림부 250: 패드 고정 부재
260: 무릎 패드 1000: 골프 웨어

Claims (14)

  1. 골퍼의 양 다리가 꿰어지는 한 쌍의 다리부를 갖는 바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조립체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리부에 부착 또는 부착 해제되는 복수의 외측 패드 및 상기 골퍼의 양 다리 중 스윙 축이 되는 다리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외측 패드의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내측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상기 복수의 외측 패드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지지부;
    상기 패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이 설정된 정상 위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상기 센서부와 연동하여 자세 교정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측 패드는 대퇴부 외측 패드, 무릎부 외측 패드 및 종아리부 외측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와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가 연결되고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와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가 연결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 및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구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드 조립체는 상기 고정구에 끼워져 상기 고정구와 정렬되는 상기 관통구에 체결되는 패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 부재는 체결 나사인,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측 패드는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에 대향되는 대퇴부 내측 패드;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에 대향되는 무릎부 내측 패드; 및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에 대향되는 종아리부 내측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대퇴부 외측 패드와 상기 대퇴부 내측 패드,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와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 상기 종아리부 외측 패드와 상기 종아리부 내측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압박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내측 패드,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 및 상기 종아리부 내측 패드 각각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다리 접촉면을 가지며 휘어짐이 가능한 연질 재료로 형성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형성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에 장착되고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에 의해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조립체는
    상기 스윙 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 부분에 착용되는 무릎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에 장착되고 상기 무릎 패드에 의해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릎부 외측 패드 또는 상기 무릎부 내측 패드에 장착되는 경사각 센서를 포함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진동기 및 버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밑단으로부터 상기 다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트임부를 여밈 또는 여밈 해제하는 여밈 부재가 구비되는,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KR1020200093721A 2020-07-28 2020-07-28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KR10219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21A KR102194592B1 (ko) 2020-07-28 2020-07-28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21A KR102194592B1 (ko) 2020-07-28 2020-07-28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592B1 true KR102194592B1 (ko) 2020-12-23

Family

ID=7408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21A KR102194592B1 (ko) 2020-07-28 2020-07-28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5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521A (ja) * 1995-05-09 1996-11-19 Norihiko Fukutsuji ゴルフスイングの矯正具
KR20150065269A (ko) * 2013-12-05 2015-06-15 박형석 골프 스윙 연습 및 교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521A (ja) * 1995-05-09 1996-11-19 Norihiko Fukutsuji ゴルフスイングの矯正具
KR20150065269A (ko) * 2013-12-05 2015-06-15 박형석 골프 스윙 연습 및 교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816B1 (en) Energy expenditure/training garment
US7891231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US20110251802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 in sports
US4955608A (en) Athletic movement trainer
US7749141B2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107823A (en) Thigh and knee protective device
US20200410893A1 (en) Wearable position training system
US9616310B2 (en) Harness for martial arts training, professional mixed martial arts and boxing training, combat training, fitness training, and striking training and practice
US10555567B2 (en) Protective pad systems and methods
US5564989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591089A (en) Swing trainer
US11697052B2 (en) Golf hip-turn training device
KR102194592B1 (ko) 스윙 보정 기능이 내재된 골프 웨어
KR101325306B1 (ko) 골프스윙 자세 교정구
US20230191222A1 (en) Impact And Movement Sensing To Measure Performance
US8550930B1 (en) Relative hip motion athle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6918844B2 (en) Triggering device for batters
US202100084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thletic swinging motion
US20050153817A1 (en) Athletic swing training harness
JP6518092B2 (ja) 格闘技用練習具
KR102656739B1 (ko) 골프스윙 스웨이 방지장치
KR102602110B1 (ko) 골프 자세교정을 위한 슬라이드보드장치
CN217246645U (zh) 一种用于保护太极拳运动损伤的穿戴装置
US11117014B1 (en) Connection and resistance training system
KR102121692B1 (ko) 엉덩관절의 회전성을 키워주는 스윙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