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10B1 - 추론 엔진 및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추론 엔진 및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010B1
KR102192010B1 KR1020200111969A KR20200111969A KR102192010B1 KR 102192010 B1 KR102192010 B1 KR 102192010B1 KR 1020200111969 A KR1020200111969 A KR 1020200111969A KR 20200111969 A KR20200111969 A KR 20200111969A KR 102192010 B1 KR102192010 B1 KR 10219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rea
user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공석환
사이키아 딥죠이티
Original Assignee
쿨클라우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쿨클라우드(주) filed Critical 쿨클라우드(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의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추론 엔진 및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inference engine and deploying engin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두 되고 있는 4차 산업에서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초연결(hyper connected)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혁신적인 융합 신제품 및 서비스 솔루션 시장이 확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제품의 개발, 시험 및 실증이 가능한 인프라 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태블릿 PC, 인공지능 스피커 등)는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예: 광고, 음악, 이미지, 영상 등)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콘텐츠를 영구적으로 보존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기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클라우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전자 장치로 송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일정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에 대해 입력한 좋아요(like)/싫어요(unlike)와 같은 콘텐츠 선호도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가 불특정 다수가 위치하는 곳에 배치된 경우에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 주변의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별, 연령, 감정 변화 등을 추론하여, 추론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트리밍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정된 스트리밍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 대상 장치의 IP를 확인하여, 제어 대상 장치에서 결정된 스트리밍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에 관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동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콘텐츠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카메라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대상을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의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 (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를 제어(예: 할당 또는 회수)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웨어(144)는 어플리케이션(146)이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이 제공하는 기능 또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 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발생된 이벤트(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에 관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300)은 사물인터넷 장치(310, IoT device), 프라이빗 클라우드(320, private cloud) 및 퍼블릭 클라우드(330, public clou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장치(310)는 전자 장치(101)에 센서, 카메라 등을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빗 클라우드(320)는 제한된 특정 고객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상화된 인프라를 기업에서 직접 소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서비스가 가능하며, 데이터 보호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330)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서비스 제공 업체가 관리하며 사용자는 사용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IT 서비스 안정성이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300)은 사물인터넷 장치(310)로부터의 방대한 데이터가 초연결(hyper connected)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이 각자 필요한 SDI(SDN, Openstack VM, Amazon VM 등)를 직접 구성할 수 있는 멀티 클라우드 기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300)은 오픈스택 기반 프라이빗 클라우드 노드 구축, 멀티 클라우드 자원의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구축, 및 멀티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빌딩 서비스에 기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300)은 프라이빗 클라우드(320) 및 퍼블릭 클라우드(330) 간의 유연한 네트워킹 기술을 통해 콘텐츠(예: 광고, 음악, 이미지, 영상 등)를 안정적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클라우드 자원, 즉, 프라이빗 클라우드(320, 예: Openstack) 및 퍼블릭 클라우드(330, 예: AWS 클라우드) 연동을 위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구축 기술을 기반으로 스트리밍 제어 플랫폼(300)을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검증을 위해서 사용자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들은 프라이빗 클라우드(320)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편익이 되는 서비스들은 퍼블릭 클라우드(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330)는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보 분석이 필요한 데이터를 퍼블릭 클라우드(330)에 저장하고, 다양한 분석 툴을 사용하여 유의미한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장치(310)는 센서 모듈(176) 또는 카메라 모듈(18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프라이빗 클라우드(32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320) 및 퍼블릭 클라우드(330)는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스트리밍 대상 콘텐츠를 결정하여 사물인터넷 장치(310)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A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은 콘텐츠 출력 모듈(410), SDN SW(450) 및 콘텐츠 제공 모듈(46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은 다양한 스마트 기기로부터 사물 정보를 획득하고, 사물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 주변의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출력 모듈(410)은 스트리밍 디바이스(420), 디바이스 매니저(430) 및 추론 엔진(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디바이스(420)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디바이스(420)는 크롬캐스트와 같은 동글(dongle)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매니저(430, device manager)는 동글 관리 모듈(431), 카메라 관리 모듈(433), 이벤트 관리 모듈(435), 및 콘텐츠 목록 관리 모듈(4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스트리밍 디바이스(420)를 제어하고, 스트리밍할 콘텐츠를 관리 및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글 관리 모듈(431)은 동글 장치 (예: 크롬캐스트)를 탐색, 등록, 해제, 수정 및 조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글 관리 모듈(431)은 동글 장치의 스트리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시작, 중단 및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글 관리 모듈(431)은 동글 장치를 그룹핑 하여 그룹 별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관리 모듈(433)은 스트리밍 디바이스(420)에 구비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조회, 등록, 해제 및 수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벤트 관리 모듈(435)은 스트리밍 디바이스(420)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플레이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관리 모듈(435)는 이벤트에 따른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목록 관리 모듈(437)은 스트리밍 매니저(47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목록 관리 모듈(437)는 콘텐츠를 등록, 업로드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콘텐츠 플레이 리스트를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재생하도록 콘텐츠를 그룹핑할 수 있다. 콘텐츠 목록 관리 모듈(437)은 미디어 스트림 매니저(media stream manager)의 프록시 모듈이며, 그라파나(grafana) 대시보드를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목록 관리 모듈(437)은 임의의 시간에 콘텐츠 또는 플레이 리스트를 스트리밍 디바이스(420)에 전송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C를 참조하면, 추론 엔진(440, inference engine)은 디바이스 매니저 연동 모듈(441), 메타 데이터 저장 모듈(443), 및 서버리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추론 엔진(440)은 스트리밍 디바이스(420)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예: 스틸 이미지, 무빙 이미지 등을 포함)를 기반으로 객체(object)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론 엔진(440)은 스트리밍 디바이스(420)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예: 스틸 이미지, 무빙 이미지 등을 포함)를 기반으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매니저 연동 모듈(441)은 분류(classification) 후 동글 장치가 액션을 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타 데이터 저장 모듈(443)은 영상 프레임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퍼블릭 클라우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리스 모듈은 카메라 영상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매니저를 동적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SDN SW(450)는 프라이빗 클라우드(320, 예: 오픈스택)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DN SW(450)는 콘텐츠 출력 모듈(4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모듈(46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모듈(460)은 스트리밍 매니저(470) 및 머신 러닝 모듈(48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D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매니저(470)는 테넌트 사용자 관리 모듈(471), 콘텐츠 스토리지 관리 모듈(473),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475), 및 대시보드 관리 모듈(47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테넌트 사용자 관리 모듈(471)은 테넌트(tenant)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넌트를 조회, 등록, 해제 및 수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토리지 관리 모듈(473)는 콘텐츠 스토리지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넌트의 비디오 콘텐츠 스토리지를 생성 및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넌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 및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475)는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475)은 라이브 레코딩 파일을 업로드 및 업로드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475)은 VOD 파일을 업로드 및 업로드 해제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475)은 비디오와 관련된 Wowza VOD 어플리케이션을 조회, 등록, 해제 및 수정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475)은 카메라와 관련된 Wowza Live 어플리케이션을 조회, 등록, 해제 및 수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대시보드 관리 모듈(477)은 대시보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시보드 관리 모듈(477)은 Grafana 대시보드 템플릿을 설계 및 제작할 수 있으며, Grafana 대시보드를 조회, 등록, 및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머신 러닝 모듈(480)은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 러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 러닝 모듈(480)은 AWS(amazon web services) sagemaker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AWS sagemaker는 개발자 및 데이터 과학자가 다양한 규모의 기계 학습 모델을 쉽고 빠르게 구축, 교육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완전관리형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동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A 내지 5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매니저(4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될 수 있다. 좌측 인터페이스(510)에는 동글 디바이스(511), 콘텐츠(513), 카메라(515)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우측 인터페이스(520)에는 좌측 인터페이스(510)에서 선택된 동글 디바이스(511) 항목에 대응하는 관리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탐색(discovery, 521)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초기 동글 장치 데이터를 수집 및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신규(new, 523)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동글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우측 인터페이스(520)에는 등록된 동글 장치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동글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save, 531)하거나 삭제(delete, 533)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전송(send, 525)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동글 장치에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동글 장치의 구성(config, 530)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 외에, 동글 장치의 제어(control, 540)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일시 정지하거나 일시 정지 중인 콘텐츠를 재생하는 541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재생 중인 콘텐츠를 종료하는 543 동작을 제어하거나, 볼륨을 제어하는 545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콘텐츠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 내지 6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매니저(4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될 수 있다. 좌측 인터페이스(610)에는 동글 디바이스(611), 콘텐츠(613), 카메라(615)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우측 인터페이스(620)에는 좌측 인터페이스(610)에서 선택된 콘텐츠(613) 항목에 대응하는 관리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신규(new, 621)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신규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동기화(sync, 623)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콘텐츠 제공 모듈(460)에 저장된 콘텐츠와 동기화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우측 인터페이스(620)에는 등록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 그룹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파일 업로드(upload file, 627)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전송(send, 625)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콘텐츠를 특정 동글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3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카메라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매니저(4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될 수 있다. 좌측 인터페이스(710)에는 동글 디바이스(711), 콘텐츠(713), 카메라(715)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우측 인터페이스(720)에는 좌측 인터페이스(710)에서 선택된 카메라(731) 항목에 대응하는 관리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신규(new, 721)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신규 카메라를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보기(view, 723)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등록된 카메라의 현재 촬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430)는 전송(send, 725)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카메라 영상을 전송할 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스트리밍 디바이스(420))은 810 동작에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디바이스(420)는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디바이스(420)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스틸(still) 이미지 또는 무빙(moving)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 및 머신 러닝 모듈(480))은 820 동작에서, 획득한 이미지 정보 기반에 기반하여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로부터 스트리밍 디바이스(420) 주변의 밝기가 밝은 상태이며, 커피를 마시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상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스트리밍 매니저(470))은 830 동작에서, 획득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스트리밍 대상의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은 환경에서 커피를 마시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이에 상응하는 밝고 경쾌한 음악, 자기개발 서적, 밝은 계통의 의류 등의 광고를 스트리밍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스트리밍 디바이스(420) 및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840 동작에서, 결정된 콘텐츠(예: 음악, 광고, 이미지 등)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은 스트리밍 디바이스(420) 주변의 객체를 대상으로 보다 설득력 있고 유의미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10 동작에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비디오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20 동작에서, 획득한 비디오 프레임이 빈 프레임인지 확인할 수 있다. 빈 프레임인 경우에는 925 동작으로 분기하여 프레임을 드랍할 수 있다. 빈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930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30 동작에서, 획득한 비디오 프레임을 전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40 동작에서, 전처리된 비디오 프레임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추론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50 동작에서, 얼굴이 인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얼굴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925 동작으로 분기하여 프레임을 드랍할 수 있다. 얼굴이 인식된 경우에는 960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60 동작에서, 인식된 얼굴에 대해 성별 추론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70 동작에서, 인식된 얼굴에 대해 연령 추론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980 동작에서, 인식된 얼굴에 대한 추정 성별 및 연령을 메타 데이터로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대상을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1010 동작에서, 스트리밍 URL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1020 동작에서, 통신 도달 가능한 장치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통신 도달 가능한 장치가 없는 경우, 1025 동작으로 분기하여 에러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도달 가능한 장치가 있는 경우, 1030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1030 동작에서, 통신 도달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의 이름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1040 동작에서, 획득한 제어 대상 장치가 등록된 장치인지 확인할 수 있다. 등록이 안된 경우에는 1025 동작으로 분기하여 에러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등록이 된 경우에는 1050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1050 동작에서, 통신 도달 가능한, 등록된 제어 대상 장치의 IP를 추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디바이스 매니저(430))은 1060 동작에서, 통신 도달 가능한, 등록된 제어 대상 장치의 IP로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스트리밍 대상을 전환하는 API 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10 동작에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비디오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15 동작에서, 획득한 비디오 프레임이 빈 프레임인지 확인할 수 있다. 빈 프레임인 경우에는 1117 동작으로 분기하여 프레임을 드랍할 수 있다. 빈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1120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20 동작에서, 획득한 비디오 프레임을 전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25 동작에서, 전처리된 비디오 프레임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추론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30 동작에서, 얼굴이 인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얼굴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1117 동작으로 분기하여 프레임을 드랍할 수 있다. 얼굴이 인식된 경우에는 1135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35 동작에서, 인식된 얼굴에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40 동작에서, 인식된 얼굴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정 시간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1117 동작으로 분기하여 프레임을 드랍할 수 있다.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는 1145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45 동작에서, 사용자 그룹에 따른 광고 채널로 전환하도록 스트리밍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50 동작에서, 스트리밍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55 동작에서, 인식된 얼굴에 대응하는 감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400, 예: 추론 엔진(440))은 1160 동작에서, 스트리밍 콘텐츠 전환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결과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주변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이 빈 프레임인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드랍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성별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획득하고, 연령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그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환된 콘텐츠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 전환에 따른 상기 감정 변화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정보를 추출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경우에만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주변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이 빈 프레임인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드랍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전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성별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연령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그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된 콘텐츠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콘텐츠 전환에 따른 상기 감정 변화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정보를 추출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경우에만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의 이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상기 이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도록 하는 API 콜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의 이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상기 이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지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IP 주소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도록 하는 API 콜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며,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주변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이 빈 프레임이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에서 인식된 얼굴이 기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드랍하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성별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획득하고, 연령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그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며,
    상기 전환된 콘텐츠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 전환에 따른 상기 감정 변화를 저장하며,
    상기 그룹 정보를 추출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경우에만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동글 디바이스, 콘텐츠, 및 카메라를 제어하여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도록 하는 스트리밍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스트리밍 제어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1 영역에는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글 디바이스,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표시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세부 설정이 표시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동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에 관한 명칭, 시리얼 넘버, IP 주소, 기기 유형, 기기 상태, 및 전송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동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중, 콘텐츠 제어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동글 디바이스에서 스트리밍 하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콘텐츠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화면을 통해, 상기 동글 디바이스에서 스트리밍 하는 콘텐츠를 재생, 정지, 및 볼륨 조절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기 등록된 콘텐츠의 파일명, 제목, 유형, URL, 및 전송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기 등록된 콘텐츠의 정보 표시 및 콘텐츠 업로드 화면을 표시하고,상기 제2 영역의 콘텐츠 전송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 등록된 콘텐츠의 전송 대상 기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전송 대상 기기 목록은 상기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에 관한 명칭, 시리얼 넘버, IP 주소, 기기 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기 등록된 카메라의 명칭, Mac 주소, IP 주소, 라이브 링크, 보기 버튼 및 전송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기 등록된 카메라의 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의 보기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 등록된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송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 등록된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할 장치를 선택하는 목록을 표시하며,
    상기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의 이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상기 이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지 확인하며,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IP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도록 하는 API 콜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주변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이 빈 프레임인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드랍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전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드랍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에서 인식된 얼굴이 기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을 드랍하는 동작;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기반으로, 성별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연령 추론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그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전환된 콘텐츠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콘텐츠 전환에 따른 상기 감정 변화를 저장하는 동작;
    동글 디바이스, 콘텐츠, 및 카메라를 제어하여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도록 하는 스트리밍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스트리밍 제어 인터페이스에,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1 영역에는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글 디바이스,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목록 및 상기 제1 영역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세부 설정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동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에 관한 명칭, 시리얼 넘버, IP 주소, 기기 유형, 기기 상태, 및 전송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동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중, 콘텐츠 제어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동글 디바이스에서 스트리밍 하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콘텐츠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콘텐츠 제어 화면을 통해, 상기 동글 디바이스에서 스트리밍 하는 콘텐츠를 재생, 정지, 및 볼륨 조절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기 등록된 콘텐츠의 파일명, 제목, 유형, URL, 및 전송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기 등록된 콘텐츠의 정보 표시 및 콘텐츠 업로드 화면을 표시하고,상기 제2 영역의 콘텐츠 전송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 등록된 콘텐츠의 전송 대상 기기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역에 기 등록된 카메라의 명칭, Mac 주소, IP 주소, 라이브 링크, 보기 버튼 및 전송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기 등록된 카메라의 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영역의 보기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 등록된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영역의 전송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 등록된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할 장치를 선택하는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통신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의 이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상기 이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기 등록된 장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IP 주소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전환하도록 하는 API 콜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대상 기기 목록은 상기 기 등록된 동글 디바이스에 관한 명칭, 시리얼 넘버, IP 주소, 기기 유형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장치의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200111969A 2019-12-27 2020-09-02 추론 엔진 및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192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7155 2019-12-27
KR1020190177155 2019-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010B1 true KR102192010B1 (ko) 2020-12-16

Family

ID=740420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67A KR102192027B1 (ko) 2019-12-27 2020-09-02 추론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111969A KR102192010B1 (ko) 2019-12-27 2020-09-02 추론 엔진 및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111968A KR102192019B1 (ko) 2019-12-27 2020-09-02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67A KR102192027B1 (ko) 2019-12-27 2020-09-02 추론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68A KR102192019B1 (ko) 2019-12-27 2020-09-02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1920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6844A (ja) * 2008-09-09 2010-03-25 Fujifilm Corp 動画コンテンツの加工方法及び装置、並びに動画コンテンツの加工プログラム
KR20110085520A (ko) * 2010-01-20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40039920A (ko) * 2012-09-25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KR20160058157A (ko) * 2013-09-20 2016-05-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사용자 적응적 멀티미디어 전달 프레임워크에서의 광고 인상의 검증
KR20160147978A (ko) * 2014-04-30 2016-12-23 넷플릭스, 인크. 자동 인식에 기반하는 프로그램과 연관된 데이터 표시
KR101708682B1 (ko) * 2010-03-0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03303A (ko) * 2017-03-09 2018-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콘텐츠 자동 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변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6844A (ja) * 2008-09-09 2010-03-25 Fujifilm Corp 動画コンテンツの加工方法及び装置、並びに動画コンテンツの加工プログラム
KR20110085520A (ko) * 2010-01-20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708682B1 (ko) * 2010-03-0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39920A (ko) * 2012-09-25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KR20160058157A (ko) * 2013-09-20 2016-05-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사용자 적응적 멀티미디어 전달 프레임워크에서의 광고 인상의 검증
KR20160147978A (ko) * 2014-04-30 2016-12-23 넷플릭스, 인크. 자동 인식에 기반하는 프로그램과 연관된 데이터 표시
KR20180103303A (ko) * 2017-03-09 2018-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콘텐츠 자동 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변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027B1 (ko) 2020-12-16
KR102192019B1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0678B (zh) 信息展示方法、装置及系统、服务器、终端、存储介质
US10866706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965807B (zh) 消息推送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EP31313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CN112995759A (zh) 互动业务处理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739517A (zh) 语音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11031391A (zh) 视频配乐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CN112969093A (zh) 互动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98068A (ko) 단어 추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278273B (zh) 多媒体文件上传方法、装置、终端、服务器和存储介质
US20240094972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423011B (zh) 消息回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134902B (zh) 资料信息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425081B2 (en)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2192010B1 (ko) 추론 엔진 및 배포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0135A (ko)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KR20220030137A (ko) 테넌트 사용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KR20220030138A (ko) 콘텐츠 스토리지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KR20220030136A (ko) 스트리밍 매니저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KR20220030139A (ko) 대시보드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KR20220030140A (ko) 비디오 콘텐츠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US113687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partial im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3064981A (zh) 群组头像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6704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CN111367492A (zh) 网页页面展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