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798B1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798B1
KR102193798B1 KR1020140055632A KR20140055632A KR102193798B1 KR 102193798 B1 KR102193798 B1 KR 102193798B1 KR 1020140055632 A KR1020140055632 A KR 1020140055632A KR 20140055632 A KR20140055632 A KR 20140055632A KR 102193798 B1 KR102193798 B1 KR 10219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
sensing
sensing electrode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354A (ko
Inventor
민명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798B1/ko
Priority to US14/697,748 priority patent/US9952691B2/en
Priority to CN201510229283.1A priority patent/CN105892738B/zh
Publication of KR2015012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54A/ko
Priority to US15/924,732 priority patent/US102276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감지전극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전극; 및 상기 메인 전극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복수의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Touch Pane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터치 자극을 수용하는 감지전극의 구조가 개선되어, 감지전극에 손상에 발생하더라도 해당 영역에 대한 터치 감지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이란, 터치 방식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노트북 컴퓨터, OA 기기, 의료기기 또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 등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이 외부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 유도 방식, 광학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정전용량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방식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감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터치 자극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전극 및 감지전극에서 발생하는 신호변화를 수용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감지전극은 터치 자극이 인가되는 좌표를 감지하기 위해서 2가지 방향(예컨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감지전극들 각각을 배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기판 상에 감지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다양한 공정 중에서 발생하는 불량에 의해 감지전극의 일부가 손상됨에 따라, 손상된 지점에서의 터치 감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 및 실생활에서의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야기되는 터치 감지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발생 되었지만, 이와 같은 기술적 요구를 해결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전극 패드 구조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지만, 터치 패널 자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범위에서 다른 영상표시장치들에도 응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5131호: 터치 스크린 패널(2010.05.26)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형성되는 감지전극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 공정 및 실생활에서 인가되는 외부 힘에 의하여 감지전극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터치 감지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감지전극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전극; 및 상기 메인 전극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복수의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전극 및 제2 감지전극은, 단일한 투명기판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전극은, 상호 인접한 상기 서브 전극의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제2 감지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개구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개구부의 가장자리와 이격되는 더미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상호 교차되어 메쉬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미세 도전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전극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서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서브 전극;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서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서브 전극; 및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전극과 제2 서브 전극을 연결하는 제3 서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더미패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감지전극은, 상기 메인 전극과 교차하는 영역에서 상호 이격되면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절연되도록 각각의 상기 절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방향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 전극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형성되는 감지전극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 공정 및 실생활에서 인가되는 외부 힘에 의하여 감지전극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터치 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임의의 방향(예컨대, 종방향, 횡방향, 대각선 방향 등)으로 연장 배치되는 감지전극의 내부에 더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전기적 연결 통로를 마련하고, 이로써 어느 하나의 전기적 연결 통로가 끊겨지더라도 나머지 전기적 연결 통로를 통해 터치 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더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터치 패털의 생산단가 및 제조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전극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서브 전극이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다양하게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브 전극에 포함되는 전기적 연결 통로들 중 일부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른 전기적 연결 통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제2 감지전극이 제1 감지전극과 절연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로 표시된 절개선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을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전극을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으로 분리하여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1 감지전극(100) 및 제2 감지전극(200)으로 이루어진 감지전극부를 포함한다.
우선, 제1 감지전극(10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1 감지전극(100)은 제1 방향(예컨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전극(110) 및 상기 메인전극(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방향(예컨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124)가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전극(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전극(120)들은 하나의 메인전극(110)마다 일정 간격(H)만큼씩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24)는 각 서브 전극(120)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서브 전극(120)에는 개구부(124)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각 개구부(124)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패턴(130)이 배치된다. 이러한 더미패턴(130)은 개구부(124) 보다 작은 면적으로 개구부(124)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전극(120)과 더미패턴(130)은 상호 절연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는 하나의 서브 전극(120) 당 하나의 개구부(124)가 형성되고, 각 개구부(124)의 내부에는 하나의 더미패턴(130)만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124)와 더미패턴(130)은 다양한 갯수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별도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서브 전극(120)의 내부에 더미패턴(130)이 배치됨에 따라, 서브 전극(120)에는 메인전극(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전기적 연결 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도 2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 감지전극(200)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감지전극(100)과 전기적 절연을 위해 중첩되는 영역 없이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각각의 상기 제2 감지전극(200)은, 제2 방향(예컨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210)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단위 전극(210)은 상호 인접한 두 서브 전극 간의 사이(즉, 도 2a에서 간격(H)이 형성되는 영역)마다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방향으로 교차하는 영역에서 상호 일정 간격(W)만큼씩 이격된다.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은, 에칭(etching), 스퍼터링(sputtering), 스크린 인쇄기법(screen printing) 또는 포토 리소그라피(photo lithography) 등의 다양한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은 ITO(Indium 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은, 유리, 플라스틱,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투명기판(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은 상호 중첩되는 영역없이 이격되어 단일한 투명기판(10)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일의 투명기판에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이 함께 형성됨으로써, 터치 패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는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한 것이며 동일한 공정을 통해 일괄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터치 자극이 인가되는 지점의 좌표를 계산하기 위해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서브 전극(120)이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다양하게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전극(120)에 형성되는 개구부(124)에는 메쉬(mesh) 형상의 미세 도전선(13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전극(12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영역을 제외한 내부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개구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4)에는 상호 교차되어 그물망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미세 도전선(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세 도전선(132)은 제1 감지전극(100) 및 제2 감지전극(200)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미세 도전선(132)들 모두는 서브 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미세 도전선(132)들 중 일부가 끊어지더라도 나머지 미세 도전선(132)을 통해 서브 전극(120)은 메인 전극(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도 3b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전극(120)의 개구부(124) 및 이러한 각 개구부(124)의 내부에 배치되는 더미패턴(130)은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브 전극(120)에 복수의 더미패턴(130)이 배치되는 경우에, 각각의 더미패턴(130)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브 전극(120)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패턴(130)은 행렬 형태로 가지런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충격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더미패턴(130)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서브 전극(120)에 포함되는 전기적 연결 통로들 중 일부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른 전기적 연결 통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서브 전극(120)은 개구부(124)의 일측(예컨대, 상부)에서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서브 전극(121), 개구부(124)의 타측(예컨대, 하부)에서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서브 전극(122) 및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서브 전극(121)과 제2 서브 전극(122)을 연결하는 제3 서브 전극(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서브 전극(123)은 서브 전극(120) 중 제1 서브 전극(121) 및 제2 서브 전극(122)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더미패턴(130)이 제1 서브 전극 내지 제3 서브 전극(121 내지 123)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상을 갖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서브 전극(120)의 상측 및 우측의 가장자리 일부가 각각 끊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전극(120)의 끊김 현상은 제조 공정 또는 실생활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것이거나,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브 전극(120)이 그 내부에 더미패턴(130)이 배치되지 않은 바(bar) 형상을 가질 경우, 서브 전극(120)과 메인전극(110)이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 통로는 단 하나만이 형성될 것이다. 이때, 만약 서브 전극(120)이 제2 방향으로 끊어진다면 해당 영역으로 인가되는 터치 자극이 제대로 감지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서브 전극(120)은 복수의 전기적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서브 전극(121), 제2 서브 전극(122) 및 제3 서브 전극(123)을 포함하므로, 제1 서브 전극(121), 제2 서브 전극(122) 또는 제3 서브 전극(123) 중 일부가 끊어지라도 나머지 전기적 연결 통로를 통해 메인전극(110)과 전기적으로 연결(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될 수 있고, 이로써 터치 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서브 전극(121) 일부에 단선이 발생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3 서브 전극(123b)의 일부에 단선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선이 발생하지 않은 제2 서브 전극(122)은 중앙에 배치된 제3 서브 전극(123a)를 통해 제1 서브 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서브 전극(12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a 및 도 3c 내지 3e에 도시된 형상은 물론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더미패턴(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제2 감지전극(200)이 제1 감지전극(100)과 절연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제2 감지전극(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210)들은 제2 방향에서 상호 이격되어 전기적 비연결 상태이므로, 도 5 및 6은 각각의 제1 감지전극(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든 단위 전극(210)들을 제2 방향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절연부(30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감지전극(200)은 브릿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부(300)는,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이 교차하는 영역은, 제2 방향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전극(210)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전극(110)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이때, 절연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이 교차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메인전극(110)의 일부분(즉, 상부 및 측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220)는 절연부(3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브릿지부(220)의 양 말단의 일부가 각각 단위 전극(210)과 접속된다. 제2 감지전극(200)이 제1 감지전극(100)과 절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브릿지부(220)는, 제2 방향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전극(210)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브릿지부(220)는, 제1 감지전극(100)과 제2 감지전극(200)와 동일하게 ITO(Indium 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300)와 브릿지부(220)는 인접한 단위 전극(210)들이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는 바, 하나의 제2 감지전극(200)에 포함된 단위 전극(210)의 개수가 N개인 경우, 해당 제2 감지전극(200)을 제2 방향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절연부(300)와 브릿지부(220)의 개수는 각각 (N-1)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감지전극은,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감지전극의 형상 중 일부가 변형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 및 도 5에는 서브 전극(120)들이 메인전극(110)의 '한쪽 가장자리(우측 또는 좌측 가장자리)'로부터만 제2 방향(예컨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바, 도 7은 그 중 하나의 예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전극(120)은 메인전극(110)의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및 5에 도시된 감지전극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도 8과 같이 다양한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스마트폰, 태블릿, PDA,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영상표시장치 이외에도 스마트 TV, PC, 디지털 액자,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터치 입력 정보를 처리하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다양한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이 설치된 영상표시장치들이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부들을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이 설치된 영상표시장치들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2),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입력 정보 관리부(3),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정보를 관리하는 이미지 정보 관리부(4),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부(5), 상기 통신부, 상기 입력 정보 관리부, 상기 이미지 정보 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장치들은 이러한 구성부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나의 구성부가 구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투명기판 100: 제1 감지전극
110: 메인전극 120: 서브전극
121: 제1 서브전극 122: 제2 서브 전극
123: 제3 서브 전극 124: 개구부
130: 더미패턴
132: 미세 도전선 200: 제2 감지전극
210: 단위 전극 220: 브릿지부
300: 절연부 2: 통신부
3: 입력 정보 관리부 4: 이미지 정보 관리부
5: 저장부 6: 제어부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감지전극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전극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전극; 및
    서로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전극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위전극; 및
    상기 절연부에 의해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절연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단위전극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전극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서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서브 전극;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서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서브 전극; 및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전극과 제2 서브 전극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 서브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개구부 내부에는 상호 교차되어 메쉬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미세 도전선들이 형성된,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제2 감지전극은,
    상기 기판의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기판을 노출시키는,
    터치 패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기재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이미지 정보 관리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140055632A 2014-05-09 2014-05-09 터치 패널 KR10219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32A KR102193798B1 (ko) 2014-05-09 2014-05-09 터치 패널
US14/697,748 US9952691B2 (en) 2014-05-09 2015-04-28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510229283.1A CN105892738B (zh) 2014-05-09 2015-05-07 触摸面板以及具有该触摸面板的图像显示装置
US15/924,732 US10227600B2 (en) 2014-05-09 2018-03-19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32A KR102193798B1 (ko) 2014-05-09 2014-05-09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54A KR20150128354A (ko) 2015-11-18
KR102193798B1 true KR102193798B1 (ko) 2020-12-22

Family

ID=5483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632A KR102193798B1 (ko) 2014-05-09 2014-05-09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3431A4 (en) * 2020-03-19 2023-04-1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706A (ja) * 2009-06-29 2011-01-13 Sony Corp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521B1 (ko) 2008-11-17 2010-08-27 주식회사 모린스 터치스크린 패널
KR101385438B1 (ko) * 2012-06-12 201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07244B1 (ko) * 2013-02-22 2013-09-11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706A (ja) * 2009-06-29 2011-01-13 Sony Corp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54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7600B2 (en)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76664B1 (ko) 터치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416820B2 (en) Display device
CN102566842B (zh) 静电电容型触摸屏面板
EP2725463B1 (en) Metal mesh type touch screen panel
US9459744B2 (en) Touch panel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1639580B (zh) 显示装置
US20140118635A1 (en) Touch screen having mesh patterned electrodes
US11334179B2 (en) Display panel to mitigate short-circuiting between touch electrodes, and display device
US20140098304A1 (en) Touch screen panel
KR20180025389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10193796A1 (en) Touch screen panel
US10359879B2 (en) Touch contro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20529638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表示装置
JP6233075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備える入出力装置
US20160034076A1 (en) Touch display device
KR20150009420A (ko) 터치 윈도우
US20190391679A1 (en) Metal mesh touch electrode for touch panel
KR102585123B1 (ko) 표시 장치
KR102193798B1 (ko) 터치 패널
CN103926736A (zh) 一种彩膜基板以及触摸屏显示装置
KR20140078457A (ko) 터치 패널
JP2018112842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及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102230610B1 (ko) 터치 패널
KR10141442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