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579B1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579B1
KR102191579B1 KR1020190125737A KR20190125737A KR102191579B1 KR 102191579 B1 KR102191579 B1 KR 102191579B1 KR 1020190125737 A KR1020190125737 A KR 1020190125737A KR 20190125737 A KR20190125737 A KR 20190125737A KR 102191579 B1 KR102191579 B1 KR 10219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ensory
information
sensory stimul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8282A (en
Inventor
정천기
김준식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58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1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in a subliminal way, i.e. below the threshold of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Abstract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에 있어서,(a)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인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제1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며,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1 뇌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기설정된 필터에 의해 변조된 제2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2 뇌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제2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를 조절하여 제3 감각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이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I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tient's brain network, (a) when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inpu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that induces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is obtained by analyzing the data to obtain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an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It is presented to the patient and measures a first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us is presented, and analyzes the first brain signal to provid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in signal. Obtaining; (b)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presents to the patient a second sensory stimulation modulated by a filter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preset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easures a second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the present state, analyzes the second brain signal to obtain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in signal, and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Acquiring information on whether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And (c) whe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acquire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adjusts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to provide a third sensation. Disclosed 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rising: supporting the patient to be repeatedly presented with sensory stimuli that cause stress disorder.

Description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method and device through brain network analysis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

본 발명은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brain network analysi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즉 PTSD는 사고나 폭력, 재해와 같은 외상 또는 특별한 감각 자극에 대한 기억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 질환이며, 현대 사회에서 많은 수의 사람들이 해당 장애를 갖고 있다. 지금까지, PTSD에 대한 예방 및 진단을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는데, 이를 체계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은 많이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r PTSD, is a mental disorder caused by memories of trauma or special sensory stimuli such as accidents, violence, and disasters,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have the disorder. Until now, research on technology for prevention and diagnosis of PTSD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but technology for systematically improving it has not been much studied.

PTSD 의 개선을 위한 기술 중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은 약물 치료이다. 다만, 약물 치료의 경우, 약물이 뇌의 특정 영역만을 억제/증가시키지 못하므로 뇌의 다른 부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크나큰 단점이 있다. Among the techniques for improving PTSD, the most studied is drug therapy. However, in the case of drug treatment, there is a significant disadvantage in that the drug cannot inhibit/increase only a specific area of the brain, and thus may affect other areas of the brain.

그 외의 치료 기술 중 인지치료 또는 노출치료 등은, 환자의 현재 정신 상태를 가시적,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없고,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자극을 계속해서 환자에게 상기시키므로 환자가 치료 과정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Among other treatment technologies, cognitive therapy or exposure therapy cannot visually and quantitatively grasp the patient's current mental state, and continuously reminds the patient of stimuli that may cause the patient to experience stress. There is a drawback of being able to receive it.

이에 최근 뇌 네트워크를 활용한 PTSD 진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한 PTSD 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상태이다.Accordingly, a PTSD diagnosis technology using a brain network has been recently developed, but research 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TSD using the same is still insufficient.

따라서, 환자의 뇌 네트워크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장애를 일으키는 뇌 상태를 파악하고, 부작용 없이 환자가 PTSD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atient's brain network to determine a brain condi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and for a patient to overcome PTSD without side effects.

선행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4606호(2019.06.28)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074606 (2019.06.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뇌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해당 감각 자극의 정도를 환자가 직접 조절하여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a brain network for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n a patient, and allow the patient to directly control the degree of the sensory stimulation to overcome the stress disorder.

또한, 본 발명은, 변조된 장애 유발 감각 자극을 사용하여 환자가 2차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patient from receiving secondary stress by using a modulated impaired sensory sti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뇌 네트워크를 파악함으로써 가시적, 정량적으로 환자의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작용 없이 환자가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ly and quantitatively diagnose a patient's stress disorder by grasping the patient's brain network, and to enable the patient to overcome the stress disorder without side effects based on thi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realizing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인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제1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며,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1 뇌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기설정된 필터에 의해 변조된 제2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2 뇌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제2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를 조절하여 제3 감각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이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a) when information about a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inpu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comprises: Analyzes information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patient to obtain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and a sensation that causes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in respons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Presenting a first sensory stimulus as a stimulus to the patient, measuring a first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us is presented, and analyzing the first brain signal to determine the first brain signal. Acquiring corresponding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b)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presents to the patient a second sensory stimulation modulated by a filter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preset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easures a second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the present state, analyzes the second brain signal to obtain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in signal, and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Acquiring information on whether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And (c) whe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acquire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adjusts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to provide a third sensation. Disclosed is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rising: supporting sensory stimuli that cause stress disorder to be repeatedly presented to the patient.

일례로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i)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장치를 종료시키고, (ii)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상기 기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변조된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2 감각 자극보다 변조된 정도가 감소된 제4 감각 자극이 상기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step (c), when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quire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not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wherei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comprises: (i)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imilar to, the device is terminated, and (ii)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not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it is modulated using the preset filter of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Disclosed is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comprising supporting a fourth sensory stimulus with a reduced degree of modulation compared to the second sensory stimulus to be presented to the patient by reducing the degree.

일례로서,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감각 자극 각각으로 인하여 상기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점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includes score information obtained by scoring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due to each of the sensory stimulations corresponding to each sensory stimula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tress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점수 정보가 상위 n 개의 고득점 정보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득점 감각 자극을 변조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은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step (b),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modulates at least one high-score sensor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top n high-score information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and the seco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is disclosed, wherein the sensory stimulation includes the modulated high score sensory stimulation.

일례로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 이외의 나머지 감각 자극도 변조할 수 있도록 추가로 지원하되, 상기 나머지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는 상기 고득점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에 비해 변조되는 정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step (c), whe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acquire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receives other senses other than the modulated high-score sensory stimulation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method is disclosed, wherein the stimulus is additionally supported to be modulated, and the modulating degree of the remaining sensory stimuli is controlled differently than the modulation degree of the high-scoring sensory stimulus.

일례로서, 상기 제1 감각 자극, 상기 제2 감각 자극, 상기 제3 감각 자극 및 상기 제4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the third sensory stimulation, and the fourth sensory stimulation are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ense stimulation. Is initiated.

일례로서, 상기 기설정된 필터는 시각 필터, 청각 필터 및 촉감각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시각의 형태, 색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청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청각의 크기, 톤 및 리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촉감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촉감각의 재질, 압감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eset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sual filter, an auditory filter, and a tactile sensation filter, wherein the visual filter supports to adjust at least one of a form, color, and brightness of the visual presented to the patient, The auditory filter supports to adjust at least one of the size, tone, and rhythm of the hearing presented to the patient, and the tactile filter is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tactile sensation presented to the patient. Disclosed is a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supporting.

일례로서, 상기 시각 필터는 smooth filter, edge filter, RGB color filter 및 light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 필터는 데시벨(dB)을 조절 필터, 소리 간격 조절 필터,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band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촉감각 필터는 촉감각 제시장치의 amplitude 및 frequency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visual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ooth filter, an edge filter, an RGB color filter, and a light filter, and the auditory filter includes a decibel (dB) control filter, a sound interval control filter, a low pass filter, and a high pass filter. , a band pass filter, wherein the tactile sensation filter includes a filter for controlling a mixing degree of an amplitude and a frequency of a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인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제1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며,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1 뇌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2)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기설정된 필터에 의해 변조된 제2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2 뇌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제2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를 조절하여 제3 감각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이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including, the processor, when (1)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input, analyzes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quires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and presents a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to the patient in respons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And, a process of measuring a first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us is presented, and analyzing the first brain signal to obtain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in signal , (2) The patient's brai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modulated by a preset filter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is presented to the patient. Measures a second brain signal, which is a signal, obtains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in signal by analyzing the second brain signal, and whether stress is induced in the patien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The process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3) and (3) obtaining information that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adjusts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to provide a third sensation to the patien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process of supporting a sensory stimulus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to be repeatedly presented to a child.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 프로세스에서,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장치를 종료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ii)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상기 기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변조된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2 감각 자극보다 변조된 정도가 감소된 제4 감각 자극이 상기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in the process (3), when acquir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tress has not been induced in the patient, compares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with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and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similar is further performed,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i) terminate the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And (ii)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not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reduced by using the preset filter 2. Disclosed is a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process of supporting a fourth sensory stimulus with a reduced degree of modulation than that of 2 sensory stimuli to be presented to the patient.

일례로서,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감각 자극 각각으로 인하여 상기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점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includes score information obtained by scoring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due to each of the sensory stimulations corresponding to each sensory stimula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A post-stress control device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점수 정보가 상위 n 개의 고득점 정보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득점 감각 자극을 변조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은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the process (2), the processor modulates at least one high-score sensor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top n high-score information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and the second sensory stimulus is the modulation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regulating post-traumatic stres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igh score sensory stimulation.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 프로세스에서,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 이외의 나머지 감각 자극도 변조할 수 있도록 추가로 지원하되, 상기 나머지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는 상기 고득점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에 비해 변조되는 정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the process (3), when the processor obtain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may also modulate other sensory stimuli other than the modulated high score sensory stimulus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Provided is a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apparatus, which is additionally supported so that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remaining sensory stimuli is controlled differently than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high score sensory stimulation.

일례로서, 상기 제1 감각 자극, 상기 제2 감각 자극, 상기 제3 감각 자극 및 상기 제4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the third sensory stimulation, and the fourth sensory stimulation are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ensory stimulation. Is initiated.

일례로서, 상기 기설정된 필터는 시각 필터, 청각 필터 및 촉감각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시각의 형태, 색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청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청각의 크기, 톤 및 리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촉감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촉감각의 재질, 압감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eset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sual filter, an auditory filter, and a tactile sensation filter, wherein the visual filter supports to adjust at least one of a form, color, and brightness of the visual presented to the patient, The auditory filter supports to adjust at least one of the size, tone, and rhythm of the hearing presented to the patient, and the tactile filter is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tactile sensation presented to the patient. Disclosed is a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ing.

일례로서, 상기 시각 필터는 smooth filter, edge filter, RGB color filter 및 light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 필터는 데시벨(dB)을 조절 필터, 소리 간격 조절 필터,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band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촉감각 필터는 촉감각 제시장치의 amplitude 및 frequency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visual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ooth filter, an edge filter, an RGB color filter, and a light filter, and the auditory filter includes a decibel (dB) control filter, a sound interval control filter, a low pass filter, and a high pass filter. , a band pass filter, wherein the tactile sensation filter includes a filter for controlling a mixing degree of an amplitude and a frequency of a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은,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뇌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해당 감각 자극의 정도를 환자가 직접 조절하여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rasping a brain network for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n a patient, and allowing the patient to directly control the degree of the sensory stimulation to overcome the stress disorder.

또한, 본 발명은, 변조된 장애 유발 감각 자극을 사용하여 환자가 2차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atient from receiving secondary stress by using the modulated impairment-induced sensory sti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뇌 네트워크를 파악함으로써 가시적, 정량적으로 환자의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작용 없이 환자가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visually and quantitatively diagnosing a patient's stress disorder by grasping the patient's brain network, and allowing the patient to overcome the stress disorder without side effects based on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sequenc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100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메모리(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110 and a processor 120.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의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인스트럭션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되는 코드로서, 컴퓨터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mory 110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may store instructions of the processor 120. Specifically, the instructions are for cau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to function in a specific manner. As purpose-generated code, it may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may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may perform processe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ache memory, and a data bus. can do.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a specific purpose.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90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9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900)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와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이와는 달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발명의 실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linked with a database 900 including information used to contro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Here, the database 90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t least one of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It may include one type of storage medi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medium capable of storing data. In addition, the database 900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or alternativel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to transmit data or record received data. , Unlike shown, i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in two or more,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ontrolling 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u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equenc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S210). Firs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patient (S210).

여기서,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는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자극의 종류, 자극의 특징, 자극에 의해 받는 스트레스의 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스트레스 장애를 조절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는 환자가 작성하여 제출한 설문지를 참조로 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에 입력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에 직접 입력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stimulus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us, and the intensity of the stress received by the stimulu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ould contain any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to control.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ay be input to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with reference to a questionnaire filled out and submitted by the pat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May be enter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direct input.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입력된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인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In addi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analyze the input information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patient to obtain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the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Yes (S220).

이때, 특정 감각 자극 정보는 시각 자극에 대한 정보, 청각 자극에 대한 정보 및 촉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시각 자극에 대한 정보는 형태에 대한 시각 자극 정보, 색에 대한 시각 자극 정보 및 밝기에 대한 시각 자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청각 자극에 대한 정보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청각 자극 정보, 소리의 톤에 대한 청각 자극 정보 및 소리의 리듬에 대한 청각 자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촉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는 재질에 대한 촉감각 자극 정보, 압감에 대한 촉감각 자극 정보 및 온도에 대한 촉감각 자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In this case,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visual stimulation, information on auditory stimulation, and information on tactile stimulation. Here, the information on the visual stimulu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us information on the shape, the visual stimulus information on the color, and the visual stimulus information on the brightness, and the information on the auditory stimulus is the auditory stimulus on the loudness of the sou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uditory stimulus information on the tone of sound, and auditory stimulus information on the rhythm of sound, and the information on tactile stimulus includes tactile stimulus information on a material, tactile stimulus information on pressure And at least one of tactile sensation stimulation information on tempera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특정 감각 자극 정보는,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 각각에 대응되는 감각 자극 각각으로 인하여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점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점수 정보는 형태에 대한 시각 자극, 색에 대한 시각 자극 및 밝기에 대한 시각 자극 중 해당되는 감각 자극에 대한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것일 수 있고, 소리의 크기에 대한 청각 자극, 소리의 톤에 대한 청각 자극 및 소리의 리듬에 대한 청각 자극 중 해당되는 감각 자극에 대한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것일 수 있으며, 재질에 대한 촉감각 자극, 압감에 대한 촉감각 자극 및 온도에 대한 촉감각 자극 중 해당되는 감각에 대한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것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점수의 범위는 1 내지 10까지의 범위에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가 클수록 10에 가깝게 점수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In addition,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core information obtained by scoring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due to each sensory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Here, the scor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scoring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for a corresponding sensory stimulus among visual stimulus for shape, visual stimulus for color, and visual stimulus for brightness, and auditory stimulus for loudness, Among the auditory stimuli for the tone of sound and the auditory stimulus for the rhythm of sound,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for the corresponding sensory stimulus may be scored, and the tactile stimulus for the material, the tactile sensation for the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Among the tactile sensation stimuli for,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for the corresponding sensation may be scored. 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score may be set to be scored closer to 10 as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increases in the range of 1 to 1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환자가 교통사고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있어 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빨강색 자동차의 모습 및 자동차의 소리가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고 있다고 가정하면, 특정 감각 자극 정보는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 정보와 자동차 소리에 대한 청각 자극 정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 정보는 빨강색이라는 색에 대한 정보 및 자동차라는 형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을 것이고, 자동차 소리에 대한 청각 정보는 자동차 소리의 특정 톤에 대한 정보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만약, 환자가 청각 자극보다 시각 자극에 더 큰 스트레스를 받고, 시각 자극 중에 형태에 대한 자극보다 색에 대한 자극에 더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가정한다면, 빨강색이라는 색에 대한 정보는 8점, 자동차라는 형태에 대한 정보는 6점, 자동차 소리의 특정 톤에 대한 정보는 3점 등과 같이 점수화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a result of analyzing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ue to a traffic accident, assuming that the appearance of a red car and the sound of a car are causing the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is red. It may be visual stimulus information about the car and auditory stimulus information about the car sound. In addition, the visual stimulus information on the red car may be information on the color of red and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ca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on the car sound may be information on a specific tone of the car sound. In addition, if a patient is assumed to be more stressed by visual stimuli than auditory stimuli, and that during visual stimulus, it is assumed that the stimulus for color is more stressed than stimulus for shape, the information on the color of red is 8 points. , Information on the shape of a car may be scored as 6 points, information on a specific tone of a car sound may be scored as 3 points.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제1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S230).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present a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to the patient, to the patient in respons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S230).

이때, 제1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하나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시각 자극은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시될 수 있고, 청각 자극은 스피커를 통하여 제시될 수 있으며, 촉감각 자극은 촉감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하여 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In this case,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may be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timulation. Here, the visual stimulus may be presented through a display such as a monitor, the auditory stimulus may be presented through a speaker, and the tactile stimulus may be presented through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tactile sensation, but is limited thereto. It won't.

예를 들어, 특정 감각 자극 정보에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 정보 및 자동차 소리에 대한 청각 자극 정보라고 가정하면, 제1 감각 자극은 환자에게 모니터를 통하여 빨강색 자동차의 모습을 제시하는 시각 자극 및 스피커를 통하여 자동차 소리를 제시하는 청각 자극일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is visual stimulation information for a red car and auditory stimulation information for a car sound,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a visual stimulation that presents the appearance of a red car to the patient through a monitor. It could be an auditory stimulus that presents the sound of a car through a speaker.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환자의 뇌 신호인 제1 뇌 신호를 측정하고, 제1 뇌 신호를 분석하여 제1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40). 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easures a first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a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us is presented, and analyzes the first brain signal to correspond to the first brain signal.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may be obtained (S240).

이때, 환자의 뇌 신호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 뇌파도(electrocorticogram, ECoG), 뇌자도(magnetoencephalography, MEG), 근적외선 분광법(near infared spectroscopy, NIRS)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measure the patient's brain signals and acquire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electroencephalography (EEG), electrocorticogram (ECoG), magnetoencephalography (MEG), near infared spectroscopy (NIRS) ) Or the like may be used, but it will not be limited thereto.

여기서, 뇌 네트워크 정보는, 환자의 뇌를 브로드만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감각 자극에 대응하여 활성화 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 감각 자극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영역간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 감각 자극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영역간의 연결 정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when the patient's brain is divided into Broadman regions, information on a region activated in response to a sensory stimulus, information on a connection state between regions activated in response to a sensory stimulus, and corresponding to a sensory stimulus. Thus,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 activated areas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감각 자극을 기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제2 감각 자극으로 변조하고, 변조된 제2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S250). 여기서, 제2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감각 자극에 포함되어 있는 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odulates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nto a second sensory stimulation using a preset filter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and modulates the modulated second sensory stimulation. It can be presented to the patient (S250). Here,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ay be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timulation, and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sensory stimulation included in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이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점수 정보가 상위 n 개의 고득점 정보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득점 감각 자극을 변조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감각 자극은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과 제1 감각 자극 중 변조되지 않은 감각 자극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n은 상기 제1 감각 자극에 포함되어 있는 감각 자극의 총 개수 이하의 양의 정수 중 하나일 것이다. At this time,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odulates at least one high-score sensor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top n high-score information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and the modulated high-score in the second sensory stimulus. Sensory stimulation can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econd sensory stimulus may include only the modulated high score sensory stimulus, or may include the modulated high score sensory stimulus and the unmodulated sensory stimulus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Here, n will be one of positive integers less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sensory stimuli included in the first sensory stimulus.

또한, 상기 기설정된 필터는 시각 필터, 청각 필터 및 촉감각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필터는 환자에게 제시되는 시각의 형태, 색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청각 필터는 환자에게 제시되는 청각적 감각의 크기, 톤 및 리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촉감각 필터는 환자에게 제시되는 촉감각의 재질, 압감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t fil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sual filter, an auditory filter, and a tactile filter. Here, the visual filter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shap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vision presented to the patient, and the auditory filter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size, tone, and rhythm of the auditory sensation presented to the patient. In addition, the tactile sensation filter may support at least one of a tactile sensation material, a pressure sensation, and a temperature presented to the patient.

또한, 시각 필터는 smooth filter, edge filter, RGB color filter 및 light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청각 필터는 데시벨(dB)을 조절 필터, 소리 간격 조절 필터,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band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촉감각 필터는 촉감각 제시장치의 amplitude 및 frequency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In addition, the visual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ooth filter, an edge filter, an RGB color filter, and a light filter, and the auditory filter includes a decibel (dB) control filter, a sound interval control filter, a low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nd a band pass.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lters, and the tactile filter may include a filter that adjusts a degree of mixing of the amplitude and frequency of the tactil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제1 감각 자극이 모니터를 통하여 빨강색 자동차의 모습을 제시하는 시각 자극 및 스피커를 통하여 자동차 소리를 제시하는 청각 자극이고, 제1 감각 자극 각각의 점수 정보가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 정보는 8점, 형태가 자동차인 시각 자극 정보는 6점, 자동차 소리의 특정 톤에 대한 청각 자극 정보는 3점이며, n=2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2 감각 자극은, 2개의 고득점 정보 중 하나인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 정보에 해당하는 시각 자극을 RGB color filter를 이용하여 변조한 자극 및 2개의 고득점 정보 중 다른 하나인 형태가 자동차인 시각 자극 정보에 해당하는 시각 자극을 smooth filter 또는 edge filter를 이용하여 변조한 자극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감각 자극은 변조되지 않은 자동차 소리의 특정 톤에 대한 청각 자극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 example, the first sensory stimulus is a visual stimulus that presents the appearance of a red car through a monitor and an auditory stimulus that presents the car sound through a speaker, and the sco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sensory stimuli is visual stimulus information in which the color is red. Suppose that is 8 points, 6 points for visual stimulus information of the shape of a car, 3 points for auditory stimulus information for a specific tone of the car sound, and n=2. Then, the second sensory stimulus is a stimulus that modulates the visual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visual stimulus information of red color, one of the two high score information, using an RGB color filter, and the other form of the two high score information is a car. The visual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visual stimulus information may be modulated using a smooth filter or an edge filter. Also, the second sensory stimulus may further include an auditory stimulus for a specific tone of the unmodulated car sound.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2 뇌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2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60).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easures a second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y stimulus is presented, and analyzes the measured second brain signal.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rain signal is acquired, and information on whether stress is caused to the patien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ay be acquired (S260).

여기서,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는 환자의 주관적인 생각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측정한 환자의 뇌파 등의 객관적인 지표에 의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Here, whether or not stress is induced in the patien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ay be due to subjective thoughts of the patient or may be based on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the measured EEG of the patient.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3 감각 자극을 제시할 수 있다(S270). 여기서, 제3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감각 자극에 포함되어 있는 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when acquiring the information that the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supports the patient to adjust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to the patient A stimulus can be presented (S270). Here, the third sensory stimulation may be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timulation, and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sensory stimulation included in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이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 이외의 나머지 감각 자극도 변조할 수 있도록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는 상기 고득점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에 비해 변조되는 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may additionally support the patient to modulate other sensory stimuli other than the modulated high score sensory stimulus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Here,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remaining sensory stimuli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high score sensory stimulation.

즉, 환자가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것은 제2 감각 자극이 제1 감각 자극과 유사하다는 의미이므로, 환자가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를 조절하여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에 온전히 노출되는 것이 아닌 제1 감각 자극과 유사하나 제1 감각 자극보다 스트레스 장애를 덜 유발시키는 변조된 감각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환자가 변조되지 않은 감각 자극에 대해서도 변조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가 작은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patient was stressed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eans that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so the patient is fully exposed to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that induces stress by adjusting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sensory stimulation. It is similar to the first sensory stimulus, which is not the first sensory stimulus, but is able to receive a modulated sensory stimulus that causes less stress disorder than the first sensory stimulus. In addition, by allowing the patient to modulate the unmodulated sensory stimulus, the patient can overcome the sensory stimulus that causes a small stress disorder.

한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280).On the other h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when acquiring the information that the stress is not caused to the patient, compares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with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t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S280).

이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장치를 종료할 수 있다(S282).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may terminate the corresponding device (S282).

즉,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가 유발되지 않고,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 시의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제2 감각 자극 시의 제2 네트워크 정보가 유사하다는 것은 환자가 스트레스 장애를 받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개선이 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the stress disorder is not caused to the patient, and the fact that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the stress disorder and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are similar means that the patient does not receive the stress disorder. Therefore, it can be seen as an improvement.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상기 기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변조된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2 감각 자극보다 변조된 정도가 감소된 제4 감각 자극이 상기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S284). 여기서, 여기서, 제4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감각 자극에 포함되어 있는 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not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using the preset filter. It is possible to support so that a fourth sensory stimulus having a reduced degree of modulation compared to the second sensory stimulus can be presented to the patient (S284). Here, the fourth sensory stimulation is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timulation, and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sensory stimulation included in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즉,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가 유발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 시의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제2 감각 자극 시의 제2 네트워크 정보가 유사하지 않다는 것은 제시된 제2 감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가 심하여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과 유사하지 한다는 의미이므로 제2 감각 자극보다 변조의 정도가 감소된 제4 감각 자극을 환자에게 제시하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stress disorder was not induced in the patient, the fact that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causing the stress disorder and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are not similar is the modulated degree of the suggested second sensory stimulation. Because it means that it is not similar to the first sensory stimulus that causes stress disorder due to severe stress, a fourth sensory stimulus with a reduced degree of modulation is presented to the patient.

한편,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ough analysis of a patient's brain network comprising the above step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획득한 특정 감각 자극 정보(310)가 시각 자극에 대한 정보이고, 시각 자극에 대한 정보가 형태가 자동차인 시각 자극 정보 및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 정보를 포함하며, 형태가 자동차인 시각 자극에 대한 점수 정보가 8점이고,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에 대한 점수 정보가 3점이라고 가정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310)에 대응하여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320)인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환자에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310 obtained by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information on visual stimulation, and the information on visual stimulation is visual stimul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ar and visual stimulation in the color red. Assuming that the score information for the visual stimulus including the stimulus information and the shape of the vehicle is 8 points, and the score information for the visual stimulus of the color red is 3 points,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is the specific sense In response to the stimulus information 310, a visual stimulus for a red vehicle, which is the first sensory stimulus 320 that causes stress to the patient, may be presented to the patient through a display such as a monitor.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1 감각 자극(320)인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을 환자에게 제시한 상태에서 환자의 뇌 신호인 제1 뇌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1 뇌 신호를 분석하여 측정된 제1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320)인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easures a first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and measures a visual stimulus for a red car, which is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320, to the patient.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first brain signal may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generated first brain signal. That is,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obtain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corresponding to the visual stimulus for the red car, which is the first sensory stimulus 320 that induces stress in the patient. will be.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310)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감각 자극(320)을 기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제2 감각 자극(340)으로 변조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환자에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감각 자극(340)은, 제1 감각 자극(320) 중 점수 정보가 고득점 정보에 해당하는 고득점 감각 자극인 형태가 자동차인 시각 자극이 smooth filter 등의 의해 자동자의 형태가 흐릿해지도록 변조된 시각 자극과 변조되지 않은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을 모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odulates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320 into a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using a preset filter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310, and ,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may be presented to the patient through a display such as a monitor. At this time, the second sensory stimulus 340 is such that the visual stimulus in which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320 is a high-score sensor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high score information is a vehicle, so that the shape of the vehicle is blurred by a smooth filter. It could include both modulated and unmodulated red visual stimuli.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이 제시된 상태의 환자의 뇌 신호인 제2 뇌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2 뇌 신호를 분석하여 측정된 제2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350)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제2 감각 자극(340)인 자동자의 형태가 흐릿해지도록 변조된 시각 자극 및 변조되지 않은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 모두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350)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measures a second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a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is presented, and analyzes the measured second brain signal.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35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in signal may be obtained. That is,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is a second brain network corresponding to both a visual stimulus modulated so that the shape of the vehicle, which is the second sensory stimulus 340, is blurred and a visual stimulus in which the unmodulated color is red. Information 350 may be obtained.

다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에 의해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stress is induced in the patien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만약,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에 의해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320)의 변조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환자에게 제2 감각 자극(340)과는 변조된 정도가 다른 제3 감각 자극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f the second sensory stimulus 340 obtain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been induced in the patien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allows the patient to adjust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320. The third sensory stimulus may be presented to the patient by providing support so that a third sensory stimulus having a modulated degre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sensory stimulus 340 may be presented to the patient.

즉, 환자가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것은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인 형태가 변조된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이 상기 제1 감각 자극(320)인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과 유사하다고 환자가 느낀 것이므로,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를 조절하여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320)에 온전히 노출되는 것이 아닌 제1 감각 자극과 유사하나 제1 감각 자극보다 스트레스 장애를 덜 유발시키는 변조된 감각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환자는 제2 감각 자극(340)에 대해 느끼는 스트레스가 크다고 생각되면 제2 감각 자극(340)보다 자동차의 형태가 더 흐릿해지도록 변조할 수도 있고, 제2 감각 자극(340)에 대해 느끼는 스트레스가 작다고 생각되면 제2 감각 자극(340)보다 자동차의 형태가 덜 흐릿해지도록 변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the fact that the patient is stressed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indicates that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is red, whose shape is modulated, and the visual stimulation for the vehicle is red, which is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320. Since the patient feels that it is similar to the visual stimulus for a vehicle, it is similar to the first sensory stimulus, but not fully exposed to the first sensory stimulus 320 that induces stress by adjusting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sensory stimulus. It allows them to receive modulated sensory stimulation that lessens the stress disorder. Therefore, if the patient thinks that the stress fel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is high, the shape of the vehicle may be modulated to be more blurred than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or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ess is small, it may be modulated to make the shape of the vehicle less blurry than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자동자의 형태가 흐릿해지도록 변조된 시각 자극 이외의 변조되지 않은 색이 빨강색인 시각 자극도 변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support to modulate a visual stimulus in which an unmodulated color is red, other than a visual stimulus modulated so that the shape of the vehicle is blurred.

한편, 만약, 상기 제2 감각 자극(340)에 의해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350)를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350)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와 유사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sensory stimulus 340 obtains information that stress has not been caused to the patien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350 to the first It may be compared with the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350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이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350)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장치를 종료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350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may terminate the corresponding device.

즉,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가 유발되지 않고,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 시의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제2 감각 자극 시의 제2 네트워크 정보가 유사하다는 것은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빨강색 자동차에 대한 시각 자극과 유사한 자극을 제시하였음에도 더 이상 환자가 스트레스 장애를 받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개선이 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절차를 종료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and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which causes the stress disorder, is not similar to the patient, is the red color that causes the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The procedure is terminated because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has been improved since it means that the patient is no longer suffering from a stress disorder even though a stimulus similar to the visual stimulus for a vehicle is presented.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350)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감각 자극(320)의 변조된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2 감각 자극(340)보다 변조된 정도가 감소된 제4 감각 자극이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350 is not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100 is modulated by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320. The degree may be reduced so that the fourth sensory stimulus, whose modulated degree is reduced compared to the second sensory stimulus 340, can be presented to the patient.

즉,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가 유발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제1 감각 자극(320) 시의 제1 뇌 네트워크 정보(330)와 제2 감각 자극(340) 시의 제2 네트워크 정보(350)가 유사하지 않다는 것은 자동자의 형태가 흐릿해지도록 변조된 시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가 심하여 환자가 자동차가 아닌 다른 형태의 사물로 인지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환자가 제시된 시각 자극이 자동차의 형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변조의 정도를 제2 감각 자극(340)보다 감소시킨 감각 자극이 환자에게 다시 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stress disorder was not induced in the patient,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330 at the time of the first sensory stimulus 320 that causes the stress disorder and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350 at the time of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are similar. Not doing means that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visual stimulus modulated to blur the shape of the vehicle is severe and the patient perceives it as an object other than a car, so the patient can recognize that the presented visual stimulus is in the form of a car. The sensory stimulation with the degree of modulation reduced than that of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340 is presented to the patient again.

이처럼, 본 발명은,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을 환자에게 온전히 노출시키는 것이 아닌 변조된 감각 자극을 이용하고,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을 환자가 직접 조절함으로써 환자가 2차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하며,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해 환자의 뇌 네트워크라는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가시적, 정량적으로 환자의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작용 없이 환자가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modulated sensory stimulation rather than completely exposing sensory stimulation causing stress disorder to the patient, and by directly controlling sensory stimulation causing stress disorder, the patient receives secondary stress. The purpose of this is to visually and quantitatively diagnose the patient's stress disorder by using objective data such as the patient's brain network for sensory stimuli that cause the stress disorder, and based on this, the patient can overcome the stress disorder without side effects. .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ally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ould say.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환자의 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에 대한 정보인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제1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며,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1 뇌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2)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를 참조로 하여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기설정된 필터에 의해 변조된 제2 감각 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이 제시된 상태의 상기 환자의 뇌 신호인 제2 뇌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제2 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뇌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변조된 정도를 조절하여 제3 감각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이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3 감각이 상기 제1 감각 자극으로부터 변조된 정도는 상기 환자의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한 스트레스 유발 정도에 비례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절 장치.
I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devi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tient's brain network,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Including,
The processor includes (1) when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input,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sensory stimulus that causes the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Acquires information and presents a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in response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and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presented. A process of measuring a first brain signal, analyzing the first brain signal to obtain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in signal, (2) causing a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Presenting a second sensory stimulus modulated by a preset filter, which is a sensory stimulus, to the patient, and measuring a second brain signal, which is a brain signal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y stimulus is presented. , A process of analyzing the second brain signal to obtain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in signal,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whether stress is caused to the patien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and ( 3) When obtaining information that stress is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determines the modulated degree of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t supports to present a third sensation by controlling, so that sensory stimuli that cause stress disorder can be repeatedly presented to the patient, but the degree to which the third sensation is modulated from the first sensory stimulus i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process of supporting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induction of stress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의해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기설정된 필터에 의해 변조된 상기 제2 감각 자극과 관련된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상기 제1 감각 자극과 관련된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장치를 종료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ii)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기설정된 필터에 의해 변조된 상기 제2 감각 자극과 관련된 상기 제2 뇌 네트워크 정보가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인 상기 제1 감각 자극과 관련된 상기 제1 뇌 네트워크 정보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감각 자극의 상기 기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변조된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2 감각 자극보다 변조된 정도가 감소된 제4 감각 자극이 상기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n the above (3) process,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tress has not been induced in the patient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is obtained,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and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Carry ou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y are similar,
The processor includes (i)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modulated by a preset filter in which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is a sensory stimulation that causes a stress disorder.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a process of terminating the device is performed, and (ii)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is applied to a preset fil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rain network information modulated by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is not similar to the first brain network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which is a sensory stimula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After the trauma,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process of reducing the modulated degree using the preset filter of and supporting a fourth sensory stimulus with a reduced modulated degree than the second sensory stimulus to be presented to the patient. Stress control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감각 자극 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시키는 감각 자극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감각 자극 각각으로 인하여 상기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점수화한 점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information includes score information obtained by scoring the degree to which the patient is stressed due to each sensory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nsory stimulation causing a stress disorder in the patien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점수 정보가 상위 n 개의 고득점 정보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득점 감각 자극을 변조하고, 상기 제2 감각 자극에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or,
In the process (2), the score information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modulates at least one high-score sensor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top n high-score information, and the modulated high-score sensory stimulus is included in the second sensory stimulus.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 프로세스에서, 상기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가 상기 제1 감각 자극 중 상기 변조된 고득점 감각 자극 이외의 나머지 감각 자극도 변조할 수 있도록 추가로 지원하되, 상기 나머지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는 상기 고득점 감각 자극의 변조 정도에 비해 변조되는 정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In the process (3), when obtaining information that stress is induc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is additionally supported so that the patient can modulate other sensory stimuli other than the modulated high-score sensory stimulus among the first sensory stimuli. The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remaining sensory stimuli is controlled differently than the degree of modulation of the high score sensory stimul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각 자극, 상기 제2 감각 자극, 상기 제3 감각 자극 및 상기 제4 감각 자극은 시각 자극, 청각 자극 및 촉감각 자극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the second sensory stimulation, the third sensory stimulation, and the fourth sensory stimulation are at least one of visu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tactile sensory stimul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필터는 시각 필터, 청각 필터 및 촉감각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시각의 형태, 색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청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청각의 크기, 톤 및 리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촉감각 필터는 상기 환자에게 제시되는 촉감각의 재질, 압감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감각 자극이 시각 자극인 경우 상기 제1 감각의 형태, 색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조 정도가 상기 환자의 스트레스 유발 정도에 비례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1 감각의 형태를 변조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 스트레스 유발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 감각의 형태가 흐릿해 지도록 변조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et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sual filter, an auditory filter, and a tactile sensation filter, the visual filter supporting at least one of a form, color, and brightness of the visual presented to the patient, and the auditory filter Supports to adjust at least one of the size, tone and rhythm of the hearing presented to the patient, and the tactile filter supports to adjust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tactile sensation presented to the patient. Characterized by,
The processor,
In the (3) process, when the first sensory stimulation is a visual stimulation, a process of supporting a modulation degree of at least one of the shap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first sense is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inducing stress of the patient, and , When modulating the shape of the first sense, the post-traumatic stress control device modulates the shape of the first sense to be blurr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inducing stress of the pati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필터는 시각 필터, 청각 필터 및 촉감각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 필터는 smooth filter, edge filter, RGB color filter 및 light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 필터는 데시벨(dB)을 조절 필터, 소리 간격 조절 필터,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band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촉감각 필터는 촉감각 제시장치의 amplitude 및 frequency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et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sual filter, an auditory filter, and a tactile filter,
The visual fil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ooth filter, an edge filter, an RGB color filter, and a light filter, and the auditory filter includes a decibel (dB) control filter, a sound interval control filter, a low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nd a band pass. It includes at least one of filters, wherein the tactile sensation filter comprises a filter that adjusts a mixing degree of an amplitude and a frequency of the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20190125737A 2018-11-19 2019-10-10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 KR1021915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3039 2018-11-19
KR1020180143039 2018-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282A KR20200058282A (en) 2020-05-27
KR102191579B1 true KR102191579B1 (en) 2020-12-15

Family

ID=7091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737A KR102191579B1 (en) 2018-11-19 2019-10-10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57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6569A1 (en) * 2010-01-18 2012-11-22 Elminda Ltd. Method and system for weighted analysis of neurophysiological dat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961A (en) * 2007-06-08 2008-12-1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User adaptative pattern clinical diagnosis/medical system and method using brain waves and the sense infomation treatment techniques
KR101540561B1 (en) * 2013-11-07 2015-07-31 (주)넥스젠 An Active Neuro-feed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41748A (en) * 2015-07-03 2016-04-18 (주)와이브레인 Device for detecting and analysing p300 brain wave
KR101955793B1 (en) * 2017-04-28 2019-03-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usic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music content creation method for managing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KR20190074606A (en)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나도소프트 Vr neurofeedback device for relieving symptoms of pts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6569A1 (en) * 2010-01-18 2012-11-22 Elminda Ltd. Method and system for weighted analysis of neurophysiological data
US9895077B2 (en) * 2010-01-18 2018-02-20 Elminda Ltd. Method for diagnosing a brain related disorder using brain network activity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282A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ber et al. Tracking the allocation of attention using human pupillary oscillations
Knott et al. Anxiety, stress, and the contingent negative variation
US20150230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 stimulus property perceived by a subject
KR1020856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centration level of user
Kauffmann et al. Rapid scene categorization: Role of spatial frequency order, accumulation mode and luminance contrast
Pomper et al. Intersensory selective attention and temporal orienting operate in parallel and are instantiated in spatially distinct sensory and motor cortices
MacNamara In the mind's eye: The late positive potential to negative and neutral mental imager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Chen et al. Mismatch negativity (MMN) stands at the crossroad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emotional processing
Bao et al. The best of both worlds: adaptation during natural tasks produces long-lasting plasticity in perceptual ocular dominance
O’Hare et al. Resting-state alpha-band oscillations in migraine
Getzmann et al. Age-related differences in pro-active driving behavior revealed by EEG measures
Takács et al. Oblique effect in visual mismatch negativity
Bailey et al. Mindfulness meditators do not show differences in electrophysiological measures of error processing
Overgaard Blindsight: recent and historical controversies on the blindness of blindsight
Celeghin et al. Blindsight is sensitive to stimulus numerosity and configuration: evidence from the redundant signal effect
Vieira et al. Enhanced conscious processing and blindsight-like detection of fear-conditioned stimuli under continuous flash suppression
Chaumillon et al. Asymmetry i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pends on the strength of eye dominance
Payne et al. Experienced meditators exhibit no differences to demographically matched controls in theta phase synchronization, P200, or P300 during an auditory oddball task
Schreiner et al. Representation of loudness in the auditory cortex
Metzger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experimentally induced anxiety and fear on pain: the role of anxiety sensitivity
CA3127110A1 (en) Attention-based neurofeedback training
Pehlivanoglu et al. Now you feel it, now you don't: Motivated attention to emotional content is modulated by age and task demands
Parr et al. Cortical, muscular, and kinetic activity underpinning attentional focus strategies during visuomotor control
KR1021915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referring to brain network analysis
Häkkinen et al. Processing of pitch and location in human auditory cortex during visual and auditory tas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