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917B1 -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917B1
KR102191917B1 KR1020190042257A KR20190042257A KR102191917B1 KR 102191917 B1 KR102191917 B1 KR 102191917B1 KR 1020190042257 A KR1020190042257 A KR 1020190042257A KR 20190042257 A KR20190042257 A KR 20190042257A KR 102191917 B1 KR102191917 B1 KR 10219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drain trap
odor
drain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974A (ko
Inventor
전영세
민영근
Original Assignee
전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세 filed Critical 전영세
Priority to KR102019004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9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5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개방부(12)가 형성되고, 측면에 배관연결부(14)가 형성되는 고정본체(10); 개방부(12)에 설치되어,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취기역류방지구(20); 고정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중공부(32)가 형성되는 유동덮개(30); 중공부(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취기역류방지구(20)와 연통되는 배수부재(40)를 포함하며, 유동덮개(30)는 고정본체(10)의 상부면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며, 고정본체(10)에 대해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WASTE TRAP FOR PLUMBING ON SLAB}
본 발명은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작업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공동주택의 욕실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작업은 물론이고 악취나 벌레 등이 배수관에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특히, 욕실 바닥의 타일층 시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배수구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집수관부(1)의 상측에 연결플랜지부(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배수관몸체(3); 배수관몸체(3)의 연결플랜지부(2)에 끼워져 결합되는 배수관덮개(4); 배수관몸체(3)의 집수관부(1) 및 연결플랜지부(2) 사이에 설치되는 깔대기관(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관덮개(4)는 배수관몸체(3)의 연결플랜지부(2) 상측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고,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편심체결공(4a)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4b) 및 고정플레이트(4b)의 편심체결공(4a) 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바닥배수공(4c)이 관통 형성되는 가동플레이트(4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등록특허공보 제10-167978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4b) 및 가동플레이트(4d)의 결합구조적 특징, 즉 가동플레이트(4d)가 고정플레이트(4b)의 편심체결공(4a)에 편심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되므로 타일층의 시공에 따른 가동플레이트(4d)의 미세한 위치조절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가동플레이트(4d)의 바닥배수공(4c)과 깔대기관(5)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바닥배수공(4c)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깔대기관(5)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배수관덮개(5)의 상부에 타일층이 시공되어 깔대기관(5) 등의 유지보수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다.
이는 결국,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함은 물론이고 타일의 시공에 따라 유동덮개의 위치를 간편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배관연결부가 형성되는 고정본체; 상기 개방부에 설치되어,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취기역류방지구; 상기 고정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유동덮개; 상기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취기역류방지구와 연통되는 배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덮개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부면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본체에 대해 상하 및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동덮개가 고정본체에 대해 상하 및 전후좌우(사방)로 이동 가능하여 마감레벨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배수부재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동덮개가 고정본체의 상부면을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타일층의 시공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취기역류방지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은 고정본체(10); 고정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취기역류방지구(20); 고정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유동덮개(30); 유동덮개(30)에 결합되는 배수부재(40); 고정본체(10) 및 취기역류방지구(20)의 접하는 영역에 개재되는 기밀유지패킹(50); 유동덮개(3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렌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본체(10)는 사각함체 형상을 가지며,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본체(10)는 그 상면에 원형의 개방부(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선반식 벽체(W, 도 7 참조)의 내부에 위치한 배관(P, 도 7 참조)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본체(10)의 하단 외주면에는 고정본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날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본체(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취기역류방지구(20)는 고정본체(10)의 배관연결부(14)를 통해 취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취기역류방지구(20)는 고정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봉수외통부(22); 봉수외통부(22)의 내부에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봉수내통부(24)로 이루어진다.
봉수외통부(22)는 상부개방형의 원통 구조를 가지며, 그 바닥면 중앙에는 일정 높이의 볼트(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봉수내통부(24)는 상하부개방형 구조를 가지며, 플랜지 형상의 상단 테두리가 고정본체(10)의 개방부(12)와 밀착되도록 접한다. 또한 봉수내통부(24)의 하부에는 볼트(21)와 체결되는 너트(2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봉수외통부(22) 및 봉수내통부(24)는 볼트(21) 및 너트(2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설치는 물론이고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봉수내통부(24)에는 너트(23)를 지지하는 너트지지대(25)가 구비되고, 너트지지대(25)에는 너트(23)의 회전동작을 간편하게 구현하기 위한 고리형의 손잡이(H)가 구비되어 있다.
유동덮개(30)는 고정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정 크기의 중공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유동덮개(30)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유동덮개(30)는 고정본체(10)의 상부면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며, 고정본체(10)에 대해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타일층의 시공 시 유동덮개(30)의 위치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절하여 타일층 및 마감레벨에 맞출 수 있어, 시공품질은 물론이고 시공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동덮개(30)의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34)가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와 같은 스토퍼(34)는 유동덮개(30)의 위치조절 시 고정본체(1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동덮개(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한편, 중공부(32)의 외측에는 배수부재(4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턱(36)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배수부재(40)는 취기역류방지구(20)와 연통되어, 욕실의 바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취기역류방지구(20)의 봉수내통부(24)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배수부재(40)는 유동덮개(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취기역류방지구(20)의 청소나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러한 배수부재(40)는 유동덮개(30)의 중공부(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지지커버(42); 지지커버(42)에 걸림 지지되며, 지지커버(42)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단이 봉수내통부(24)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통(44)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커버(42)의 내측에는 지지턱(41)이 형성되고, 배수통(44)의 상단에는 고무 재질의 플랜지(43)가 형성되어 지지턱(41)에 밀착 지지된다. 또한 배수통(44)은 그 외경이 봉수내통부(24)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봉수내통부(24)의 내부에 위치함으로 인해, 유입수의 흐름을 봉수내통부(24)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동덮개(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특히 마감레벨을 맞추기 위하여 유동덮개(30)가 상부로 이동되더라고 배수통(44)의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 유입수의 흐름을 봉수내통부(24)로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배수통(44)의 상단에는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45)이 구비되어 있다.
기밀유지패킹(50)은 링 형상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밀유지패킹(50)은 고정본체(10)의 개방부(12) 및 봉수내통부(24)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밀유지패킹(50)의 재질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트렌치(60)는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배수공(62)이 일정 패턴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렌치(60)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동작상태도로서. 유동덮개(30)는 고정본체(10)에 대해 전후좌우(사방)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동작된다.
이에 따라 고정본체(10)에 대한 유동덮개(30)의 위치를 아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유동덮개(30)의 슬라이딩 동작은 스토퍼(34)에 의해 제한되며, 스토퍼(34)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배수통(44)에 의해 유동덮개(30)의 슬라이딩 동작이 제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도로서, 고정본체(10)는 선반식 벽체(W)와 인접하도록 슬래브(S)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관연결부(14)에 의해 선반식 벽체(W)의 내부에 위치한 배관(P)과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유동덮개(30)는 전후좌우(사방)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그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마감층(F) 상의 타일층(T) 시공에 의해 고정된다.
10 : 고정본체 12 : 개방부
14 : 배관연결부 20 : 취기역류방지구
21 : 볼트 22 : 봉수외통부
23 : 너트 24 : 봉수내통부
25 : 너트지지대 30 : 유동덮개
32 : 중공부 34 : 스토퍼
40 : 배수부재 42 : 지지커버
44 : 배수통 50 : 트렌치
H : 손잡이 P : 배관
W : 선박식 벽체

Claims (5)

  1. 선반식 벽체(W)의 내부에 위치한 배관(P)과 연결되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면에 개방부(12)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배관(P)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4)가 형성되는 고정본체(10); 상기 개방부(12)에 설치되어,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취기역류방지구(20); 상기 고정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중공부(32)가 형성되는 유동덮개(30); 상기 중공부(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취기역류방지구(20)와 연통되는 배수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덮개(30)는 상기 고정본체(10)의 상부면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본체(10)에 대해 상하 및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취기역류방지구(20)는,
    상기 고정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개방형의 봉수외통부(22); 상기 봉수외통부(22)의 내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단 테두리가 상기 개방부(12)와 접하는 상하부개방형의 봉수내통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부재(40)는,
    상기 중공부(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지지커버(42); 상기 지지커버(42)에 걸림 지지되며, 상기 지지커버(42)로부터 돌출되어 하단이 상기 봉수내통부(24)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통(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수외통부(22)의 바닥면 중앙에는 볼트(21)가 구비되고,
    상기 봉수내통부(24)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21)에 체결되는 너트(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봉수내통부(24)에는 상기 너트(23)를 지지하는 너트지지대(25)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지지대(25)에는 고리형의 손잡이(H)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덮개(30)의 테두리에는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KR1020190042257A 2019-04-11 2019-04-11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KR10219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57A KR102191917B1 (ko) 2019-04-11 2019-04-11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57A KR102191917B1 (ko) 2019-04-11 2019-04-11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974A KR20200119974A (ko) 2020-10-21
KR102191917B1 true KR102191917B1 (ko) 2020-12-16

Family

ID=7303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57A KR102191917B1 (ko) 2019-04-11 2019-04-11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48A (ko) 2021-01-28 2022-08-04 김희윤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729A (ja) * 1994-06-06 1995-12-19 Arita Unitec Kk 排水枡
KR19980066891U (ko) * 1997-05-20 1998-12-05 배남열 바닥배수용 트랩(Trap)
KR200179105Y1 (ko) * 1997-08-13 2000-05-01 윤대진 배수구 위치가 가변되는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974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8235A (zh) 废水出口
KR101902493B1 (ko) 배수트랩
KR102191917B1 (ko)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US20060180205A1 (en) Drain valve for freight container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101756930B1 (ko) 바닥배수구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JP3856120B2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トラップ
KR101778234B1 (ko) 소제 싱크용 가변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449978Y1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JP2006090040A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用フロート
KR20210042467A (ko) 자동 악취차단 및 해충 등의 유입에 방지 기능을 지니는 배수조
KR102100831B1 (ko) 우오수받이 장치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102355060B1 (ko)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TW202012748A (zh) 多功能地板排水器
KR102654382B1 (ko) 부력을 이용한 트렌치 개폐장치
KR100367229B1 (ko) 수세식 변기의 보조 급수조
CN109356267A (zh) 一种可变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