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315B1 -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315B1
KR102193315B1 KR1020200040244A KR20200040244A KR102193315B1 KR 102193315 B1 KR102193315 B1 KR 102193315B1 KR 1020200040244 A KR1020200040244 A KR 1020200040244A KR 20200040244 A KR20200040244 A KR 20200040244A KR 102193315 B1 KR102193315 B1 KR 10219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aerosol
air
attach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정용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채 filed Critical 정용채
Priority to KR102020004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315B1/ko
Priority to CN202010812676.6A priority patent/CN11349182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20Non-portable devices, e.g. spraying bo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61M15/0008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rotating by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redundant 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06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에 전원부, 중앙에 용액부를 갖는 본체에 있으며; 상기 용액부의 상단에는 탈부착되는 분리뚜껑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및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흡입팬, 전원스위치 및 공기흡입팬의 강약조절기, 전원밧데리가 안착되며; 상기 용액부에는 필요용액이 저장되며, 상단에 필터부가 거치대에 거치되어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의 중앙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돌출턱이 있으며, 상기 돌출턱의 외주연에는 필터망이 부착되어 공기와 필요용액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망의 외주연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승된 후에, 증기가 응축된 필요용액의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거치대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다수개의 작은 관통홀로 인해 담겨진 용액이 서시히 밑으로 배출되어 필요용액에 합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뚜껑에는 에어로졸분사 배출구가 주름져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 형성되며; 1차공기흡입배관은 상기 분리뚜껑내부로부터 용액부을 거쳐, 전원부의 공기흡입팬의 입구까지 길게 연장되어, 상기 분리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키고, 다시 상기 공기흡입팬으로 부터 토출된 공기를 용액부의 필요용액에 담기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2차공기흡입배관이 전원부의 공기흡입팬의 출구로부터 용액부의 상단의 U형으로 방향으로 변경하여 필요용액의 내부에 담기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보다 간편하고,분리 및 청소가 용이하며, 용액과 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에어로졸 생성량이 많으며, 배출되는 에어로졸 속도가 증가되어, 필요부분에 깊숙히 침투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휴대용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Portable health inhaling device with aerosol}
본 발명은 얼굴표면, 콧등에 에어로졸을 토출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휴대용 에어 분사 건강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약액흡입기는 약액을 분무(mist) 형태로 분사시킴으로써 환자가 호흡기를 통해 약액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약액흡입기는 압력을 사용하여 분사하는 방식, 전동 컴프레셔를 사용하는 방식, 모터와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방식, 약액용기에 담긴 약액을 바이브레이션 메시 등의 진동자의 진동면에 닿게 하여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약액을 분무 형태로 변환시켜 분사시키는 방식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약액흡입기를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도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약액흡입기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떨어뜨렸을 때에 약액이 쏟아질 우려가 있고, 사용시에 약액흡입기를 손으로 계속 잡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이러한 휴대용 흡입기의 사용분야는 다양하며, 예를 들면, 전자담배 역시 최근 들어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어, 니코틴 성분 대신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나 천연유래 성분의 약액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기화 흡입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증기를 코에 흡입하거나 기관지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얼굴표면에 뿌려서 피부증진을 위하는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나, 증기를 사용하지 않고, 보다 간편하고,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하며, 용액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많으며, 배출되는 에어로졸 속도가 증가되어, 필요부분에 깊숙이 침투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휴대용 흡입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43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41155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236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편하게, 공기와 필요용액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분사되어 얼굴에 분사되어 피부증진 효과를 제공하거나, 코 안으로 분사되어 코 내부 청소 및 몸 내부로 흡입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단에 전원부, 중앙에 용액부를 갖는 본체에 있으며; 상기 용액부의 상단에는 탈부착되는 분리뚜껑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및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흡입팬, 전원스위치 및 공기흡입팬의 강약조절기, 전원배터리가 안착되며; 상기 용액부에는 필요용액이 저장되며, 상단에 필터부가 거치대에 거치되어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의 중앙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돌출턱이 있으며, 상기 돌출턱의 외주연에는 필터망이 부착되어 공기와 필요용액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망의 외주연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승된 후에, 증기가 응축된 필요용액의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거치대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다수개의 작은 관통홀로 인해 담겨진 용액이 서서히 밑으로 배출되어 필요용액에 합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뚜껑에는 에어로졸분사 배출구가 주름져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 형성되며; 1차공기흡입배관은 상기 분리뚜껑내부로부터 용액부을 거쳐, 전원부의 공기흡입팬의 입구까지 길게 연장되어, 상기 분리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키고, 다시 상기 공기흡입팬으로 부터 토출된 공기를 용액부의 필요용액에 담기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2차공기흡입배관이 전원부의 공기흡입팬의 출구로부터 용액부의 상단의 U형으로 방향으로 변경하여 필요용액의 내부에 담기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고,분리 및 청소가 용이하며, 용액과 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에어로졸 생성량이 많으며, 배출되는 에어로졸 속도가 증가되어, 필요부분에 깊숙히 침투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휴대용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정상 작동상태를 나타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필터부를 나타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흡입배관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관통자석을 나타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전원차단보조장치를 나타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의 전원차단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난 개략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휴대용 건강흡입기에 있어서,
하단에 전원부(10), 중앙에 용액부(20)를 갖는 본체(100)가 있으며;
상기 용액부(20)의 상단에는 탈부착되는 분리뚜껑(50)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 및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10)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흡입팬(11), 전원스위치(12) 및 공기흡입팬(11)의 강약조절기(13), 전원밧데리(14)가 안착되며;
상기 용액부(20)의 내측에는 내부용기(60)이 마련되어 필요용액(26)이 저장되며, 상단에 필터부(30)가 거치대(31)에 거치되어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30)의 중앙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돌출턱(32)이 있으며, 상기 돌출턱(32)의 외주연에는 필터망(33)이 부착되어 공기와 필요용액(26)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망(33)의 외주연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30)가 상승된 후에, 증기가 응축된 필요용액(26)의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거치대(31)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34)에는 다수개의 작은 관통홀(35)로 인해 담겨진 용액이 밑으로 배출되어 필요용액(26)에 합류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 흡입배관 관통부(37)를 형성하여 2차공기흡입배관(41)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뚜껑(50)에는 에어로졸분사 배출구(51)가 주름져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 형성되며, 본체(100)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하여, 1차공기흡입배관(40)은 상기 내부용기(60)의 외측상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뚜껑(50)의 일측면에 설치된 공기흡입구(52)에 연결되어, 전원부(10)의 공기흡입팬(11)의 입구까지 길게 연장되며;
다시 상기 공기흡입팬(1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용액부(20)의 필요용액(26)에 담기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용기(60)의 외측상에 설치된 2차공기흡입배관(41)이 공기흡입팬(11)의 출구로부터 용액부(20)의 상단에서 U형으로 방향으로 변경하여 필요용액(26)의 내부에 담기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 및 제2차공기흡입배관(41)의 입구, 출구에는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 또는 에어로졸만 통과되도록 체크밸브가 부착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부착되는 내주연과 대응되는 고정 반원형(53)은 고정부착되며, 다른 힌지 반원형(54)은 90°각도로 힌지회전되되; 상기 힌지 반원형(54)은 탄성체(55)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90°각도로 힌지회전되는 반대편에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원위치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또한, 정상 작동상태에 있어서,
공기 흡입에 의하여 필요용액(26)과 공기가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 타입으로 상기 필터부(30)의 필터망(33)을 거쳐 통과되어,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을 통과하여 필요 부분으로 분사 토출되되,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30)는 내부용기(60)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슬라이딩 축(27)을 따라서 분리뚜껑(50)의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턱(32)이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를 막아서, 액체형태인 필요용액(26)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에는 관통된 관통자석(57)이 부착되어, 정상상태에서 에어로졸은 통과되나, 돌출턱(32)이 입구를 막을때는 자석이 상호 부착되어 필요용액(26)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본체(100)를 수직으로 세우면, 필터부(30)는 중력에 의하여 다시 하강하여 거치대(31)에 안착되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또한,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공기흡입팬(11)을 작동시키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의 전원을 차단하여, 공기압력 공급을 차단하여 필요용액(26)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30)의 최외주연에 상향블록하게 형성된 상향블록부(36)가 용액용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71)을 밀면 방수용으로 고무재질의 돌기부(71)의 끝단에 부착된 스프링(73)이 밀리게 되고, 중간에 전원터치부(72)가 이동하여, 전원선(74)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 전원차단보조장치(70)를 부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단에 전원부(10), 중앙에 용액부(20)를 갖는 본체(100)가 있으며; 상기 용액부(20)의 상단에는 탈부착되는 분리뚜껑(50)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 및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서, 중앙에 용액부(20)에 필요용액(26)을 저장하고자 할 때, 또는 부품등을 교체할 때에는 상기 분리뚜껑을 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하단에는 전원부(10)가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흡입팬(11), 전원스위치(12) 및 공기흡입팬(11)의 강약조절기(13), 전원밧데리(14)가 안착되어, 전원스위치(12)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면, 공기흡입팬(11)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속도는 강약조절기(13)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용액부(20)의 내측에는 별도의 내부용기(60)가 마련되어, 하단에 필요용액(26)이 저장되며, 상단부에 필터부(30)가 거치대(31)에 거치되어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필요용액(26)은 물과 필요분말성분이나 농축용액이 저장되어 상호 혼합될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에 적합하게 필요성분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저장되어 흡입된 공기와 상호 혼합되어 에어로졸 형태로 변환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부(30)의 중앙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돌출턱(32)이 있으며, 상기 돌출턱(32)의 외주연에는 필터망(33)이 부착되어 공기와 필요용액(26)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망(33)에 의하여 에어로졸 형태 내부에 있는 녹지 않은 분말이나, 농축액이 필터링되며, 이물질등도 필터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망(33)의 외주연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60)내부에서 필터부(30)가 상승된 후에, 증기가 응축된 필요용액(26)의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거치대(31)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에어로졸 형태의 토출분사중 일부분이 응축되어 남은 경우에 이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남겨진 응축액의 무게 중력에 의하여 필터부(30)가 아래로 하강하도록 위한 것이다.
이때에. 상기 오목부(34)에 담겨진 응축액이 다시 하단의 필요용액(26)으로 합류하기 위하여, 오목부(34)에는 다수개의 작은 관통홀(35)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응축액이 필요용액(26)으로 합류하는 것이다.
또한, 필터부(30)의 일측면에는 흡입배관 관통부(37)를 형성하여, 2차공기흡입배관(41)이 관통되어, 필터부(30)가 승하강할 때에 2차공기흡입배관(4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뚜껑(50)에는 에어로졸분사 배출구(51)가 주름져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 형성되며, 에어로졸이 얼굴등 필요부분에 깊숙히 침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내부 구성의 교체나 청소등이 필요한 경우에 본체(100)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통상의 나사결합등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외부공기를 본체(100)로 흡입하기 위하여, 2개의 흡입배관을 내부에 부착하며, 이를 설명하여 다음과 같다.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리뚜껑(5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52)에 연결된 1차공기흡입배관(40)은 내부용기(60)의 외측과 용액부(20)내측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52)로부터 전원부(10)의 공기흡입팬(11)의 입구까지 길게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팬(11)으로 부터 토출된 공기를 용액부(20)의 필요용액(26)에 담기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2차공기흡입배관(41)이 공기흡입팬(11)의 출구로부터 용액부(20)의 상단의 U형으로 방향으로 변경하여 필요용액(26)의 내부에 담기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에, U자형의 2차공기흡입배관(41)의 타측은 필터부(30)의 흡입배관 관통부(37)를 관통하여, 수직하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내부용기(60)의 필요용액(26)에 담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외부공기가 필요용액(26)에 분사되어, 작은 물방울 형태의 에어로졸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며, 공기흡입팬(1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며, 다시 U형으로 방향으로 변경된 2차공기흡입배관(41)을 통하여 필요용액(26)의 내부에 담기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에 기재된 내용은 정상작동상태, 즉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가 수직방향 범위에서 세워진 상태에 관한 것이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만약에 본 발명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 이상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필요용액(26)이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및 제2차공기흡입배관(4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 및 제2차공기흡입배관(41)의 입구, 출구에는 필용용액(26)의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 또는 에어로졸만 통과되도록 체크밸브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크밸브는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 및 제2차공기흡입배관(41) 내주연에 부착되어 대응되는 원형형상이 마련되되;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작동상태에서는 고정 반원형(53)은 내부연에 고정부착되며, 다른 힌지 반원형(54)은 90°각도로 힌지회전되어, 공기와 필요용액(26)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통과하게 되며,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 이상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상기 힌지 반원형(54)은 탄성체(55)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90°각도로 힌지회전되는 반대편에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원위치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이로 인하여 공기 또는 에어로졸이 통과할 때에는 공기흡입팬(11)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 반원형(54)이 개방되며, 공기흡입팬(11)이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탄성체(55)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통로를 막아서, 필요용액(26)이 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정상 작동상태에 있어서,
외부공기 흡입에 의하여 필요용액(26)과 공기가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 타입이 상기 필터부(30)의 필터망(33)을 거쳐 통과되어,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을 통과하여 필요 부분으로 분사 토출되며,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필요용액(26)이 내부용기(60)를 벗어나 공기유동방향에 대하여 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30)는 내부용기(60)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슬라이딩 축(27)을 따라서 분리뚜껑(50)의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턱(32)이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를 막아서, 액체형태인 필요용액(26)에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30)는 슬라이딩 축(27)에 관통되어 승하강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거치대(31)에 안착되어 있으나,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축(27)을 따라서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 입구로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중력에 의하여 필요용액(26)이 에어로졸 분사 배출구(51)의 입구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분사 배출구(51)의 입구를 막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돌출턱(32)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에도 관통된 관통자석(57)이 부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정상상태에서 관통자석(57)으로 에어로졸은 통과되나, 돌출턱(32)이 에어로졸 분사 배출구(51)의 입구를 막을때는 자석이 상호 부착되어 필요용액(26)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본체(100)가 수직으로 세우면, 필터부(30)는 중력에 의하여 다시 하강하여 거치대(31)에 안착되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이때에 자석의 자력은 본체(100)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에는 필터부(30)의 중력에 의하여 상호 탈착되는 자력이면 충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원차단보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내부용기(60)에 담긴 필요용액(26)이 기울어 지게 되며, 에어로졸분사 배출구(5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2차공기흡입배관(41)을 거쳐 전원부(10)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힌지 반원형(54)이 폐쇄되어, 필요용액(26)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부가적으로 역류차단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공기흡입팬(11)을 작동시키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의 전원을 차단하여, 내부 공기압력 공급을 차단하여 필요용액(26)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난 제1실시로서,
전원차단보조장치(70)는 내부용기(60)의 외주연과 용액부(20)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설치되며, 일측끝단의 스프링(73)은 상기 용액부(20)의 내벽에 부착되며, 타측끝단에는 내부용기(60)의 벽면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돌기부(71)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71)를 수평으로 밀게되면, 스프링(73)이 밀리게 되며, 중앙부에 형성된 전원터치부(72)도 함께 밀리며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전원터치부(72)에 상하면에 터치되어 전원을 공기흡입팬(11)에 공급하는 전원선(70)과의 이격되어,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71)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용기(60)의 필요용액(26)이 내부용기(60)의 관통된 벽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목적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무재질은 통상으로 연성재질로 관통된 벽면을 막을수 있도록 관통홀에서는 면적이 좁혀지며, 관통홀 밖에서는 다소 직경이 넓게 되는 일반적인 고무재질이면 충분하며, 외부 힘에 의하여 관통홀 내에서 자연스럽게 밀리게 되는 정도의 재질 및 직경이면 충분하며, 이는 단순한 설계사항에 해당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부(71)를 수평으로 밀리기 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30)의 최외주연에 상향블록하게 형성된 상향블록부(36)를 이용하게 되며, 상기 필터부(30)가 내부용기(60)내에서 최상단으로 올라가서, 에어로졸분사 배출구(51)의 입구를 막게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향블록부(36)가 돌기부(71)를 옆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전원선(74)에 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터치부(72)가 옆으로 이동하여, 전원선(74)과 이격되어,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난 제2실시로서, 상기 필터부(30)의 최외주연에 상향블록하게 형성된 상향블록부(36)가 용액용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71)을 밀면 방수용으로 고무재질의 돌기부(71)가 밀리게 되고, 상기 돌기부(71)에 부착된 스프링(73)이 밀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73)의 끝단에는 평판(76)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76)이 통상의 전자스위치(75)를 터치하여, 전원선(74)과의 연결이 차단되며, 상기 스프링(73)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 전자스위치는 터치되지 않아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제 2실시의 전자스위치(75)는 항상 온 상태이며, 터치시에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통상의 전자스위치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내부 구성이나, 원리는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전원부 11: 공기흡입팬
12: 전원스위치 13: 강약조절기
14:전원밧데리
20: 용액부 26: 필요용액
27: 슬라이딩 축
30: 필터부 31: 거치대
32: 돌출턱 33: 필터망
34: 오목부 35: 관통홀
40: 1차공기흡입배관 41: 2차공기흡입배관
50: 분리뚜껑 51: 에어로졸분사 배출구
52: 공기흡입구 53: 고정 반원형
54: 힌지 반원형 55: 탄성체
56: 걸림턱 57: 관통자석
60: 내부용기 70: 전원차단보조장치
71: 돌기부 72 : 전원터치부
73: 스프링 74: 전원선
75: 전자스위치
100: 본체

Claims (4)

  1. 휴대용 건강흡입기에 있어서,
    하단에 전원부(10), 중앙에 용액부(20)를 갖는 본체(100)가 있으며;
    상기 용액부(20)의 상단에는 탈부착되는 분리뚜껑(50)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 및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10)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흡입팬(11), 전원스위치(12) 및 공기흡입팬(11)의 강약조절기(13), 전원밧데리(14)가 안착되며;
    상기 용액부(20)의 내측에는 내부용기(60)이 마련되어 필요용액(26)이 저장되며, 상단에 필터부(30)가 거치대(31)에 거치되어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필터부(30)의 중앙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돌출턱(32)이 있으며, 상기 돌출턱(32)의 외주연에는 필터망(33)이 부착되어 공기와 필요용액(26)이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망(33)의 외주연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30)가 상승된 후에, 증기가 응축된 필요용액(26)의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거치대(31)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34)에는 다수개의 작은 관통홀(35)로 인해 담겨진 용액이 밑으로 배출되어 필요용액(26)에 합류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 흡입배관 관통부(37)를 형성하여 2차공기흡입배관(41)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뚜껑(50)에는 에어로졸분사 배출구(51)가 주름져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 형성되며, 본체(100)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하여, 1차공기흡입배관(40)은 상기 내부용기(60)의 외측상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뚜껑(50)의 일측면에 설치된 공기흡입구(52)에 연결되어, 전원부(10)의 공기흡입팬(11)의 입구까지 길게 연장되며;
    다시 상기 공기흡입팬(1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용액부(20)의 필요용액(26)에 담기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용기(60)의 외측상에 설치된 2차공기흡입배관(41)이 공기흡입팬(11)의 출구로부터 용액부(20)의 상단에서 U형으로 방향으로 변경하여 필요용액(26)의 내부에 담기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 및 제2차공기흡입배관(41)의 입구, 출구에는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 또는 에어로졸만 통과되도록 체크밸브가 부착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부착되는 내주연과 대응되는 고정 반원형(53)은 고정부착되며, 다른 힌지 반원형(54)은 90°각도로 힌지회전되되; 상기 힌지 반원형(54)은 탄성체(55)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90°각도로 힌지회전되는 반대편에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원위치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이루어 진 것을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상 작동상태에 있어서,
    공기 흡입에 의하여 필요용액(26)과 공기가 상호 혼합된 에어로졸 타입으로 상기 필터부(30)의 필터망(33)을 거쳐 통과되어,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을 통과하여 필요 부분으로 분사 토출되되,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30)는 내부용기(60)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슬라이딩 축(27)을 따라서 분리뚜껑(50)의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턱(32)이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를 막아서, 액체형태인 필요용액(26)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분사배출구(51)의 입구에는 관통된 관통자석(57)이 부착되어, 정상상태에서 에어로졸은 통과되나, 돌출턱(32)이 입구를 막을때는 자석이 상호 부착되어 필요용액(26)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본체(100)를 수직으로 세우면, 필터부(30)는 중력에 의하여 다시 하강하여 거치대(31)에 안착되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90°각도이상으로 돌아가면, 공기흡입팬(11)을 작동시키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의 전원을 차단하여, 공기압력 공급을 차단하여 필요용액(26)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실시로서, 상기 필터부(30)의 최외주연에 상향블록하게 형성된 상향블록부(36)가 용액용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71)을 밀면 방수용으로 고무재질의 돌기부(71)의 끝단에 부착된 스프링(73)이 밀리게 되고, 중간에 전원터치부(72)가 이동하여, 전원선(74)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 전원차단보조장치(70),
    또는 제2실시로서, 상기 필터부(30)의 최외주연에 상향블록하게 형성된 상향블록부(36)가 용액용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71)을 밀면 방수용으로 고무재질의 돌기부(71)가 밀리게 되고, 상기 돌기부(71)에 부착된 스프링(73)이 밀리며, 전자스위치(75)를 터치하여, 전원선(74)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이루어 진 전원차단보조장치(70); 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KR1020200040244A 2020-04-02 2020-04-02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KR102193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44A KR102193315B1 (ko) 2020-04-02 2020-04-02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CN202010812676.6A CN113491824B (zh) 2020-04-02 2020-08-13 便携式气雾剂喷射健康吸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44A KR102193315B1 (ko) 2020-04-02 2020-04-02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315B1 true KR102193315B1 (ko) 2020-12-22

Family

ID=7408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44A KR102193315B1 (ko) 2020-04-02 2020-04-02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3315B1 (ko)
CN (1) CN1134918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0475A1 (en) 2022-10-25 2024-05-01 JT International SA Device for inhaling dry particles of nicotine-based subst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21Y1 (ko) * 2002-12-27 2003-03-28 주식회사 에스텍 예열기능을 갖는 의료용 증기 흡입기
KR101244374B1 (ko) 2011-05-19 2013-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흡입기류 선택형 흄 집진기
KR101378642B1 (ko) * 2005-12-28 2014-03-2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분말 전달 장치
KR20150133807A (ko) * 2013-03-23 2015-11-30 라이노케어 엘티디 고열 치료를 위한 제어된 혼합물을 준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621A (ko) 2016-08-26 2018-03-07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휴대용 약액흡입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16017A (de) * 1964-10-14 1966-06-30 Defensor Flüssigkeitsvernebler
GB9026191D0 (en) * 1990-12-01 1991-01-16 Harris Pharma Ltd Breath actuated dispensing device
CN2135928Y (zh) * 1992-06-16 1993-06-16 王以新 个人香烟烟雾净化器
CN115105713A (zh) * 2013-03-15 2022-09-27 瑞思迈私人有限公司 增湿器储存器
JP6167285B2 (ja) * 2013-03-26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体微細化装置及びサウナ装置
CN206453252U (zh) * 2017-01-18 2017-09-01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子烟
KR20180114825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550123B (zh) * 2018-11-22 2020-08-11 徐宜全 一种多功能内科用雾化器
CN210076574U (zh) * 2019-06-04 2020-02-18 深圳市百特纳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子烟吸烟时感应启动的磁感应开关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21Y1 (ko) * 2002-12-27 2003-03-28 주식회사 에스텍 예열기능을 갖는 의료용 증기 흡입기
KR101378642B1 (ko) * 2005-12-28 2014-03-2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분말 전달 장치
KR101244374B1 (ko) 2011-05-19 2013-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흡입기류 선택형 흄 집진기
KR20150133807A (ko) * 2013-03-23 2015-11-30 라이노케어 엘티디 고열 치료를 위한 제어된 혼합물을 준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621A (ko) 2016-08-26 2018-03-07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휴대용 약액흡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91824B (zh) 2022-10-21
CN113491824A (zh)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8767C1 (ru) Ингалятор
KR960005817B1 (ko) 흡입장치(Inhalation Device)
US5170782A (en) Medicament nebulizer with improved aerosol chamber
EP2703030A2 (en) Medical atomizer
JP2002058737A (ja) 医療機器
MY147399A (en) Aerosol aspirator and aerosol sucking method
KR102193315B1 (ko) 휴대용 에어로졸 분사 건강흡입기
CN201437007U (zh) 喷雾器结构
WO2017133495A1 (zh) 雾化杯套件及压缩式雾化器
JP2007195838A (ja) ネブライザ
CN206934411U (zh) 一种手持式超声波雾化器
CN209316733U (zh) 医用雾化器
CN110665098A (zh) 一种新型药物雾化机
KR100668257B1 (ko) 가습 연무장치
CN109952122B (zh) 用于吸入液滴雾的吸入装置
KR102385185B1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20110027451A (ko) 모발 관리용 분무기
JPS598768Y2 (ja) 超音波霧化装置
KR20210138276A (ko) 분무성능 개선형 휴대용 네블라이저
CN201267794Y (zh) 喷雾器
KR20100032662A (ko) 휴대용 흡입기
KR20160025936A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JP3233964U (ja) 渦巻噴霧装置
KR200481405Y1 (ko) 진동자 방식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장치
CN218652667U (zh) 一种防漏液雾化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