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979B1 -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 - Google Patents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979B1
KR102192979B1 KR1020197023336A KR20197023336A KR102192979B1 KR 102192979 B1 KR102192979 B1 KR 102192979B1 KR 1020197023336 A KR1020197023336 A KR 1020197023336A KR 20197023336 A KR20197023336 A KR 20197023336A KR 102192979 B1 KR102192979 B1 KR 10219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target wireless
frequency
wakeup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386A (ko
Inventor
파르스 아민
루이스 펠리페 델 카르피오 베가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10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200)가 결정되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통지받는다. 또한,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주파수가 결정되고, 주파수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는다. 웨이크업 신호는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Description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
본 출원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및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 및 제1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캐리어가 제공된다.
본 기술분야에서는, 레이턴시는 약간만 증가하면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웨이크업 수신기들(wake-up receivers)(WUR)이 알려져 있다. 송신하거나 수신할 것이 없는 경우에 턴오프되는 메인 송수신기 이외에 저전력 웨이크업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는, 수신될 메시지가 있을 때, 메인 송수신기를 웨이크업시킨다. 이 메시지는 데이터 메시지 또는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메인 송수신기는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웨이크업 수신기는 간단한 수신기이며, 주로 필요에 따라 메인 송수신기를 턴온 및 턴오프시키도록 의도된다. 웨이크업 수신기들의 응용 중 하나의 분야는 WLAN 및 Wi-Fi의 기술 분야이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 디바이스에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WUS)를 송신할 수 있다. WUS는 특정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지시한다. 수신 무선 디바이스 내의 웨이크업 수신기는 수 비트의 정보를 운반하는 웨이크업 신호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고, 웨이크업 수신기는, 웨이크업 신호의 식별자 섹션이 예상되는 비트들의 시퀀스와 매치되는 경우에만, 메인 송수신기를 웨이크업시킨다. 따라서, 수신기는 비트들의 시퀀스에서 그 어드레스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WUS가 수신 엔티티를 위해 의도된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US 9,313,739 B는 웨이크업 패킷을 위한 포맷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패킷의 제1 부분은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선택된 액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또한, 비콘 프레임이 웨이크업 신호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가 신호, 폴링 프레임, 확인응답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할 수 있고, 그 후 경쟁없이 업링크 송신을 위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인입 비콘을 지시하고 수신기가 비콘에서 페이징되는지를 지시할 수도 있는 웨이크업 신호를 비콘 이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수신기가 비콘에서 페이징되지 않는 경우,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WLAN)에서 사용되는 MAC 어드레스는 48비트이다. 적은 수의 오버헤드가 필요한 많은 예들에서, 연관 식별자(Association Identifier)(AID)가 사용된다. 연관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어드레스들 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어드레스들을 나타내는 짧은 길이의 비트맵이다. 예를 들어, 0의 연관 식별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를 나타낼 수 있고, 미리 정의된 무선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선택된 연관 식별자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BSS)의 어드레스를 부분적으로 식별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기본 서비스 세트들이 배치될 때 유용하다.
정상 동작에서, WLAN 무선 디바이스는 모든 프레임들을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인입 프레임들을 디코딩함으로써 다운링크 트래픽이 자신을 위해 의도된 것인지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식별한다. 업링크 트래픽의 경우, OFDMA 802.11 ax에서, 무선 디바이스들은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TF) 또는 트리거 프레임 랜덤 액세스(trigger frame random access)(TF-R)가 있는 전용 또는 랜덤 자원들을 사용하여 스케줄링된다. 표준 802.11ac 및 이전 표준들에서, 업링크 송신은 말하기-전-청취(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한 후에 발생한다.
무선 시스템에는, 유니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이 존재한다. 이들 메시지들은 MAC 페이로드와 같은 데이터 페이로드 또는 제어 또는 관리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WLAN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예들은 비콘 프레임들, 트리거 프레임들 또는 TIM(Traffic Indicator Map) 프레임들이 있다.
전력을 절약하도록 의도되고 다운링크 방향에서 도달할 수 있어야 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고, 비콘 프레임들 및/또는 TIM 프레임들을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이들 프레임들에서 운반되는 TIM 엘리먼트들은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들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 가능함을 지시하며, 비콘 프레임과 별도로 송신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TF)은 802.11ax에서 도입되었으며, 채널 감지를 수행할 필요없이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멀티-사용자 업링크 송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트리거 프레임 랜덤 액세스(TF-R)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는 특정 자원 유닛 상에서의 업링크 액세스를 위해 경쟁할 수 있다.
또한, IEEE 802.11ax에 기초하는 협대역(narrowband)(NB) WLAN/Wi-Fi가 알려져 있으며, 이 기술은 레거시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사례인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CSMA/CA)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WLAN과 Wi-Fi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협대역 Wi-Fi 디바이스는 2.4GHz 스펙트럼 내에서, 예를 들어, 2MHz와 같은 좁은 채널 대역에서 동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대역 Wi-Fi 디바이스는 20MHz의 더 넓은 채널 대역폭 상에서 송신되는 레거시 Wi-Fi 송신들을 디코딩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레거시 Wi-Fi 무선 디바이스는 협대역 Wi-Fi 송신들을 디코딩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가 레거시 Wi-Fi로부터의 송신들에 대해 채널 감지를 수행할 수 없고, 레거시 송신을 디코딩하기 위해 에너지 검출 임계값들에 의존해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레거시 무선 디바이스들도 협대역 Wi-Fi 송신을 검출하기 위해 에너지 검출 임계값들에 의존해야 할 수 있다. 이 문제는 Wi-Fi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선 디바이스들 중 일부가 협대역에서 동작하고 전체 대역폭에서는 동작할 수 없고, 또한 전체 대역폭에서는 동작하지만 무선 네트워크의 협대역에서는 동작할 수 없는 무선 레거시 디바이스들이 있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되다.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는, 신뢰성있는 캐리어 감지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자신의 업링크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트리거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 랜덤 액세스(TF-R) 송신의 수신을 대기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는 업링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업링크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트리거 프레임 또는 TF-R의 송신을 대기할 것이다.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는 트리거 프레임 또는 TF-R을 항상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수신하여 주파수 도메인의 유연성을 제한할 수도 있고, 또는 트리거 프레임 또는 TF-R을 찾기 위해 상이한 주파수들을 스캔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트리거 프레임 또는 TF-R을 위해 스캔하는 것 또는 고정된 주파수 상에서 트리거 프레임 또는 TF-R을 대기하는 것에 의해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필요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충족된다. 추가적인 양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통지받는다.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주파수를 추가로 결정한다. 또한, 주파수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는다. 그 후, 웨이크업 신호가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주파수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될 때, 수신 무선 디바이스인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 타겟 무선 디바이스 간의 추가 데이터 교환이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을 수 있다. 따라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는 수신된 주파수 정보를 고려하여 튜닝될 수 있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다가오는 데이터 교환의 주파수를 알고 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필요가 없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완전한 가용 주파수 대역들을 동시에 스캔할 수 없는 협대역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경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인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교환이 어떤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할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디바이스인 전송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트리거의 수신을 대기할 필요가 없다.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의 스캔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 및 레이턴시가 추가로 감소된다.
또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위에서 언급되고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웨이크업 수신기 및 메인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한다.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 경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가 활성화되고,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주파수 정보가 디코딩되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는다. 메인 송수신기는 활성화될 수 있고,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 튜닝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수신 무선 디바이스인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메인 송수신기는 원하는 주파수로 직접 튜닝될 수 있다. 이것은 주파수 대역이 검색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메인 송수신기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완전한 주파수 대역을 검색할 수 없을 때,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교환이 웨이크업 신호 내의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에서 발생할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기 때문에,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가능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 메인 송수신기,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위에서 언급되거나 또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 및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듈 및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모듈 및 메인 송수신기를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 튜닝하기 위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 및 적어도 제1 메시지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정보를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기 위한 모듈 및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 및 제1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서 위에서 논의되거나 또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되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위에서 언급된 특징들 및 이하에서 설명될 특징들은, 본 출원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지시된 개개의 조합들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들에서도, 또는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된 양태들 및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명백히 다른 방식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및 추가적인 특징들 및 효과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이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도 1은 제1 무선 디바이스 및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개의 무선 디바이스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웨이크업 신호의 개략적인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송신 디바이스로서의 제1 무선 디바이스와 2개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 간의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며,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에는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엔티티들 간의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며, 여기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에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엔티티들 간의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며, 여기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에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엔티티들 간의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며, 여기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두 무선 디바이스들 모두에 전용되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7은 예시적인 개략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며,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에는 주파수 정보가 인코딩되고, 송신 무선 디바이스가 지시된 시간 및 주파수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한다.
도 8은 주파수 정보를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11은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12는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적인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13은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적인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지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또는 도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다.
도면들은 개략적인 표현들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도면들에 예시된 엘리먼트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다양한 엘리먼트들은 그 기능 및 일반적인 목적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지도록 표현된다.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또는 물리적 또는 기능적 유닛들 간의 임의의 연결 또는 커플링은 간접적인 연결 또는 커플링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 간의 커플링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제1 무선 디바이스(100)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인 타겟 무선 디바이스들(200)과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들(200)은 자신의 개인 통신을 위해 사람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이것은 전화 타입의 디바이스, 또는 무선 데이터 연결을 갖는 랩탑, 노트북, 노트패드, 태블릿과 같은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무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는 다른 장비에 부착된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자신이 연결된 장비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및/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장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스마트 미터일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200)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전체 대역폭에 대응하는 20MHz의 전체 대역폭과 비교하여 2MHz와 같은 더 좁은 채널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는 서브-대역들에 의해 전체 대역폭을 검색할 수 있지만, 모든 주파수들을 동시에 검색할 수는 없다. 무선 네트워크는 WLAN 또는 Wi-Fi 네트워크,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802.15.4e와 같은 임의의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200)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해 허용되는 완전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검색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200)은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200) 각각은 주로 필요에 따라 메인 송수신기를 턴온시키도록 의도되는 웨이크업 수신기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수신기는 단지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의 웨이크업 신호들의 수신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체크하는 간단한 수신기로서 설계된다. 웨이크업 신호가 웨이크업 수신기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웨이크업 수신기는,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가 자신의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검출한다. 자신의 무선 디바이스가 어드레싱된 경우, 웨이크업 수신기는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담당하는 메인 송수신기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0)에 의해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는 이것이 특정 자원 유닛 또는 특정 타겟 시간에서의 무선 디바이스(100)에 의한 장래의 프레임 송신과 관련된 정보 또한 지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확장된다. 또한, 웨이크업 신호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다운링크 데이터의 사용 가능성을 지시하도록 발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부분(250) 및 페이로드 부분(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50)은 레거시 숏 트레이닝 필드(251),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252) 및 레거시 신호 필드(2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지시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 부분(260)은 웨이크업 프리앰블(261),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262), 프레임 바디(263)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웨이크업 신호에는 주파수 및/또는 시간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예로서, 주파수 및/또는 시간 정보는 웨이크업 신호의 프레임 바디(263)에 포함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가 제1 무선 디바이스(100)에 의해 어떻게 송신되는지에 대한 상이한 예들이 도 3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들 도면들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100)는 액세스 포인트, 숏 AP 또는 송신기로서 지시되며,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가 송신되는 상이한 타겟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x 및 디바이스 y로 명명된다.
도 3과 관련하여, 원하는 시점에서 하나 이상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시간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는 예가 설명된다. 단계(S31)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송신되어야 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 x이다. 단계(S32)에서, 시간 정보, 예를 들어, 메인 수신기를 통한 장래의 송신의 수신을 위한 타겟 시간이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다. 이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 디바이스 x에 대해 다음 프레임의 송신 프로세스를 시작할 대략적인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가 5ms 후에 무선 디바이스 x에 대한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할 계획이라는 정보가 인코딩될 수 있다. 이 근사 시간은 WUS에 시간 정보로서, 예를 들어, 프레임의 근사 송신 시간 마이너스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시간에서의 차이와 같이 인코딩된다. 단계(S33)에서, 인코딩된 시간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WUS)가 송신된다. 이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x 및 무선 디바이스 y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단계(S34)에서, 무선 디바이스 y는 자신이 신호의 의도된 수신자가 아니라고 결정하므로, 무선 디바이스 y에 의해서는 더 이상의 액션들이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S35)에서, 무선 디바이스 x는 신호가 자신을 위해 의도된 것임을 인식하고,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시간 정보를 디코딩한다. 타겟 시간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 시간 플러스 타겟 시간 델타일 수 있으며, 타겟 시간 델타는 다음 프레임에 대한 송신 시간 마이너스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시간의 차이에 대응한다. 단계(S36)에서, 결정된 타겟 시간에 만료될 수 있는 타이머(예를 들어, 카운터로서 구현됨)가 설정될 수 있다. 타이머가 타겟 시간에 만료되었을 때, 단계(S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수신기는 메인 송수신기에게 웨이크업해야 한다고 통지한다. 이것은 메인 송수신기가 어떻게 활성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구현이다. 다른 예는 절대 타겟 시간의 포함일 것이며, 여기서 송수신기는 이 절대 타겟 시간에 도달될 때 활성화된다. 그 후, 단계(S38)에서, 송수신기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다른 예가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주파수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다. 단계(S41)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웨이크업 신호 및 나중에 다른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하는 타겟 디바이스(또는 타겟 디바이스들의 그룹, 도 4에서는 도시 생략)를 결정한다. 단계(S42)에서, 다른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타겟 무선 디바이스로 어떤 주파수에서 송신될지를 지시하는 타겟 주파수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다. 예로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 x에 대한 다른 데이터의 송신이 수행될 주파수 도메인 포인트 또는 자원 유닛이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활용될 자원 유닛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파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자원 유닛에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을 송신할 계획이라는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그 후, 이 자원 유닛 정보는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여기서, 절대 인코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원 유닛 또는 주파수가 숫자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델타를 사용하는 인코딩이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델타는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참조하여 또는 정의된 주파수를 참조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x 및 y는 정보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신되는 완전한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협대역 주파수 범위들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웨이크업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협대역 신호일 수 있다.
주파수 차이(델타)가 인코딩될 때, 상이한 크기들을 갖는 양 또는 음의 델타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는, 예를 들어, 서브-대역 또는 서브-채널 4를 사용하고 다음 메시지 또는 다음 프레임은 서브-대역 또는 서브-채널 1에서 송신될 때, 델타는 -3일 수 있다. 델타가 0일 때, 이것은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수신되는 다음 프레임이 웨이크업 신호가 송신된 것과 동일한 주파수에서 송신될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43)에서, 웨이크업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다. 이 예에서, 웨이크업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x에 전용되었다. 결과적으로, 단계(S44)에서, 무선 디바이스 y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인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자신이 메시지의 의도된 수신자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단계(S45)에서, 무선 디바이스 x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인식하고,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한다. 그 후, 단계(S46)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는 메인 송수신기를 웨이크업시키고, 단계(S47)에서, 메인 송수신기가 활성화되고, 그 후 메인 송수신기는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 튜닝된다. 위에서 언급된 예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한다. 그러나, 웨이크업 수신기는 웨이크업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간단하게 유지하고 웨이크업 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어드레스만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가 웨이크업 신호가 자신을 위해 의도된 것으로 결정할 때, 웨이크업 수신기는 완전한 웨이크업 신호 또는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부분을 송수신기에 포워딩할 수 있고, 송수신기가 주파수 정보의 디코딩을 담당할 것이다.
도 5와 관련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웨이크업 신호에 주파수 및 시간 정보를 인코딩하는 예가 설명된다. 단계(S51)는 단계들(S41 및 S31)과 유사하며, 메시지가 어떤 무선 디바이스(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기술한다. 단계(S52)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다음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시간이 결정될 수 있고, 다음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 활용될 주파수 정보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가 정의된 자원 유닛에서 5ms 후에 무선 디바이스 x에 다음 메시지, 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할 계획이라는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그러면, 주파수 및 시간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고, 단계(S53)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단계(S54)에서, 무선 디바이스 y는 자신이 메시지의 올바른 수신자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반면, 무선 디바이스 x는 자신이 의도된 수신자라고 결정하고,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한다(단계(S55)). 단계(S56)에서, 타이머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타겟 시간으로 설정되고,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 단계(S57)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는 메인 송수신기에게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통지한다. 시간 및 주파수 정보는 웨이크업 수신기에 의해 이미 디코딩되었을 수 있고, 디코딩된 형태로 메인 송수신기에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파수 정보가 메인 송수신기에 프로세싱 없이 포워딩되고, 그 후 메인 송수신기가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자신을 활성화시키고,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로 튜닝된다(단계(S58)).
도 6은 웨이크업 신호가 무선 디바이스 x 및 y 모두에 전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계(S61)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버퍼에 제공되는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어떤 무선 디바이스 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디바이스 x와 디바이스 y이다. 단계(S62)에서,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 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특정 그룹이 어드레싱되어야 함을 지시하는 목적지 지시(예를 들어, 타겟 무선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또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 어드레스)와 함께, 타겟 주파수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다. 단계(S62)는 도 4와 관련하여 논의된 단계(S42)에 대응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63)에서,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가 송신된다. 단계(S64 및 S65)에서, 두 무선 디바이스는 모두 자신들이 올바른 수신자임을 인식하고, 두 무선 디바이스는 모두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한다. 단계(S66 및 S67)에서,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은 메인 송수신기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해 메인 송수신기에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단계(S68 및 S69)에서, 대응하는 메인 송수신기들이 활성화되고,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대응하는 주파수로 튜닝된다. 위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메인 송수신기 자신이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할 수도 있고, 또는 웨이크업 수신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를 수행하여,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일부를 송수신기에 송신할 수도 있고 또는 이미 디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메인 송수신기에 송신했을 수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어떤 타입의 프레임이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예상될 수 있는지의 정보를 웨이크업 신호에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가 개시된다. 단계(S71)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어떤 무선 디바이스(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그룹)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자가 될지를 결정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버퍼에 트리거 프레임이 제공되어, 단계(S72)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겟 시간 정보 이외에 트리거 프레임이 송신될 것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73)에서, 인코딩된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가 송신된다. 그 후, 단계(S74)에서, 무선 디바이스 x는 웨이크업 신호가 자신을 위해 의도된 것임을 인식하고, 적어도 시간 정보를 디코딩한다. 단계(S75)에서, 타이머가 설정되고, 타이머가 만료될 때, 메인 송수신기는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될 것임을 통지받는다(단계(S76)). 단계(S77)에서, 메인 송수신기가 활성화되고, 메인 송수신기는 디코딩된 주파수 정보로 튜닝된다. 단계(S78)에서, 트리거 프레임이 지시된 시간에 지시된 주파수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다.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지시된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메인 송수신기는 다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메인 송수신기가 지시된 프레임 타입의 수신을 대기하는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은 밀리초의 범위일 수 있다(예를 들어, 1ms 또는 2ms).
도 8은 위에서 논의된 상이한 예들에서 수행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 중 일부를 요약한다. 단계(S81)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는 다가오는 데이터 교환에 대해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게 통지하기 위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단계(S82)에서, 다가오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주파수, 예를 들어, 타겟 무선 디바이스와의 장래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되어야 하는 자원 유닛이 결정된다. 단계(S83)에서, 주파수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다. 주파수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바디(263)에 포함될 수 있지만, 주파수 정보는 웨이크업 신호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웨이크업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주파수 이외에, 웨이크업 신호에 추가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타겟 시간을 포함시키는 것도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이 타겟 시간은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시간일 수 있으며,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을 위해 채널 감지를 시작하는 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다음 정보가 어떤 유형의 메시지 또는 어떤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일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할 수 있다. 단계(S84)에서, 인코딩된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단일 무선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상황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 연결된 그룹 또는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요약한다. 단계(S91)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S92)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자신이 웨이크업 신호의 의도된 수신자인지를 결정한다. 의도된 수신자가 아닌 경우, 방법은 단계(S97)에서 종료한다. 그러나,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자신이 메시지의 올바른 수신자라고 결정하는 경우, 단계(S93)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정보와 같이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 정보를 디코딩한다. 시점 또는 수신될 데이터 프레임의 타입과 같은 추가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경우, 이 정보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된다. 단계(S94)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킨다. 단계(S95)에서, 메인 수신기는 주파수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주파수로 튜닝된다. 단계(S92 및 S93)는 웨이크업 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93)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는, 예를 들어, 메인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정보를 완전히(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시점에 관한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할 때, 이 정보는 웨이크업 수신기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으므로, 웨이크업 수신기는, 메인 송수신기가 웨이크업되어야 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야 할 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그리고, 시점의 디코딩은 단계(S93) 이전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의 결정 및/또는 프레임 타입의 결정은 메인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방법은 단계(S96)에서 종료한다.
도 10은 제1 무선 디바이스(100)에 대한 개략적인 아키텍처 개요를 도시한다.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송신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는 무선 디바이스들(200)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의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능력을 상징하는 송수신기(11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10)는 다른 엔티티들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웨이크업 신호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다른 엔티티들에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무선 디바이스(100)는 무선 엔티티(100)의 동작을 담당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서(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제1 무선 디바이스가 관련되고 (예를 들어,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되거나 또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200)는 무선 엔티티(100)와 같은 다른 엔티티들로부터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웨이크업 수신기(215)를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수신기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웨이크업 수신기는 무선 네트워크의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엔티티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메인 송수신기(210)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메인 송수신기(210)는 다른 엔티티들에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다른 엔티티들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서(2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되는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 디바이스(200)가 (예를 들어, 도 9와 관련하여) 관련되는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130, 230)는 판독 전용 메모리, 예를 들어, 플래시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드 디스크 또는 고상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들은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서,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디바이스들이 실제로는 명료함을 위해 예시되지 않았던 추가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추가 인터페이스들 또는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메모리가 예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타입들의 프로그램 모듈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의 공지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되어야 한다.
도 12는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400)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410)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420)이 제공되어, 타겟 무선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교환이 어떤 주파수에서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디바이스(400)는 주파수 정보(및 임의적으로는 시점 또는 데이터 프레임 타입과 같은 다른 정보)를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기 위한 모듈(430) 및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듈(44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3과 관련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500)의 추가적인 예가 도시된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인코딩된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모듈(510)을 포함한다. 또한, 웨이크업 신호의 목적지를 결정하고,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520)이 제공된다. 또한, 웨이크업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정보를 고려하여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듈(530)이 제공된다.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모듈(540) 및 디코딩된 주파수로 튜닝하기 위한 모듈(550)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 후, 무선 디바이스(500)는 디코딩된 주파수 상에서, 예를 들어, 디코딩된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들(200 및 500)은 제1 무선 디바이스와 타겟 무선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가용 주파수 대역의 일부분만을 스캔할 수 있는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WLAN 채널은 상이한 서브-채널들 또는 서브-대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은 WLAN 채널의 서브-대역들 중 일부 또는 이들 전부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동시에 동작할 수는 없다.
대조적으로, 제1 무선 디바이스(100 또는 400)는 무선 네트워크의 모든 가용 주파수 대역들에서 통신 및 스캔할 수 있다.
상기 설명 및 논의로부터, 제1 무선 디바이스(100 및 400) 및 타겟 무선 디바이스(200 또는 500)에 대한 일부 일반적인 결론들이 도출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한,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주파수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200)에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점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에 시간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정의된 시점에 관해 통지받는다. 웨이크업 신호는 인코딩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갖고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시간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의 송신 시간 간의 차이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간 정보가 절대 시간으로서 인코딩되는 것도 가능하다.
주파수 정보의 인코딩에 관한 한, 주파수는 절대 주파수 값을 기술하는 값으로써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주파수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의 주파수 간의 주파수 차이를 기술하는 상대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어떤 타입의 데이터 프레임 또는 메시지가 다음 데이터 프레임 또는 메시지로서 예상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할 수 있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 도메인을 디코딩함으로써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 내에 인코딩된 시간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점에 관해 통지받는다. 그 후,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디코딩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카운터를 설정하고, 카운터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제1 메시지에서 어떤 타입의 데이터 프레임이 다음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예상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웨이크업 신호에 추가로 인코딩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웨이크업 신호가 프레임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체크할 수 있다.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메인 송수신기는 다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기초한 메인 송수신기의 활성화 이후에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 웨이크업 신호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에 대한 결정, 및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의 활성화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정보의 디코딩, 및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의 튜닝은 메인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 정보의 디코딩은 웨이크업 수신기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는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일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협대역 송신을 지원하는 WLAN 또는 WiFi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폰, 랩탑, PDA 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 또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식일 수도 있고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센서 또는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요약하면, 상이한 정보에 의해 강화된 웨이크업 신호가 사용될 때, 무선 디바이스들은 메인 송수신기가 턴온되는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고,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로 튜닝되거나 또는 가용 주파수 채널들을 청취하기 위해 메인 송수신기를 더 일찍 웨이크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또한 웨이크업 신호의 일부로서 공유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이 결국 절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메인 수신기가 수신될 트리거 프레임을 대기하는 것보다 오래 슬립 상태에 있는 것을 돕는다. 또한, 송신 무선 디바이스인 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시간 및 자원에서의 협대역 비콘 송신들 또는 협대역 트리거 프레임 송신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에서 이들 프레임들을 검색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34)

  1.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웨이크업 신호(wake up signal)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통지받음 -,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주파수 정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음 -, 및
    상기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주파수 도메인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점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시간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상기 정의된 시점에 관해 통지받음 -, 및
    상기 인코딩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절대 주파수 값,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의 주파수 간의 주파수 차이 중 하나를 기술하는 값으로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어떤 타입의 데이터 프레임이 다음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예상될 수 있는지의 정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추가로 인코딩하는 방법.
  8. 무선 네트워크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웨이크업 수신기 및 메인 송수신기를 포함함 -,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긍정의 경우,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음 -, 및
    상기 메인 송수신기를 상기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 튜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 도메인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 시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점에 관해 통지받음 -,
    상기 디코딩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카운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어떤 타입의 데이터 프레임이 다음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예상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프레임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상기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수신되는지가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체크되며, 상기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상기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인 송수신기는 비활성화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무선 디바이스로서 -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함 -,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통지받음 -,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주파수를 결정하고,
    주파수 정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음 -,
    상기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주파수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점을 정의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시간 정보를 인코딩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상기 정의된 시점에 관해 통지받음 -,
    상기 인코딩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8. 삭제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주파수를 절대 주파수 값,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의 주파수 간의 주파수 차이 중 하나를 기술하는 값으로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도록 동작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20. 삭제
  21.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어떤 타입의 데이터 프레임이 다음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예상될 수 있는지의 정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도록 동작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22. 삭제
  23.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로서 -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수신기, 메인 송수신기,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함 -,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하고, 긍정의 경우,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음 -,
    상기 메인 송수신기를 상기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 튜닝하도록
    동작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 도메인을 디코딩하도록 동작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된 시간 정보를 디코딩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점에 관해 통지받음 -,
    상기 디코딩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카운터를 설정하고,
    상기 카운터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도록
    동작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에서 어떤 타입의 프레임이 다음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수신되는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프레임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상기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체크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예상된 타입의 프레임이 상기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송수신기를 비활성화시키도록 동작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
  27. 삭제
  28.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신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도록 동작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
  29. 삭제
  30.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이 아닌 가용 주파수 대역의 일부분만을 스캔하도록 구성되는 협대역 무선 디바이스로서 추가로 구성되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
  31. 삭제
  32.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방법은,
    웨이크업 신호(wake up signal)를 수신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메인 송수신기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통지받음 -,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주파수 정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음 -, 및
    상기 인코딩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3. 삭제
  34. 제1 무선 디바이스 또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웨이크업 수신기 및 메인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긍정의 경우,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비활성 메인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존재하는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제1 메시지가 수신될 주파수에 관해 통지받음 -, 및
    상기 메인 송수신기를 상기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론된 주파수로 튜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7023336A 2017-02-13 2017-02-13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 KR10219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53108 WO2018145768A1 (en) 2017-02-13 2017-02-13 Wake-up signal with frequency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86A KR20190104386A (ko) 2019-09-09
KR102192979B1 true KR102192979B1 (ko) 2020-12-21

Family

ID=5804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336A KR102192979B1 (ko) 2017-02-13 2017-02-13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6150B2 (ko)
EP (1) EP3580965B1 (ko)
JP (1) JP6901579B2 (ko)
KR (1) KR102192979B1 (ko)
CN (1) CN110291817B (ko)
WO (1) WO2018145768A1 (ko)
ZA (1) ZA2019035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9244B2 (en) * 2017-08-17 2022-0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and device therefor
CN109196935B (zh) * 2018-08-31 2021-08-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载波激活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0896558A (zh) * 2018-09-12 2020-03-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工作模式切换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0099161B (zh) * 2019-03-13 2022-03-0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控制方法、具有存储功能的装置
US11356946B2 (en) * 2019-05-02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wake-up signal
FI4014471T3 (fi) * 2019-08-14 2023-12-28 Signify Holding Bv Menetelmä ja järjestely palvelimella viestintää varten keskenään yhdistettyjen solmulaitteiden verkon solmulaitteen kanssa
WO2021035411A1 (zh) * 2019-08-23 2021-03-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下行数据缓存指示方法及装置和下行数据获取方法及装置
CN115002660B (zh) * 2022-05-27 2024-01-2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Uwb通信方法、芯片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2225A1 (en) * 2012-10-23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CN106028369A (zh) * 2015-03-27 2016-10-12 英特尔公司 处理音频数据的设备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3429D0 (en) * 2003-10-07 2003-11-05 Roke Manor Research Spectrum sharing
US8355757B2 (en) * 2005-10-06 2013-01-15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low power operation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EP2141819A1 (en) * 2008-07-04 2010-0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N101714883B (zh) * 2008-10-07 2014-02-26 北京六合万通微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内站点/接入点数据信号收发方法及系统
US8379757B1 (en) * 2009-05-29 2013-02-19 Marvell International Ltd. Narrow-band OFDM mode for WLAN
US9065698B2 (en) * 2010-03-31 2015-06-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munications apparatu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01883365B (zh) * 2010-06-28 2012-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US9241307B2 (en) * 2012-10-24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ultra low power signal with scheduled power save modes
US9277585B2 (en) * 2012-12-12 2016-03-01 Intel Corporation Methods,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and system for WLAN channel selection through beacon requests
US10477546B2 (en) * 2013-09-10 2019-1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for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33569B2 (ja) 2014-02-07 2018-05-30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無線ネットワーク
US9930660B2 (en) * 2015-05-28 2018-03-27 Intel IP Corporation Scheduling trigger frame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DE102015213977A1 (de) * 2015-07-23 2017-01-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tandard-basiertes Funksignal Modifizierender Datense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2225A1 (en) * 2012-10-23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CN106028369A (zh) * 2015-03-27 2016-10-12 英特尔公司 处理音频数据的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5768A1 (en) 2018-08-16
EP3580965A1 (en) 2019-12-18
KR20190104386A (ko) 2019-09-09
US10966150B2 (en) 2021-03-30
US20190373549A1 (en) 2019-12-05
JP2020509673A (ja) 2020-03-26
CN110291817A (zh) 2019-09-27
CN110291817B (zh) 2021-11-23
JP6901579B2 (ja) 2021-07-14
ZA201903543B (en) 2021-10-27
EP3580965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979B1 (ko) 주파수 정보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
US107649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torized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220272632A1 (en) Method For Indicating Downlink Service Data and Device
US10425893B2 (en) Power saving channel access for wireless devices in dense wireless networks
US20180199372A1 (en)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scheduled trigger frames
EP2562940B1 (en) Method for cooperative data transmission among terminals, and method for clustering cooperative terminals for same
KR10163705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CN108616968B (zh) 传输帧的方法和设备
US9191889B2 (en) Slot-based power save improvement
CN111903166B (zh) 一种信号发送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US20150124677A1 (en) Definition of different ndp ps-poll types
EP3063895B1 (en) Enhanced subchannel selective transmission procedure
US11178660B2 (en) Determining access slot for communications on radio interface
EP34903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US20220070776A1 (en) Methods and system for forward link power saving in a star topology of user equipment
CN108430096B (zh)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通信装置和通信设备
EP4205453A1 (en) Methods and system for forward link power saving in a star topology of user equipment
CN117241394A (zh) 多链路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