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15B1 -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15B1
KR102191715B1 KR1020180085979A KR20180085979A KR102191715B1 KR 102191715 B1 KR102191715 B1 KR 102191715B1 KR 1020180085979 A KR1020180085979 A KR 1020180085979A KR 20180085979 A KR20180085979 A KR 20180085979A KR 102191715 B1 KR102191715 B1 KR 10219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automatic
wet
pouch
we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1177A (en
Inventor
조범석
Original Assignee
조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범석 filed Critical 조범석
Priority to KR102018008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1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Automatic devices with doors or lids activated by the animals to access feeding place or troug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사료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파우치,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파우치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파우치로부터 상기 습식사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반려인이 외출한 경우에도 반려동물 스스로 급여 가능하고, 반려인이 원하는 시점이 아닌 반려동물이 원하는 시점에 사료 섭취가 가능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uch in which wet food is stored and discharged, a sensor that detects the behavior of a companion animal,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ouch,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or so that the wet food is discharged from the pouch Provides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that enables companion animals to feed themselves even when the companion is out, including a device, and ingests feed at the time the companion wants, not when the companion wants, and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can do.

Description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반려인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system capable of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to eat wet food by itself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companion animal.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 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and these do not necessarily mean known art.

최근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반려동물을 키우는 연령대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로 인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며, 실제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Recently, it is estimated that the population raising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nd the age range for raising companion animals is also found to be diverse. This phenomenon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raising companion animal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the actual companion animal-related industry is also showing a rapid growth trend.

과거와는 달리 반려동물을 더 이상 가축이 아닌 가족으로 대하는 이들이 늘어나다보니 반려동물을 겨냥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이용한 서비스도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이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Unlike in the past, as more and more people treat companion animals as family members, not as livestock, servic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imed at companion animals are continuously pouring out. In particular,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s using smartphones are emerging as a major concern.

한편,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집을 비우는 경우 반려동물의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companion animals spend a lot of time outside like other people, so when they leave the house, various problems arise in the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특히, 외출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에는 먹이의 공급이 문제가 되며, 이로 인해 유료인 수탁시설 등에 반려동물을 수탁하기도 하나 각 반려동물 마다 식성이나 식사의 습성 등이 다르므로 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f you are out of the house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going out or on vacation, the supply of food becomes a problem, and for this reason, pets may be entrusted to paid consignment facilities, but each pet has different dietary habits and dietary habit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nd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capable of allowing a companion animal to eat wet food on its own and allowing a user to remotely control it.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사료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파우치가 장착되는 장착부; 반려동물의 습식사료 배출요청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파우치의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습식사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portion in which a pouch for storing and discharging wet feed is mounte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request for discharging wet food from a companion animal; And a supply unit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pouch so that the wet foo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파우치는 습식사료가 담기는 내부 공간의 부피가 가변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습식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파우트(spout)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u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of a spout including a body in which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containing the wet food is variable, and an outle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discharge the wet food.

또한 상기 공급부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파라미터(P)가 0.05 내지 0.8 범위 내이도록 습식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l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lies the wet feed so that the parameter (P)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is within the range of 0.05 to 0.8.

[식 1][Equation 1]

Figure 112018073115156-pat00001
Figure 112018073115156-pat00001

(여기서 L.C.는 습식사료가 1cm 직경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길이가 1mm/s 의 속도로 배출 시 습식사료가 끊기는 최소 길이를 의미한다.)(Here, L.C. means the minimum length at which wet food is cut off when the wet fee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with a diameter of 1 cm when the discharged length per unit time is discharged at a rate of 1 mm/s.)

또한 상기 습식사료는 1cm 직경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길이가 1mm/s 의 속도로 배출 시 습식사료가 끊기는 최소 길이가 50mm 내지 4c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wet fee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having a diameter of 1 cm, the minimum length at which the wet feed is cut off when discharged at a rate of 1 mm/s per unit time is 50 mm to 4 cm.

또한 상기 장착부는 반려동물의 크기나 급여 자세에 따라 그 높이 조절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enable the height adjustment and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ize or feeding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상기 센서부는 반려동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contact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는 상기 장착부, 센서부 및 공급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the sensor portion and the supply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that can eat wet food by the companion animal itself;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through an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의 급여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리부; 및 상기 관리부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that can eat wet food by the companion animal itself; A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feeding information of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through an application.

또한 상기 관리부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수단 통하여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로부터 전송되는 급여 정보를 수신받고, 급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 database for storing data, and a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and receives the feed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 The sala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signal of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어수단을 통하여 상기 급여 정보를 분석하여 습식사료 공급시점 및 습식사료 섭취량을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the feed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eans to generate 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the wet feed supply time and wet feed intake amount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통한 급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hecking the feeding situation through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in real time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is installed and executed.

본 발명은 습식사료의 조성 및 점도를 조절하고, 습식사료를 저장하고 배출하는 파우치 구성 및 반려동물이 직접 제어 가능한 먹이 공급 구성을 통하여 반려인이 없더라도 반려동물 스스로 원하는 때에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mposition and viscosity of wet feed, and through a pouch configuration for storing and discharging wet feed, and a feed supply configuration that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a companion animal, a companion animal that can eat wet feed when there is no companion animal itself Automatic animal feeding machines can be provided.

또한 사용자 단말기, 무선 통신 및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반려인이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원격 제어하거나 프로그래밍화를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과식을 방지하는 등 적절한 먹이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조절 가능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user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technology, the companion animal can control the automatic pet feeder remotely or automatically control it through programming, thereby preventing the companion animal from overeating. An automatic animal feeding system can be provided.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Fig.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elow, it is understoo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imited only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all.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term "comprise, comprises, comprising" means to include the recited object, step or group of objects, and steps, and any other object It is not used in the sense of excluding a step, a group of objects, or a group of steps.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unless there is a clear opposite point. Any feature indicated to be particularly preferred or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and features indicated to be preferred or advantageou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습식사료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파우치가 장착되는 장착부(100), 반려동물의 습식사료 요청을 감지하는 센서부(200) 및 상기 파우치의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습식사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unit 100 in which a pouch for storing and discharging wet food is mounted, and a sensor unit detecting a request for wet food from a companion animal. 200 and a supply unit 300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pouch to discharge the wet feed through the outlet.

상기 장착부(100), 센서부(200) 및 공급부(300)는 그 구비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지지부(400)의 특정 위치에 지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지부(400)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개의 지지부에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 연결에 제한되지 않고 이격되어 구비되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연결 형태도 포함한다. The mounting part 100, the sensor part 200, and the supply part 300 are not limited in their form, but may be supported and provid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400, for example.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one support unit 400, and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several support units, and includes a connection type that is not limited to a wired connection and is provided at a distance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파우치는 반려동물의 먹이인 사료가 저장되고 물리적 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료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습식사료를 급여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The pouch is capable of storing feed, which is a companion animal's feed, and discharging the feed according to a physical or electrical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the pouch has a configuration for feeding wet feed.

건식사료의 경우 급여와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기존의 먹이 공급 장치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신호에 따라 일정량의 건식사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건식사료의 경우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낮고 탄수화물 함량이 높으며, 수분함량이 10% 내외로 낮아 기호성이 떨어지고 수분함량이 낮은 만큼 하부 요로계 질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dry fe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feed and store, so that the existing feed supply device discloses a device that discharges a certain amount of dry feed according to a certain time or a certain signal. However, in the case of dry feed, the protein and fat content is low, the carbohydrate content is high, the moisture content is around 10%, so palatability is low, and the moisture content is low, so it is vulnerable to diseases of the lower urinary tract.

습식사료의 경우 단백질, 지방, 미네랄, 비타민 등이 골고루 들어가 영양 균형이 잘 잡혀있고, 수분함량이 70% 이상으로 높아 기호성이 높은 것은 물론, 그 자체로 수분 섭취량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건식사료에 비하여 지방함량도 높고 개봉 후 급여가능한 기간이 짧기 때문에 자동 급여기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급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the case of wet foods, proteins, fats, minerals, vitamins, etc. are evenly contained, so the nutritional balance is well balanced, and the moisture content is over 70%, so it is not only highly palatable, but also can increase water intake by itself.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eed companion animals through an automatic feeder because the fat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dry feed and the feeding period was short after opening.

상기 파우치는 습식사료가 담기는 내부 공간의 부피가 가변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습식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파우트(spout)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uch has a spout shape including a main body in which the volume of an inner space containing the wet food is variable, and an out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wet food.

상기 장착부(100)는 파우치 내부의 습식사료가 모두 급여되는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에 구비된다. 습식사료는 상기 파우치 내에 적정량 소분되어 구비되므로 반려동물에게 항상 신선한 먹이 급여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mounting unit 100 is provided in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so that it can be replaced when all of the wet food inside the pouch is fed. Since wet food is provided in an appropriate amount in the pouch, it is always possible to feed fresh food to companion animals.

상기 습식사료는 반려동물에게 1회 공급 시 습식사료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가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습식사료를 직접 반려동물이 취식 가능하도록 한다.The wet feed has a viscosity such that the wet feed does not fall to the floor when su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once, so that the wet feed discharged from the outlet can be directly eaten by the companion animal.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습식사료는 1cm 직경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길이가 1mm/s 의 속도로 배출 시 습식사료가 끊기는 최소 길이가 50mm 내지 4cm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wet fee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having a diameter of 1 cm, the minimum length at which the wet feed is cut off when discharged at a rate of 1 mm/s per unit time is preferably used.

상기 장착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려동물의 크기나 급여 자세에 따라 그 높이 조절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반려동물의 크기가 큰 경우 장착부(100)의 높이를 높여 조절하고 반려동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 장착부(100)의 높이를 낮춰 조절가능하며, 반려동물이 고개를 그대로 하거나 숙인 자세로 급여를 원하는 경우 파우치의 배출구 방향이 반려동물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부(100)를 조절하고 고개를 든 자세로 급여를 원하는 경우 장착부(100)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 파우치의 배출구 방향이 반려동물의 머리 쪽으로 향하도록 장착부(100)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반려동물에게 다양한 자세로 먹이 급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The mounting unit 100 is provid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nd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ize or feeding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as shown in FIGS. 2 and 3. When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arge, the height of the mounting unit 100 can be increased, and when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s small, the height of the mounting unit 100 can be lowered to be adjusted,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wants to feed with its head intact or in a bowed position Adjust the mounting part 100 so that the pouch outlet direction faces the fron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when feeding is desired with the head raised, the pouch outlet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companion animal's head while the height of the mounting part 100 is raised. By adjusting the mounting portion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feed the companion animals of various sizes in various postures.

상기 센서부(200)는 반려동물의 급여 요청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특히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짓기, 핥기, 비비기, 누르기, 물기, 꼬리 흔들기, 접근 등의 행동을 감지하여 먹이 요청에 관련된 행동으로 지정된 경우에 공급부(300)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여 공급부(300)가 작동하도록 한다. The sensor unit 200 is a device that detects a feed request signal of a companion animal, and in particular, including a device that detects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s actions such as building, licking, rubbing, pressing, biting, tail shaking, and approaching. When an action related to a food request is designated,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pply unit 300 so that the supply unit 300 operates.

상기 센서부(200)는 짖기와 울기를 감지하는 보이스감응센서, 핥기와 물기를 감지하는 토크센서, 누르기와 비비기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및 자이로센서, 꼬리 흔들기를 감지하는 모션센서 및 마킹을 이용한 센서 긁기와 누르기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초음파센서, 바라보기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와 근접센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voice-sensitive sensor that detects barking and crying, a torque sensor that detects lick and bite, a touch sensor and a gyro sensor that detects pressing and rubbing, a motion sensor that detects tail shaking, and a sensor using mark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ensor selected from a pressure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for sensing scratching and pressing, a displacement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viewing.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누르기 행동을 먹이 요청 행동으로 지정한 경우, 터치센서나 압력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누르기 행동이 감지되면 연결된 공급부(300)로 신호를 전송하여 파우치 내의 습식사료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et's pressing behavior is designated as the food request behavior, when the pet's pressing behavior is detected through a touch sensor or a pressure sensor,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supply unit 300 so that the wet food in the pouch is discharged. I can.

상기와 같은 반려동물의 행동 중 어느 행동에 대하여 먹이 요청 행동으로 인식하고 급여할 것인지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직접 지정하거나 반려동물이 어떤 행동을 하는 경우 먹이를 요청하는 것인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Which of the behaviors of the companion animal as described above is recognized as a food request behavior and whether to be fed is directly design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request for food when the companion animal performs any behavior. Can be specified.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파우치의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습식사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The supply unit 300 is a device that reduces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pouch so that the wet foo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부(300)는 스텝모터로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파우치의 끝단이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축과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먹이 공급 신호가 발생할 경우 회전축과 함께 파우치 끝단이 말려 본체 내부공간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습식사료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회전시켜야할 스텝의 수(회전 각도), 회전 방향 및 회전속도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eferably, the supply unit 300 is a step motor, and as shown in FIG. 4, the end of the pouch is provided so that the end of the pouch can be fix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tep motor.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wet feed can be released. In the case of using a step motor,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trol the number of steps to be rotated (rotation angl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상기 공급부(300)는 그 높이 조절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반려동물의 크기나 급여 자세에 따라 파우치 내의 습식사료가 적절한 양으로 자동 배출되도록 한다. The supply unit 300 is provided so as to adjust the height and direction thereof so that the wet food in the pouch is automatically discharged in an appropriate amount according to the size or feeding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공급부(300)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파라미터(P)가 0.05 내지 0.8 범위 내이도록 습식사료를 공급한다. 여기서 L.C.는 습식사료가 1cm 직경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길이가 1mm/s 의 속도로 배출 시 습식사료가 끊기는 최소 길이를 의미한다.The supply unit 300 supplies wet feed so that the parameter P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is within the range of 0.05 to 0.8. Here, L.C. means the minimum length at which wet feed is cut off when discharged at a rate of 1mm/s per unit time when wet feed is discharged through a 1cm diameter outlet.

[식 1][Equation 1]

Figure 112018073115156-pat00002
Figure 112018073115156-pat00002

상기 센서부(200)와 공급부(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and the supply unit 300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exchange signals. The network is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added network (VA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LAN. Wireless LAN), Bluetooth,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can be implemented in all types of wireless networks.

상기 지지부(400)에는 상기 파우치로부터 배출되었으나 반려동물이 섭취하지 않은 습식사료가 모이는 받침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410)는 무게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의 습식사료가 섭취되지 않았는지 등의 급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400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410 through which wet food discharged from the pouch but not consumed by a companion animal is collected. The support part 410 may generate feeding information, such as how much wet food has not been consumed, including a weight measuring means.

상기 받침부(41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가림판을 구비하여 떨어진 습식사료를 반려동물이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림판은 받침부(410)에 습식사료가 떨어지면 하단의 가림판에서 상단의 가림판 순서로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part 4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creening plate to prevent a companion animal from ingesting the wet food. The screening plate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losed in the order of the lower screening plate to the upper screening plate when wet food falls on the support part 410.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는 후술할 관리부(2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와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장착부, 센서부 및 공급부를 제어가능한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를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1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50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with a management unit 20 or a user terminal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trolling the mounting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supply unit.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trol the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10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제어부(50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장착부, 센서부 및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장착부(100) 및 공급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수단을 포함하여 급여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unting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supply unit, and the mounting unit ( 100) and the supply unit 300 may be drive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store salary information, etc., including a database means for storing data.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1)은 도 6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 및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and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capable of eating wet food by themselves, as shown in FIG. 6. ), and a user terminal 30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through an application.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는 상기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통신이 가능하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급여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The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10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with the user terminal 30 including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it can transmit salar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 control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1)은 도 7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의 급여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리부(20) 및 상기 관리부(2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capable of eating wet food by themselves as shown in FIG. 7, and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 10) and a user terminal 30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payment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unit 20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20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through an application. .

상기 관리부(2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수단를 포함한다. The management unit 20 includes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database means for storing data, and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상기 관리부(20)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로부터 전송되는 급여 정보를 수신받고, 이러한 급여 정보 및 처리수단에서 생성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수신받은 제어 신호를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에 송신하여 공급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한다. The management unit 20 receives the sala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and transmits the salary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ing means to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user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30. In additi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so that the supply unit 300 can be driven.

상기 관리부(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상기 급여 정보 및 제어 신호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급여 정보는 상기 센서부(200)에 어떤 종류의 반려동물 행동이 감지되었는지, 얼마 만큼의 주기로 공급부(300)가 작동되었는지, 공급된 습식사료의 양 및 공급되었지만 섭취되지 않은 습식사료의 양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he management unit 20 stores the salary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 related information in the database means. The feeding information includes what kind of companion animal behavior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00, how often the supply unit 300 is operated, the amount of supplied wet food and the amount of supplied but not consumed wet food, etc. Includes information.

상기 관리부(20)는 상기 처리수단을 통하여 상기 급여 정보를 분석하여 습식사료 공급시점, 습식사료 섭취량 및 반려동물의 어떤 행동이 사료 배출을 요구하는 행동인지에 대한 행동 패턴 파악 등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The management unit 20 analyzes the feeding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ing means to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understanding the behavior pattern of when the wet feed is supplied, the amount of wet feed intake, and which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is an action requiring feed discharge. .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30)가 나열한 바와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부(20) 또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의 제어부(500)와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급여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be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a smart camera, a smart TV, and a wearable computer. However, the user terminal 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terminal as listed,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of the management unit 20 or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through a network. It can transmit and receive, and if the payroller control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it can perform the role of the user terminal 30 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specific type of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서의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d network or 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It can be implemented with all type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LAN, Bluetooth,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는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를 통한 급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실행된다.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and checking the feeding situation through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in real time is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30 .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관리부(20) 또는 제어부(500)로부터 급여 정보를 송신받아 원격으로도 반려동물의 급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어떤 행동이 감지된 후 습식사료를 섭취하는지, 얼마만큼의 시간 간격으로 습식사료를 섭취하는지 등에 대한 급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the feeding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checked remotely by receiving feeding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20 or the control unit 5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ee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consumes wet food after any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and how much time interval the companion animal consumes wet food.

또한 상기 관리부(20)로부터 분석 정보를 송신받아 반려동물의 섭취 패턴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급여 정보 및 분석 정보를 통하여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1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eceiving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20, information on the intake pattern of companion animals can be obtained,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10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feeding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have.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과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회 공급장치 작동 후 다음 공급장치가 작동 가능한 최소 시간을 설정하거나 반려동물이 지나치게 사료 섭취를 하지 않거나 스스로 먹이 요청을 하지 않는 경우 주기적으로 공급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overeating, the minimum time that the next feeder can operate after one feeder is operated, or if the pet does not consume too much feed or does not request food by itself, the feeder periodically Can be set to work.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을 통하여 반려인이 외출한 경우에도 반려동물 스스로 급여 가능하고, 반려인이 원하는 시점이 아닌 반려동물이 원하는 시점에 사료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통하여 습식사료를 자동급여가 가능하며 파우치 교체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사료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nd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eed the companion animal by itself even when the companion goes out, and feed intake is possible at the time the companion animal wants rather than the time the companion wants. Provides an effe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eed wet food through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y providing the pouch in the form of replacement,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poilage of the feed.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10: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100: 장착부
200: 센서부
300: 공급부
400: 지지부
500: 제어부
20: 관리부
30: 사용자 단말기
1: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system
10: Automatic pet feeding machine
100: mounting part
200: sensor unit
300: supply
400: support
500: control unit
20: Management Department
30: user terminal

Claims (12)

습식사료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파우치가 장착되는 장착부;
반려동물의 습식사료 배출요청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파우치의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습식사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되, 반려동물의 크기와 급여 자세에 따라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상기 파우치 내의 습식사료를 적절한 양으로 배출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A mounting portion to which a pouch from which wet food is stored and discharged is mounte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request for discharging wet food from a companion animal; And
A supply unit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wet food in the pouch in an appropriate amount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pouch and discharging the wet food through the outlet, but by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feeding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습식사료가 담기는 내부 공간의 부피가 가변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습식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파우트(spout) 형태를 갖고,
상기 공급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기 파우치 끝단이 고정되어, 반려 동물로부터 먹이 공급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상기 파우치 끝단이 말려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습식사료를 배출시키도록 회전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uch,
The body with variabl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containing wet food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s a spout shape including an outlet through which wet food is discharged,
The supply unit,
The axis of rotation,
The pouch end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when a food supply signal is generated from a companion animal, the pouch end is roll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step motor rotates to discharge wet food. Automatic pet fee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파라미터(P)가 0.05 내지 0.8 범위 내이도록 습식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식 1]
Figure 112018073115156-pat00003

(여기서 L.C.는 습식사료가 1cm 직경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길이가 1mm/s 의 속도로 배출 시 습식사료가 끊기는 최소 길이를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ly unit is an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the wet feed so that the parameter (P)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is within the range of 0.05 to 0.8.
[Equation 1]
Figure 112018073115156-pat00003

(Here, LC refers to the minimum length at which wet feed is cut off when discharged at a rate of 1mm/s per unit time when wet fee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with a diameter of 1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사료는 1cm 직경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길이가 1mm/s 의 속도로 배출 시 습식사료가 끊기는 최소 길이가 50mm 내지 4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wet fee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with a diameter of 1 cm, the minimum length at which the wet feed is cut off when discharged at a rate of 1 mm/s per unit time is 50 mm to 4 c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반려동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The method of claim 1,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comprises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contact of the companion ani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는 상기 장착부, 센서부 및 공급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art supported by the mounting part, the sensor part, and the supply part.
삭제delete 반려동물 스스로 습식사료를 먹을 수 있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의 급여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리부; 및 상기 관리부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는 습식사료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파우치가 장착되는 장착부, 반려동물의 습식사료 배출요청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파우치의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습식사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되, 반려동물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높이 조절 및 방향 조절이 되어, 반려동물의 크기나 급여 자세에 따라 상기 파우치 내의 습식사료를 적절한 양으로 자동으로 배출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로부터 전송되는 급여 정보를 수신받고, 급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that can eat wet food on its own;
A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feeding information of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through an application,
The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pouch for storing and discharging wet foo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request for discharging wet food from the companion animal, an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pouch, the wet foo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ut the height and direction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so that the wet food in the pouch depends on the size or feeding posture of the companion animal. Including a supply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appropriate amount,
The management unit include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and the supply unit,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 database for storing data, and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Companion animal,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sala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ing machi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transmitting the salar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s control signal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utomatic payroll system.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어수단을 통하여 상기 급여 정보를 분석하여 습식사료 공급시점 및 습식사료 섭취량을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management unit analyzes the feed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eans, generates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a wet feed supply time and an amount of wet feed intake, and transmits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통한 급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terminal checks the feeding situation through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in real time, and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companion animal feeder is installed and executed.
KR1020180085979A 2018-07-24 2018-07-24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KR102191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79A KR102191715B1 (en) 2018-07-24 2018-07-24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79A KR102191715B1 (en) 2018-07-24 2018-07-24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77A KR20200011177A (en) 2020-02-03
KR102191715B1 true KR102191715B1 (en) 2020-12-16

Family

ID=6962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79A KR102191715B1 (en) 2018-07-24 2018-07-24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7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33B1 (en) 2021-01-29 2021-09-02 류은영 Food reward play device for auditory trai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2146A1 (en) * 2011-11-03 2013-05-09 Matthew T. Johnson Pet feeder system for a handicapped pet owner
KR101756360B1 (en) * 2014-12-31 2017-07-11 홍상민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885B1 (en) * 2013-12-05 2015-09-18 홍상민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pet
KR20160005456A (en) * 2014-07-07 2016-01-15 배보현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feed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animal
US9232769B1 (en) * 2014-08-29 2016-01-12 Alan Neil Wolf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wet pet fo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2146A1 (en) * 2011-11-03 2013-05-09 Matthew T. Johnson Pet feeder system for a handicapped pet owner
KR101756360B1 (en) * 2014-12-31 2017-07-11 홍상민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33B1 (en) 2021-01-29 2021-09-02 류은영 Food reward play device for auditory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77A (en)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706B1 (en) Companion animal automatic feeder system based on feed quantity measurement
KR101756360B1 (en)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798917B2 (en) Farm system
US6615764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eed to an animal in a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US8555812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ground-based game feeder, varmint guard, tray and skirt assembly and quail feeder
US200502843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feeding animals
US20160286755A1 (en) Pet health and lif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having self-learning capability
KR101815496B1 (en) Defecation training device for pets and defec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pets comprising the same
KR102114780B1 (en) Auto feeding device using ICT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GB2454658A (en) Automatic pet feeder
EP1300074A2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eed to an animal in a predetermined period
US10314290B2 (en) Feeding station for farm animals, in particular for pigs
KR101402732B1 (en)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KR102191715B1 (en) Auto feed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KR20140110739A (en) Individual Feeding Preference Based Multi-Pet Feeding Automation System
EP369571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AU2002301290B2 (en) An assembly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n amount of feed to a dairy animal in a predetermined period
KR20160058581A (en) Feeder system for pet
KR102261887B1 (en) Food feeder and food feeding system for pets health care
KR101752399B1 (en) System for business administration of livestock pens
CN107593497B (en) Intelligent pet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tion monitoring
US20210161098A1 (en) Animal Feeder with Selective Access Controlled by Image Recognition
KR102408059B1 (en) Internet-based companion animal remote health management and automatic feeding system
CN108077097B (en) Working method of remote intelligent control circuit for animal feeding
EP1527680A2 (en)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to an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