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27B1 - 유턴 상자 - Google Patents
유턴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2427B1 KR102192427B1 KR1020190037839A KR20190037839A KR102192427B1 KR 102192427 B1 KR102192427 B1 KR 102192427B1 KR 1020190037839 A KR1020190037839 A KR 1020190037839A KR 20190037839 A KR20190037839 A KR 20190037839A KR 102192427 B1 KR102192427 B1 KR 102192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strap
- bottom member
- handle
- sid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5—Reinforc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65D5/448—Metal or wire reinforc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9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incisions in the container or blank forming straps used as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비사용시 보관이 간편하고 접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맞춰 그 크기를 가변하고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저면을 이루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부재, 상기 측부재 상단에 연결되어 상면을 이루는 상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양 측부재 및 상부재의 양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뒷면과 앞면을 이루는 뒷부재와 앞부재, 상기 상자를 들어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유턴 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물품 회수를 위해 사용되는 위한 유턴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넣어 옮기거나 보관하기 위해 상자가 사용된다. 상자는 사각의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외측에는 상자를 열고 닫기 위한 덮개나 개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자를 이용하여 물품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유턴 상자는 예를 들어 반품되는 물건을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자로 이동은 물론 적재 및 보관이 간편해야 한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자들의 경우 유턴 상자로 이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종이 재질로 된 상자의 경우 일회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는 있으나,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일일이 펼치고 박스형태로 접어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종이박스의 덮개를 별도의 접착 테이프 등으로 봉해야 하고 습기 등에 약해 장기간 보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천재질로 된 상자의 경우 습기에 강하나 그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사용하기 불편하다.
플라스틱 상자의 경우 튼튼하고 여러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일일이 펼치고 박스형태로 접어서 사용해야 하며, 접착 테이프로 덮개를 봉해야 하므로 포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이 불편하다. 그리고, 크기가 정해져 있어 부피를 줄이기 어렵고 운반이나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등과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 플라스틱이 쉽게 파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상자들은 단순히 내부 공간을 갖춘 구조로, 물품 회수를 위해 잦은 이동과 보관이 요구되는 유턴상자로 사용하기 어렵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턴 상자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과제는 비사용시 보관이 간편하고 접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유턴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맞춰 그 크기를 가변하고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유턴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사용이 편리하고 운반이 용이한 유턴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유턴 상자는, 저면을 이루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부재, 상기 측부재 상단에 연결되어 상면을 이루는 상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양 측부재 및 상부재의 양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뒷면과 앞면을 이루는 뒷부재와 앞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와 측부재, 상부재, 뒷부재 및 앞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자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는 상기 앞부재의 선단과 상기 앞부재가 연결되는 상자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지퍼 또는 벨크로테잎을 포함하여, 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자는 플렉시블한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는 두 개의 시트 사이에 상대적으로 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플레이트가 삽입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재는 두 개의 시트 사이에 상대적으로 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플레이트가 삽입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자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상자의 내용물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라벨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자를 들어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양 선단이 상기 바닥부재에 이격되어 부착되고 측부재로 연장되어 손잡이를 이루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간격에 맞춰 측부재에 설치되고, 스트랩이 관통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측면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자의 바닥쪽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이 관통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모서리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간단히 시트 형태로 접을 수 있고 사용시에는 상자 형태를 이루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시트 형태에서 컨테이너 형태로 상자의 크기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적재되는 물품에 맞춰 박스 의 형태를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자 자체의 무게가 가벼워 사용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크기에 맞춰 상자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필요한 크기만큼만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상자로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담을 수 있게 된다.
적재되는 물품에 관계없이 적절한 크기의 상자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 적재시 상자를 정결하고 깔끔하게 적층하여 상하차가 가능하며, 보관시에도 다량의 상자를 흐트러짐없이 질서정연하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간단히 지퍼를 이용하여 상자를 닫을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포장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자를 안전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자의 부피나 무게에 관계없이 상자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면서도 20배 이상의 무게를 갖는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빈번한 이동과 운반이 요구되고 많은 수량을 적재 및 보관해야 하는 유턴 상자로써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하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하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턴 상자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자(100)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직육면체를 이루는 상자(100)의 각 면에 대해 도 1의 x축 방향으로 양면을 측면이라 하고, y축 방향으로 양면을 전면과 후면이라 하며, z축 방향으로 양면을 상면과 저면이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자(100)는 저면을 이루는 바닥부재(10), 바닥부재(10)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부재(12), 측부재(12) 상단에 연결되어 상면을 이루는 상부재(14), 바닥부재(10)와 양 측부재(12) 및 상부재(14)의 양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뒷면과 전면을 이루는 뒷부재(16)와 앞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부재라 함은 상자(100)의 각 면을 이루는 바닥부재(10), 측부재(12), 상부재(14), 뒷부재(16) 및 앞부재(18) 전체를 지칭할 수 있다.
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상자(100) 내부의 적재 공간을 이룬다. 상자(100)의 6 면을 이루는 각 부재의 크기나 전체적인 상자(10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자(100)를 이루는 각 부재는 플렉시블한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자(100)는 자유롭고 유연하게 접어지거나 펼쳐져 그 부피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에는 각 부재를 접어 상자(100)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상자(100)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에 따라 각 부재가 펼쳐지면서 부피를 확장할 수 있다.
또는, 각 부재는 표면을 PVC 등으로 방수 코팅 처리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외부 습기나 빗물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내부 저장물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을 물걸레 등으로 청소하여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자(100)는 앞부재(18)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자(100)를 열고 닫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앞부재(18)에는 상자(10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개폐구(20)는 지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퍼(zipper)는 서로 맞물리는 이빨이 설치된 두 개의 줄을 쇠고리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앞부재(18)에 지퍼가 설치됨으로써, 지퍼를 개폐하여 상자(100)의 전면을 보다 쉽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지퍼는 앞부재(18)의 선단과 앞부재(18)가 연결되는 상자(100)의 모서리 즉, 양 측부재(12)와 상부재(14)의 선단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앞부재(18)는 바닥부재(10)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선단은 지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지퍼를 작동하게 되면 앞부재(18)는 바닥부재(10)에 고정된 상태로 나머지 선단이 열리면서 상자(100)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상자(100)는 앞부재(18)를 통해 상자(100) 전면이 개폐됨으로써, 상자(100) 내부에 물품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개폐구(20)는 지퍼 외에 예를 들어, 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벨크로테잎(velcro tape)은 돌기면과 고리면을 구비하여 서로 탈부착하는 구조로, 이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자(100)의 측부재(12) 일측에는 상자(100)의 내용물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라벨부착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라벨부착부(30)는 예를 들어, 라벨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투명창 구조일 수 있다. 라벨부착부(30)는 라벨을 측부재(12)에 부착 고정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구조 외에, 라벨부착부는 스트랩에 끈 등으로 묶여 고정되고 내측으로 태그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인식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스트랩에 달려있는 인식표를 물품에 대한 태그를 삽입하여 물품 내용을 외부에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라벨부착부(30)에 의해 상자(100)의 측면에 라벨이 표시됨으로써, 상자(100) 내부에 적재된 물품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자(100)는 바닥부재(1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바닥부재(10)에 플레이트(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부재(10)는 두 겹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플레이트(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얇은 평판 구조물로, 상대적으로 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대략 바닥부재(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바닥부재(10)에 삽입 설치될 수있다. 플레이트(4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자(100)의 바닥부재(10)는 플레이트(40)에 의해 강성이 확보되어 상자(100) 내부에 적재된 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고 상자(100)의 바닥면 형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재(14) 역시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플레이트(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부재(14)는 두 겹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플레이트(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얇은 평판 구조물로, 바닥부재(1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4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의 플레이트(40)가 상부재(14)에 삽입 설치됨으로서, 상부재(14)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상자(100)의 상면에 대한 강성도 확보되어 상자(100) 내부에 적재된 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자(100)의 바닥부재(10)와 더불어 상부재(14)에 설치된 플레이트(40)에 의해 상면과 하면에서의 상자(100)의 평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자(100)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관계없이 상자(100)는 직육면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자(100) 위에 또 다른 상자(100)를 적층하더라도 상부재(14)가 이를 견고하게 받쳐 줌으로써, 무너지거나 흐트러짐 없이 복수개의 상자(100)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가볍고 유연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상자를 적층하여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정결하게 적재하여 운반 및 상하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자(100)를 들어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자(100)의 양 측부재(12)에 각각 손잡이부(50)가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룬다. 양 측부재(12)에 설치되는 손잡이부(50)는 동일한 구조로 이하 일측 측부재(12)에 설치되는 손잡이부(50)를 예로서 설명한다. 타측 측부재(12)에 설치되는 손잡이부(50)는 이에 갈음한다.
손잡이부(50)는 양 선단이 바닥부재(10)에 이격되어 부착되고 측부재(12)로 연장되어 손잡이를 이루는 스트랩(52), 스트랩(52)의 간격에 맞춰 측부재(12)에 설치되고, 스트랩(52)이 관통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측면고리(5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52)은 길게 연장된 유연한 재질의 끈 구조물로, 중간 부분이 굽어져 손잡이를 이루고 양 선단은 바닥부재(10)를 향해 연장되어 바닥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53)은 바닥부재(10)에 대한 스트랩(52) 고정부위를 나타낸다. 스트랩(52)은 고정부위에서 바닥부재(10)에 박음질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양 측부재(12)에 각각 설치되는 스트랩(52)은 바닥부재(10)의 중심부까지 충분히 연장되어 같이 바닥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긴 스트랩(52)이 양 측부재(12)로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된 두 개의 손잡이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를 이루는 스트랩(52)의 양 선단 사이 간격은 상자(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스트랩(52)이 바닥부재(10) 중심까지 연장되어 바닥부재 전체를 지지함으로써, 상자(100) 내에 적재가능한 물품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자(100)의 바닥부재(10)를 스트랩(52)이 받쳐 지지하고 있어, 상자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은 바닥부재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바닥부재를 가로지르는 스트랩에 의해 받쳐 지지된다. 따라서, 중량의 물품의 상자에 적재되더라도 바닥부재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트랩을 이용하여 상자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상자의 무게가 1kg이 안됨에도 불구하고 상대 무게 대비 약 20배(20kg) 이상인 고 중량의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52)은 바닥부재(10)에만 고정 설치되어 측부재(12)에 대해서는 분리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측부재(12)에 대해 스트랩(52)을 지지할 수있도록 측부재(12)에는 측면고리(54)가 설치된다. 측면고리(54)는 띠 형태를 이루며 스트랩(52)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양 선단이 측부재(12)에 고정되어 그 사이로 스트랩(52)이 관통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측면고리(54)는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고리(54)는 고무끈이 같이 직조된 신축성 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손잡이가 당겨져 측면고리(54)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측면고리(54)가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뜯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측면고리(54)의 재질이나 형태 또는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스트랩(52)의 양 선단 사이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두 개의 측면고리(54)가 이격되어 측부재(12)에 고정 설치된다. 측면고리(54)를 통해 스트랩(52)이 관통하여 측부재(12)에 지지된다. 이에, 스트랩(52)은 측면고리(54)에 관통되어 걸쳐진 상태로 간격이 유지되면서 측부재(12)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스트랩(52)을 손잡이로 이용하여 상자(100)를 안정적으로 들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트랩(52)에 관계없이 측부재(12)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어, 상자(100)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부피에 따라 상자(100)의 크기는 적절히 조절된다. 즉, 상자(100)의 측부재(12)는 측면고리(54)를 통해 스트랩(52)과 결합된 상태로, 스트랩(52)을 따라 측면고리(54)가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52)에 대해 측부재(12)가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여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트랩(52)을 잡아 상자(100)를 들어올리더라도 측부재(12)는 자유롭게 변형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상자(100)의 크기는 내부 수용 물품 부피에 맞춰 적절히 변형된다.
또한, 손잡이부(50)는 상자(100)의 바닥쪽 모서리에 설치되고 스트랩(52)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모서리고리(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고리(56)는 측면고리(54)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서리고리(56)는 두 개가 각각 스트랩(52)의 양 선단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10)와 측부재(12) 사이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52)은 모서리고리(5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모서리고리(56)에 지지된다. 이에, 스트랩(52)은 바닥부재(10)와 측부재(12) 사이 모서리를 지나면서 모서리고리(56)에 지지되어 그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자(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자(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자(100)를 납작하게 접어 부피나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100)의 상부재(14)와 바닥부재(10)는 플레이트(40)에 의해 그 형상이 유지된다. 상자(100)의 바닥부재(10)와 상부재(14)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모두 유연한 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하게 변형되어 접혀질 수 있다.
이에, 상자(100) 내부에 내용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방을 지면에 놓게 되면 자중에 의해 측부재(12)와 앞부재(18) 및 뒷부재(16)가 변형되어 안쪽으로 접히면서 납작하게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자(10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자(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자(100)에 수용된 물품의 부피에 맞춰 상자(100)의 크기가 가변된다.
일 실시예로, 길이 70cm, 폭 40cm이고 높이가 50cm의 크기를 갖는 상자를 변형시켜 70cm, 폭 40cm, 높이가 1.5cm인 납작한 시트 형태로 보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상자는 부피를 대략 35배 이상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 플라스틱 박스의 경우 상기한 규격의 박스를 1톤 화물차에 35개를 적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자의 부피가 내부에 수용된 물품에 따라 적절히 가변되어, 1톤 화물차에 48개 이상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자 내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스트랩(52)을 이용하여 상자(100)를 용이하게 들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100)는 바닥부재(10)와 상부재(14)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40)에 의해 그 형태를 유지하며, 내부에 적재된 물품(P)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있다. 측부재(12)는 자유롭게 변형가능한 상태로 상자(100)에 수용된 물품(P)의 부피에 맞춰 크기가 변형된다. 상자(100) 내부에 물품(P)을 적재하면 측부재(12)는 위쪽으로 펼쳐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뒷부재와 앞부재 역시 측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측부재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하 측부재를 예로서 설명한다.측부재(12)가 펼쳐지면서 상자(100)의 크기는 내부에 적재된 물품(P)의 부피에 맞춰 변형된다. 물품(P) 상부에 위치한 상부재(14)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뜨려져 물품(P) 위에 놓이고, 물품(P) 위쪽에서 측부재(12)는 변형되어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에, 상자(100)는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P)의 크기에 맞춰 적절한 크기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랩(52)은 측면고리(54)에 끼워진 상태로 측부재(12)가 펼쳐짐에 따라 자유롭게 측면고리(54)를 따라 이동되어 측부재(12) 옆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인 스트랩(52)을 잡아 위로 당겨주게 되면 바닥부재(10)에 고정된 스트랩(52)이 당겨지면서 상자(100)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물품(P)의 크기에 맞춰 적절한 크기로 변형된 상자(100)를 용이하게 들어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자(100)는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크기로 변형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물품(P)을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바닥부재 12 : 측부재
14 : 상부재 16 : 뒷부재
18 : 앞부재 20 : 개폐구
30 : 라벨부착부 40 : 플레이트
50 : 손잡이부 52 : 스트랩
54 : 측면고리 56 : 모서리고리
100: 상자
14 : 상부재 16 : 뒷부재
18 : 앞부재 20 : 개폐구
30 : 라벨부착부 40 : 플레이트
50 : 손잡이부 52 : 스트랩
54 : 측면고리 56 : 모서리고리
100: 상자
Claims (5)
- 저면을 이루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부재, 상기 측부재 상단에 연결되어 상면을 이루는 상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양 측부재 및 상부재의 양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뒷면과 앞면을 이루는 뒷부재와 앞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측부재, 상부재, 뒷부재 및 앞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자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 및 상기 상자를 들어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양 선단이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재에만 부착되고 측부재로 연장되어 손잡이를 이루며 측부재와는 분리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된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의 간격에 맞춰 측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이 관통되어 측부재에 대해 상기 스트랩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고리, 상기 상자의 바닥쪽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이 관통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모서리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하나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양 측부재로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된 두개의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양 측부재로부터 상기 바닥부재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재에 고정되는 구조의 유턴 상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플렉시블한 천 재질로 형성된 유턴 상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 또는 상기 상부재는 두 개의 시트 사이에 상대적으로 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플레이트가 삽입 설치된 유턴 상자.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7839A KR102192427B1 (ko) | 2019-04-01 | 2019-04-01 | 유턴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7839A KR102192427B1 (ko) | 2019-04-01 | 2019-04-01 | 유턴 상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6272A KR20200116272A (ko) | 2020-10-12 |
KR102192427B1 true KR102192427B1 (ko) | 2020-12-17 |
Family
ID=7288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7839A KR102192427B1 (ko) | 2019-04-01 | 2019-04-01 | 유턴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242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31550A1 (en) * | 2005-02-28 | 2008-02-07 | Troy Town | Lifting Bag Device |
KR200473918Y1 (ko) * | 2013-02-22 | 2014-08-12 | 그린콤포지트(주) | 휴대용 엘피지 가스 용기용 가방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36376B1 (en) * | 2000-03-14 | 2004-11-17 | Wen-Tsan Wang | Folding collapsible storage box |
KR100527161B1 (ko) * | 2003-11-24 | 2005-11-08 | 주식회사 우리은행 | 수납용 가방 |
-
2019
- 2019-04-01 KR KR1020190037839A patent/KR1021924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31550A1 (en) * | 2005-02-28 | 2008-02-07 | Troy Town | Lifting Bag Device |
KR200473918Y1 (ko) * | 2013-02-22 | 2014-08-12 | 그린콤포지트(주) | 휴대용 엘피지 가스 용기용 가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6272A (ko) | 2020-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85432B2 (en) | Reusable foldable shipping container | |
TWI709513B (zh) | 折疊式運送箱 | |
US4210230A (en) | Flat-pack luggage case | |
US7581772B2 (en) | Carryable plastic mattress bag | |
US20120267365A1 (en) | Collapsible container with pockets | |
US7585007B2 (en) | Carryable bag for large objects | |
CN106414254A (zh) | 包袋系统 | |
US6497542B1 (en) | Device for safe-keeping and transporting piece goods | |
US7815024B1 (en) | Collapsible balikbayan box apparatus | |
US20090183961A1 (en) | Collapsible Bag Mounting Structure and Collapsible Bag Associated Therewith | |
US6244399B1 (en) | Collapsible hard case | |
US20130048689A1 (en) | Container for Shopping Utensils | |
US7175010B1 (en) | Collapsible luggage | |
CN205441458U (zh) | 服装袋 | |
US20100129007A1 (en) | Bag with elastic support members | |
US2784890A (en) | Grocery shopping bags | |
US20020015539A1 (en) | Flexible self-standing bag | |
KR102192427B1 (ko) | 유턴 상자 | |
US20170020253A1 (en) | Modular luggage and sleeping wedge apparatus | |
KR20120119230A (ko) |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 |
US20120033902A1 (en) | Household storage container | |
US8511466B1 (en) | Clothing transport device | |
CN112239007A (zh) | 一种服装用的软体收纳箱 | |
US20190389649A1 (en) | Tamper evident shipping box such as for garments | |
CN213443992U (zh) | 一种服装用的软体收纳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