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371B1 -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371B1
KR102191371B1 KR1020200057419A KR20200057419A KR102191371B1 KR 102191371 B1 KR102191371 B1 KR 102191371B1 KR 1020200057419 A KR1020200057419 A KR 1020200057419A KR 20200057419 A KR20200057419 A KR 20200057419A KR 102191371 B1 KR102191371 B1 KR 10219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water
rinsing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동진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여동진
김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동진, 김재우 filed Critical 여동진
Priority to KR102020005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4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lorine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탁할 때 인체에 해가 없는 살균소독제를 사용하여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은, 세탁물의 예비세탁 단계(S10)와, 본 세탁 단계(S20)와, 헹굼 및 탈수 단계(S30)와, 건조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물의 세탁과정에 있어서,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S30)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투입하여 바이러스 및 세균을 소독 및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FOR LAUNDRY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헹굼 단계에서 이산화염소수를 투입거나, 세탁기 자체에서 이산화염소를 물에 흡수시켜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한 후 이를 헹굼 단계에 투입하여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인류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2020년 5월 기준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 세계 200여국에서 발생되었고, 확진자는 3백만, 사망자는 20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치사율이 7%에 이르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번에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2003년에 발생한 사스(SARS), 2012년에 발생한 메르스(MERS)에 비해 훨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적에도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이 아직 생산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만이 최선의 예방책이 되고 있다.
한편, 미국 애리조나대학교의 환경위생학과 켈리 레이놀즈 교수는, 환자의 옷에 남은 세균도 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즉 환자가 아무리 청결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속옷에는 배설물이 잔류하게 되고, 배설물 1그램에는 수백만 개의 세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노출에 의해서도 세균이 전염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세탁기에서 환자의 옷과 건강한 사람의 옷을 함께 세탁을 하게 되면, 건강한 사람의 옷도 오염시키게 되고, 한 벌의 오염된 옷이 세탁기에 있는 옷의 90%이상을 오염시킨다고 한다.
또한 호흡기 감염을 유발시키는 세균의 대부분은 세탁과정을 거쳐도 살아남게 된다고 한다.
한편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 세제의 양을 늘리게 되면, 세탁하는 동안 세제가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세제가 오히려 바이러스와 엉겨붙을 위험이 있다고 한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루비누나 세제로는 호흡기 감염을 유발시키는 세균을 살균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잠복기에 있는 바이러스 감염자가 감염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다른 옷과 같이 세탁할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확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을 검색해 본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이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특허문헌 1은 플라즈마의 멸균 및 유기물 분해 기능을 이용한 멸균-세탁기로서, 기체오존 순환식 방식과 플라즈마 발생기 및 세탁수조의 저온 유지 장치에 의하여 고용존도 오존수에 의하여 세탁이 실시되고, 급배수 시의 오존 유출 방지와 잔존 오존의 순환식 제거에 의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순환식 활성수기가 구비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본체 내에 설치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설치된 세탁조 및 급수관으로 통해 공급되는 급수를 활성화시켜 활성수를 상기 세탁조 내로 투입시키는 활성수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급수관 일측에 구비되어 급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급수밸브; 급수 밸브와 상기 세탁조 사이에 구비되는 공급관; 공급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유입된 급수를 활성화하여 상기 세탁조로 활성수를 공급하는 활성수기; 저수조와 상기 급수밸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된 활성수가 순환되는 순환배관; 및 순환배관 내의 상기 활성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으로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전해수 공급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전해수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전해수 탱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 판넬; 및 상기 조작 판넬을 통해 살균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전해수 탱크에서 전해수가 생성 및 저장되도록 한 후 상기 전해수 탱크에 저장된 전해수가 기 설정된 후속 단계에서 상기 세탁조 안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의 세탁기는, 수돗물 수조 및 자외선 광원을 구비하는 고도산화수 제조부, 및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세탁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오존, 플라즈마, 활성수, 전해수, 자외선 광원 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살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식에 의해서는 각종 바이러스와 감염성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6751호(2020. 4. 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304호(2014. 11. 1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9318호(2017. 7. 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2039호(2015. 3. 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탁할 때 인체에 해가 없는 살균소독제를 사용하여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에 존재하는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함으로써,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류의 건강에 위협을 주고 있는 각종 바이러스에 대하여 개인 방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은, 세탁물의 예비세탁 단계와, 본 세탁 단계와, 헹굼 및 탈수 단계와, 건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물의 세탁과정에 있어서,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투입하여 바이러스 및 세균을 소독 및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는, 1차 헹굼 및 탈수 단계와, 2차 헹굼 및 탈수 단계와, 3차 헹굼 및 탈수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 헹굼 및 탈수 단계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헹굼 및 탈수 단계의 헹굼 과정, 또는 2차 헹굼 및 탈수 단계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투입하거나, 상기 1차 헹굼 및 탈수 단계의 헹굼 과정과, 2차 헹굼 및 탈수 단계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각각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헹굼 과정에 투입되는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는 10∼1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헹굼 과정시, 물 20리터에 대해 순도 1,000ppm의 이산화염소수 0.4~1.05리터를 투입하여 최종 이산화염소수의 농도가 20∼50ppm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의 예비세탁 단계와, 본 세탁 단계와, 헹굼 및 탈수 단계와, 건조 단계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펌프와, 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 및 아염소산나트륨 펌프와, 염산 저장부 및 염산 펌프와, 상기 펌프들에 의해 각각 공급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에 의해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염소 발생기와,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를 물에 흡수시켜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는 이산화염소수 제조기와, 상기 이산화염소수 제조기에서 제조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에 투입하는 이산화염소 투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의 상부에 투입되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은, 순도가 각각 23%: 12%: 9.8%일 때 31.5ml: 26.3ml: 33.8ml의 비율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는 공기 주입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시의 살균소독제로서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함으로써,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에 해가 없는 이산화염소수를 살균소독제로 사용함으로써, 세탁 후 안심하고 의류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류 세탁시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전염성 세균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세탁공정의 변경 없이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수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 세탁기에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이산화염소수의 제조 및 공급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소독 및 살균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이산화염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산화염소(ClO2)는 독특한 냄새를 가진 녹색의 가스로서, 냉각하면 황적색의 액체로 변하게 된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강력한 산화력으로 살균 소독은 물론, 악취제거에도 효과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산화염소는 19세기 초에 개발되었는데, 초창기에는 매우 불안정한 기체라는 이유로, 펄프나 가죽의 표백, 살균제 및 방부제 등에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산화염소를 실생활에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었고, 근래에는 미국 BIO-CIDE사가 이산화염소를 분말화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염소계 물질인 락스류보다 산화력이 강하고, 자극 취기가 없는 강력한 소취효과 및 살균 소독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방향제나 탈취제와 달리, 악취,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일부 공해물질 등을 근원적으로 산화 및 분해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산소계 산화제이기 때문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인체나 동물에 해가 없고, 기존의 염소계 살균 소독제에 비해 부식이 적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식품 제조공장, 정수장, 하수 종말처리장 등에서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약 8~10%로 희석하여 소독 및 살균제로 사용하고 있다.
아래의 [표 1]은 이산화염소와 다른 소독제 및 살균제의 기능을 비교한 것이다.
Figure 112020048536091-pat00001
이산화염소와 다른 소독제 및 살균제와의 비교.
위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이산화염소의 살균력은 통상의 염소계 살균제보다 2.5배 강하여 바이러스보다 큰 원생동물까지 제거할 수 있고, 이산화염소는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전염성 세균에 대한 소독 및 살균력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도 제거가 가능하고, 세탁물의 세탁시 발생할 수 있는 철, 망간과 같은 중금속 및 세제에 포함된 페놀도 제거할 수가 있다.
아래의 [표 2]는 이산화염소수의 바이러스 및 전염성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측정농도
(ppm)
소멸시간 소멸율
살모넬라 1 10초 미만 99.90%
쉬겔라 1 10초 미만 99.90%
녹농균 1 30초 미만 99.90%
슈퍼 박테리아 3 제균 99.90%
신종플루(H1N1) 1 멸균 99.90%
병원성대장균(O-157/식중독균) 1 60초(10초 이내) 99.90%
구 분 측정농도
(ppm)
소멸시간 소멸율
장염 비브리오균(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0%
바실러스 세레오스균(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0%
시겔라 플렉스에라균(이질/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0%
리스테리아 균(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0%
대장균(식중독) 1 10초 미만 99.90%
황색포도상구균 1 10초 미만 99.90%
이산화염소수의 바이러스 및 전염성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이산화염소수는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다른 전염성세균을 단시간에 거의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발암물질인 총트리할로메탄(THMs: Total Tri-Halo Methane) 클로로아민, 클로로페놀 등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살균 및 소독로 인정받고 있다.
이산화염소수의 안정성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환경보호청(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이산화염소를 안전한 살균 및 소독제로 공인하고 있다(EPA 공인 21164-3).
그리고 미국식품의약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이산화염소수를 과일이나 야채, 식품용기 등의 세척에 사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이산화염소를 식품첨가물 중 가장 안전한 기준인 "안전기준 A-1" 등급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환경부고시 1999-173호에서, 이산화염소를 식수의 살균소독제 (1ppm이하 사용)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식약청은, 식약청 고시 2005-33호에서 이산화염소를 살균소독제로 지정(200ppm이하 사용)한 바 있고, 고시 2007-74에서 과일, 채소 등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가하였으며, 고시 2009-06에서는 횟집 수족관에서 위생관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식품산업진흥법에서 이산화염소를 유기농산물의 가공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하였고,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령 시행규칙 제20조에는 이산화염소를 설비 및 육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고,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규칙에는 이산화염소를 구제역의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소독 및 살균효과와 안전성이 인정된 이산화염소를 세탁물의 세탁에 사용하여 바이러스나 감염성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세탁물을 소독 및 살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물에 수돗물과 가루비누를 투입하여 예비세탁을 하고(S10), 이어서 본 세탁을 한다(S20).
그리고 수돗물을 투입하여 1차 헹굼 및 탈수(S30-1) 과정, 2차 헹굼 및 탈수(S30-2)과정을 거치면서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헹구고 세탁수를 배출한다.
이어서 3차 헹굼 및 탈수(S30-3)과정에서, 수돗물과 향비누 등을 투입하는 동시에 이산화염소수를 투입한다(S40).
이때 상기 헹굼 과정에 투입되는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는 10∼1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헹굼 과정시, 물 20리터에 대해 순도 1,000ppm의 이산화염소수 0.4~1.05리터를 투입하여 최종 이산화염소수의 농도가 20∼50ppm이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1)의 헹굼 과정, 또는 2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2)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1)의 헹굼 과정과, 2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2)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를 각각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헹굼 및 탈수 단계가 3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회수는 세탁조건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를 거친 세탁물이 건조 단계(S50)에서 건조되면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된다.
또한 전문 세탁업소에서는 필요에 따라 포장 단계(S60)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시 살균력이 우수한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하여 각종 바이러스나 전염성 세균을 살균하므로, 바이러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시 살균소독제로서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염소를 사용하므로, 세탁 후 의류를 안심하고 착용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세탁기 자체에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를 구비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세탁기에 자동적으로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세탁 전문업소에서 사용하는 대형 세탁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세탁기는, 세탁물의 예비세탁 단계(S10)와, 본 세탁 단계(S20)와, 헹굼 및 탈수 단계(S30)와, 건조 단계(S50)와, 포장단계(S60)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10)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펌프(10a)와, 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20) 및 아염소산나트륨 펌프(20a)와, 염산 저장부(30) 및 염산 펌프(30a)와, 상기 펌프(10a, 20a, 30a)들에 의해 각각 공급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에 의해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염소 발생기(40)와,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4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를 물에 흡수시켜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는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에서 제조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S30)에 투입하는 이산화염소 투입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 펌프(10a)와, 아염소산나트륨 펌프(20a)와, 염산 펌프(30a)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을 각각 이산화염소 발생기(40)의 상부로 공급한다.
그러면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의 반응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40)에서 이산화염소가 생성된다.
이때 이산화염소 발생기(40)의 상부로 투입되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의 비율은, 생산될 이산화염소의 양에 따라 다르지만, 순도가 각각 23%: 12%: 9.8%일 때 31.5ml: 26.3ml: 33.8ml의 비율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험 결과에 근거한 것으로, 상기 비율로 투입될 때 이산화염소의 발생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40)는 공기 주입기(40a)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주입기(40a)에 의해 이산화염소 발생기(40)에서 이산화염소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4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는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로 공급된다.
상기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는 이산화염소 발생기(4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물에 흡수시켜 액체상태의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이산화염소수는 이산화염소수 투입기(60)에 의해 세탁기의 헹굼 과정에 투입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전문 세탁업체에서 사용하는 대형 세탁기 뿐만 아니라 가정용 소형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 10a: 차아염소산나트륨 펌프
20: 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 20a: 아염소산나트륨 펌프
30: 염산 저장부 30a: 염산 펌프
40: 이산화염소 발생기 50: 이산화염소수 제조기
60: 이산화염소수 투입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세탁물의 예비세탁 단계(S10)와, 본 세탁 단계(S20)와, 헹굼 및 탈수 단계(S30)와, 건조 단계(S50)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자체에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가 구비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세탁기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10)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펌프(10a)와, 아염소산나트륨 저장부(20) 및 아염소산나트륨 펌프(20a)와, 염산 저장부(30) 및 염산 펌프(30a)와,
    상기 펌프(10a, 20a, 30a)들에 의해 각각 공급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에 의해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염소 발생기(40)와,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4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를 물에 흡수시켜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는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에서 제조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S30)에 투입하는 이산화염소수 투입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40)는 공기 주입기(40a)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헹굼 및 탈수 단계(S30)는, 1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1)와, 2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2)와, 3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3)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 헹굼 및 탈수 단계(S30-3)의 헹굼 과정에, 이산화염소수 투입기(60)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수 제조기(50)에서 제조된 이산화염소를 투입하며,
    상기 헹굼 과정시, 물 20리터에 대해 순도 1,000ppm의 이산화염소수 0.4~1.05리터를 투입하여 최종 이산화염소수의 농도가 20∼50ppm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기의 상부에 투입되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염산은, 순도가 각각 23%: 12%: 9.8%일 때, 31.5ml: 26.3ml: 33.8ml의 비율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57419A 2020-05-14 2020-05-14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219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19A KR102191371B1 (ko) 2020-05-14 2020-05-14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19A KR102191371B1 (ko) 2020-05-14 2020-05-14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371B1 true KR102191371B1 (ko) 2020-12-15

Family

ID=7378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419A KR102191371B1 (ko) 2020-05-14 2020-05-14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3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077A (ja) * 2005-11-09 2007-06-21 Otis:Kk 洗濯方法
JP2010187780A (ja) * 2009-02-16 2010-09-02 Nakazono Kagaku Kk リサイクル式洗濯水供給装置
KR101461304B1 (ko) 2013-01-21 2014-11-1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순환식 활성수기가 구비된 세탁기의 작동방법
KR20150032039A (ko) 2013-09-17 2015-03-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고도산화수 제조부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70079318A (ko) 2015-12-30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수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진 세탁기
KR101989035B1 (ko) * 2018-11-23 2019-06-13 (주)한영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20039775A (ja) * 2018-09-13 2020-03-19 有限会社クリーンケア 業務用洗濯機の被洗物殺菌方法、殺菌装置及び業務用洗濯機の被洗物殺菌方法を用いた業務用洗濯機
KR102096751B1 (ko) 2019-12-16 2020-04-02 주식회사 프라뱅크 플라즈마 멸균-세탁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077A (ja) * 2005-11-09 2007-06-21 Otis:Kk 洗濯方法
JP2010187780A (ja) * 2009-02-16 2010-09-02 Nakazono Kagaku Kk リサイクル式洗濯水供給装置
KR101461304B1 (ko) 2013-01-21 2014-11-1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순환식 활성수기가 구비된 세탁기의 작동방법
KR20150032039A (ko) 2013-09-17 2015-03-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고도산화수 제조부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70079318A (ko) 2015-12-30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수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진 세탁기
JP2020039775A (ja) * 2018-09-13 2020-03-19 有限会社クリーンケア 業務用洗濯機の被洗物殺菌方法、殺菌装置及び業務用洗濯機の被洗物殺菌方法を用いた業務用洗濯機
KR101989035B1 (ko) * 2018-11-23 2019-06-13 (주)한영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096751B1 (ko) 2019-12-16 2020-04-02 주식회사 프라뱅크 플라즈마 멸균-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elle et al. Ozone application in different industries: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EP2242518B1 (en) Deodorizing and sanitizing compositions
US20070243597A1 (en) Disinfectant Solutions
KR20010024138A (ko) 액체 이산화탄소 및 uv-조사를 사용하는 살균법
CN102274535A (zh) 卫浴清洁除臭剂
US6815408B2 (en) Hydrogen peroxide stabilizer and resulting product and applications
KR102191371B1 (ko) 세탁물의 소독 및 살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150084167A (ko) 미산성차아염소산수가 함유된 물티슈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물티슈
WO2010030255A1 (en) Process for sterilization of the textile products
CN107354015A (zh) 一种水果蔬菜清洗净
CN103314993A (zh) 一种牙刷专用消毒药剂
CN201427906Y (zh) 用于医院的清洗消毒的水处理系统
US20050065052A1 (en) Hydrogen peroxide stabilizer and resulting product and applications
KR20090078892A (ko) 오존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JP2008101296A (ja) 布製品または紙製品の清浄化方法
JP6880300B1 (ja) 洗濯用の洗浄剤・殺菌剤セット、洗濯用の洗浄剤、洗濯用の殺菌剤
KR102586840B1 (ko) 반도체 라인 로봇 세정제 조성물
WO2000078153A1 (en) Aqueous disinfecting solution
Yan et al. New Clinical Applications of Electrolyzed Water: A Review. Microorganisms 2021, 9, 136
KR20110002182U (ko) 오존 가스를 이용한 손의 바이러스 및 세균 소독 장치
FI129181B (fi) Puhdistusaineliuos
KR20210076466A (ko) 차염소산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48711A (ja) 鶏舎の消毒・殺菌管理方法
CN103053612A (zh) 去污消毒灭菌无泡沫喷洒液
JPH10248909A (ja) 気相中における物品の洗浄及び殺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