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777B1 -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777B1
KR102193777B1 KR1020140069094A KR20140069094A KR102193777B1 KR 102193777 B1 KR102193777 B1 KR 102193777B1 KR 1020140069094 A KR1020140069094 A KR 1020140069094A KR 20140069094 A KR20140069094 A KR 20140069094A KR 102193777 B1 KR102193777 B1 KR 10219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image
mobile terminal
image generating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0913A (en
Inventor
정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777B1/en
Priority to CN201580030415.6A priority patent/CN106464859B/en
Priority to PCT/KR2015/005039 priority patent/WO2015190717A1/en
Priority to US15/315,292 priority patent/US10554949B2/en
Publication of KR2015014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8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3차원 영상 생성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는, 구동부에 소정 제1전류를 인가하여 보빈을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구동부에 소정 제2전류를 인가하여 보빈을 광축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is disclosed. In th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predetermined second current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bobbi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Can be moved.

Description

3차원 영상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단말{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A 3D image genera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람의 시각은 주위 환경의 정보를 얻기 위한 감각의 하나로서, 두 눈을 통해 사물의 위치와 멀고 가까움을 인지할 수 있다. 즉, 두 눈을 통해 들어오는 시각정보들이 하나의 거리정보로 합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구조를 기계로 구현할 때 사용되는 것이 3차원 영상처리 시스템이다. 보통, 3차원 영상처리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카메라(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As is well known, human vision is one of the sense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rough both eyes, it is possible to perceive the position of an object and its proximity to each other. That is, visual information coming through both eyes is synthesized into one distance information. A 3D image processing system is used when implementing this visual structure with a machine. Usually, in a 3D image processing system, a 3D image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an image obtained using two cameras (stereo cameras).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도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가 제공되고 있다.Recently, stereo cameras have been provided to generate and display 3D images even in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도 1은 이동단말에 제공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ereo camera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100)의 하우징의 일측에 스테레오 카메라(110, 120)가 제공되며, 스테레오 카메라(110, 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이동단말(1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stereo cameras 110 and 12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mages input from the stereo cameras 110 and 12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Not) is synthesized to create a 3D image.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이동단말(100)에서의 3차원 영상처리 시스템에서는, 이동단말(100)을 가로로 배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도 1의 상태에서 90도로 회전하는 경우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없게 되므로, 세로로 구현되는 3차원 영상은 생성할 수 없어, 3차원 영상 생성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3D image processing system in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a 3D image can be generated only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rotated by 90 degrees in the state of FIG. In this case, since the 3D image cannot be generated, the vertical 3D image cannot be generated, and the width of the 3D image generation is narrowed.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의 이동단말에서, 스테레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두개의 카메라모듈이 사용되므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1, since two camera modules are used to build a stereo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using a single camera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는,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보빈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구동부에 소정 제1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보빈을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에 소정 제2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보빈을 광축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보빈의 이동에 의해 획득한 제1 및 제2변위영상으로부터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having a lens disposed therein;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bbin; An image sensor unit disposed under the bobbin; A control unit for applying a first current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bobbi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a 3D image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ced images obtained by moving the bobbi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미리 결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nd store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in adv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 대상과 상기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photographing object and the le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빈의 이동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bobbi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블럭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be a coil block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bove 3D image gen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보빈이 이동하는 제1 및 제2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which the bobbin moves by checking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단일 카메라모듈에 의해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이 배치되는 전자제품이 영상을 촬영하는 방향에 관게없이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 3D image can be generated by a single camera module, and a 3D image can be genera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n which the camera module is placed is photographed.

도 1은 이동단말에 제공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단말의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카메라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ereo camera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image acquired by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other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image acquired by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단말의 일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는 이동단말(1)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동단말(1)의 배면에 배치되는 하나의 카메라모듈(2)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 and can receive an image from one camera module 2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가 도 2와 같이 이동단말(1)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텔레비젼(TV)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is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smart TV Will be applicab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1)로서 스마트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폰, 스마트패드 등 카메라모듈(2)이 실장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단말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as the mobile terminal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movement in which the camera module 2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ad can be mounted. It can be a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카메라모듈(2)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2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모듈(2)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내부에 배치되는 보빈(10)은 커버(45)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보빈(10)의 외주면에는 코일 블럭(15)이 배치되고, 코일 블럭(15)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그네트(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마그네트가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코일블럭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camera module 2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10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disposed is disposed inside the cover 45, and the bobbin 10 A coil block 15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magnet 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il block 15.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magnet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coil block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agnet.

보빈(10)의 상부 탄성부재(25A)와 하부 탄성부재(25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부 또는 하부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또는 하부 탄성부재(25A, 25B) 중 어느 하나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오토포커싱(auto focusing)을 수행할 수 있다.It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lastic member (25A)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25B) of the bobbin (10).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only one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s may be forme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either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s 25A and 25B, the bobbin ma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perform auto focusing.

또한, 보빈(10)은 인터페이스 패드(35)와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패드(35)를 통해 코일블럭(15)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보빈(10)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광학적 손떨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bobbin 1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pad 35 and the connection member 30.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block 15 through the interface pad 35, the bobbin 1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o perform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OIS는, 정지화상의 촬영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보빈(10)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IS is a function that can prevent the outline of the captured image from being clearly formed due to vibration caused by the user's hand shake when shooting a still image. By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bobbin 10 It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보빈(1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부(40)가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부(40)는, 보빈(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렌즈에 대응하는 활성영역의 화소에서, 렌즈를 통과하는 광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40)는, 예를 들어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상보형 금속산화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소자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n image sensor unit 40 is disposed under the bobbin 10. The image sensor unit 40 may convert an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the lens into an image signal in a pixel in an active region corresponding to a len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0. The image sensor unit 40 may be, for exampl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unction similar thereto It may be another device that performs.

다만,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모듈(2)의 구성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과 관계가 적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ore various components may be included, and the description of components les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 will.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모듈(2)은, 코일블럭(15)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보빈(10)이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양안시차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amera modul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obbin 10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block 15, thereby forming binocular parallax.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to 5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obtained by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는, 제어부(50), 영상생성부(55) 및 저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50, an image generating unit 55, and a storage unit 60.

제어부(50)는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코일블럭(15)에 소정 제1전류를 인가하여 보빈(10)을 광축과 수직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의 제1전류에 의해, 보빈(10)은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generate a 3D image, the controller 50 may apply a first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o move the bobbin 10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example, by the first current of the control unit 50, the bobbin 10 may move to the left.

도 5a는 보빈(10)이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4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고, 도 5b는 보빈(10)이 왼쪽으로 이동한 경우 이미지 센서부(4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며, 도 5c는 보빈(10)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 이미지 센서부(4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5A is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unit 40 when the bobbin 10 is positioned at an initial position, and FIG. 5B is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unit 40 when the bobbin 10 is moved to the left. It is an image, and FIG. 5C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unit 40 when the bobbin 10 moves to the right.

보빈(10)의 초기 위치에서 이미지 센서부(40)가 도 5a와 같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50)가 코일블럭(15)에 제1전류를 인가하면, 보빈(10)은 초기 위치에 대해 왼쪽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미지 센서부(4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은, 도 5b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해 오른쪽으로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b와 같은 영상을 '제1변위영상'이라고 한다. When the image sensor unit 40 can acquire an image as shown in FIG. 5A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10, when the control unit 50 applies the first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he bobbin 10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unit 40 may be moved to the lef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5B, the image at the initial position may be displaced to the right. Hereinafter, the image shown in FIG. 5B is referred to as a'first displaced image'.

영상 생성부(55)는, 이미지 센서부(40)로부터 도 5b와 같은 제1변위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generating unit 55 may receive the first displaced image as shown in FIG. 5B from the image sensor unit 4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60.

제어부(50)가 인가하는 제1전류의 크기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촬영대상과 카메라모듈(2)의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어부(50)가 결정할 수도 있다. 코일블럭(15)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보빈(10)의 이동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applied by the controller 50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or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0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2. The moving distance of the bobbin 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block 15.

또한, 제어부(50)는, 위와 같이 제1변위영상을 획득한 후, 코일블럭(15)에 제2전류를 인가하여 보빈(10)을 광축과 수직이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의 제2전류에 의해, 보빈(10)은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obtaining the first displacement image as above, the controller 50 applies a second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o move the bobbin 10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moved to. For example, by the second current of the controller 50, the bobbin 10 may move to the right.

제어부(50)가 코일블럭(15)에 제2전류를 인가하면, 보빈(10)은 초기 위치에 대해 오른쪽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미지 센서부(4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은 도 5c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해 왼쪽으로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c와 같은 영상을 '제2변위영상'이라고 한다.When the control unit 50 applies the second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he bobbin 10 can move to the righ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reby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unit 40 is As shown in FIG. 5C, displacement may occur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image at the initial position. Hereinafter, the image shown in FIG. 5C is referred to as a'second displacement image'.

영상 생성부(55)는 이미지 센서부(40)로부터 도 5c와 같은 제2변위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generating unit 55 may receive the second displaced image as shown in FIG. 5C from the image sensor unit 4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60.

제어부(50)가 인가하는 제2전류의 크기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촬영대상과 카메라모듈(2)의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어부(50)가 결정할 수도 있다. 코일블럭(15)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보빈(10)의 이동거리가 결정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The magnitude of the second current applied by the controller 50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or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2.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bobbin 1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block 15.

이후, 영상 생성부(55)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제1 및 제2변위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55)가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스테레오 매칭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reafter, the image generator 55 may generate a 3D image by synthesiz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ced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A method of generating a 3D image by the image generator 55 may use a stereo matching method, for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3D image may be generated by various method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가 코일블럭(15)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블럭(15) 외에 보빈(10)을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보빈(10)을 구동하 수 있을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limited to that the control unit 50 applies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drive the bobbin 10 in addition to the coil block 15.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bobbin 10 can be driven by applying current to various compon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일 카메라모듈에 의해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image can be generated by a single camera module.

한편, 도 1과 같이 종래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에서는, 단말을 세로로 하여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을 세로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conventional stereo camera as shown in FIG. 1, it is impossible to take a 3D image with the terminal verticall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pture a 3D image even when the terminal is arranged vertically.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예시도이다.6A to 6C are other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image obtained by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메뉴영역에서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user may choose to take a 3D image in the menu area, and this is a matter tha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이동단말(10)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빈(10)이 이동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이동단말(10)에 제공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이동단말(10)의 방향을 확인할 수도 있고, 이미지 센서부(40)가 획득하는 영상을 확인하여 이동단말(10)의 방향을 확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user wants to capture a 3D image, the controller 50 can check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reby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bbin 10 move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 may check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by data from a sensor (not shown)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 or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unit 40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confirmed by check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a 내지 도 5b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1)이 가로 상태에서 영상이 촬영되므로, 제1방향은 왼쪽, 제2방향은 오른쪽에 해당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10)이 세로 상태에서 영상이 촬영되므로, 제1방향은 위쪽, 제2방향은 아래쪽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는 일예로써, 보빈(10)이 이동하는 방향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5A to 5B, since the mobile terminal 1 is photographed in a horizontal state,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left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right.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6A to 6C, since the mobile terminal 10 is photographed in a vertical state, the first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top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bottom.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bbin 10 moves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in various embodiments.

제어부(50)는, 코일블럭(15)에 소정 제1전류를 인가하여 보빈(10)을 광축과 수직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50)의 제1전류에 의해, 보빈(10)은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 may apply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o move the bobbin 10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at is, the bobbin 10 can move upward by the first current of the control unit 50.

보빈(10)의 초기 위치에서 이미지 센서부(40)가 도 6a와 같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50)가 코일블럭(15)에 제1전류를 인가하면, 보빈(10)은 초기 위치에 대해 위쪽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미지 센서부(40)는 도 6b과 같이 초기 위치의 영상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한 제1변위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image sensor unit 40 can acquire an image as shown in FIG. 6A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10, when the control unit 50 applies the first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he bobbin 10 The initial position may be moved up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by the image sensor unit 40 may generate a first displaced image that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image of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6B.

영상 생성부(55)는, 이미지 센서부(40)로부터 도 6b와 같은 제1변위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generator 55 may receive the first displaced image as shown in FIG. 6B from the image sensor unit 4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60.

또한, 제어부(50)는, 제1변위영상을 획득한 후, 코일블럭(15)에 제2전류를 인가하여 보빈(10)을 광축과 수직이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의 제2전류에 의해, 보빈(10)은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obtaining the first displacement image, the controller 50 applies a second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o move the bobbin 10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 can make it. For example, by the second current of the control unit 50, the bobbin 10 may move downward.

제어부(50)가 코일블럭(15)에 제2전류를 인가하면, 보빈(10)은 초기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미지 센서부(40)는 도 6c과 같이 초기 위치의 영상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 제2변위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50 applies the second current to the coil block 15, the bobbin 10 can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by the image sensor unit 40 is initiall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econd displaced image that has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image of the location.

영상 생성부(55)는 이미지 센서부(40)로부터 도 6c와 같은 제2변위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generator 55 may receive the second displaced image as shown in FIG. 6C from the image sensor unit 4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60.

이후, 영상 생성부(55)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제1 및 제2변위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image generator 55 may generate a 3D image by synthesiz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ced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에 의하면, 이동단말이 영상을 촬영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다양한 각도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image having various angles can be genera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photographs the imag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이동단말 2: 카메라모듈
10: 보빈 15: 코일블럭
20: 마그네트 25: 탄성부재
30: 연결부재 35: 인터페이스 패드
40: 이미지 센서부 45: 커버
50: 제어부 55: 영상 생성부
60: 저장부
1: mobile terminal 2: camera module
10: bobbin 15: coil block
20: magnet 25: elastic member
30: connecting member 35: interface pad
40: image sensor unit 45: cover
50: control unit 55: image generation unit
60: storage

Claims (9)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보빈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부;
오토 포커싱을 위한 상부 탄성 부재 및 하부 탄성부재;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인터페이스 패드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구동부에 소정 제1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보빈을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에 소정 제2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보빈을 광축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제1시점에 상기 보빈을 제1위치로 이동시켜 획득한 제1변위영상과 제2시점에 상기 보빈을 제2위치로 이동시켜 획득한 제2변위영상으로부터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
A bobbin having a lens disposed therein;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bbin;
An image sensor unit disposed under the bobbin;
An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for auto focusing;
A connection member for moving the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interface pad to the bobbin;
A control unit for applying a first current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bobbi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3D image from a first displacement image obtained by moving the bobbin to a first position at a first point of view and a second displacement image obtained by moving the bobbin to a second position at a second point of view. 3D image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3차원 영상 생성장치.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미리 결정하여 저장하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and stores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in adv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 대상과 상기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photographing object and the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빈의 이동거리가 결정되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distance of the bobbi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블럭인 3차원 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a coil block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3차원 영상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3D imag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보빈이 이동하는 제1 및 제2방향을 결정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mobile terminal that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which the bobbin moves by checking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은 광축 방향에 수직인 서로 반대방향이고,
상기 보빈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광축 방향은 고정되는 3차원 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 optical axis direction is fixed while the bobbin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KR1020140069094A 2014-06-09 2014-06-09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193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094A KR102193777B1 (en) 2014-06-09 2014-06-09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1580030415.6A CN106464859B (en) 2014-06-09 2015-05-20 Camera model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camera model
PCT/KR2015/005039 WO2015190717A1 (en) 2014-06-09 2015-05-20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US15/315,292 US10554949B2 (en) 2014-06-09 2015-05-20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094A KR102193777B1 (en) 2014-06-09 2014-06-09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913A KR20150140913A (en) 2015-12-17
KR102193777B1 true KR102193777B1 (en) 2020-12-22

Family

ID=5508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094A KR102193777B1 (en) 2014-06-09 2014-06-09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77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6282A1 (en) 2009-06-16 2010-12-16 Hope Clinton B Derivation of 3D information from single camera and movement sensors
US20120082442A1 (en) 2010-10-04 2012-04-05 Samsung Electro Mecha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hand vibration
JP2013097375A (en) 2011-10-28 2013-05-20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20140092298A1 (en) 2011-06-29 2014-04-0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723A (en) * 2012-06-20 2014-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d camera module
KR20140011850A (en) * 2012-07-20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6282A1 (en) 2009-06-16 2010-12-16 Hope Clinton B Derivation of 3D information from single camera and movement sensors
US20120082442A1 (en) 2010-10-04 2012-04-05 Samsung Electro Mecha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hand vibration
US20140092298A1 (en) 2011-06-29 2014-04-0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JP2013097375A (en) 2011-10-28 2013-05-20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913A (en)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9821B2 (en) Stereo image gen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tilizing the method
KR102348504B1 (en) Method for reducing parallax of a plurality of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5789793B2 (en) Three-dimensional imaging device, lens control device, and program
US82792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of a scene
US916722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27720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imaging device
JP616568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928847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image capturing device
US2012016245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US20130050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JP6155471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image generating method
US10554949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US2013034363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1095431A (en) Stereoscopic video pickup device and stereoscopic video pickup method
KR102193777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743069B2 (en) Camera module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position thereof
US20130076867A1 (en) Imaging apparatus
US9615074B2 (en) Method for generating translation imag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WO2012042704A1 (en) Stereoscopic photographic device
US910689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13085018A (en) Imaging apparatus
US201503655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20130047343A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btaining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image of the same
JP2016178632A (e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89040B1 (en) Image record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device of displaying 3d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