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71B1 -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71B1
KR102190071B1 KR1020190077619A KR20190077619A KR102190071B1 KR 102190071 B1 KR102190071 B1 KR 102190071B1 KR 1020190077619 A KR1020190077619 A KR 1020190077619A KR 20190077619 A KR20190077619 A KR 20190077619A KR 102190071 B1 KR102190071 B1 KR 102190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ulum
mass
circumferential
mass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to KR102019007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컨버터에서 입력의 변동을 흡수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는, 펜들럼 지지체에 마련된 중간 질량체 수용공간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중간 질량체의 외주면의 외주 단부의 사잇각이 중간 질량체의 내주 단부의 사잇각보다 더 크고,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과 중간 질량체의 원주방향 측면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에 대한, 해당 표면의 접선의 기울기가, 해당 표면이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더 커지는 형태(da/dr ≥ 0)를 가진다. 이에 따라 형상과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질량체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질량을 확보할 수 있고, 허용되는 체적 내에서도 질량체의 관성모멘트를 최대한 확보 할 수 있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Pendulum Damper Assembly for Torque Converter}
본 발명은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크 컨버터에서 입력의 변동을 흡수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 컨버터는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출력하여 변속기로 전달한다. 엔진은 흡기, 압축, 폭발, 배기의 4 행정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토크 컨버터에 전달하는데, 특히 폭발 행정에서 강한 힘이 발생하므로 토크 컨버터에 입력되는 회전력은 고르지 않고 강약이 존재한다.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는 입력된 회전력을 출력 쪽으로 전달하면서, 입력 측의 회전력의 강약을 흡수하여 진동을 흡수한다. 이를 위해,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는 질량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모멘트를 활용한다. 관성모멘트는, 회전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그리고 질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미국 등록특허 제5,884,735호에 개시된 종래의 펜들럼 구조는 원형(annular)의 펜들럼 지지체에 전면 질량체 및 후면 질량체가 결합하는 점에서 질량의 증가가 제한적이다.
한편, 질량체의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전면 질량체와 후면 질량체 사이에 보조 질량체를 개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독일 등록특허 DE 709 268 C (1941. 8. 12. 공고)에는 전면 질량체와 후면 질량체 사이에 보조 질량체를 개재하여 질량체의 질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는 질량체의 원주방향 양단에 펜들럼 지지체와 상호 작용하는 궤도를 두고, 펜들럼 지지체에서 두 궤도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홈을 형성하며, 이러한 홈 부위에 보조 질량체를 추가 배치하여 질량체의 질량을 증가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조적인 변경을 통해 질량체의 질량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간 질량체와 펜들럼 지지체의 형상에 의해, 질량체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질량을 확보할 수 있고, 허용되는 체적 내에서도 질량체의 관성모멘트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펜들럼 지지체에 마련된 중간 질량체 수용공간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중간 질량체의 외주면의 외주 단부의 사잇각이 중간 질량체의 내주 단부의 사잇각보다 더 크고, 중간 질량체의 외주면의 외주 단부와 내주면의 내주 단부를 잇는 직선보다 중간 질량체의 원주방향 측면이 더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펜들럼 지지체에 마련된 중간 질량체 수용공간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중간 질량체의 원주방향 측면의 표면을 지나는 접선은,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과 해당 표면을 지나는 직선보다,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더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형태(a > 0)를 가지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펜들럼 지지체에 마련된 중간 질량체 수용공간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과 중간 질량체의 원주방향 측면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에 대한, 해당 표면의 접선의 기울기가, 해당 표면이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더 커지는 형태(da/dr ≥ 0)를 가지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는, 펜들럼 지지체(20) 및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에 대해 설정된 궤도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질량 조립체(30)들을 포함한다.
상기 질량 조립체(30)는, 전면 질량체(31), 후면 질량체(32) 및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 사이에 고정되는 중간 질량체(40)를 포함한다.
상기 펜들럼 지지체(20)는 외주면(201)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2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원주방향의 양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전면과 각각 마주한다.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원주방향의 양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후면과 각각 마주한다. 상기 후면 질량체(32)는 전면 질량체(31)와 고정된다.
상기 중간 질량체(40)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플랜지(22)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플랜지(2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바라보도록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 및 상기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원심방향을 바라보는 제1외주면(222);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질량체(40)는: 구심방향을 바라보는 제3내주면(401); 상기 제3내주면(401)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원심방향을 바라보는 제3외주면(403); 및 상기 제3내주면(401)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 단부(4011)와 상기 제3외주면(403)의 원주방향 양측 외주 단부(4031)를 각각 연결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플랜지(22)를 바라보는 한 쌍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을 포함한다.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에 대해, 상기 양측 내주 단부(4011)의 사잇각(j)보다 상기 양측 외주 단부(4031)의 사잇각(k)이 더 크다.
상기 내주 단부(4011)와 외주 단부(4031)를 잇는 직선(L3)보다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더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은, a ≥ 0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 때, a는 L1에서 L2에 이르는 방향이 중간 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때 양수가 된다.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은,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부터 해당 표면까지의 거리(r)에 대해,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da/dr ≥ 0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오목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을 기준으로 원심 쪽과 구심 쪽 중 구심 쪽에 곡률의 중심(O2)이 존재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내주면은 원심 쪽으로 볼록하거나 평평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의 제2곡률반경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과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3내주면(401)의 곡률반경이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의 곡률반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제3내주면(401)은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한 원호의 형상보다는 덜 볼록한 형상이거나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전후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구심 쪽에 중심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두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되는 수용홈의 외주면(201)은,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구심 쪽에 중심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질량체의 제3내주면(401)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의 간격은, 상기 중간 질량체의 내주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중간 질량체의 내주면의 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두 플랜지(22) 사이의 공간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수용공간(25)을 규정하고, 상기 수용공간(25)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형상은 이와 마주하는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 질량체(40)를 바라보는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상기 플랜지(22)의 제1외주면(222)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중간 질량체(40)가 상기 플랜지(22)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 및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연결되는 부위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회피면(2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면(23)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제1펜들럼 궤도(24)를 투사한 각도 범위(A)의 1/2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에 스토퍼(50)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과 마주하는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과 간섭되어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반경방향 이동이 간섭됨으로써,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원주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궤도는,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가 두 플랜지(2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벗어날수록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이 상기 플랜지(22) 사이의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이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원주방향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에는 펜들럼 지지체의 원심 방향으로 함몰된 삽입홈(41)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홈(4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보다 더 구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5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후면 질량체(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는 2n개 구비되고, 상기 전면 질량체(31), 후면 질량체(32) 및 중간 질량체(40)는 n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플랜지에는 1개의 제1펜들럼 궤도(24)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전면질량체(31)의 원주방향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와 다른 형상의 제2펜들럼 궤도(314)들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후면질량체(32)의 원주방향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2펜들럼 궤도와 동일한 형상의 제3펜들럼 궤도(324)들이 구비되고, 상기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는, 서로 마주하는 제1펜들럼 궤도, 제2펜들럼 궤도 및 제3펜들럼 궤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2n개의 롤러(7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70)는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 및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 내에서 상기 플랜지(22),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질량 조립체(30)는 리벳(60)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 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내주면(311)의 형상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제2내주면(321)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내주면(311)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제2내주면(3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형상은 이와 마주하는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의 형상과 상보적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외주면(313)의 형상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제2외주면(323)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에 따르면, 중간 질량체와 펜들럼 지지체의 독특한 형상으로 인해, 질량체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 허용되는 체적 내에서도 질량체의 관성모멘트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에 따르면, 질량체의 내주면 중앙부가 구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여 질량체의 원주방향 요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질량체에 탄력 재질의 스토퍼를 설치하더라도 질량체의 관성모멘트를 최대한 확보 할 수 있고, 작은 하나의 스토퍼를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질량체의 원주방향의 양방향 요동에 대해 모두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에 따르면, 전면 질량체와 후면 질량체를 중간 질량체와 조립하는 것만으로 스토퍼의 고정이 완료되므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원심방향의 삽입홈에 스토퍼가 안착되어 있으므로, 원심력에 의해 스토퍼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하나의 전면 질량체가 생략된 상태).
도 3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하나의 전면 질량체가 생략된 상태).
도 4와 도 5는 제2실시예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의 중간 질량체의 제2원주방향 측면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과 도 9는 각각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의 질량 조립체에서 전면 질량체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편의상 이 명세서에서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전후 방향 또는 축방향은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서, 전방(앞쪽)은 동력원인 어느 일 방향, 가령 엔진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뒤쪽)은 다른 일 방향, 가령 변속기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면(앞면)이란 그 표면이 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뒷면)이란 그 표면이 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
반경방향 또는 방사 방향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 상기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방향이라 하고, 상기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구심방향이라 한다.
원주방향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의 원주를 에워싸는 방향을 의미한다. 외주라 함은 외측 둘레, 내주라 함은 내측 둘레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을 등지는 방향의 면이고,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을 바라보는 방향의 면을 의미한다.
원주방향 측면이라 함은 그 면의 법선이 대략적으로 원주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토크컨버터]
토크컨버터는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회전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출력 측에 전달한다. 토크컨버터는, 차량의 초기 구동 시에는 토크를 증배시키고, 초기 구동 이후에는 출력의 회전속도가 입력의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하고, 록업구간에서는 입력의 회전 속도와 출력의 회전 속도를 1:1의 비율로 고정한다.
토크컨버터는, 록업 구간에서 입력의 회전 속도와 출력의 회전 속도를 1:1의 비율로 고정하기 위해, 유체클러치를 거치지 않고 록업클러치의 록업동작으로 입력토크를 댐퍼를 통해 바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엔진은 폭발 행정에 동력 발생이 집중되므로, 엔진의 회전 토크에는 토크의 출렁거림(fluctuation)이 존재한다. 토크컨버터에는, 이러한 엔진의 토크의 출렁거림을 흡수하여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줄여주는 펜들럼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이하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여, 펜들럼 구조가 댐퍼에 적용된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10)는 링 형상의 펜들럼 지지체(20)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질량 조립체(30)를 포함한다. 질량 조립체(30)는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에 매달려 원주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요동한다. 펜들럼 지지체(20)와 질량 조립체(30)는, 강성과 질량을 높이고 제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금속 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펜들럼 지지체(20)는 전체적으로 환형의 형상을 이룬다. 펜들럼 지지체(20)의 외주에는, 외주면(20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2)가 마련된다. 플랜지(22)는 펜들럼 지지체(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된다. 실시예에서는 플랜지(22)가 6개 마련된 구조가 예시된다.
하나의 플랜지(22)는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상기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의 반경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제1외주면(222)을 포함한다. 하나의 플랜지(22)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도 3과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으로 갈수록 서로 더 가까워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두 플랜지(22) 사이의 수용공간(25)의 넓이를 확보하되,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더 멀리 배치된 부분의 넓이를 더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중간 질량체(40)의 관성 모멘트(moment of inertia)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플랜지(22) 사이의 공간은 수용공간(25)을 규정한다. 수용공간(25)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제1외주면(222)이 함몰된 수용홈 외주면(201)과,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서로 마주보는 제1원주방향 측면(22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25)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일 수 있다.
이웃하는 한 쌍의 플랜지(22)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펜들럼 궤도(24)가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장공(elongated hole) 형상이다. 한 쌍의 플랜지(22)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펜들럼 궤도(24)는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호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질량 조립체(30)는, 상기 수용공간(25)에 수용되는 중간 질량체(40), 중간 질량체(40)보다 축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질량체(31) 및 중간 질량체(40)보다 축방향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질량체(32)를 포함한다.
중간 질량체(4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 형상으로서, 제3외주면(403)과 제3내주면(401)이 모두 구심 쪽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은 상기 플랜지(22)의 제1외주면(222)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은 상기 플랜지(22)의 제1외주면(222)이 형성하는 원호보다 아주 약간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내주면(301)은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중간 질량체(40)의 내주면(301)은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의 제2곡률반경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과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은,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한 호 형상보다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이 제2곡률반경을 가지는 호 형상이라는 의미는, 완전히 매끈한 호 형상의 면이라고 한정되는 의미가 아니라, 전체적인 프로파일이 그러하다는 것이다. 즉 위 의미가, 중간 질량체의 내주면에 약간의 돌출부위나 홈 등이 더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원주 방향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과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일 수 있고,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곡면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중간관통홀(46)이 마련된다. 상기 중간관통홀(46)은 축방향으로 관통된 홀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중앙부에는 삽입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41)은 구심 쪽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삽입홈(41)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 가령 고무 재질의 스토퍼(50)가 끼워진다. 스토퍼(50)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내주면보다 더 구심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전방에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와 고정되는 전면 질량체(31)가 배치된다. 전면 질량체(31)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호 형상의 금속 판재일 수 있다.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원주방향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전면의 일부와 각각 마주한다.
상기 전면 질량체(31)는 수용공간(2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형상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질량체(31)가 상기 중간 질량체(40)와 마주하는 부분은, 삽입홈(41)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중간 질량체(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내주면(311)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내주면(3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외주면(313)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삽입홈(41)의 전방은 상기 전면 질량체(3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41)에 수용된 스토퍼(50)의 앞면은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뒷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질량체(31) 상에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한 쌍의 중간관통홀(46)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전면관통홀(316)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원주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제2펜들럼 궤도(314)가 마련된다.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는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와 다른 형상으로서,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이다. 한 쌍의 제2펜들럼 궤도(314)는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호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의 호 형상은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의 호 형상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의 장공의 폭은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의 장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후방에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와 고정되는 후면 질량체(32)가 배치된다. 후면 질량체(32)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호 형상의 금속 판재일 수 있다.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원주방향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후면의 일부와 각각 마주한다.
상기 후면 질량체(32)는 수용공간(2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형상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면 질량체(32)가 상기 중간 질량체(40)와 마주하는 부분은, 삽입홈(41)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중간 질량체(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제2내주면(321)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제2내주면(3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외주면의 형상(323)과 대응할 수 있다. 삽입홈(41)의 후방은 상기 후면 질량체(3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41)에 수용된 스토퍼(50)의 뒷면은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앞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질량체(32) 상에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한 쌍의 중간관통홀(46)과 마주하는 한 쌍의 후면관통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원주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제3펜들럼 궤도(324)가 마련된다.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는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와 다른 형상으로서,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이다. 한 쌍의 제3펜들럼 궤도(324)는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호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의 호 형상은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의 호 형상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의 장공의 폭은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의 장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형상은 전면 질량체(31)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조립 단계에서 두 부품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 조립이 한층 수월하다.
후면 질량체(32)와 전면 질량체(31)는 중간 질량체(40)에 비해 원심방향 또는 구심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질량 조립체(30)의 질량을 증가시켜 관성 모멘트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는, 전면 질량체(31), 후면 질량체(32) 및 중간 질량체(40)가 43개씩 구비됨이 예시된다.
상기 전면관통홀(316), 중간관통홀(46) 및 후면관통홀(미도시)을 통해 리벳(60)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질량체(31), 중간 질량체(40) 및 후면 질량체(32)는 일체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는 6개의 리벳이 사용됨이 예시된다.
상기 제2 펜들럼 궤도(314), 제1펜들럼 궤도(24) 및 제3펜들럼 궤도(324)에는 롤러(7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6개의 롤러가 설치되는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롤러(70)에서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에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기 제2 펜들럼 궤도(314) 및 제3펜들럼 궤도(324)에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롤러(70)는 궤도들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롤러(70)는 궤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구름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면 질량체(31), 중간 질량체(40) 및 후면 질량체(32)가 일체화된 질량 조립체(30)는 펜들럼 지지체(20)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에서 원주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상기 롤러(70)는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 및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 내에서 상기 플랜지(22),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 위치가 이동된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두께를 상기 플랜지(22)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하여,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질량 조립체의 관성모멘트]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질량 조립체의 관성모멘트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질량 조립체가 최소한의 체적을 차지하면서도, 질량 조립체의 관성모멘트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질량 조립체가 최소한의 체적을 차지하면서도, 질량 조립체의 관성모멘트를 최대화할 수 있다.
수용공간(25)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그리고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평평하거나,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내주 단부(4011)를 지나는 직선(L1-1)보다,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중간 질량체(40)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영역에 배치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의 양단에 있는 외주 단부(4031)가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k)은,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양단에 있는 내주 단부(4011)가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j)보다 크다. 즉,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한 부채꼴의 형상이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그 원주방향 폭이 더 증가하는 정도와 대비하여,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중간 질량체(40)는,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그 원주방향 폭이 더욱 증가한다.
도 1의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L1-2)에 대해 소정의 각도(a)만큼 더 기울어져 있다.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L1-2)이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과 만나는 지점(교점)에서,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상기 직선(L1-2)에 대해 이루는 각(a)은 a≥0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점을 기준으로,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L1-2)보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a는 양수가 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면 a는 음수가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평평한 직선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형태가 예시된다. 원의 중심에 의해 규정되는 부채꼴 형상은, 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그 원주방향 폭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제1실시예의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에 의해 규정되는 부채꼴 형상(L1-1 참조)보다, 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그 원주방향 폭이 더욱 크게 선형적으로 증가된다. 직선(L1-1)에 의해 규정되는 부채꼴의 중심(O)과 대비하여,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부채꼴 형상의 중심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중간 질량체(40)의 질량 분포는,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으로부터 멀수록 더욱 증가하게 되는바,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에 의해 규정되는 부채꼴 형상(L1-1 참조)보다, 중간 질량체(40)의 관성모멘트가 더욱 커지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의 제2실시예를 참조하면,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L1-2)이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과 만나는 교점에서, 해당 교점에서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접선은 상기 직선(L1-2)에 대해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져 있다. 즉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2)과, 해당 표면의 접선(L2; 도 4 내지 도 5 참조)이 이루는 각(a)은 a≥0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형태가 예시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실시예의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내주 단부(4011)와 외주 단부(4031)를 잇는 직선(L3)보다 더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 구간에서,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2)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은,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부터 해당 표면까지의 거리(r)에 대해,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da/dr ≥ 0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da/dr ≥ 0 의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해당 위치에서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오목한 프로파일을 가진다. 따라서 적어도 일부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 구간에서 da/dr ≥ 0 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전체적으로 오목한 프로파일을 가지게 된다.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2-1)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 도 4 참조)과 비교하여, 이보다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부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까지의 거리(r)가 더 증가한 위치에서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2-1)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 도 5 참조)이 더 크다. 즉 이러한 구간에서는 da/dr > 0 의 조건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오목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이다. 오목한 프로파일은 반드시 모든 구간이 곡선일 필요는 없다. 즉 꺾인 부위가 복수 개소에 있는 직선 형태로도, 그 전체적인 형상은 오목한 프로파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의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그 원주방향 폭이 더욱 크게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중간 질량체(40)의 질량 분포는,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으로부터 멀수록 더더욱 크게 증가하게 되는바, 제1실시예보다도 중간 질량체(40)의 관성모멘트가 더욱 커지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형상은, 플랜지(22)에 마련된 제1펜들럼 궤도(24)의 형상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한 쌍의 플랜지(22)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는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제1외주면(222)이 연결되는 부위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장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의 장공 형상의 곡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앞서 설명한 제2원주방향 측면(402)과 상보적으로,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 간의 원주방향의 거리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더 멀어진다. 즉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상기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상보적인 형상을 이룬다.
제2실시예의 경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형상에 의해 플랜지(22)와 중간 질량체(40)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제1외주면(222)이 연결되는 부위에, 간섭회피면(23)이 마련된다. 상기 간섭회피면(23)은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과 상보적인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 플랜지(22)의 간섭회피면(23), 그리고 제1펜들럼 궤도(24)의 장공의 형상은 모두 서로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그러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서도, 플랜지(22)와 제1펜들럼 궤도(24)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중간 질량체(40)의 관성모멘트를 한층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10)는, 수용공간(25)에 수용되는 중간 질량체(40)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 주어진 체적 내에서 중간 질량체(40)가 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관성모멘트를 더욱 키울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대비하며 참조하면, 상기 중간 질량체(40)를 바라보는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상기 플랜지(22)의 제1외주면(222)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간섭회피면(23)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면(23)은, 상기 중간 질량체(40)가 상기 플랜지(22)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 및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연결되는 부위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으로부터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제1펜들럼 궤도(24)를 투시한 영역(A; 두 직선(L1-3, L1-4)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간섭회피면(23)이 차지하는 영역(b; 두 직선(L1-3, L1-5) 사이의 영역)이 거의 없다.
반면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으로부터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제1펜들럼 궤도(24)를 투시한 영역(A; 두 직선(L1-3, L1-4)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간섭회피면(23)이 차지하는 영역(b; 두 직선(L1-3, L1-5) 사이의 영역)이 매우 넓다.
실시예에 따르면, 간섭회피면(23)이 제1펜들럼 궤도(24)를 투시한 영역(A)에서 차지하는 영역(b)의 비중은 1/2 이상인 형태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제1펜들럼 궤도(24)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플랜지(22)의 간섭회피면(23)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 및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연결되는 부위의 체적을 더욱 키울 수 있게 되고, 이는 관성모멘트의 큰 증가를 가져온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실시예가 가지게 되는 관성모멘트의 증대 효과를 설명한다.
사양 제1실시예(도 7) 제2실시예(도 8) 비고
Attachment(M) 75.74mm 75.96mm
Length(N) 28.76mm 28.84mm
중심(O)과 중간 질량체의 무게중심 간 거리(M+N) 104.5mm 104.8mm 0.3 mm 증가
0.3% 증가
토크 축적량(Torque Capacity) 54.4 Nm, @1,000 rpm 56.7 Nm, @ 1,000 rpm 2.3 Nm 증가
4.2% 증가
중간 질량체의 질량 1.33kg 1.44kg 0.11 kg 증가
8.3% 증가
펜들럼 지지체의 질량 0.592kg 0.564kg 0.028 km 증가
중간 질량체의 관성모멘트 0.01524kg.m2 0.01952kg.m2 0.00401 kg.m2 증가
26.3% 증가
펜들럼 지지체의 관성 모멘트 0.00685 kg.m2 0.00641 kg.m2 0.00044kg.m2 감소
6.4% 감소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대비하면, 펜들럼 지지체와 중간 질량체가 차지하는 체적은 거의 변함 없다. 그럼에도, 제2실시예의 경우 중간 질량체의 질량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 중심(O)으로부터 가장 먼 영역에 중간 질량체의 질량 분포가 더욱 분포됨에 따라, 중간 질량체의 관성모멘트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내주면(311)의 형상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제2내주면(321)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의 형상은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의 제1외주면(313)의 형상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의 외주면의 형상(323)과 대응할 수 있다. 즉 주어진 공간 내에서, 중간 질량체와 전면 질량체와 후면 질량체를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최대한 먼 위치에 두어 관성모멘트를 크게 하면서도, 전면 질량체와 후면 질량체가 차지하는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중간 질량체의 요동을 반영한 구조와 스토퍼 구조 역시 질량 조립체의 관성모멘트 확보에 기여한다.
[중간 질량체의 요동을 반영한 구조]
질량 조립체(30)가 원주 방향으로 요동할 때 질량 조립체(30)가 펜들럼 지지체(20)와 부딪히거나, 롤러(70)가 제1펜들럼 궤도(24)의 일측 단부에 도달하고 제2펜들럼 궤도(314) 및 제3펜들럼 궤도(324)의 타측 단부에 도달하여 롤러(70)가 궤도에 끼어 버리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파손과 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의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10)는, 질량 조립체(30)나 롤러(70)가 펜들럼 지지체(20)에 부딪히거나 끼기 전에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상기 제3내주면(401)을 경계로 원심 쪽과 구심 쪽 중, 구심 쪽에 중심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제3내주면(401)이 거의 평평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3내주면의 원호의 곡률반경이 매우 큰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수용홈의 외주면(201)은,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을 경계로 원심 쪽과 구심 쪽 중, 구심 쪽에 중심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질량체의 제3내주면(401)의 제2곡률반경은,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의 제1곡률반경보다 더 크다.
상기 중간 질량체(40)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중앙부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의 간격이, 상기 중간 질량체의 내주면의 양단부 및 이와 마주하는 수용홈의 외주면(201)의 간격보다 짧다.
상기 중간 질량체(40)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질량체의 제3내주면(401)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의 간격은, 상기 중간 질량체의 내주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중간 질량체의 내주면의 단부로 갈수록 점점 멀어진다.
그러면, 중간 질량체(40)가 원주 방향의 어느 한 쪽으로 요동할 때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내주 단부(4011)가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에 접근하여 부딪히지 않도록 하면서도, 중간 질량체(40)의 질량 분포가 회전의 중심(O)으로부터 멀리 분포되도록 하여 중간 질량체의 관성 모멘트를 더 높일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조는, 주어진 체적 내에서 중간 질량체(40)가 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관성모멘트를 더욱 키우는 기술적 사상을 해하지 아니하면서도, 중간 질량체가 요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펜들럼 지지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크게 낮춘다.
[스토퍼 구조]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의 질량 조립체는 원주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모두 요동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스토퍼 구조는 질량 조립체의 원주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적용되었다. 또한 질량 조립체는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스토퍼 구조는 질량 조립체의 원주방향 측면에 적용되었다.
스토퍼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재질로서 탄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탄성 재질은 금속 재질보다 밀도가 낮다. 따라서 질량 조립체에서 스토퍼가 차지하는 체적이 클수록, 그만큼 금속 재질의 체적이 줄어들므로, 관성모멘트는 작아진다. 또한 스토퍼의 설치 위치가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관성모멘트는 작아진다.
실시예의 스토퍼(50)는, 질량 조립체(30) 상에서 가장 회전 중심(O)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서도, 하나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가 차지하는 체적 자체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의 스토퍼(50)는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 중앙부에 마련된 삽입홈(41)에 끼워진다. 상기 삽입홈(41)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으로부터 펜들럼 지지체의 원심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스토퍼(50)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스토퍼(50)가 삽입홈(4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50)의 이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상기 삽입홈(41)과 스토퍼(50)는, 중심(O)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홈(41)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50)는 구심 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기하학적으로 구속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아직 질량 조립체(30)를 리벳(60)으로 고정하지 않은 조립 전 단계에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삽입홈(41)에 쉽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41)에는 상기 스토퍼(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그리고 중간 질량체(40)의 앞뒤로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를 겹친 후 리벳팅 하면, 스토퍼(5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질량 조립체(30)가 원주방향 일측으로 요동함에 따라,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내주면보다 더 구심 쪽으로 돌출된 스토퍼(50)는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에 접근하고 부딪힌다.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수용홈의 외주면(201)에 부딪히면, 질량 조립체(30)는 더 이상 원주방향 일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한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과 마주하는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과 간섭되어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반경방향 이동이 간섭됨으로써,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원주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질량 조립체(30)가 원주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할 때는 물론 타측으로 이동할 때에도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이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 및 간섭회피면(23)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금속 간 충격으로 인한 소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궤도(24, 314, 324)는,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가 두 플랜지(2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벗어날수록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중앙부가 상기 플랜지(22) 사이의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가 볼록한 방향과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와 제3펜들럼 궤도(324)가 볼록한 방향은 서로 반대된다. 즉 제1펜들럼 궤도(24)는 플랜지(22)의 간섭회피면(2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반면,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와 제3펜들럼 궤도(324)는 플랜지(22)의 간섭회피면(2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20: 펜들럼 지지체
201: 수용홈의 외주면
22: 플랜지
221: 제1원주방향 측면
222: 제1외주면
23: 간섭회피면
24: 제1펜들럼 궤도
25: 수용공간
30: 질량 조립체
31: 전면 질량체
311: 제1내주면
313: 제1외주면
314: 제2펜들럼 궤도
316: 전면관통홀
32: 후면 질량체
321: 제2내주면
323: 제2외주면
324: 제3펜들럼 궤도
326: 후면관통홀
40: 중간 질량체
401: 제3내주면
4011: 내주 단부
402: 제2원주방향 측면
403: 제3외주면
4031: 외주 단부
41: 삽입홈
46: 중간관통홀
50: 스토퍼
60: 리벳
70: 롤러
O: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
L1: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2: 제2원주방향 측면의 접선
L3: 내주 단부와 외주 단부를 잇는 직선
r: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원주방향 측면까지 거리
a: 제2원주방향 측면에서 L1과 L2가 이루는 각
A: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펜들럼 궤도를 투사한 각도범위
b: 간섭회피면이 차지하는 각도범위
M: 중심(O)에서 펜들럼 지지체까지 거리
N: 펜들럼 지지체에서 중간 질량체의 무게 중심까지 거리
j: 내주 단부가 펜들림 지지체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
k: 외주 단부가 펜들림 지지체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

Claims (16)

  1. 외주면(201)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22)들;을 포함하는 펜들럼 지지체(20);
    원주방향의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전면과 각각 마주하는 복수 개의 전면 질량체(31)들;
    상기 전면 질량체(31)들과 각각 고정되고, 원주방향의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후면과 각각 마주하는 복수 개의 후면 질량체(32)들; 및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플랜지(22)들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후면 질량체(32)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중간 질량체(40)들;을 포함하고,
    서로 고정된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와 중간 질량체(40)를 포함하는 질량 조립체(30)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에 대해 설정된 궤도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바라보도록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 및
    상기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원심방향을 바라보는 제1외주면(222);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질량체(40)는:
    구심방향을 바라보는 제3내주면(401);
    상기 제3내주면(401)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원심방향을 바라보는 제3외주면(403); 및
    상기 제3내주면(401)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 단부(4011)와 상기 제3외주면(403)의 원주방향 양측 외주 단부(4031)를 각각 연결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플랜지(22)를 바라보는 한 쌍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을 포함하고,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에 대해, 상기 양측 내주 단부(4011)의 사잇각(j)보다 상기 양측 외주 단부(4031)의 사잇각(k)이 더 크고,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은 오목한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2. 외주면(201)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22)들;을 포함하는 펜들럼 지지체(20);
    원주방향의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전면과 각각 마주하는 복수 개의 전면 질량체(31)들;
    상기 전면 질량체(31)들과 각각 고정되고, 원주방향의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플랜지(22)의 후면과 각각 마주하는 복수 개의 후면 질량체(32)들; 및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플랜지(22)들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후면 질량체(32)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중간 질량체(40)들;을 포함하고,
    서로 고정된 상기 전면 질량체(31)와 후면 질량체(32)와 중간 질량체(40)를 포함하는 질량 조립체(30)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에 대해 설정된 궤도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바라보도록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 및
    상기 한 쌍의 제1원주방향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원심방향을 바라보는 제1외주면(222);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질량체(40)는:
    구심방향을 바라보는 제3내주면(401);
    상기 제3내주면(401)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원심방향을 바라보는 제3외주면(403); 및
    상기 제3내주면(401)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 단부(4011)와 상기 제3외주면(403)의 원주방향 양측 외주 단부(4031)를 각각 연결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플랜지(22)를 바라보는 한 쌍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을 포함하고,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에 대해, 상기 양측 내주 단부(4011)의 사잇각(j)보다 상기 양측 외주 단부(4031)의 사잇각(k)이 더 크고,
    상기 내주 단부(4011)와 외주 단부(4031)를 잇는 직선(L3)보다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더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은,
    a ≥ 0 (a는 L1에서 L2에 이르는 방향이 중간 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때 양수임)의 조건을 만족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과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L1)과 해당 표면의 접선(L2)이 이루는 각(a)은, 상기 펜들럼 지지체의 중심(O)부터 해당 표면까지의 거리(r)에 대해, 상기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da/dr ≥0 의 조건을 만족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을 기준으로 원심 쪽과 구심 쪽 중 구심 쪽에 곡률의 중심(O2)이 존재하는 형상인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의 전체적인 형상의 제2곡률반경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과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O)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큰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2원주방향 측면(402)의 형상은 이와 마주하는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의 형상과 상보적인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질량체(40)를 바라보는 상기 플랜지(22)의 제1원주방향 측면(221)과 상기 플랜지(22)의 제1외주면(222)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중간 질량체(40)가 상기 플랜지(22)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외주면(403) 및 제2원주방향 측면(402)이 연결되는 부위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회피면(23)이 마련된,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면(23)은,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제1펜들럼 궤도(24)를 투사한 각도 범위(A)의 1/2 이상을 차지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두 플랜지(22) 사이의 공간은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수용공간(25)을 규정하고,
    상기 수용공간(25)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인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은, 전후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구심 쪽에 중심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두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되는 수용홈의 외주면(201)은,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구심 쪽에 중심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질량 조립체는 리벳(60)에 의해 조립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에 스토퍼(50)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제3내주면(401)과 마주하는 상기 펜들럼 지지체(20)의 수용홈의 외주면(201)과 간섭되어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반경방향 이동이 간섭됨으로써, 상기 중간 질량체(40)의 원주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2)는 2n 개 구비되고,
    상기 전면 질량체(31), 후면 질량체(32) 및 중간 질량체(40)는 n개 구비되는,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랜지에는 1개의 제1펜들럼 궤도(24)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전면질량체(31)의 원주방향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와 다른 형상의 제2펜들럼 궤도(314)들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후면질량체(32)의 원주방향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2펜들럼 궤도와 동일한 형상의 제3펜들럼 궤도(324)들이 구비되고,
    상기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는, 서로 마주하는 제1펜들럼 궤도, 제2펜들럼 궤도 및 제3펜들럼 궤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2n개의 롤러(70)들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70)는 상기 제1펜들럼 궤도(24), 상기 제2펜들럼 궤도(314), 및 상기 제3펜들럼 궤도(324) 내에서 상기 플랜지(22), 상기 전면 질량체(31), 및 상기 후면 질량체(32)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 가능한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20190077619A 2019-06-28 2019-06-28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2190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619A KR102190071B1 (ko) 2019-06-28 2019-06-28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619A KR102190071B1 (ko) 2019-06-28 2019-06-28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71B1 true KR102190071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619A KR102190071B1 (ko) 2019-06-28 2019-06-28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654A (ko) * 2012-04-20 2014-12-26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특히 자동차 트랜스미션용 진자 댐핑 장치
KR20150020300A (ko) * 2012-06-12 2015-02-25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안정화된 롤링 요소를 갖는 진자 댐핑 장치
JP2017207151A (ja) * 2016-05-19 2017-1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動吸振器
JP2018155351A (ja) * 2017-03-17 2018-10-04 マツダ株式会社 遠心振り子式ダン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654A (ko) * 2012-04-20 2014-12-26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특히 자동차 트랜스미션용 진자 댐핑 장치
KR20150020300A (ko) * 2012-06-12 2015-02-25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안정화된 롤링 요소를 갖는 진자 댐핑 장치
JP2017207151A (ja) * 2016-05-19 2017-1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動吸振器
JP2018155351A (ja) * 2017-03-17 2018-10-04 マツダ株式会社 遠心振り子式ダン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2509B2 (en) Damper mechanism and damper disk assembly
US9140348B2 (en) Hydrodynamic coupl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a torque converter
US20120255394A1 (en) Centrifugal pendulum mechanism
US4239097A (en) Multiple stage vibration damper assembly
KR20220052575A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WO2021027733A1 (zh) 离心力摆、包括离心力摆的扭矩传递装置和车辆
US6464054B2 (en) Hydraulic torque transmitting device
US7108112B2 (en) Damper mechanism for a lockup clutch
KR20090017562A (ko)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토크를 저 진동 전달하는 토크 전달 장치
JP2003014051A (ja) 自動車用フライホイール及び二重質量フライホイール
PH12018000130A1 (en) Torque converter
US7401688B2 (en) Torque converter
JPH08312751A (ja) 直結クラッチのダンパ装置
KR102190071B1 (ko)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1707804B1 (ko) 진자를 이용한 진동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349101B1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2186808B1 (ko)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2240175B1 (ko)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US10767723B2 (en)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US6238293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guide paths for coupling elements
KR102025562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230025165A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1738065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CN104603498A (zh) 离心力摆装置
KR101708035B1 (ko) 평 베어링 진자를 이용한 차량용 토크 컨버터의 진동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