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85B1 -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 Google Patents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385B1
KR102194385B1 KR1020200074646A KR20200074646A KR102194385B1 KR 102194385 B1 KR102194385 B1 KR 102194385B1 KR 1020200074646 A KR1020200074646 A KR 1020200074646A KR 20200074646 A KR20200074646 A KR 20200074646A KR 102194385 B1 KR102194385 B1 KR 10219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witch
power
energy storage
emergenc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상법
Original Assignee
설상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상법 filed Critical 설상법
Priority to KR102020007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3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3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system associated with an emergency generator in case of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ontrols at least one switching system included in an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when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reby controlling a load ratio supplied from the ESS system and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Accordingly, a complete uninterruptible system can be implemented.

Description

정전 및 복전시 비상 발전기와 연계된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본 명세서는 계통의 정전 및 복전 시 비상발전기와 연계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using an energy storage system linked with an emergency generator during power outage and recovery of the system.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ed Power Supply)는 일반적으로 정전 등 비상시에 배터리나 별도의 보조 전원에서 생성된 전력을 부하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전시 무정전 전원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여 수초 내지 수 시간 동나 보조 전원이 전력을 공급하므로 부하의 전기 설비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다.An uninterrupted power supply (UPS) is a device that provides power generated from a battery or a separate auxiliary power source as a load in an emergency such as a power outage.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operated so that the auxiliary power supply supplies power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hours, thus protecting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load and shutting it down safely.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 장치는 컴퓨터 보호 장비, 데이터 센터, 통신 장비 뿐 아니라 규모가 큰 산업 전기 시설에 적용이될 수 있다. 특히, 정전으로 단수사고 발생의 위험성 및 복전 과정 중 2차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공정 설비(혼화, 응집, 염소 등) 재가동 중 일부 공정 설비 미가동 또는 오가동으로 인한 수질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정전으로 인해 송수 펌프가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관로 수충격으로 인한 관리 및 배수지 수질사고(탁도 상승)의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In general,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an be applied not only to computer protection equipment, data center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but also to large-scale industrial electrical facilities. In particular, there is a risk of an outage accident due to a power outage and a risk of a secondary accident during the recovery process. For example, there may be a risk of water quality accidents due to non-operation or misoperation of some process facilities during re-operation of water treatment process facilities (mixing, coagulation, chlorine, etc.) In addition, due to a power outage, the water supply pump may be temporarily stopped, and there may be a risk of management and drainage water quality accidents (turbidity rise) due to a pipeline water shock.

이에 따라, 불시의 순간 정정에도 중단 없는 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out interruption even for an unexpected momentary correction.

비상전원 공급을 위해 활용되는 시스템으로서, 비상 발전 시스템(CTTS)와 ESS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다. 다만, CTTS 시스템은 계획 정정시에만 무정전 절체가 가능하며 불시 정정시에는 여전히 정전이 발생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ESS 시스템의 경우 장비 구축에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며, 장시간 비상전원 공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As a system used for emergency power supply, an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CTTS) and an ESS system can be used. However, the CTTS system is capable of uninterrupted transfer only when the plan is corrected, and there is still a risk of power failure in case of an emergency corr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SS system, expensive equipment construction is required, and emergency power supply for a long time is difficult.

본 명세서는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solve the aforementioned necessities and/or problems.

또한, 본 명세서는 ESS 시스템과 비상 발전 시스템을 연계하여 완전 무정전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implement a complete uninterruptible system by linking the ESS system and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또한, 본 명세서는 계통 정전시, ESS 시스템과 비상 발전 시스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부하 분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순단 전력 공급이 가능한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apable of supplying uninterrupted power by sequentially controlling a load sharing ratio supplied to a load from an ESS system and an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during a system power outage.

또한, 본 명세서는 계통 스위치 및 비상 발전기 스위치와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ESS 시스템과 비상 발전 시스템의 부하 분담 비율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the load sharing ratio of the ESS system and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by applying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that operates independently from the system switch and the emergency generator switch. To do.

또한, 본 명세서는 ESS 시스템의 단주기 특성을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비상 발전기 전원을 효율적으로 부하에 제공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providing emergency generator power to a load by supplementing the short-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ESS system through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본 명세서의 일 양상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계통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공급하고,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비상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무정전으로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상기 계통, 부하 및 비상 발전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 및 비상 발전기로부터 상기 부하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무정전 절체 장치; 및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무정전 절체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상기 발전기가 각각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비율을 제어하는 부하 분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generator that receives power from a system and supplies it to a load, and generates emergency power for supplying to the load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an energy storage device (ESS, Energy Storage System) that supplies power to the load uninterrupted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the load, and the emergency generator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to the load from the system and the emergency generator; And a load sharing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the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reby controlling a power supply ratio supplied by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generator to the load, respectively.

상기 무정전 절체 장치는, 상기 계통, 비상발전기 및 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 또는 비상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3 스위치(S3)를 포함하는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 상기 계통과 상기 제3 스위치(S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치(S1); 및 상기 비상 발전기와 상기 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치(S2);를 포함한다.The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includes a third switch (S3)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the emergency generator, and the load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system or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Driving switching system; A first switch (S1)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and the third switch (S3)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ystem to the load; And a second switch (S2)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emergency generator and the load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여기서 제1 스위치는 계통 스위치이고, 제2 스위치는 비상 발전기 스위치 이고, 제3 스위치는 독립 운전 스위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switch may be a system switch, the second switch may be an emergency generator switch, and the third switch may be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계통 또는 비상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계통 방출을 위해 전기적 특성을 변환하는 PCS;를 더 포함하고,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PCS가 전압제어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상 발전기와 함께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전원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energy storage device includes: a battery; And a PCS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ystem or emergency generator and stores it in the battery or converts electrical characteristics for system discharge; further comprising,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 PCS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voltage control mode, and , It may be controlled to share a power ratio supplied to the load together with the emergency generat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계통에서 출력되는 전압 특성 및 상기 비상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특성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동기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S1)와 제3 스위치(S3)는 온(on) 상태이며, 상기 제2 스위치(S2)는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계통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계통 정상 모드에서,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S1)를 오프시키고, 상기 동기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압 확립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urther includes, a synchronou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ltage characteristic output from the system and the voltage characteristic output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to be the same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Is, the first switch (S1) and the third switch (S3) is in the on (on) state, the second switch (S2) is a system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system to the load in the off state In the normal mode,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 first switch (S1) is turned off, and the synchronous controller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voltage establishment mode to keep the voltage and frequency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constant. I can.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전압 확립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S2)를 온(on) 시키고, 제3 스위치(S3)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As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enters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the second switch S2 may be turned on and the third switch S3 may be turned off.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스위치(S3)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be supplied to the load when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ff.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전압 확립 모드에서 상기 계통 전압 및 전압주파수와 상기 비상 발전기의 전압 및 전압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동기화시키고, 상기 동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3 스위치(S3)를 온(on) 시킬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synchronizes the grid voltage and voltage frequency with the voltage and voltage frequency of the emergency generator to be the same in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and turns on the third switch S3 when the synchronization is completed. I can make it.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스위치(S3)가 온(on) 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제1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줄이고, 상기 비상 발전기가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제2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as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n (on), sequentially reduces the first burden ratio suppli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the load, and the emergency generator supplies the first load to the load. 2 The burden ratio can be increased sequentially.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부담 비율이 100%에 도달한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PCS를 전류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load ratio reaches 100%,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PC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operate in a current control mode.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이 계통 복전 모드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S2)의 오프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PCS를 전압제어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만이 상기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when detecting tha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has entered the system recovery mode, turns off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third switch S3, and the second switch S2 When OFF is detected, the PC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 voltage control mode, and only 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supply power to the load.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S1)를 온(on) 하여 상기 PCS의 상기 전압제어모드를 계통 연계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voltage control mode of the PCS to operate in a grid connection mode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1.

여기서, 계통 연계 모드는 제1 스위치(S1) 만 온되며, 제3 스위치(S3)는 오프로 유지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system linkage mode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switch S1 is turned on and the third switch S3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따라서, 계통 연계 모드에서는 여전히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은 100% ESS에서 부담하는 상태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grid connection mode,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may still be 100% borne by the ESS.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계통 연계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제3 스위치를 온(on) 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부담 비율을 줄이고, 상기 계통에서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부담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grid connection mode, turns on a third switch, reduces a load ratio supplied from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the load, and reduces the load ratio in the system It can increase the ratio of the burden to be supplied to.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계통 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부담비율이 0%가 되는 경우, 상기 PCS를 전류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PCS to operate in a current control mode when the load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ecomes 0% as the system recovery is performed.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또는 부하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or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 load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e detection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and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device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fire through the sensor.

또한,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기 위한 화재 진압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a fire.

본 명세서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명세서는 ESS 시스템과 비상 발전 시스템을 연계하여 완전 무정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lete uninterruptible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linking the ESS system and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또한, 본 명세서는 계통 정전시, ESS 시스템과 비상 발전 시스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부하 분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순단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load sharing ratio supplied to the load in the ESS system and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during a system power outage, non-stop power supply is possible.

또한, 본 명세서는 계통 스위치 및 비상 발전기 스위치와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ESS 시스템과 비상 발전 시스템의 부하 분담 비율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applying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system switch and the emergency generator switch,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the load sharing ratio of the ESS system and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또한, 본 명세서는 ESS 시스템의 단주기 특성을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비상 발전기 전원을 효율적으로 부하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supplementing the short-period characteristic of the ESS system through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emergency generator power can be efficiently provided to the load.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운영 과정에서 계통의 상태에 따른 무정전 자동 절체 장치, 에너지 저장장치, 비상발전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상인 상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장치와 비상발전기가 연계되는 과정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장치와 비상 발전기의 부하 분담 과정을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에서 부하 분담 과정에서 비상 발전기를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 후 계통이 복전되는 과정에서 부하 분담 과정을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복전 직후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복정 과정 후 계통 정상인 상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table for explaining states of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over device,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mergency generator according to a state of a system during an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n a state in which the system is 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when a system blackout occu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n a process in which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mergency generator are connected in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through a load sharing proces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mergency generator in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through an emergency generator during a load sharing process in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through a load sharing process in a process of recovering a system after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mmediately after a system recov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n a normal state of a system after a system resto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무정전 자동절체 장치(100), 에너지 저장장치(200), 비상 발전기(300), 동기 제어기(400) 및 부하 분담 제어 장치(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over device 100, an energy storage device 200, an emergency generator 300, a synchronous controller 400, and a load sharing control device. Includes 500.

도 1은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운용 과정의 설명을 위해 계통(10) 및 부하(20)을 포함하고 있다.1 includes a system 10 and a load 20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계통(10)은 한전 전원과 같은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2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system 10 receives commercial power such as KEPCO power and supplies power to the load 20.

부하(2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펌프 설비, 수처리 설비, 각종 제어 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20 may include a pump facility, a water treatment facility, various control facilities,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무정전 자동절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시스템은, 계통 스위칭 시스템(S1), 비상 발전기 스위칭 시스템(S2),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S3)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계통 스위칭 시스템(S1)을 제1 스위치(S1), 비상 발전기 스위칭 시스템(S2)을 제2 스위치(S2),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S3)을 제3 스위치(S3)로 정의하기로 한다.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ing system. The at least one switching system may include a system switching system (S1), an emergency generator switching system (S2), and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S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ystem switching system (S1) is defined as the first switch (S1), the emergency generator switching system (S2) is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S3) is defined as the third switch (S3). I will do it.

제1 스위치(S1)는 계통(10)과 부하(2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통(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20)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S1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10 and the load 20, and may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ystem 10 to the load 20.

제2 스위치(S2)는 비상발전기(300)와 부하(2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20)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S2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emergency generator 300 and the load 20 to supply or cut off power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300 to the load 20.

제3 스위치(S3)는 상기 계통(10), 비상 발전기(300) 및 부하(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통(10) 또는 비상 발전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20)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third switch (S3)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10, the emergency generator 300 and the load 20 to supply the power su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system 10 or the emergency generator 300 to the load. (20) can be supplied or cut off.

에너지 저장장치(ESS, 200)는 배터리와 PCS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storage device (ESS, 200) may include a battery and a PCS.

PCS(Power Conversion System)은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에서 전력을 입력받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계통 방출을 위해 전기적 특성(주파수, 전압, AC/DC)을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ESS에 저장되는 전기는 직류이고, 사용하는 전기는 교류이다. 전기를 저장할 때는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방출할 때는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여 방출한다. 즉, 전력 변환 장치 PCS는 위와 같이 ESS 시스템 내에서 전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전력을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이다. 한편 ESS 시스템 내에서 PCS의 기능은 전술한 전력 변환 기능 외에 ESS 시스템 내의 감지 및 제어 기능, 독립운전기능, 계통연계 보호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통 연계 보호기능은, 정진시 계통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PCS (Power Conversion System) is a system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and stores it in a battery or converts electrical characteristics (frequency, voltage, AC/DC) for system discharge.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ESS is direct current, and the electricity used is alternating current. When electricity is stored, it is converted from AC to DC and stored, and when it is discharged, it is converted from DC to AC and discharged. That is, the power conversion device PCS is a system that stores electricity in the ESS system and converts power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stored electricity. Meanwhile, the functions of the PCS in the ESS system may include detection and control functions in the ESS system, independent operation functions, and grid-connected protection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power conversion function described above. Here, the system-linked protec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that can protect the system during exhaustion.

한편, 상기 PCS는 부하 분담 제어 장치(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부하 분담 제어 장치(500)는 에너지 저장 장치(200)가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전압 제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 비율이 0%인 경우 전류 제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CS may be controlled by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500.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to operate in the voltage control mode during the process of supplying power to the load, and controls to operate in the current control mode when the power supply ratio to the load is 0%. can do.

동기 제어기(400)는 계통 정전 발생시, 계통에서 출력되는 전압 특성 및 비상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특성이 같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압 특성은 전압 주파수 및 전압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The synchronous controller 400 may control the voltage characteristic output from the system and the voltage characteristic output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to become the same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 voltage characteristic may mean a voltage frequency and a voltage level.

부하 분담 제어장치(500)는 계통 정전 발생 시, 에너지 저장장치(200)와 비상 발전기(300) 각각이 부하에 공급하는 부하 분담을 제어한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load sharing supplied by each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to a load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발생 시점부터 계통 복전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에너지 저장장치(200)와 비상 발전기(300)에서 부담하는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너지 저장장치(200)가 부담하는 부하 분담 비율을 제1 부담 비율로 칭하고, 비상 발전기(300)가 부담하는 부하 분담 비율을 제2 부담 비율로 칭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may be adjusted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failure occurs to the time when the power recovery is comple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oad sharing ratio borne by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burden ratio, and the load sharing ratio borne by the emergency generator 30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burden ratio.

예를 들어, 계통 정전이 발생한 시점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200)의 분담 비율이 100%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발전기 스위치(S2)가 온(on) 됨에 따라 제1 부담 비율은 점점 줄어들고, 제2 부담 비율은 점점 늘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ystem power outage occurs, the share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is bound to be 100%. However, as the generator switch S2 is turned on, the first burden ratio gradually decreases and the second burden ratio gradually increases.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제1 스위치(S1)와 제3 스위치(S3)가 온(on) 상태이며, 상기 제2 스위치(S2)가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계통(10)으로부터 전원을 상기 부하(20)로 공급하는 계통 정상 모드에서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무정전 자동절체 장치(100)의 스위칭 시스템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부하 분담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1 스위치(S1)를 오프시키고, 상기 도기 제어기(400)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 발전기(300)에서 공급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압 확립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is powered from the system 10 whe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third switch (S3) are in an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S2) is in an off state.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in the system normal mode supplying the load 20 to the load 20, the switching system of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is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power outage occurs,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100 turns off the first switch (S1), controls the pottery controller 400 to control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300 and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to keep the frequency constant.

상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전압 확립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S2)를 온(on) 시키고 제3 스위치(S3)를 오프시킨다.As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enters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n and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ff.

한편,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전압 확립 모드에서 상기 계통 전압 및 전압 주파수와 상기 비상 발전기의 전압 및 전압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동기화시키고, 상기 동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3 스위치(S3)를 온(on) 시킨다. 상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제3 스위치(S3)가 온(on) 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00)가 상기 부하(20)로 공급하는 제1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줄이고, 상기 비상 발전기가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제2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synchronizes the grid voltage and voltage frequency with the voltage and voltage frequency of the emergency generator to be the same in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and when the synchronization is completed, the third switch S3 Turn it on.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sequentially reduces the first burden ratio supplied to the load 20 by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as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n, and the The second load ratio supplied by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상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제2 부담 비율이 100%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00)에 포함된 PCS를 전류제어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00)는 더 이상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When detecting that the second burden ratio reaches 100%,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the PCS includ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to operate in a current control mode. Accordingly,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no longer supplies power to the load.

한편, 상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이 계통 복전 모드에 진입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가 오프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S2)의 오프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00)의 PCS를 전압제어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계통 복전이 감지되기는 하였지만 제1 스위치(S1)가 아직 온(on) 되기 전에 상기 제2 스위치(S2)가 오프됨에 따라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200)의 전원 공급이 일시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복전 모드가 감지된 시점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2분) 동안은 에너지 저장장치(200)만이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Meanwhile,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detect tha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has entered the system recovery mode. In this case,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third switch S3 are controlled to be turned off. In addition, as the second switch S2 is detected, the PC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voltage control mode. Although a system recovery was detected,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has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to maintain a constant power supply as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ff before the first switch S1 is still on. This is because power supply is temporarily required. That is, only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supplies power to the loa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minutes) after the time when the power recovery mode is detected.

여기서 상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제1 스위치(S1)를 온(on) 하여 상기 PCS의 전압제어 모드를 계통 연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계통 연계 모드라 함은 계통이 복전되어 다시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경우 제1 스위치(S1)가 온(on) 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계통 연계 모드는,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온(on)되더라도 독립 운전 스위치인 제3 스위치(S3)가 오프인 상태인 바, 계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부하로 바로 공급되지는 못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계통 연계 모드에서는, 여전히 에너지 저장 장치(200)에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이다.Here,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switch the voltage control mode of the PCS into a grid connection mode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1. The grid connection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grid is restored and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grid again. In this case, i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irst switch S1 is turned on. However, in the grid connection mode, even when the first switch S1 is turned on, the third switch S3, which is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 is in an off state, and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grid cannot be directly supplied to the load. It can be a state. Accordingly, in the grid-connected mode,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is still supplying power to the load.

상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상기 계통 연계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제3 스위치(S3)가 온(on) 되도록 제어하게 되면, 이 이후에는 계통(10)과 에너지 저장장치(200) 사이에서 부하 부담 비율을 조율하게 된다. 즉, 그 이후에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0)에서 상기 부하(20)로 공급하는 제1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줄이고, 계통에서 부하로 공급하는 부담 비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third switch S3 to be turned 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grid connection mode, thereafter, the system 10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 200), the load burden ratio is adjusted. That is, after that, the first load ratio supplied from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to the load 20 may be sequentially reduced, and the load ratio supplied from the system to the load may be gradually increased.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계통(10)과 에너지 저장 장치(200)의 부하 부담 비율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에너지 저장장치(200)의 부담 비율이 0%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PCS를 전류 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 이후부터는 완전히 계통만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When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detects that the load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reaches 0%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load burden ratio of the system 10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the PCS is Control to operate in current control mode. From then on, only the grid will supply power to the load.

이하,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가 무정전 자동 절체 장치(스위칭 시스템, 100)를 제어하여 계통(10), 에너지 저장장치(200), 비상 발전기(300)의 부하 부담 비율을 제어하는 동작을 보다 구체적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3, the above-described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over device (switching system 100) to control the system 10,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load burden ratio 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정전 자동 절체 장치(100)는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제1 스위치(S1)는 일단이 계통(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스위치(S3)와 연결된다. 계통 정상 모드인 경우, 제1 스위치(S1)과 제3 스위치(S3)가 온 상태로서, 계통 전원은 S1, S3를 거쳐서 부하로 전달된다. The first switch S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ystem 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 S3. In the system normal mode, the first switch S1 and the third switch S3 are turned on, and the system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oad through S1 and S3.

제2 스위치(S2)는 일단이 비상 발전기(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스위치(S3)와 연결된다. 계통 정전 모드인 경우, 제2 스위치(S2)와 제3 스위치(S3)가 온 상태로서, 비상 발전기 전원은 S2,S3를 거쳐 부하로 전달된다.The second switch S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mergency generator 3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 S3. In the system blackout mode,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third switch S3 are turned on, and the emergency generator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oad through S2 and S3.

그리고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가 모두 오프상태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통 정전이 발생한 직후 또는 계통 복전이 이루어진 직후에는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200)의 전원이 부하로 전달된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both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are in an off state. For example, immediately after a system power outage occurs or immediately after a system restoration occurs, both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are in an off state, and in this case, the power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is transferred to the load.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정전 전원 장치는 무정전 자동 절체 장치(100)와 PCS(222)와 연계된 에너지 저장장치(210)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may include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over device 100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210 connected to the PCS 222.

부하 분담 제어 장치(500)는 도 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정전 자동 절체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제어한다.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500 controls at least one switch included in the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as described in detail in FIG. 1.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운영 과정에서 계통의 상태에 따른 무정전 자동 절체 장치, 에너지 저장장치, 비상발전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table for explaining states of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over device,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mergency generator according to a state of a system during an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계통 정상 모드에서 S1, S2가 온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계통 정전을 감지할 수 있다(S100). 3 and 4,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S1 and S2 are turned on in the system normal mode, and a system power failure may be detected in the state (S100).

계통 정상 모드에서 PCS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인 관계로 대기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비상 발전기는 오프 상태이다.In the grid normal mode, the PCS can be defined as a standby state because it is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oad. Also, the emergency generator is in the off state.

계통 정진이 발생하면, S1,S2,S3 모두 오프 상태인 관계로, 계통(10)과 비상 발전기(300) 모두 부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이며, ESS에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S110). When grid exhaustion occurs, since both S1, S2, and S3 are in the off state, both the system 1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cannot supply power to the load, and the ESS supplies power to the load (S110). .

즉, ESS의 부하 부담 비율은 100%인 상태이며, ESS의 PCS 상태는 UPS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UPS 모드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잇다.That is, the load burden ratio of the ESS is 100%, and the PCS state of the ESS can be defined as the UPS mode. The UPS mode may refer to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a load through an energy storage device.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비상 발전기(50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비상 발전기(300)의 전압특성(전압 크기, 전압 주파수, 위상 등)을 계통(10)의 전압 특성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S120).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synchronize the voltage characteristics (voltage magnitude, voltage frequency, phase, etc.)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with the voltag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10 in order to supply power through the emergency generator 500. Yes (S120).

동기 제어기(400)를 통해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S1, S3는 오프 상태이며, 동기화가 완료되면 S2는 온 상태로 전환되어 비상 발전기(30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이때 PCS는 UPS 모드에서 비상 발전기 연계 모드로 전환된다. 비상발전기 연계 모드는 비상 발전기와 부하 공급 전원을 분담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비상 발전기는 계통 전압 특성과 동기화가 이루어져 CVCF 상태에 있다. 한편, 비상발전기 연계모드에서는 여전히 S3는 오프 상태이다.Synchroniz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400, and S1 and S3 are in an off state, and when synchronization is completed, S2 is switched to an on state, so that the power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PCS is switched from the UPS mode to the emergency generator linkage mode. The emergency generator linkage mode may mean a mode in which the emergency generator and load supply power are prepared to be shared. At this time, the emergency generator is in CVCF state by synchronizing with the grid voltag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n the emergency generator linkage mode, S3 is still off.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ESS(200)와 비상 발전기(300)의 부하 부담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S130).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the load burden ratio of the ESS 20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S130).

비상 발전기 연계 모드에서 S3가 온(on) 되면서 부하 분담 모드로 전환된다. 부하 분담 모드에서는 S2, S3가 온(on) 상태이며 에너지 저장장치(200)의 부담비율이 100%에서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또한, 비상 발전기(300)의 부담 비율이 0%에서 점차적으로 증가된다.When S3 is turned on in the emergency generator linking mode, it is switched to the load sharing mode. In the load sharing mode, S2 and S3 are turned on, and the burden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gradually decreases from 100%. In addition, the burden ratio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0%.

여기서 ESS의 부담 비율이 100%에서 0%로 줄어드는 속도와 비상 발전기의 부담 비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하는 속도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ESS와 비상 발전기의 부하 부담 비율이 변화하는 속도가 다를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의 부담 비율 변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ESS와 비상 발전기의 부담 비율 변화속도가 종국적으로는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rate at which the burden ratio of ESS decreases from 100% to 0% and the rate at which the burden rate of emergency generator increases from 0% to 100% may not be the same. In this case, when the speed at which the load burden ratio of the ESS and the emergency generator changes is different,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change rate of the load ratio of at least one device, thereby Can be controlled to eventually match.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하 분담 비율의 변화과정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알람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larm unit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n alarm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control is necessary by periodically monitor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load sharing ratio.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ESS(200)와 비상 발전기(300) 각각의 부담 비율의 총합이 100%가 되도록 부하 부담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부담 비율의 총합이 100%가 되지 않는 경우는 적어도 하나의 부담 비율을 조율하여 100%로 맞출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ad burden state may be monitored so that the sum of the burden ratios of each of the ESS 20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becomes 100%.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adjust at least one burden ratio to adjust to 100% when the total of the burden ratio does not become 100%.

만약, 부하분담 비율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 모듈(본 명세서에서는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ESS에 저장된 에너지량이 많지 않아서 비상 발전기의 분담비율이 아직 100%에 이르지 않았는데 ESS의 분담비율이 0%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UPS를 통한 전력공급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부하 분담 비율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 모듈을 구비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If there is no separate control modul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in this specification) that controls the load sharing ratio, the amount of energy stored in the ESS is not large, so the sharing ratio of the emergency generator has not yet reached 100%.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share ratio of is 0%.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disrupts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UP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eparat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oad sharing ratio may be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제3 스위치(S3)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분담 비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상 발전기와 ESS의 동기화가 종료된 이후에,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ESS에 저장된 에너지 저장비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런 후, ESS에 저장된 에너지 비율을 고려하여, S3 를 온(on) 시키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S에 충분한 에너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기화가 종료되는 즉시 S3 스위치를 온(on) 함으로써, 비상 발전기(400)의 분담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ESS에 충분한 에너지가 저장된 것으로로 판단한 경우, 동기화 종료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S3 스위치를 온(on) 함으로써, 비상 발전기(300)의 분담 시작 시간을 늦출 수 있다. 즉, ESS에 저장된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 S3의 스위칭 시작 시간을 늦춤으로써, 실제로 ESS의 총 분담 비율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the sharing ratio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third switch S3. For example, after the synchronization of the emergency generator and the ESS is terminated,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detect the energy storage ratio stored in the ESS. Then, in consideration of the energy ratio stored in the ES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ing of turning on S3. For example, if sufficient energy does not exist in the ESS, the S3 switch is turned on as soon as synchronization ends, so that the emergency generator 400 can be shared.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sufficient energy is stored in the ESS, by turning on the S3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end of synchronization, the start time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may be delayed. That is, if the energy stored in the ESS is insufficient, by delaying the switching start time of S3, it is possible to actually lower the total share of the ES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비상 발전기(300)의 부담 비율이 10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40). 비상 발전기(300)의 부담 비율이 100%에 도달한 경우(S140:Y), ESS의 PCS를 전류 제어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ESS은 더 이상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다(S150).Referring to FIG. 3 again,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monitor whether the burden ratio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reaches 100% (S140). When the burden ratio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reaches 100% (S140:Y), by switching the PCS of the ESS to the current control mode, the ESS is converted to a state in which power is no longer supplied to the load (S150). .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계통 복전을 감지할 수 있다(S160).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detect system recovery (S160).

계통 복전 상태는 S1, S2, S3 모두 오프인 상태이며, 계통 복전이 완료되기 전까지 에너지 저장장치(200)를 통해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바 PCS는 UPS 모드 상태로 전환된다. 즉,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ESS의 PCS를 전압제어 모드로 전환한다(S170). 또한, 계통 복전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S3가 오프되므로 비상 발전기(300) 또한 오프된다.In the system recovery state, all of S1, S2, and S3 are off,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through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until the system recovery is completed, and the PCS is converted to the UPS mode state. That is,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switches the PCS of the ESS to the voltage control mode (S170). In addition, when the system recovery state is sensed, since S3 is turned of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is also turned off.

또한,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계통 복전이 감지되면 PCS를 계통 연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S180). PCS가 계통 연계모드에서는 S3가 오프 상태이므로 S1이 온 상태라 하더라도 계통 전원이 부하에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이다. 결국, 계통 연계 모드에서도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은 에너지 저장장치(200)의 전원이다.In addition,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may convert the PCS to the system linkage mode when system recovery is detected (S180). When the PCS is in the grid connection mode, S3 is off, so even if S1 is on, the system power cannot be supplied to the load. As a result, even in the grid connection mode, power supplied to the load is the power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200.

그런 후, 부하 부담 제어 장치(500)는 독립 운전 스위치 즉, S3를 온 시킴으로써 계통과 ESS가 부하 분담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S190). Then, the load burden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system and the ESS to start load sharing by turning on the independent operation switch, that is, S3 (S190).

한편, 계통이 완전하게 복귀되면 계통 정상 모드에서 S1, S3는 온 상태이고, S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ystem is completely restored, S1 and S3 are in the ON state and S2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in the system normal mod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계통 정전 발생 후 계통 복전이 완료될 때 까지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 상태를 도식화한 도면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3,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state of power supplied to a load until a system restoration is completed after a system power outage occurs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상인 상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통 정상 모드에서 계통(10)은 S1, S3 경로를 통해 부하(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ESS의 PCS(220)는 계통 연계모드의 상태이며, 전류제어모드로 동작한다. 비상발전기(300)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n a state in which the system is 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5, in the system normal mode, the system 10 supplies power to the load 20 through the paths S1 and S3. At this time, the PCS 220 of the ESS is in the system connection mode and operates in the current control mode. The emergency generator 300 is in an inactive state.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통 정전이 발생하면 S1이 오프되고 ESS(PCS)는 계통 정전 감지 후 무순단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상태를 계통 정전(UPS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PCS는 전압제어 모드로 동작한다. 비상 발전기(300)는 계통 정전 감지 후 CVCF 확립을 시작하여 공급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when a system blackout occu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6, when a system power outage occurs, S1 is turned off, and the ESS (PCS) supplies power to the load without interruption after detection of the system power outage. This condition can be defined as a grid outage (UPS mode). At this time, PCS operates in voltage control mode. The emergency generator 300 starts to establish a CVCF after detecting a system blackout to keep the supplied voltage and frequency constant at all times.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장치와 비상발전기가 연계되는 과정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계통 정전(UPS 모드)를 거친 후에는 계통 정전 모드 중 비상 발전기 연계 모드에 진입한다. 이 경우 ESS(PCS)는 단주기(예를 들어, 2분) 동안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비상 발전기 연계모드에서는 비상 발전기와 ESS의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S2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비상 발전기로부터 전력 공급 준비는 되었지만, ESS와 부하 분담 동작을 위해서는 ESS와 비상 발전기의 동기화가 필요하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n a process in which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mergency generator are connected in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7, after going through a system power outage (UPS mode), an emergency generator connection mode is entered among the system power outage modes. In this case, ESS (PCS) can supply power to the load for a short period (eg, 2 minutes). In the emergency generator connection mode, the emergency generator and ESS are synchronized. S2 is turned on and ready to supply power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but synchronization between the ESS and the emergency generator is required for the ESS and load sharing operation.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장치와 비상 발전기의 부하 분담 과정을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비상발전기 연계모드에서 ESS와 비상 발전기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S3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ESS와 비상발전기는 부하 분담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부하 분담이 시작되면 ESS는 부담비율이 100%에서 0%로 줄어들고, 비상 발전기(300)는 부담비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하게된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through a load sharing proces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mergency generator in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8, when synchronization between the ESS and the emergency generator is completed in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generator linkage mode, S3 is switched to the ON state, so that the ESS and the emergency generator can start load sharing. When the load sharing starts, the burden ratio of the ESS decreases from 100% to 0%, and the emergency generator 300 increases the burden ratio from 0% to 100%.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에서 부하 분담 과정에서 비상 발전기를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상 발전기(300)의 부담 비율이 100%가 되면, ESS는 전류제어모드로 전환되고 부하 부담 비율은 0%가 된다. 이 경우, 순전히 비상 발전기(300) 체제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through an emergency generator during a load sharing process in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9, when the burden ratio of the emergency generator 300 becomes 100%, the ESS is switched to the current control mode and the load burden ratio becomes 0%. In this case,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in a purely emergency generator 300 system.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정전 상태 후 계통이 복전되는 과정에서 부하 분담 과정을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상 발전기(300)를 통해 부하 부담이 이루어지는 중 계통 복전이 감지될 수 있다. 계통 복전이 감지되면 S2가 오프된다. 계통 복전 상태라 하더라도 S1이 온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ESS(PCS)는 S2가 오프됨에 따라 전압 제어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되고, 무순단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through a load sharing process in a process of recovering a system after a system power outag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10, a system recovery may be detected while a load is being applied through the emergency generator 300. S2 turns off when system recovery is detected. Even in the state of system recovery, S1 is not on. Therefore, the operation mode of the ESS (PCS) is switched to the voltage control mode as S2 is turned off,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without a step.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에에 따라, 계통 복전 직후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계통 복전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S1이 온(on) 된다. 그리고 ESS(PCS)는 전압 제어 모드에서 계통 연계 모드로 전환된다. 계통 연계 모드에서는 S1이 온 상태라 하더라도 S3가 오프인 상태인 관계로 ESS(PCS)는 여전히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mmediately after a system reco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11,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ystem recovery is detected, S1 is turned on. And ESS (PCS) is converted from voltage control mode to grid connection mode. In the grid connection mode, even if S1 is on, ESS (PCS) is still supplying power to the load because S3 is off.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통 복정 과정 후 계통 정상인 상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계통 복전이 완료되어 계통 정상 모드로 전환되면 S1, S3이 온 상태이고, S2는 오프상태이다. 한편, 계통 연계 모드에서 ESS를 통해 부하 부담이 100% 이루어지고 있었던 상태이므로 계통 정상 모드에서는 S3가 온 되면서 계통과 ESS가 다시 부하 부담을 시작하게 된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power supplied to a load in a normal state of a system after a system resto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system recovery is completed and the system is converted to the system normal mode, S1 and S3 are in the ON state, and S2 is in the OFF stat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ad burden was 100% through the ESS in the grid connection mode, in the grid normal mode, S3 turns on, and the grid and the ESS begin to bear the load again.

전술한 본 명세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specifica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isk), SDD (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계통 20: 부하
100: 무정전 자동절체 장치 200: ESS
300: 비상발전기 400: 동기 제어기
500: 부하 분담 제어 장치
10: system 20: load
100: uninterrupti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200: ESS
300: emergency generator 400: synchronous controller
500: load sharing control device

Claims (13)

계통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공급하고,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비상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무정전으로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상기 계통, 부하 및 비상 발전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 및 비상 발전기로부터 상기 부하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무정전 절체 장치;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무정전절체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상기 발전기가 각각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비율을 제어하는 부하 분담 제어 장치; 및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계통에서 출력되는 전압 특성 및 상기 비상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특성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동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정전 절체 장치는,
상기 계통, 비상발전기 및 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 또는 비상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3 스위치(S3)를 포함하는 독립 운전 스위칭 시스템;
상기 계통과 상기 제3 스위치(S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치(S1); 및
상기 비상 발전기와 상기 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치(S2); 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S1)와 상기 제3 스위치(S3)는 온(on) 상태이며, 상기 제2 스위치(S2)는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계통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계통 정상 모드에서, 상기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S1)를 오프시키고, 상기 동기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압 확립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A generator that receives power from a system and supplies it to a load, and produces emergency power for supplying to the load when a system power outage occurs;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an energy storage device (ESS, Energy Storage System) that supplies power to the load uninterrupted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the load, and the emergency generator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to the load from the system and the emergency generator;
A load sharing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the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o control a power supply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generator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load; And
Including; when the system power outage occurs, a synchronou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ltage characteristic output from the system and the voltage characteristic output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to remain the same;
The uninterruptible switching device,
An independent operation switching system including a third switch (S3)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the emergency generator and the load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system or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A first switch (S1)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and the third switch (S3)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ystem to the load; And
A second switch (S2)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emergency generator and the load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Including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The first switch (S1) and the third switch (S3) are in an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S2) is a system normal supplying power from the system to the load in an off state In the mode, when the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urning off the first switch (S1) and controlling the synchronous controller to operate in a voltage establishment mode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and frequency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계통 또는 비상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계통 방출을 위해 전기적 특성을 변환하는 PCS;를 더 포함하고,
계통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PCS가 전압제어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상 발전기와 함께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전원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nergy storage device,
battery; And
PCS receiving power from the system or the emergency generator and storing it in the battery or conver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for system discharge; further comprising,
When a system power failure occurs, the PCS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voltage control mode, and a ratio of power supplied to the load together with the emergency generator is sha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전압 확립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S2)를 온(on) 시키고, 제3 스위치(S3)를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is entered,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n and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f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스위치(S3)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be supplied to the load while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f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전압 확립 모드에서 상기 계통 전압 및 전압주파수와 상기 비상 발전기의 전압 및 전압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동기화시키고,
상기 동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3 스위치(S3)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In the voltage establishment mode, the grid voltage and voltage frequency and the voltage and voltage frequency of the emergency generator are synchronized so that they are the same,
When the synchronization is completed,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n (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스위치(S3)가 온(on) 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제1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줄이고, 상기 비상 발전기가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제2 부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As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n, the first load ratio supplied to the loa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sequentially reduced, and the second load ratio supplied to the load by the emergency generator is sequentially increas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l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부담 비율이 100%에 도달한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PCS를 전류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When the second burden ratio reaches 100%, the PC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current control m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이 계통 복전 모드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S2)의 오프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PCS를 전압제어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만이 상기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Whe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detects that it has entered the system recovery mode,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third switch (S3) are turned of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ff of the second switch (S2) is sensed, the PC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voltage control mode, and only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load. syste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S1)를 온(on) 하여 상기 PCS의 상기 전압제어모드를 계통 연계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1) to control the voltage control mode of the PCS to operate in a grid-connected mod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계통 연계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제3 스위치를 온(on) 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부담 비율을 줄이고, 상기 계통에서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부담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grid connection mode, the third switch is turned on, the load ratio supplied from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the load is reduced, and the load ratio supplied from the system to the load is increas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le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담 제어 장치는,
상기 계통 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부담비율이 0%가 되는 경우, 상기 PCS를 전류제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ad sharing control device,
When the burden ratio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ecomes 0% as the system recovery is performed, the PCS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current control mode.
KR1020200074646A 2020-06-19 2020-06-19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KR102194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46A KR102194385B1 (en) 2020-06-19 2020-06-19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46A KR102194385B1 (en) 2020-06-19 2020-06-19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646A Division KR102238735B1 (en) 2020-11-24 2020-11-24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385B1 true KR102194385B1 (en) 2020-12-23

Family

ID=7408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646A KR102194385B1 (en) 2020-06-19 2020-06-19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3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732A (en)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주왕산업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estimating the state of batter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107A (en) * 2002-12-06 2005-09-01 일렉트릭 파워 리서치 인스티튜트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generator system
KR101712123B1 (en) * 2016-05-26 2017-03-03 (주) 지엔씨에너지 Hybrid emergency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78990A (en) * 2015-12-29 2017-07-10 한국 전기안전공사 Uninterrupted power system and method based on standby generator
KR20170084528A (en) * 2016-01-12 2017-07-20 정순희 System and method for uninterruptible supply
KR20180012049A (en) * 2016-07-26 2018-02-05 허정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200041592A (en)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지엔이피에스 Generator switching system having grid-tied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107A (en) * 2002-12-06 2005-09-01 일렉트릭 파워 리서치 인스티튜트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generator system
KR20170078990A (en) * 2015-12-29 2017-07-10 한국 전기안전공사 Uninterrupted power system and method based on standby generator
KR20170084528A (en) * 2016-01-12 2017-07-20 정순희 System and method for uninterruptible supply
KR101712123B1 (en) * 2016-05-26 2017-03-03 (주) 지엔씨에너지 Hybrid emergency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12049A (en) * 2016-07-26 2018-02-05 허정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200041592A (en)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지엔이피에스 Generator switching system having grid-tied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732A (en)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주왕산업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estimating the state of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03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al device
JP5437707B2 (en) Autonomous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important loads
EA020450B1 (en) Emergency power supply apparatus
US20110068630A1 (en) Power supply cooperation system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JP2001224142A (en) Photovoltaic generation apparatus
WO2013061826A1 (en) Power supply system, distributed power source system, administration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5645768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2013179767A (en) Electric storag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program, and electric storage system
KR102194385B1 (en)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KR102238735B1 (en) Energy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andby Generator During Power Failure and Power Recovery
JP5790313B2 (en) Electric power leveling device
JP3255797B2 (e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distributed power supply
KR1017441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to supply power
JP2008278666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JP2005287125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interruption compensating system
KR1017989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nterruptible supply
JP2015057022A (en) Dispersed power supply device, power switching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2001211570A (en) Power-feeding method for important load
JP200703728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wer supply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6246648A (en) Power supply system cooperation system
JP4497760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H09149554A (en) Solar-ray power generator
KR1017077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RID-SEPARATING of Plurality of Energy Storage Syetem
KR20170142238A (en) Power supply system to prepare for blackout
JP2914044B2 (en) Battery backup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