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512B1 -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 Google Patents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512B1
KR102191512B1 KR1020200103869A KR20200103869A KR102191512B1 KR 102191512 B1 KR102191512 B1 KR 102191512B1 KR 1020200103869 A KR1020200103869 A KR 1020200103869A KR 20200103869 A KR20200103869 A KR 20200103869A KR 102191512 B1 KR102191512 B1 KR 102191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bicycle
auxiliary handle
unit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우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오텍
Priority to KR102020010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5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5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25Extensions; Auxiliary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bicycle with an easily detachable auxilia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cycle comprises: a stem pa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a bicycle handle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a bicycle headse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having an ope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ncluding a co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opening; a holding member uni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opening; and an auxiliary hand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member unit. The stem part further includes therein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holding member unit. The fixing unit includes: a support body fixed and coupled to the stem part; and an insertion part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holding member unit.

Description

보조핸들의 높이 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of auxiliary handle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본 발명은 자전거 보조핸들의 높이 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that is easy to adjust and detach the height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자전거는 사람이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 바를 잡고 다리로 페달을 밟아서 바퀴를 돌려 움직이는 이동수단을 말한다. 예로부터 자전거는 어린이들부터 어른들까지 흔히 타는 것을 볼 수 있는 친근한 이동수단이다. 최근에는 공원이나 출퇴근 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자전거는 사이클 경기를 통해 경기용 자전거를 사용하여 속도를 겨루는 기록경기를 진행한다. A bicycle refers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in which a person sits on a saddle, holds the handlebars with both hands, and presses the pedals with their legs to rotate the wheels. Since ancient times, bicycles have been a 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hildren and adults can often see riding.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see people riding bicycles in parks or commuting to work. In addition, the bicycles use the bicycles for competition through the cycling races to conduct a record race to compete for speed.

사이클 경기용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 달리 곡선형의 핸들인 드롭바를 사용하고, 핸들의 중심부 앞쪽으로 팔을 일자로 놓을 수 있는 보조핸들을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보조핸들은 보통의 핸들을 사용할 때 보다 팔을 일자로 뻗어 몸의 폭 내로 팔을 붙이게 되므로, 공기저항을 극소화시켜 고속 질주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보조핸들을 사용하게 되면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둔부로의 무리가 줄어들게 된다. Unlike ordinary bicycles, bicycles for cycling use a drop bar, which is a curved handle, and an auxiliary handle to place the arm straight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handle is used. In particular, the auxiliary handle is suitable for high-speed sprinting by minimizing air resistance because it extends the arm straight and attaches the arm within the width of the body than when using a normal handle. Also, when the auxiliary handle is used, the center of gravity moves forward, reducing the strain on the buttocks.

이렇듯 사이클 경기용으로 대부분 사용되던 드롭바 및 보조핸들이 레저 붐과 고정 기어 자전거(fixed-gear bicycle, 일명 픽시 자전거)의 대중화로 최근에는 흔치 않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고정 기어 자전거는 변속기나 브레이크가 없고 축과 톱니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 기어 자전거로, 본래는 경륜장에서 실내 자전거 경기용으로 사용되던 자전거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구조가 단순하며 가볍고 고장율이 낮으며, 디자인이 깔끔하고 취향에 따라 자신만의 커스텀 자전거를 제작가능한 고정 기어 자전거만의 장점으로 고정 기어 자전거가 유행하고, 대중화되었다. As such, drop bars and auxiliary handles, which were mostly used for cycling races, have recently become uncommon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leisure booms and fixed-gear bicycles (also known as pixie bicycles). Fixed gear bicycles are fixed gear bicycles with no transmission or brakes, and fixed shafts and teeth, and were originally used for indoor bicycle races at racetracks. However, in recent years, fixed gear bicycles have become popular and popular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fixed gear bicycles that have simple structure, light weight, low failure rate, clean design, and capable of customizing your own custom bicycle according to your taste.

그런데, 보조핸들을 기존의 자전거에 장착하려면 핸들 바에 보조핸들을 관통식으로 삽입 후 볼트 등의 체결기구를 이용하여 장착하여야 한다. 이렇듯 탈부착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며 번거롭기 때문에 보조핸들을 장착하고 나면 보조핸들의 교체를 쉽게 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보조핸들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여 탈부착이 간편한 보조핸들의 필요성이 나날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mount the auxiliary handle to the existing bicycle, the auxiliary handle must be inserted through the handlebar and mounted using a fastener such as a bolt. As such, a separate tool is required and cumbersome to attach and detach, so it is not easy to replace the auxiliary handle after installing the auxiliary handle. However, the types of auxiliary handles are very diverse, and the necessity of auxiliary handle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is rising day by day.

본 발명은 자전거 보조핸들의 높이 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cycle tha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and detachment of the auxiliary bicycle hand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자전거 핸들이 결합되고 타측에 자전거 헤드셋이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에 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하는 스템부;와 일단이 상기 개구부에 삽입 체결되는 거치부재 유닛;과 상기 거치부재 유닛의 타단에 결합되는 자전거 보조핸들;및 상기 스템부는 내부에 상기 거치부재 유닛의 고정을 위한 고정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스템부와 고정 결합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부재 유닛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cycle handlebar is coupled to one side and a bicycle headse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is formed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but the opening is formed to be open at the top, and the opened opening can be opened and closed. A stem portion including a lid; and a mounting member uni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a bicycle auxiliary hand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unit;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unit therein. This may be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fixing unit comprises a support fixedly coupled to the stem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support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un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자전거 보조핸들의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하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자전거 보조 용품에 확대 적용 가능하다.The bi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but it can maintain a strong and stable coupling,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bicycle auxiliary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스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조핸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자전거의 장착상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자전거의 장착상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cycle stem part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unting memb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icycle auxiliary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unting state of the bicycle shown in FIGS. 1 to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cycle shown in FIGS. 1 to 4 in a mounting st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 will omit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스템부의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cycle stem portion shown in FIG. 1.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템부(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2, the stem part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10.

하우징(110)은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예시된다. 이는 스템부(100)의 중량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외한 부분의 하우징(110) 내부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housing 110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pipe in which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is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tem part 10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n a portion except for the space into which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may not be formed with a hollow.

하우징(110)은 개구부(111), 상부 스토퍼 홀(110-1) 및 하부 스토퍼 홀(110-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개구부(111)와 상부 스토퍼홀(1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스토퍼홀(110-1)은 후술할 스토퍼(300)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다. 하우징(110)의 하부는 하부 스토퍼홀(110-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스토퍼홀(110-2)은 후술할 스토퍼(300)가 상부 스토퍼홀(110-1)을 통해 삽입되어 마지막으로 관통되어 나오는 구멍이다.The housing 110 may have an opening 111, an upper stopper hole 110-1, and a lower stopper hole 110-2. An opening 111 and an upper stopper hole 110-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e upper stopper hole 110-1 is a hole for inserting a stopper 300 to be described later. A lower stopper hole 110-2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e lower stopper hole 110-2 is a hole through which a stopp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topper hole 110-1 and finally penetrates.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111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개구부(111)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이 삽입되는 입구로 예시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111)는 사각형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이 삽입 가능하고, 후술할 뚜껑(120)의 장착이 가능한 것이면 무방하다.The opening 111 is formed in an open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and is illustrated as an inlet into which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111 is illus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the lid 1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unted. .

개구부(111)의 우측부터 좌측까지의 거리를 개구부 거리(d1)라고 칭하면, 개구부 거리(d1)는 후술할 뚜껑(120)의 길이보다 소정 정도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뚜껑(120)의 탈락을 방지한다. 개구부 거리(d1)는 후술할 보조핸들 장착부 거리(d2)보다 소정 정도 긴 길이로 형성되어 거치부재 유닛(2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When the distance from the right to the left of the opening 111 is referred to as the opening distance d1, the opening distance d1 is formed to be a predetermined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id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the lid 120 from falling off. prevent. The opening distance d1 is formed to be a predetermined length longer than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distance d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can be easily inserted.

한편, 본 실시예의 스템부(100)는 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m por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id 120.

뚜껑(120)은 하우징(110) 상부의 개구부(111)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뚜껑(120)은 사각형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이는 개구부(111)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것이면 무방하며, 그 형상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뚜껑(120)의 크기는 개구부(111)의 넓이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어, 뚜껑(120)을 여닫을 때, 뚜껑(12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id 120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1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lid 120 is exemplified in a square shape, but this is fine as long as the opening 111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The size of the lid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111 by a predetermined degree, so that when the lid 120 is opened and closed, the lid 120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한편, 본 실시예의 뚜껑(120)은 뚜껑삽입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d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id insertion portion 121.

뚜껑삽입부(121)는 뚜껑(120)의 말단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뚜껑삽입부(121)는 하우징(110) 상부의 두께 이상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된다. 뚜껑삽입부(121)는 후술할 거치부재 외부(210)의 뚜껑삽입홈(213)과 끼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뚜껑삽입부(121)는 바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우징(110) 상부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면 무관하다.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end of the lid 120. Preferably,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is formed to extend by a predetermined degree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is formed to be fitted and coupled with the lid insertion groove 213 of the mounting member outside 210 to be described later. As illustrated,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protrudes in a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irrelevant as long as it is formed with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한편, 본 실시예의 뚜껑(120)은 손잡이(12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d 12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andle (122).

손잡이(122)는 뚜껑삽입부(121)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122)는 사용자가 뚜껑(120)을 여닫기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뚜껑(120)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일측으로 슬라이드 후, 뚜껑(120)을 개방하고 거치부재 유닛(200)을 삽입 체결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 유닛(200)이 스템부(100)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후술할 스토퍼(300)를 제거 후, 또한 손잡이(122)를 파지 후 일측으로 슬라이드 후, 거치부재 유닛(200)을 탈락시킬 수 있다. The handle 122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lid insertion part 121. The handle 122 may be included in the lid 120 to allow a user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lid 120. After the user grips the handle 122 and slides to one side, the lid 120 may be opened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In addition,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fastened to the stem portion 100, after removing the stopper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liding to one side after gripping the handle 122,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removed. I can make it.

한편, 본 실시예의 스템부(100)는 슬라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m por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lide portion (130).

슬라이드부(130)는 개구부(111)에서부터 지지부(141)까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130)는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뚜껑(120)의 상부에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부(130)에 형성된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뚜껑(120)의 상부 홈과, 다른 하나의 볼록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끼움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130)에 뚜껑(120)과 하우징(110)의 상부가 끼워지게 되면, 뚜껑(120)이 탈락되지 않고 슬라이드부(13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는, 슬라이드부(130)에 슬라이드 레일 등을 적용하여, 스템부(100)와 뚜껑(120)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lide part 130 may be disposed from the opening 111 to the support part 141. The slide portion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20, and the other is a convex portion. The upper groove of the housing 110 formed on the slide unit 130 or the upper groove of the lid 120 and the other convex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 a fitting manner. Accordingly, when the lid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are inserted into the slide unit 130, the lid 120 is not removed and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ide unit 130. Alternatively, by applying a slide rail or the like to the slide unit 130, the stem unit 100 and the lid 120 may be slidable.

한편, 본 실시예의 스템부(100)는 탄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m por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lastic portion (140).

탄성부(140)는 뚜껑(120)의 일측 말단부터 지지부(141)까지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4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력과 복원력이 뛰어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141)는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고정블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40)는 사용자가 뚜껑(120)을 일측으로 잡아당기면 압축되었다가, 사용자가 뚜껑(120)을 놓으면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뚜껑을 다시 정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elastic part 140 may be disposed from one end of the lid 120 to the support part 141. As illustrated, the elastic portion 140 may be a member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such as a spring. The support part 141 may be a fixed block that is fixed without being moved. Therefore, the elastic portion 140 is compressed when the user pulls the lid 120 to one side,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lid 120, the lid is mov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한편, 본 실시예의 스템부(100)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m por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unit 150.

고정유닛(150)은 지지체(152)와 삽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150)은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의 삽입시 거치부재 유닛(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유닛(150)은 거치부재 유닛(200)의 거치부재 스토퍼홀(232)과 스템부(100)의 스토퍼홀(110-1, 110-2)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unit 150 may include a support body 152 and an insertion part 151. The fixing unit 150 serves to support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 addition, the fixing unit 150 serves to guide the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nd the stopper holes 110-1 and 110-2 of the stem portion 100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do.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유닛(150)은 지지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unit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body 152.

지지체(15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5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일측을 가로지르는 블록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52)는 개구부(111)로부터 소정 정도 이격되게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체(152)는 후술할 거치부재 외부(210)의 좌측 끝단부터 후술할 거치부재 내부(230)의 좌측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개구부(11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152)는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이 스템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거치부재 유닛(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치부재 유닛(200)이 정해진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템부(100) 및 거치부재 유닛(200)의 스토퍼홀(110-1, 110-2, 232)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support 152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support 15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lock crossing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110. The support 152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111 by a predetermined degree. For example, the support 15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111 with a length equal to or similar to a distance from the left end of the mounting member outer 21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left end of the mounting member 230 to be described later. . This support 152 serves to support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stem portion 100. 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stopper holes 110-1, 110-2, 232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re guid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I can.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유닛(150)은 삽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unit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151.

삽입부(151)는 지지체(152)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1)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51)는 바 형상으로 예시되며,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의 삽입홈(23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51)는 후술할 삽입홈(231)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151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pening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152. The insertion part 151 is illustrated in a b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similar to the insertion groove 23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ertion part 151 may be fitted with an insertion groove 231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의 삽입부(151)의 끝단에는 경사부(151-2)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inclined portion 151-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51 of the present embodiment.

경사부(151-2)는 삽입부(151)의 끝단에 형성되며, 삽입부(151)의 시작부분보다 축소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경사부(151-2)는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의 삽입홈(231)으로 삽입부(151)가 삽입될 때, 삽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15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51 and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start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51. The inclined portion 151-2 may be formed to facilitate insertion when the insertion portion 1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의 삽입부(151)는 중부 스토퍼 홀(151-1)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ertion part 15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iddle stopper hole 151-1.

중부 스토퍼홀(151-1)은 삽입부(151)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중부 스토퍼홀(151-1)은 상부 스토퍼홀(110-1) 및 하부 스토퍼홀(1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할 스토퍼(300)가 상부 스토퍼홀(110-1)과 중부 스토퍼홀(151-1) 및 하부 스토퍼홀(110-2)을 통과하여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거치부재 유닛(200)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스토퍼(300)가 상부 스토퍼홀(110-1)과 거치부재 스토퍼홀(232), 중부 스토퍼홀(151-1) 및 하부 스토퍼홀(110-2)을 통과하여 삽입 체결될 수 있다.The middle stopper hole 151-1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art 151. The middle stopper hole 151-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topper hole 110-1 and the lower stopper hole 110-2. That is,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not inserted, the stopp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cludes an upper stopper hole 110-1, a central stopper hole 151-1, and a lower stopper hole 110-2. I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hrough through.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stopp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s an upper stopper hole 110-1, a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a central stopper hole 151-1, and a lower portion. I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hrough the stopper hole (110-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unting memb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유닛(200)을 거치부재 외부(210), 거치부재 중부(220) 및 거치부재 내부(230)로 나눠서 설명한다. 거치부재 유닛(200)은 대략 'ㄴ'형상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이를 상부인 거치부재 외부(210), 하부인 거치부재 내부(230) 및 상기 외부 및 내부를 잇는 거치부재 중부(220)로 나누어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an outer mounting member 210, a central mounting member 220, and an inner mounting member 230.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may be exemplified in a roughly'b' shape, and this includes an upper mounting member outer 210, a lower mounting member inner 230, and a mounting member central part 220 connecting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You can share.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외부(210)는 보조핸들 장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보조핸들 장착부(211)는 거치부재 외부(210)의 상단에 위치한다. 보조핸들 장착부(21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홈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보조핸들 장착부(211)는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삽입부(미도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is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side 210 of the mounting member.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may be illustrated as a circular or polygonal groove.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similar to the insertion portion (not shown)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재 외부(210)의 보조핸들 장착부 거리(d2)는 개구부 거리(d1)보다 소정 적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 유닛(200)이 스템부(100)로 삽입 체결될 때, 개구부 거리(d1)가 보조핸들 장착부 거리(d2)보다 넓게 형성되어 거치부재 유닛(200)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d2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outside the mounting member 210 may be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opening distance d1. Therefore,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tem portion 100, the opening distance d1 is formed wider than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distance d2, so that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can be easily inserted. .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외부(210)는 보조핸들 장착공(212)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보조핸들 장착공(212)은 거치부재 외부(210)에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핸들 장착공(212)은 거치부재 외부(210)의 일측 및 타측에 대응되도록 구멍이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핸들 장착공(212)은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삽입부(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구를 이용하여 자전거 보조핸들(400)과 거치부재 유닛(200)을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may include two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utside the mounting member 210. For example,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may have two 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side 210 of the mounting member. In addition,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ortion (not shown)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using a coupling hole It can play a role of fixing the connection.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외부(210)는 뚜껑삽입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id insertion groove 213.

뚜껑삽입홈(213)은 거치부재 외부(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삽입홈(213)은 뚜껑(120)의 뚜껑삽입부(12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삽입홈(213)은 거치부재 유닛(200)을 스템부(100)에 삽입 시, 뚜껑삽입부(121)가 삽입되어지는 홈으로, 거치부재 유닛(200)을 가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id insertion groove 21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side 210 of the mounting member. The lid insertion groove 21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similar to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of the lid 120. The lid insertion groove 213 is a groove into which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is inserted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stem portion 100, and serves to temporarily fix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유닛(200)은 거치부재 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central portion 220.

거치부재 중부(220)는 거치부재 외부(210)와 거치부재 내부(230)를 잇는 중간부에 위치한다. 거치부재 중부(220)는 거치부재 외부(210)는 폭 방향으로, 거치부재 내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거치부재 중부(220)는 빗면으로 형성되어, 거치부재 유닛(200)을 스템부(100) 내부로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The central portion 220 of the mounting member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210 of the mounting member and the inner portion 230 of the mounting member. The mounting member central par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2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terior 230 of the mounting member in the length direction. The mounting member central portion 220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to facilitate insertion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stem portion 100.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내부(230)는 삽입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230 of the mounting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231.

삽입홈(231)은 거치부재 내부(230)에 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31)은 고정유닛(150)의 삽입부(15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31)은 삽입부(151)와 끼움 결합되어, 거치부재 유닛(200)이 탈락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The insertion groove 231 may have a bar-shaped groove formed inside the mounting member 230. The insertion groove 2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similar to the insertion portion 151 of the fixing unit 150. The insertion groove 231 is fitt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151 so that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fixed without being removed.

한편, 본 실시예의 삽입홈(231)은 경사부(230-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groove 23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30-1).

경사부(230-1)는 삽입홈(231)의 입구에 형성된 빗면으로 예시된다. 경사부(230-1)는 삽입부(15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삽입부(151)가 삽입홈(231)으로 삽입 시, 삽입부(151)의 경사부(151-2)와 경사부(230-1)가 서로 마주보며 삽입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230-1 is illustrat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 231. The inclined portion 230-1 serve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51. For example, when the insertion portion 1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1, the inclined portion 151-2 and the inclined portion 230-1 of the insertion portion 151 may be inserted facing each other.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 내부(230)는 거치부재 스토퍼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side 230 of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topper hole 232 of the mounting member.

거치부재 스토퍼홀(232)은 거치부재 내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재 스토퍼홀(232)은 상부 스토퍼홀(110-1), 중부 스토퍼홀(151-1) 및 하부 스토퍼홀(1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재 스토퍼홀(232)은 후술할 스토퍼(300)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으로 예시된다. The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may be formed inside the mounting member 230. The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topper hole 110-1, the middle stopper hole 151-1, and the lower stopper hole 110-2. The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is illustrated as a hole through which a stopp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한편, 본 실시예의 자전거는 스토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icy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topper 300.

스토퍼(300)는 상부 스토퍼홀(110-1), 거치부재 스토퍼홀(232), 중부 스토퍼홀(151-1) 및 하부 스토퍼홀(110-2)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300)는 볼트 및 너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스템부(100)와 거치부재 유닛(20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300)는 볼트 및 너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템부(100)와 거치부재 유닛(20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관하다.The stopper 300 may be coupled through the upper stopper hole 110-1, the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the middle stopper hole 151-1, and the lower stopper hole 110-2. For example, the stopper 3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lt and a nut to couple and fix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However, the stopper 300 is not limited to a bolt and a nut, and is irrelevant as long as it is capable of coupling and fixing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조핸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icycle auxiliary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전거는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bicy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거치부재 유닛(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사용자가 자전거를 운행할 때, 양팔을 일자로 앞쪽으로 뻗어서 운행할 수 있다.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바 형상으로 된 일자의 핸들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된 일명 "TT바"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TT바"와 유사하게 평행한 한 쌍의 핸들이 배치되나, 양쪽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U'자 형상으로 형성된 일명"U바"도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핸들의 일측에 한 쌍의 팔꿈치 받침대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en the user operates the bicycle,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be operated by extending both arms straight forward.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include a so-called “TT bar” in which a pair of straight handles in a bar shape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ddition, a pair of parallel handles is arranged similar to the "TT bar", but the so-called "U bar" formed in a'U' shape by connecting both ends to each other may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include a pair of elbow rests on one side of the handle.

또한,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TT바, U바 외에도, 에어로바, 클립온바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렇듯,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한 쌍의 핸들은 중심부가 연결된 경우도 있으며, 분리된 형태도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중심부가 연결된 형태를 예시한다.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bicycle auxiliary handles 400, such as an aero bar and a clip-on bar, in addition to the TT bar and the U bar. As such, there are various types of bicycle auxiliary handles 400, and a pair of handles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and there may be separate forms.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n 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center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의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높이조절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410.

높이조절부(41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예시된다. 높이조절부(410)는 상측으로는 후술할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연결부(420)와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410)는 후술할 높이조절블록(412)의 위치 이동을 통해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높이를 소정 정도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is illustrat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height adjustment part 4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420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ide, a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on the lower side.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o a predetermined degree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의 높이조절부(410)는 장착공(4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mounting hole 411.

높이조절부(410)의 하측에는,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공(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공(411)이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410)의 하측은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부(211)에 삽입되어, 보조핸들 장착공(212)과 장착공(411)을 관통하는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다. A mounting hole 411 may be disposed below the height adjustment part 4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he low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41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nd a fastene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and the mounting hole 411 may be coupled.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높이조절부(410)는 높이조절블록(412)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block 412.

높이조절블록(412)은 높이조절부(410)에 삽입되는 도넛 형상의 부재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 높이조절블록(412)은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블록(412)은 후술할 연결부(420)가 체결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is illustrated as a donut-shaped member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Preferably,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blocks 412 may be disposed.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other than a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42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and fixed.

예컨대, 높이조절블록(412)이 후술할 연결부(420)의 체결 부위 상단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높이조절블록(412)이 모두 배치된 후 그 상단에 후술할 연결부(420)가 배치되는 경우,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후술할 연결부(420)의 체결부위 상하로 높이조절블록(412)의 위치를 조정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is all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420 to be described later,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be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is all arranged and the connection part 420 to be described later is arranged on the upper end there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be arranged at the highes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o a desired heigh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up and down the fastening part of the connection part 42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높이조절부(410)는 마개(41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stopper 413.

마개(413)는 높이조절부(410)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413)는 높이조절블록(412)이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마개(413)는 높이조절블록(412)의 면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413)는 높이조절부(410)의 상단에 중심부의 체결구를 통해 자전거 주행 시에도 탈락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topper 413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The stopper 413 serves to prevent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from falling off. Preferably, the stopper 413 may be formed in an area equal to or similar to the area of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The stopper 413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so as not to drop off even when driving a bicycle through a fastener in the center.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420.

연결부(420)는 후술할 한 쌍의 보조핸들바(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420)는 높이조절부(410)와 연결되어, 거치부재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420)는 한 쌍의 보조핸들바(430)를 연결하는 역할과, 높이조절부(410)와 체결되어 높이조절 및 거치부재 유닛(200)과의 연결이 가능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420)의 높이조절부(410)와의 체결 위치 조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의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The connection part 420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auxiliary handle bars 43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ment part 410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420 may serve to connect the pair of auxiliary handlebars 430, and may serve to adjust the height and connect with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by being fastened with the height adjusting part 410. . By adjust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420 with the height adjusting part 41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o a height desired by the user.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420)는 체결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42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421.

체결부(421)는 연결부(42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21)는 일측에 힌지 구조가 배치되고, 타측은 체결구가 배치된 클램프 형상으로 예시된다. 체결부(421)는 높이조절부(41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42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420. The fastening part 421 is illustrated in a clamp shape in which a hinge structure is disposed on one side and a fastener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fastening part 421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with a height adjusting part 410.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보조핸들바(43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n auxiliary handle bar 430.

보조핸들바(430)는 연결부(4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핸들바(430)는 바 형상으로 된 일자의 핸들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된 일명 "TT바"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TT바"와 유사하게 평행한 한 쌍의 핸들이 배치되나, 양쪽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U'자 형상으로 형성된 일명"U바"도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핸들바(430)는 연결부(420)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auxiliary handlebars 43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420. The auxiliary handle bar 430 may include a so-called “TT bar” in which a pair of straight handles in a bar shape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ddition, a pair of parallel handles is arranged similar to the "TT bar", but the so-called "U bar" formed in a'U' shape by connecting both ends to each other may also be included. Preferably, the auxiliary handle bar 430 may be fixed by being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connection part 420 at the center.

도 5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자전거의 장착상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자전거의 장착상태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unting state of the bicycle shown in FIGS. 1 to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cycle shown in FIGS. 1 to 4 in a mounting state.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자전거의 장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템부(100)에 거치부재 유닛(200)을 삽입하고 스토퍼(300)를 이용하여 관통 결합시킨다. 결합 후,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부(211)에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삽입시킨다. 결합구를 이용하여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결합시킨다. 분리시킬 때는 위와 반대의 순서대로 진행하면 될 것이다.Referring to Figures 5 to 6, looking at the mounting state of the bicycl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stem part 100 and through-coupled using the stopper 300. After coupling,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s coupled using a coupling tool. When separating, you can proceed in the reverse order.

스템부(100)와 거치부재 유닛(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거치부재 유닛(200)을 삽입한다. 스템부(100)의 뚜껑(120)의 손잡이(122)를 일측으로 슬라이드 하여, 개구부(111)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킨다. 거치부재 유닛(200)의 거치부재 내부(230)부터 개방 상태의 개구부(111)를 향해 집어넣는다. 이 때, 거치부재 중부(220)가 빗면을 형성하고 있기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stem part 1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re separated. By sliding the handle 122 of the lid 120 of the stem portion 100 to one side, the opening 111 is converted to an open state. It is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mounting member 230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oward the opening 111 in an open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central portion 220 of the mounting member has an inclined surface, it can be easily entered.

스템부(100)의 삽입부(151)가 거치부재 유닛(200)의 삽입홈(231)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삽입부(151)의 경사부(151-2)와 삽입홈(231)의 경사부(231-1)가 서로 마주보며 삽입되어,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거치부재 유닛(200)이 끝까지 삽입되면, 거치부재 유닛(200)이 고정유닛(150)의 지지체(152)에 맞닿게 된다. 그렇게 되면, 뚜껑(120)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부(140)에 의해 뚜껑(120)이 슬라이드부(130)를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뚜껑(120)이 일측으로 슬라이드 되며, 거치부재 외부(210)의 뚜껑삽입홈(213)으로 뚜껑(120)의 뚜껑삽입부(121)가 끼워지며 거치부재 유닛(200)을 가고정시킨다.The insertion portion 151 of the stem portion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151-2 of the insertion portion 151 and the inclined portion 231-1 of the insertion groove 231 are inserted to face each other, thereby facilitating insertion.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fully inserte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body 152 of the fixing unit 150. In that case, the lid 120 slides to one side along the slide portion 130 by the elastic portion 14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120. The lid 120 is slid to one side, and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of the lid 120 is inserted into the lid insertion groove 213 of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21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temporarily fixed.

이후, 스토퍼(300)가 상부 스토퍼홀(110-1), 거치부재 스토퍼홀(232), 중부 스토퍼홀(151-1) 및 하부 스토퍼홀(110-2)을 관통하며 체결 결합된다. 이렇듯, 뚜껑삽입부(121)가 뚜껑삽입홈(213)과 끼워지며 1차 고정이 되고, 스토퍼(300)를 이용하여 2차 결합을 하여, 종래의 자전거의 보조핸들 탈부착 과정보다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the stopper 300 passes through the upper stopper hole 110-1, the mounting member stopper hole 232, the middle stopper hole 151-1, and the lower stopper hole 110-2, and is fastened. In this way, the lid insertion portion 121 is fitted with the lid insertion groove 213 and is first fixed, and the second coupling is performed using the stopper 300, which is simpler and more robust than the conventional bicycle's auxiliary handle removal process. This can be done.

결합 과정의 마지막으로,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부(211)에 삽입되어, 결합구를 이용하여 거치부재 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Finally,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using a coupling hole.

예컨대,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삽입부에도 장착공을 형성하여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공(212)과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삽입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삽입부에는 보조핸들 장착공(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가능하도록 장착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보조핸들 장착부(211)의 보조핸들 장착공(212)과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장착공을 일직선이 되도록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삽입한다.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삽입 후,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구를 보조핸들 장착공(212)으로 관통 결합시켜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연결시킬 수 있다.For example, by forming a mounting hole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auxiliary bicycle handle 400,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using a coupling hole such as bolts and nuts. In this case, a mount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so as to penetrate in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Thereafter,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and the mounting hole of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are inserted in a straight line. After inserting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may be connected by penetrating coupling holes such as bolts and nuts through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2.

또 다른 예로는, 보조핸들 장착부(211)의 외면에 클램프와 같은 결합기구를 부착하여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거치부재 유닛(200)과 연결할 수 있다. 보조핸들 장착부(211)의 측면에 폭방향으로 홈을 형성 후, 보조핸들 장착부(211)의 외면을 둘러싸는 클램프를 배치할 수 있다. 이후, 보조핸들 장착부(211)에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삽입 후 클램프의 양쪽 틀을 체결하여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연결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coupling mechanism such as a clamp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to connect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o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fter forming a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a clamp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may be disposed. Thereafter, after inserting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n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both frames of the clamp are fastened to connect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또 다른 예로는, 보조핸들 장착부(211)의 일측에 QR레버(quick release lever)와 같은 결합기구를 부착하여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거치부재 유닛(200)과 연결할 수 있다. 부품을 교체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은 QR레버를 보조핸들 장착부(211)에 배치하여, 자전거 보조핸들(400)의 탈부착시 사용자가 QR레버를 손으로 잠구고 푸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연결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coupling mechanism such as a quick release lever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to connect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to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When replacing parts, a QR lever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is placed on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so that when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s attached or detached, the user locks and releases the QR lever by hand. 400) can be connected.

또한, 예를 들어 삽입부가 보조핸들 장착부(2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면, 보조핸들 뿐만 아니라 핸드폰 거치대, 속도계, 라디오, 자전거용 블랙박스 및 물통 거치대 등 다양한 자전거 보조 용품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손쉬운 탈착이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for example, if the insertion part is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auxiliary handle, but also to various bicycle auxiliary products such as a mobile phone holder, a speedometer, a radio, a black box for a bicycle, and a water bottle holder, This will allow easy detachment.

자전거 보조핸들(400)을 자전거에서 분리하는 경우, 위의 과정과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먼저, 자전거 보조핸들(400)과 거치부재 유닛(200)의 결합구를 해제시켜 자전거 보조핸들(400)과 거치부재 유닛(200)을 분리시킨다. When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s separated from the bicycle, it is sufficient to proce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process. First,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re separated by releasing the coupling hole between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이후, 스템부(100)와 거치부재 유닛(200)을 분리하기 위해, 스토퍼(300)를 먼저 제거한다. 스토퍼(300)를 제거 후, 뚜껑(120)의 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일측으로 슬라이드 하고, 거치부재 유닛(200)을 개구부(111)에서 들어올려 제거한다. 거치부재 유닛(200)이 스템부(100)에서 빠져나오고 뚜껑(120)의 손잡이(122)에서 손을 떼게 되면, 탄성부(140)의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뚜껑(120)이 타측으로 이동하여 개구부(111)를 폐쇄한다.Thereafter, in order to separate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he stopper 300 is first removed. After the stopper 300 is removed, the handle 122 of the lid 120 is gripped to slide to one side,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lifted from the opening 111 and removed. Whe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comes out of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handle 122 of the lid 120, the lid 120 moves to the other side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140 The opening 111 is closed.

예컨대, 스템부(100)와 거치부재 유닛(200)을 분리 후에는 스토퍼(300)를 스템부(100)의 상부 스토퍼홀(110-1), 중부 스토퍼홀(151-1) 및 하부 스토퍼홀(110-2)을 관통하도록 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관통 결합하게 되면, 스토퍼(300)를 따로 보관하는 불편함과 분실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separating the stem part 100 and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he stopper 300 is replaced with the upper stopper hole 110-1, the middle stopper hole 151-1, and the lower stopper hole of the stem part 100. It can be combined by passing through (110-2). When the through coupling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inconvenience of storing the stopper 300 separately and the risk of loss may be reduc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전거는, 자전거 보조핸들의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하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자전거 보조 용품에 확대 적용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but it can maintain a strong and stable coupling,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bicycle auxiliary products.

스템부(100)의 뚜껑(120)과 거치부재 유닛(200)의 뚜껑삽입홈(213)의 1차 고정 후, 2차 결합인 스토퍼(300)의 체결을 통해, 종래의 자전거 보조핸들의 탈착 및 부착에 비해 간단한 과정으로 자전거에 자전거 보조핸들을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렇듯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면서도, 스템부(100)의 고정유닛(150)과 거치부재 유닛(200)을 관통하는 스토퍼(300)의 결합을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fter the first fixing of the lid 120 of the stem part 100 and the lid insertion groove 213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he conventional bicycle auxiliary handle is detached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stopper 300, which is a secondary coupling.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to the bicycle in a simple process compared to the attachment. As such, while being easily detachab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xing unit 150 of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stopper 300 penetrating through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a strong and stable connection.

또한,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부(211)에는 자전거의 보조 핸들뿐만 아니라, 자전거에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자전거 보조용품의 장착이 가능하다. 보조핸들 장착부(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삽입부를 형성한다면, 결합구를 이용,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자전거 보조 용품으로 확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211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s well as the auxiliary handle of the bicycle, various bicycle auxiliary produc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bicycle may be mounted. If an inser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1 is formed,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apply to various bicycle auxiliary products by using and combining a coupling tool.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템부 110: 하우징
111: 개구부 110-1: 상부 스토퍼홀
110-2: 하부 스토퍼홀 120: 뚜껑
121: 뚜껑삽입부 122: 손잡이
130: 슬라이드부 140: 탄성부
150: 고정유닛 151: 삽입부
151-1: 중부 스토퍼홀 151-2: 경사부
152: 지지체
200: 거치부재 유닛 210: 거치부재 외부
211: 보조핸들 장착부 212: 보조핸들 장착공
213: 뚜껑삽입홈 220: 거치부재 중부
230: 거치부재 내부 230-1: 경사부
231: 삽입홈 232: 거치부재 내부 홀
300: 스토퍼 400: 자전거 보조핸들
410: 높이조절부 411: 장착공
412: 높이조절블록 413: 마개
420: 연결부 421: 체결부
430: 보조핸들바
100: stem part 110: housing
111: opening 110-1: upper stopper hole
110-2: lower stopper hole 120: lid
121: lid insertion portion 122: handle
130: slide part 140: elastic part
150: fixing unit 151: insert
151-1: central stopper hole 151-2: slope
152: support
200: mounting member unit 210: outside the mounting member
211: auxiliary handle mounting part 212: auxiliary handle mounting hole
213: lid insertion groove 220: central part of the mounting member
230: inside the mounting member 230-1: inclined portion
231: insertion groove 232: mounting member inner hole
300: stopper 400: bicycle auxiliary handle
410: height adjustment unit 411: mounting hole
412: height adjustment block 413: stopper
420: connection part 421: fastening part
430: auxiliary handle bar

Claims (3)

일측에 자전거 핸들이 결합되고 타측에 자전거 헤드셋이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에 개구부(111)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개구부(111)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20)을 포함하는 스템부(100);
일단이 상기 개구부(111)에 삽입 체결되는 거치부재 유닛(200);
상기 거치부재 유닛(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자전거 보조핸들(400);및
상기 스템부(100)는 내부에 상기 거치부재 유닛(200)의 고정을 위한 고정유닛(15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고정유닛(150)은 상기 스템부(100)와 고정 결합되는 지지체(152); 및
상기 지지체(15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부재 유닛(200)에 형성되는 삽입홈(23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1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뚜껑(120)의 일측에는 상기 스템부(100)의 상부와의 사이에 슬라이드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120)이 상기 개구부(111)를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자전거.
A bicycle handlebar is coupled to one side and a bicycle headse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is formed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but the opening 111 is formed to be opened at the top, and a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opening 111 ( Stem portion 100 including 120;
A mounting member unit 200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opening 111;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nd
The stem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150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therein,
The fixing unit 150 includes a support 152 fixedly coupled to the stem 100;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insertion portion 151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152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231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On one side of the lid 120, a slide portion 13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m portion 100, and the lid 120 slides open and closes the opening 111, a bicy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1)의 거리(d1)는 상기 거치부재 유닛(200)의 보조핸들 장착부 거리(d2)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 유닛(200)의 탈부착을 위한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자전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d1) of the opening (111) is formed wider than the distance (d2) of the auxiliary handle mounting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a free spa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mounting member unit (200)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보조핸들(400)은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높이조절부(410) 및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420)는 고정 체결이 가능한 체결부(421)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조절부(410)와 고정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높이조절부(410)는 상기 체결부(421)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조절블록(412)의 상하 위치 이동을 통해 보조핸들바(43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cycle auxiliary handle 400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part 410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420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in the center,
The connection part 420 includes a fastening part 421 that can be fixedly fastened, and can be fixedly coupled with the height adjustment part 410,
The height adjustment unit 41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uxiliary handle bar 430 through the vertical position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block 412 based on the fastening unit 421, a bicycle.
KR1020200103869A 2020-08-19 2020-08-19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KR102191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69A KR102191512B1 (en) 2020-08-19 2020-08-19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69A KR102191512B1 (en) 2020-08-19 2020-08-19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36A Division KR102174243B1 (en) 2020-07-07 2020-07-07 Bicycle with easy removable of bicycle auxiliary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512B1 true KR102191512B1 (en) 2020-12-15

Family

ID=7378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69A KR102191512B1 (en) 2020-08-19 2020-08-19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5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8465A1 (en) * 2000-05-17 2002-08-15 Peter Rocket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 supplemental set of handlebars to a bicycle
US20060230872A1 (en) * 2005-04-06 2006-10-19 Yuan-Hsin Huang Bicycle assistive handlebar structure
KR20150060426A (en) * 2013-11-26 2015-06-03 이재용 Stem for bicycle being able to realign location of handle bar
KR20170109270A (en) * 2016-03-21 2017-09-29 이문수 Adjustable Bicycle Auxiliary Handlebar
US10160510B1 (en) * 2017-09-19 2018-12-25 Nicholas M Salazar Height and tilt adjustable handlebar and stem assembly
KR101958138B1 (en) * 2018-01-27 2019-03-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tem of a bicycle tha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8465A1 (en) * 2000-05-17 2002-08-15 Peter Rocket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 supplemental set of handlebars to a bicycle
US20060230872A1 (en) * 2005-04-06 2006-10-19 Yuan-Hsin Huang Bicycle assistive handlebar structure
KR20150060426A (en) * 2013-11-26 2015-06-03 이재용 Stem for bicycle being able to realign location of handle bar
KR20170109270A (en) * 2016-03-21 2017-09-29 이문수 Adjustable Bicycle Auxiliary Handlebar
US10160510B1 (en) * 2017-09-19 2018-12-25 Nicholas M Salazar Height and tilt adjustable handlebar and stem assembly
KR101958138B1 (en) * 2018-01-27 2019-03-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tem of a bicycle tha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7477B1 (en) Convertible riding toy
US6971658B2 (en) Stretching bicycle
US7753388B2 (en) Front wheel drive recumbent bicycle
WO2006001811A1 (en) Dual clamp bicycle stem face plate
USD520916S1 (en) Cruiser bicycle frame
KR102191512B1 (en) Bicycle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nd removable of auxiliary handle
KR102174243B1 (en) Bicycle with easy removable of bicycle auxiliary handle
US8931795B1 (en) Quick release attachment for a bicycle
CA3012562A1 (en) Seat for a vehicle
US6036215A (en) Device for linking two or more bicycles in tandem
GR20010100594A (en) Grab rail mounting structure in motorcycle
US4093258A (en) Multipassenger pedal vehicle
TWI266721B (en) Handle of auto two wheel vehicle
US8292317B1 (en) Tow bar for tricycle or bicycle
KR100721412B1 (en) Horse riding type bike
KR200384072Y1 (en) Tracting apparatus in a cycle
CN213974325U (en) Handlebar quick assembly disassembly structure
KR20110005678U (en) Variable shape bicycle
EP3333058B1 (en) Convertible bicycle
CN201132574Y (en) Structure for adjusting handlebar angle of bicycle
CN2851091Y (en) Movable bicycle handlebar
CN209776666U (en) Baby carriage and tricycle body thereof
CN217320626U (en) Wooden scooter with transportation ability
TW200630256A (en) Vehicle body frame and motorcycle provided with the vehicle body frame
CN201132577Y (en) Angle-adjusting handlebar for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