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06B1 -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 Google Patents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06B1
KR102194206B1 KR1020180155172A KR20180155172A KR102194206B1 KR 102194206 B1 KR102194206 B1 KR 102194206B1 KR 1020180155172 A KR1020180155172 A KR 1020180155172A KR 20180155172 A KR20180155172 A KR 20180155172A KR 102194206 B1 KR102194206 B1 KR 10219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ontact member
repair material
pressing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327A (ko
Inventor
전광열
이원상
Original Assignee
전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열 filed Critical 전광열
Priority to KR102018015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and being inf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materials for flexible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는,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 관로에 부착된 보수재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및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밀착부재를 보수재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APPARATUS AND METHOD FOR PIPE LINER NON-DIGGING HIGH FREQUENCY PROCESSING}
본 발명은,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와 보수재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수관 또는 우수(雨水)를 하천으로 방류시키기 위한 우수관이 지하에 매설되는데, 오수관과 우수관을 통칭하여 하수관이라 한다. 이러한 하수관은 우수 또는 오폐수를 하수처리장이나 하천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복수개가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수관의 관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되어 크랙이 생성되거나 균열, 파손 또는 접속부 분리에 의해 오폐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토양 오염 등의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 또는 외부에서 흘러들어온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이물질, 슬러지, 퇴적물 등에 의해 악취가 발생한다.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관로의 이음 부에 벌어짐이나 단차가 생기거나, 보수재 상의 수지가 경화과정에서 수축되어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 이상부위를 대상으로 보수를 해야 할 경우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보수하는 시공방법으로는 첫째, 이러한 이상 부위 구간에 전체적으로 합성수지 관을 끼워 넣어서 보수하는 전체 보수공법이 있고, 둘째, 본딩제와 보수재를 이용하여 이상 부위만을 대상으로 보수재에 본딩제를 도포하여 함침시킨 후 경화시켜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라이닝 부분 보수공법이 있다.
종래 관로를 보수하는 보수 공법의 경우, 관로의 손상 부분에 존재하는 틈새 등으로 인해 관로와 보수재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보수재의 접착력이 약화되며, 이로 인해 보수재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04-0073946호(공개일자:2004년08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로와 보수재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로의 손상 부위로 본딩제를 침투시켜 정밀한 보수가 가능한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관로에 부착된 보수재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보수재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보수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이 구비된 탄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밀착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가압부재에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1 이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밀착부재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2 이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는 일측 단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양측 단부에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압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 경사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를 구동하는 이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밀착부재의 적어도 양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재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진동전달부재와 상기 가압유닛을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압유닛이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관로에 부착된 보수재 방향으로 밀착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밀착부재가 상기 보수재에 밀착되어 상기 보수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가 상기 밀착부재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보수재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제2 가압부가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보수재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진동전달부재가 상기 밀착부재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딩제의 침투력을 증대시켜 관로와 보수재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전달부재에 의해 관로의 손상 부위로 본딩제가 용이하게 침투하여 관로의 손상 부위의 정밀한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관로 내부의 손상 부위에 보수재가 결합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가 보수재 내부에서 보수재를 가압하는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의 가압유닛이 수축된 상태에 대해 도 2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에서 가압유닛의 제1 가압부재가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상태에 대해 도 2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에서 가압유닛의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가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상태에 대해 도 2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은 다양한 종류의 관로를 보수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수도 관로를 보수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며, 다만 이러한 한정 설명에 의해 관로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그리고, 라이너는 비굴착으로, 즉, 굴착공사 없이도 상수관 내지 하수관을 보수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것으로 부직포에 수지를 함침시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관로 내부의 손상 부위에 보수재가 결합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가 보수재 내부에서 보수재를 가압하는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의 가압유닛이 수축된 상태에 대해 도 2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에서 가압유닛의 제1 가압부재가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상태에 대해 도 2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에서 가압유닛의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가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상태에 대해 도 2의 화살표 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는, 밀착부재(100)와, 가압유닛(200)을 포함한다.
밀착부재(100)는 보수재(500)에 밀착되며, 가압유닛(200)으로부터의 가압력이 밀착부재(100)로 전달되는 경우 보수재(500)를 관로(700)측으로 가압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보수재(500)는 관로(700)를 보수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관로(7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로(700) 외부에서 보수재(500)에 본딩제(600)를 함침 후 본딩제(600)가 함침된 보수재(500)를 관로(700) 내부로 이동하여 보수재(500)를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 부착할 수도 있고, 또는 본딩제(600)가 함침되지 않은 보수재(500)를 관로(700) 내부로 이동 후 관로(700) 내부에서 본딩제(600)를 보수재(500)로 분사하면서 보수재(500)를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딩제(600)가 함침되어 있는 보수재(500) 또는, 본딩제(600)가 도포되어 있는 보수재(500)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는 틈새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틈새에 의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침투하지 않으므로 관로(700)와 보수재(500)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관로(700)와 보수재(500) 사이의 들뜸 현상으로 인해 보수재(500)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밀착부재(100)는 보수재(500)에 밀착되어 보수재(500)를 가압한다. 이 경우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침투하므로 보수재(500)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때, 밀착부재(100)는 보수재(5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수재(500)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밀착부재(100)도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보수재(500)와 밀착부재(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밀착부재(100)는 탄성이 구비된 탄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밀착부재(100)는 다양한 탄성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보수재(50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밀착부재(100)는 탄성체로 마련되며 보수재(500)에 밀착되어 보수재를 관로(700)측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가압한다.
가압유닛(200)은 밀착부재(100)에 결합되어 밀착부재(10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밀착부재(100)가 보수재(500)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수재(50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재(100)가 보수재(500)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유닛(200)이 밀착부재(100)를 계속 가압하면 가압유닛(200)으로부터의 가압력이 밀착부재(100)를 통해 보수재(500)로 전달되며, 이에 의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침투할 수 있다.
가압유닛(200)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압부재(210)와 제2 가압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210)는 제1 가압부(211)와, 제1 이동로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11)는 밀착부재(100)에 결합되며 밀착부재(100)를 보수재(500)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제1 이동로드(212)는 제1 가압부(211)에 결합되어 제1 가압부(211)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로드(212)는 다단으로 마련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팽창과 수축을 통해 밀착부재(100)와 함께 제1 가압부(211)를 보수재(500)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밀착부재(100)와 함께 제1 가압부(211)를 보수재(500)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제2 가압부재(220)는 제1 가압부재(210)에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밀착부재(100)의 타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1 가압부재(210)는 밀착부재(100)에 결합되어 밀착부재(100)와 함께 이동하지만, 제2 가압부재(220)는 밀착부재(100)로부터 떨어져 있으면서 밀착부재(100)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부재(100)를 보수재(50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가압부재(220)는 제2 가압부(221)와, 제2 이동로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압부(221)는 밀착부재(10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밀착부재(100)에 접촉되어 밀착부재(100)를 보수재(500)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제2 이동로드(222)는 제2 가압부(221)에 결합되어 제2 가압부(221)를 구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로드(222)는 다단으로 마련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팽창과 수축을 통해 제2 가압부(221)를 밀착부재(100)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가압부(221)를 밀착부재(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제1 가압부재(210)의 제1 가압부(211)와 제2 가압부재(220)의 제2 가압부(221)는 일측 단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압부(211)는 제2 가압부(221)보다 단면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밀착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1 가압부(211)가 제2 가압부(221)보다 단면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가압부(211)와 제2 가압부(221)가 동일한 단면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가압부(211)의 양측 단부에는 제1 경사부(215)가 형성되고, 제2 가압부(221)의 양측 단부에는 제2 경사부(225)가 형성되며, 제1 경사부(215)와 제2 경사부(225)는 서로 맞닿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압부(211)의 양측 단부와 제2 가압부(2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경사부(215, 225)가 형성되면 제1 이동로드(212)의 팽창 후 제2 이동로드(222)가 팽창하는 경우 제1 가압부(211)와 제2 가압부(221)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밀착부재(100)를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6 참조).
가압유닛(200)에 구비된 가압부재(210, 220)의 이동로드(212, 222), 즉, 제1 이동로드(212)와 제2 이동로드(222)를 포함하는 이동로드(212, 22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로드(212, 222)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이동로드(212, 222)는 밀착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단부에 좌측이동로드(L)가 배치되고, 우측 단부에 우측이동로드(R)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 2개의 이동로드(212, 222)에 하나의 가압부(211, 221)가 결합되며, 2개의 이동로드(212, 222)가 하나의 가압부(211, 221)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가압부(211, 221)는 밀착부재(100)에 결합되어 밀착부재(100)를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이동로드(212, 22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2개 이상일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300)는 가압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밀착부재(100)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300)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주파 발진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부재(100)가 보수재(500)에 밀착되어 보수재(500)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침투하여 보수재(500)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부재(100)가 보수재(500)에 밀착되어 보수재(500)를 가압하는 동안, 또는 밀착부재(100)가 보수재(500)에 단순히 밀착되어 있는 동안에 진동전달부재(30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밀착부재(100)를 통해 보수재(500)로 전달되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훨씬 원활하고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다. 즉, 진동전달부재(300)는 보수재(500)로 진동을 전달하며, 진동없이 보수재(500)를 가압하는 것에 비해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더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한다. 여기서, 진동전달부재(300)에는 탄성 스프링(4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 스프링(400)은 진동전달부재(300)와 가압유닛(200)을 연결하여 진동전달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전달부재(300)로부터의 진동이 탄성 스프링(400)을 통해 밀착부재(100)로 전달되며, 밀착부재(100)로 전달된 진동은 다시 보수재(5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는 자체 동력원에 의해 관로(700) 내부를 이동할 수도 있고, 또는 견인선(미도시)에 연결되고 관로(700) 외부의 견인차량 등의 작동에 의해 관로(700) 내부를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에 결합된 바퀴(900)를 통해 관로(70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에는 CCTV와 같이 관로(70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촬영부재(800)가 포함될 수 있다. 촬영부재(80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관로(70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광등, 백열등, LED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조명 장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재(800)는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통해 촬영부재(800)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촬영부재(80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유닛과 같은 관로(700) 외부에 배치된 장비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촬영부재(800)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의 다양한 부분에 다양한 개수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10)에서 설명한 부분과 공통되는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를 보수하기 위해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 보수재(500)가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다만,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는 틈새 등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틈새에 의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침투하지 않아 관로(700)와 보수재(500)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착부재(100)가 보수재(500)에 밀착되어 보수재(50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에는 보수재(500)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압유닛(200)은 수축 상태로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압유닛(200)이 관로(700)의 손상 부위(710)를 보수하기 위해 관로(700)에 부착된 보수재(500) 방향으로 밀착부재(10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가압유닛(200)에 구비된 제1 가압부재(210)의 제1 가압부(211)가 밀착부재(100)의 일측을 가압하여 밀착부재(100)를 보수재(500)에 밀착시키고, 도 6을 참조하면, 가압유닛(200)에 구비된 제2 가압부재(220)의 제2 가압부(221)가 밀착부재(100)의 타측을 가압하여 밀착부재(100)를 보수재(500)에 밀착시킨다.
다음, 밀착부재(100)가 가압유닛(200), 즉, 제1 가압부(211)와 제2 가압부(221)로부터 가압력을 제공받아 보수재(500)에 밀착되어 보수재(50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의 손상 부위(710)으로 침투할 수 있다.
다음, 가압유닛(200)의 내부에 진동전달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압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된 진동전달부재(300)가 밀착부재(100)에 진동을 전달하며, 이에 의해, 진동전달부재(30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밀착부재(100)를 통해 보수재(500)로 전달되면 보수재(500)에 함침 내지 도포된 본딩제(600)가 관로(700)측으로 훨씬 원활하고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100 : 밀착부재
200 : 가압유닛 210 : 제1 가압부재
211 : 제1 가압부 212 : 제1 이동로드
215 : 제1 경사부 220 : 제2 가압부재
221 : 제2 가압부 222 : 제2 이동로드
225 : 제2 경사부 300 : 진동전달부재
400 : 탄성 스프링 500 : 보수재
600 : 본딩제 700 : 관로
710 : 손상 부위 800 : 촬영부재

Claims (13)

  1.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관로에 부착된 보수재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보수재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재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 및
    상기 진동전달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진동전달부재와 상기 가압유닛을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보수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이 구비된 탄성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밀착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가압부재에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1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밀착부재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2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는 일측 단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의 양측 단부에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압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 경사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를 구동하는 이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밀착부재의 적어도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가압유닛이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관로에 부착된 보수재 방향으로 밀착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밀착부재가 상기 보수재에 밀착되어 상기 보수재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진동전달부재가 상기 밀착부재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전달부재와 상기 가압유닛을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이 상기 진동전달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가압부가 상기 밀착부재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보수재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제2 가압부가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보수재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공법.
  13. 삭제
KR1020180155172A 2018-12-05 2018-12-05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KR10219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72A KR102194206B1 (ko) 2018-12-05 2018-12-05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72A KR102194206B1 (ko) 2018-12-05 2018-12-05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27A KR20200068327A (ko) 2020-06-15
KR102194206B1 true KR102194206B1 (ko) 2020-12-22

Family

ID=7108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172A KR102194206B1 (ko) 2018-12-05 2018-12-05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32B1 (ko) 2003-02-10 2007-09-07 평원개발(주)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KR100924364B1 (ko) * 2007-11-30 2009-10-30 김성진 변형 도관의 복원 기능을 겸비한 도관 보수 장치
KR101038486B1 (ko) * 2008-09-03 2011-06-01 쌍용건설 주식회사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524122B1 (ko) * 2013-10-21 2015-06-01 이상훈 배관 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27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087B1 (ko) 라이너의 고주파 접착식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1859633B1 (ko) 관로 보수 장치 및 관로 보수 방법
US201301123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DK0630458T3 (da)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reparation af rørledninger
KR102194206B1 (ko)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JP4667315B2 (ja) 大口径管路内面の補修装置
KR101615971B1 (ko) 비 굴착식의 하수관로 보수방법
KR102339876B1 (ko) 맨홀내 하수관 접합부 비굴착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2194208B1 (ko) 보수재 내장 및 분사형 라이너 형성 방식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2247716B1 (ko) 주입식 라이너 형성 방식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0810555B1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KR102093362B1 (ko) 브러싱 공정 및 라이닝 시공을 선택적 혹은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관로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2216759B1 (ko) 본관부 혹은 가지관부 혹은 본관부와 가지관부의 선택적 부분 보수 장치 및 부분 보수 공법
KR102302805B1 (ko) 슬라이더와 링크 결합에 의한 신축 프레임과 가압튜브의 팽창과 접착과 성형 기술을 이용한 하수도 비굴착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2207822B1 (ko) 기포제거 및 보수단면의 형상계수 증대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2276430B1 (ko) 관로 보수 장치 및 공법
KR20180007426A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보강공법 및 그에 이용되는 확관장치
KR102370702B1 (ko) 관로 보수 장치 및 공법
DE10221550B4 (de) Verfahren zur Verlegung von zusätzlichen Leitungen in vorhandenen Rohrleitungen mittels eines Rohres oder Schlauches und einer über ein Befüllrohr hinzugefügten Klebe- und Verfüllmasse
KR102650680B1 (ko) 작업 성능이 개선된 하수관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 비굴착 부분 보수 공법
DE69727295D1 (de) Vorrichtung für die Reparatur eines Rohres und ein Verfahren zur Benutzung derselben
EP1892451B1 (de) Verfahren zur grabenlosen Reparatur von Schadstellen in Kanälen un Rohrleitungen
KR20070076881A (ko) 경화형 도관 보수공법
DK3155309T3 (en) Branch piece for use in pipe renovation and method for renovating branch point in pipe assembly
WO2016010455A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конусная му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