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696B1 -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696B1
KR102191696B1 KR1020200060709A KR20200060709A KR102191696B1 KR 102191696 B1 KR102191696 B1 KR 102191696B1 KR 1020200060709 A KR1020200060709 A KR 1020200060709A KR 20200060709 A KR20200060709 A KR 20200060709A KR 102191696 B1 KR102191696 B1 KR 10219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tank
pipe
point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두레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레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두레환경건설
Priority to KR102020006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여과조에 구비된 여재에 부착된 소정 오염물질을 산기관을 이용한 고압의 공기주입 작업을 통해 탈리시킨 후 탈리된 오염물질은 흡입관을 이용한 석션 작업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그 하단에 연통홀이 형성된 측벽을 매개로 분리된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수조에 적용되되, 상기 침전조의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에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의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에는 유출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매트 형태의 여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제공되며, 상기 여과조의 바닥부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상기 여재 측으로 방출하여 여재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는 일정 길이의 산기관 단부 측이 설치되고, 상기 산기관 단부 측과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산기관을 매개로 탈리된 오염물질을 외부로부터의 흡입력을 통해 배출시켜 제거하는 일정 길이의 흡입관 단부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USING DIFFUSER}
본 발명은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여과조의 여재에 임의로 부착된 소정 오염물질을 산기관을 이용하여 탈리시킨 후 흡입관을 매개로 외부로 배출시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질오염원은 대략 점오염원(點汚染源) 및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 분류된다.
상기 점오염원은 주로 일반가정이나 영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하는 산업폐수, 대단위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비교적 용이한데 비하여, 상기 비점오염원은 불특정지역의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어려운 특징을 갖는다.
상기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에 비해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점오염물질은 우천시 초기 우수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농도를 보이는 특징이 있으므로, 초기 발생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실정이다.
종래,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로는, 수평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을 설치하고 각종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여재층을 통과시켜 오염원을 제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 모래,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여재층를 형성한 후 우수를 상부에서 하부로 여재층을 통과시키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여재층을 통과시켜 유출 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사용시간이 경과함과 비례하여 오염물질이 여재층에 임의의 부착되면서 오염물질 제거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여재층의 수명이 단축되면서 장치 운용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272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49179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30007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여과조에 구비된 여재에 부착된 소정 오염물질을 산기관을 이용한 고압의 공기주입 작업을 통해 탈리시킨 후 탈리된 오염물질은 흡입관을 이용한 석션 작업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그 하단에 연통홀이 형성된 격벽을 매개로 분리된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수조에 적용되되, 상기 침전조의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에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의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에는 유출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매트 형태의 여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제공되며, 상기 여과조의 바닥부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상기 여재 측으로 방출하여 여재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는 일정 길이의 산기관 단부 측이 설치되고, 상기 산기관 단부 측과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산기관을 매개로 탈리된 오염물질을 외부로부터의 흡입력을 통해 배출시켜 제거하는 일정 길이의 흡입관 단부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기관은 "┗━" 형상을 갖는 일정 직경의 배관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맨홀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수조의 일측 내벽 및 바닥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여재의 하부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디스크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관은 "┗" 형상을 갖는 일정 직경의 배관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맨홀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수조의 일측 내벽 및 바닥면을 따라 설치되며, 그 하단은 확장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격벽의 연통홀과 인접한 침전조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관의 상단에는 일반 청소용 차량의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80밀리미터[mm] 직경의 커플링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조의 바닥면에는 상기 격벽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도록 버플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통한 오염수의 처리과정에서, 여과조의 여재에 흡착된 소정 오염물질을 산기관을 이용한 고압의 공기주입 작업을 통해 탈리시킨 후 탈리된 저니를 흡입관을 이용한 석션 작업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적용되는 여재의 여과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여재의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되며, 또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적용되는 여재의 사용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여과조에 구비되어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재에 임의로 부착된 비점오염물질을 산기관 및 흡입관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비점오염물질이 상당량 포함된 초기 강우 등을 비롯한 각종 오염수를 집수한 후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정 장소의 지하 등에 매립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우수 등을 집수하여 하수관거 측으로 배출하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즉 도로나 광장, 건설현장, 농경지 배수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수가 유입 저장되는 침전조(10) 및, 상기 침전조(10)와 연통되어 상기 침전조(10)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여재(34)를 매개로 흡착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유입관(12)이 구비된 침전조(10) 및 유출관(32)이 구비된 여과조(30)는 소정 여과 수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침전조(10) 및 여과조(30)가 격벽(20)을 매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침전조(10)의 측벽에는 침전조 내부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관(12)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12)의 하측에는 상기 오염수에 포함되어 유입되는 낙엽이나 돌맹이, 각종 쓰레기를 비롯한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포집하도록 망구조로 이루어진 포집망(14)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침전조(10)의 포집망(14) 상측에 해당하는 천장부에는 외부와의 연통을 위한 맨홀이 형성된 후 맨홀커버(16)로 마감된다.
상기 침전조(10) 바닥부의 격벽(2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흙이나 모래, 돌조각 등의 침전물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버플(18)이 단턱형태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여과조(30)는 상기 침전조(10)와 격벽(20)을 매개로 분리 형성되되, 상기 격벽(20) 하단에는 연통홀(22)이 형성되어, 상기 침전조(10) 측으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여과조(3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조(30)의 측벽에는 오염수에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관(3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침전조(10) 측의 유입관(12)은 대략 300밀리미터[mm]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조(30) 측의 유출관(32)은 대략 400밀리미터[mm]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유입관(12)의 하측부분 높이가 상기 유출관(32)의 중심축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조(30)의 바닥면과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의 수평면적 전체에 걸쳐서는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후 상측의 유출관(32) 측으로 배출되도록 작용하는 여재(34)가 매트형태를 이루면서 다층으로 적층 설치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여재(34)로는 매트형태로 이루어진 한 개 이상의 세라믹여재(34a) 상부에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매트형태로 이루어진 한 개 이상의 제올라이트여재(34b)가 적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에 펄라이트여재나 활성탄여재를 비롯한 다양한 여재가 해당 장치의 설치환경에 맞춰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매트형태의 여재(34)는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재의 설치 및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음은 물론, 해당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설치환경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되는 매트형태의 여재(34)에 구비되는 흡착제를 최적의 조건에 맞춰 적용시킴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유출관(32)과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상기 여과조(30) 내벽면을 따라서는 웨이어(38)가 형성되어 제공되는데, 상기 웨이어(38)를 통해 물의 흐름이 안정되게 분산되면서 처리수가 상기 유출관(32) 측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웨이어(38)를 통해 하상저니의 오염물질 등이 처리수와 같이 임의로 흘러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게 된다.
참조부호 36은 상기 여과조(30)의 천장에 형성된 맨홀을 마감하는 맨홀커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침전조(10) 및 여과조(30)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내에는 오염수의 처리과정에서 상기 여재(34)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산기관(40) 및 흡입관(5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산기관(40)은 대략 32밀리미터[mm] 직경을 갖는 배관으로,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수조 내에 설치되되, 그 상단이 상기 침전조(10)의 맨홀 측에 위치하여 해당 산기관(40)의 상단에 구비된 동일한 치수의 직경을 갖는 커플링(42)을 통해 외부 공기주입장치(도시안됨)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산기관(40)의 수직부분은 상기 침전조(10)의 내벽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산기관(40)의 수평부분은 상기 격벽(20)의 연통홀(22)을 관통하면서 상기 침전조(10) 및 여과조(30)의 바닥면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조(30)의 여재(34)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산기관(40)에는 다수 개의 디스크(44)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산기관(40)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고압의 공기가 대략 원판형상을 갖는 상기 디스크(44)를 매개로 여재(34) 측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방출되면서 상기 여재(34)에 흡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관(50)은 대략 65밀리미터[mm] 직경을 갖는 배관으로,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수조 내에 설치되되, 그 직경이 80밀리미터[mm] 규격을 갖는 커플링이 구비된 상단이 상기 침전조(10)의 맨홀 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산기관(40)과 나란한 형태로 설치되며, 그 단부는 상기 격벽(20)의 연통홀(22)과 인접한 침전조(10)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50)의 커플링(52)에는 공지의 외부 청소용 차량 등이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청소용 차량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강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산기관(40)을 통해 여재(34)로부터 탈리되어 믹싱된 저니가 상기 흡입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관(50)의 단부에는 저니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대략 깔때기 형상을 갖는 확장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가 도로나 공사현장, 농경지의 수로 등을 비롯한 특정 장소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장소의 오염수는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12)을 통해 침전조(10) 및 여과조(30)를 포함하는 수조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염수와 함께 유입되는 일정 부피 이상의 각종 협잡물은 상기 유입관(12)의 하측에 그물형태로 제공되는 포집망(14)을 통해 1차적으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수조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돌조각이나 모래 등은 상기 침전조(10)의 바닥부에 일정 량이 침전됨과 아울러, 상기 오염수는 상기 격벽(20) 하부에 형성된 연통홀(22)을 통해 상기 여과조(30) 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입관(12)을 통한 오염수의 연속적인 유입에 따라, 상기 침전조(10) 및 여과조(30)의 오염수 수위는 동시에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그 높이가 일정 수위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여과조(30) 일측의 유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10)로부터 연통홀(22)을 통해 여과조(30) 측으로 이동된 오염수의 수위 상승 시에는 상기 여과조(30)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층을 이루도록 수평 설치된 매트형태의 여재(34)를 매개로 오염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된 후, 상기 유출관(32)을 통해 수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통한 오염수의 처리가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여과조(30)에 구비된 매트형태의 여재(34)에 중금속을 비롯한 각종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흡착된 경우, 상기 산기관(40) 및 흡입관(50)을 매개로 상기 여재(34)에 흡착된 비점오염물질을 수조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침전조(10) 천장부에 구비된 맨홀커버(12)를 개방한 후, 상기 산기관(40)의 상단에 구비된 커플링(42)에 콤프레셔 등의 외부 공기주입장치를 연결 및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산기관(40) 내로 주입되는 강한 압력의 외부공기는 상기 여과조(30)의 여재(34) 하부에 구비된 다수 개의 산기관 디스크(44)를 통해 방출되게 되며, 이에 상기 여재(34)에 흡착된 각종 오염물질의 탈리가 이루어져 여과조(30) 바닥면에 슬러지 형태로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50) 상단의 커플링(52)에는 외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청소용 차량 등을 연결하여 상기 흡입관(50) 내에 소정 흡입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여재(34)로부터 탈리된 슬러지 형태의 저니는 상기 연통홀(22)과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는 흡입관(50)의 단부를 통해 흡입되면서 수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통한 오염수의 처리 시 상기 제올라이트여재(34b) 및 세라믹여재(34a)에 흡착된 각종 오염물질은 상기 산기관(40)을 통한 폭기 및 흡입관(50)을 통한 석션 작업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가 있게 되며, 이에 상기 여재(34)는 처음과 같은 여과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그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침전조, 12: 유입관,
14: 포집망, 16,36: 맨홀커버,
18: 버플, 20: 격벽,
22: 연통홀, 30: 여과조,
32: 유출관, 34: 여재,
38: 웨이어(weir), 40: 산기관,
42,52: 커플링, 44: 디스크(disk),
50: 흡입관, 54: 확장부,
100: 비점오염 저감장치(수조).

Claims (5)

  1. 그 하단에 연통홀이 형성된 격벽을 매개로 분리된 침전조 및 여과조를 포함하는 수조에 적용되되, 상기 침전조의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에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의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에는 유출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매트 형태의 여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제공되며, 상기 여과조의 바닥부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상기 여재 측으로 방출하여 여재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는 일정 길이의 산기관 단부 측이 설치되고, 상기 산기관 단부 측과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산기관을 매개로 탈리된 오염물질을 외부로부터의 흡입력을 통해 배출시켜 제거하는 일정 길이의 흡입관 단부가 설치되어 구성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 형상을 갖는 일정 직경의 배관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맨홀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수조의 일측 내벽 및 바닥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여재의 하부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원판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디스크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고압의 공기가 넓은 면적에 걸쳐 방출되면서 상기 여재에 흡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은 "┗" 형상을 갖는 일정 직경의 배관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맨홀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수조의 일측 내벽 및 바닥면을 따라 상기 산기관과 나란한 형태로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저니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깔때기 형상의 확장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격벽의 연통홀과 인접한 침전조 바닥면에 위치되며;
    상기 침전조 측벽에 설치되는 유입관의 외주면 하측부분 높이는 상기 여과조 측벽에 설치되는 유출관의 중심축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유출관과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상기 여과조 내벽면을 따라서는 웨이어가 형성되어 제공되고;
    상기 여재로는 매트형태로 이루어진 한 개 이상의 세라믹여재 상부에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매트형태로 이루어진 한 개 이상의 제올라이트여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매트형태의 여재는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면에는 상기 격벽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도록 버플이 단턱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상단에는 일반 청소용 차량의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80밀리미터[mm] 직경의 커플링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삭제
KR1020200060709A 2020-05-21 2020-05-21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19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09A KR102191696B1 (ko) 2020-05-21 2020-05-21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09A KR102191696B1 (ko) 2020-05-21 2020-05-21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696B1 true KR102191696B1 (ko) 2020-12-16

Family

ID=7404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09A KR102191696B1 (ko) 2020-05-21 2020-05-21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6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92B1 (ko) * 2006-07-21 2007-05-04 삼창기업 주식회사 오폐수처리장용 침강유도기 및 이를 이용한 침사물 제거 장치
KR101053674B1 (ko) * 2010-09-29 2011-08-08 송원숙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49179B1 (ko) 2010-08-06 2013-04-03 주식회사 에코포인트 제한된 공간에 설치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300070B1 (ko)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55448B1 (ko) * 2013-09-30 2014-01-28 김정호 우수 처리장치
KR20140112728A (ko) 2013-03-14 2014-09-24 조규선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92B1 (ko) * 2006-07-21 2007-05-04 삼창기업 주식회사 오폐수처리장용 침강유도기 및 이를 이용한 침사물 제거 장치
KR101249179B1 (ko) 2010-08-06 2013-04-03 주식회사 에코포인트 제한된 공간에 설치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053674B1 (ko) * 2010-09-29 2011-08-08 송원숙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00070B1 (ko)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40112728A (ko) 2013-03-14 2014-09-24 조규선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스템
KR101355448B1 (ko) * 2013-09-30 2014-01-28 김정호 우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US8771515B2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203610B2 (ja) 暴風雨水流の処理装置並びに方法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US7517450B2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d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010048B1 (ko) 우수 처리 장치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0794491B1 (ko) 비점오염 부하저감용 우수배수 재이용시스템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554029B1 (ko) 무동력 사이펀 연결관로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WO2006121268A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137443B1 (ko)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140112728A (ko)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스템
KR102191696B1 (ko) 산기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00131225A (ko) 우수 정화장치
KR100719944B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