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83B1 -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83B1
KR102188983B1 KR1020167010768A KR20167010768A KR102188983B1 KR 102188983 B1 KR102188983 B1 KR 102188983B1 KR 1020167010768 A KR1020167010768 A KR 1020167010768A KR 20167010768 A KR20167010768 A KR 20167010768A KR 102188983 B1 KR102188983 B1 KR 10218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device
terminal
specific
serv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071A (ko
Inventor
동 예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7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인증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기술은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의 근접장 디바이스가 검출된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획득된다. 식별은 서버에 전송되어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가 획득된다.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가 특정 동작에 적용된다. 본 개시는 단말기에서 동작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의 안전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의 인증{AUTHENTICATION FOR APPLICATION}
관련 특허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10월 30일자로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for Application(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 201310526656.2 호의 외국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중국 특허 출원은 본 출원에서 그 전체가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많은 사용자에게 더 많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는 지능형 이동 전화의 단계로 발전하였으며 컴퓨터와 비견할만하다. 현재, 각종 이동 단말기 용도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App))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서 앱을 사용할 때, 여러 인증 동작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계정에 로깅할 때, 사용자는 인증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다른 사용자와 데이터 상호작용(data interaction)을 행할 때, 사용자는 제 3자 대화용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야 한다.
단말기에서 또는 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상호작용을 위한 여러 가지 통상적인 인증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인증 방법은 사용자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에 필요한 로그인 비밀번호 또는 데이터 상호작용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계정에 들어갈 때 또는 데이터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제 3자 대화형 플랫폼은 비밀번호가 올바르다고 결정한 후 사용자의 로그인 동작 또는 데이터 상호작용 동작을 인증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비밀번호를 기억하도록 설정되기도 한다.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디바이스의 분실로 인해 다른 사람에 의해 사용될 때, 애플리케이션이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사람에 의해 남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개인 이익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두 번째 인증 방법은 일회용 비밀번호(one-time password, OTP)를 이용하는 것이다. 데이터 상호작용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자는 동적 비밀번호 카드 또는 하드웨어 토큰의 동적 코드(예를 들면, 숫자 및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를 입력하여야 한다. 제 3자 대화형 플랫폼은 OTP가 옳다고 결정한 후 데이터 상호작용을 처리한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에게 OTP를 입력하는 한번 이상의 단계(들) 이외에 정상적인 데이터 대화형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며, 그럼으로써 복잡함이 증가하고 사용자 경험을 반감시킨다.
세 번째 방법은 단문 메시지에 기초하여 OTP 인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OTP 인증의 한 형태이며 주로 이동 전화에서 사용된다. 사용자가 데이터 상호작용을 수행해야 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이동 전화를 통해 제 3자 대화형 플랫폼으로부터 단문 메시지 형태의 OTP를 획득하고 올바른 OTP를 대화형 페이지에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이동 전화가 분실되었을 때, 그러한 인증 방법은 사용될 수 없으며 짧은 기간 내에 데이터 상호작용의 불이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인증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약 내용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 설명되는 개념의 선택을 간략한 형태로 소개하려고 제공된다. 이러한 요약 내용은 청구된 주제의 핵심적인 특징이나 본질적인 특징을 확인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만 사용하려는 의도도 아니다. 용어 "기술"은 예를 들면 앞의 문맥에 의해 그리고 본 개시의 전체에서 용인되는 것으로서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를 말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상적인 기술 아래에서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근접장 통신에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검출된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identification)이 획득된다. 식별은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가 구해진다.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가 특정 동작에 적용된다.
본 개시는 또한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예시적인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는 검출 모듈, 획득 모듈, 송신 모듈, 수신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듈은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의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획득 모듈은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한다. 송신 모듈은 식별을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수신 모듈은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한다. 처리 모듈은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특정 동작에 적용한다.
본 개시는 또한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단말기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단말기는 검출 모듈, 획득 모듈, 수신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듈은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의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획득 모듈은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한다. 송신 모듈은 식별을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수신 모듈은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한다. 처리 모듈은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특정 동작에 적용한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및 단말기는 동일한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인 기술과 비교하여, 본 기술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현재의 동작이 정상 동작(또는 사용자의 동작)인지를 인증한다. 만일 근접장 장비의 인증이 실패하면, 현재의 동작은 중단되고 미리 설정된 보증된 동작이 실시되며, 그럼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한다.
도면은 본 개시를 추가로 예시하는데 사용되며 본 개시의 일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및 실시예의 설명은 본 개시를 예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인증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인증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예시적인 단말기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단말기 시스템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본 개시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술은 단말기의 근접장 통신 기능을 사용하며,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결정하여 특정 동작을 해제할지를 결정하며, 그럼으로써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안전을 확보한다.
본 개시의 이러한 목적, 기술적인 체계, 및 장점을 더 잘 예시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 및 대응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이 설명된다. 분명히,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분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전부는 아니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중 누군가 본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얻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는 개시의 보호의 범위 아래에 속한다.
본 개시는 애플리케이션 인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 특히 이동 전화 및 태블릿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근접장 통신 기능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기능, 근접장 무선 통신 기능(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NFC), 및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근접장 통신 기능들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진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인증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02)에서,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와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검출된다. 예를 들면,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본 기술은 단말기와 동일한 근접장 통신 방식을 가진 근접장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104)에서,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획득된다. 식별은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106)에서,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가 수신된다. 즉 서버에 의해 반환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한 결과가 수신된다.
(108)에서,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가 특정 동작에 적용된다. 즉, 서버가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한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가 특정 동작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만일 인증 결과로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라고 하면, 특정 동작이 수행된다. 만일 인증 결과로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하면,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이 수행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술적 체계를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더 자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인증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202)에서,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본 기술은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필요한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필요한지가 제일 먼저 결정된다.
예를 들면,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필요한지가 미리 설정되고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필요한지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로깅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는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휴대용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스크톱 컴퓨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로깅하고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동작에 대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한다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특정 동작 및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대응하는 관계를 갖는다. 실제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특정 동작을 설정하는 사용자 계정은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 연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 사이의 대응 관계는 사용자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에의 로깅을 통해 설정된다. 그래서,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는 또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한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 특정 동작 사이의 대응 관계는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서버는 백-엔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정보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및 처리는 서버와의 데이터 상호작용을 통해 구현된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식별을 갖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저장된다.
근접장 통신 기능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기능, 근접장 무선 통신(NFC) 기능,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및 단말기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및 단말기가 근접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일한 근접장 통신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단말기와 관련하여,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마우스와 같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는 단말기와 동일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가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일 때,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역시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일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이들 두 단말기는 서로에 대해 근접장 디바이스이다. 다시 말해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단말기에서 사용될 때, 다른 단말기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그 반대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사용자 계정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과 같은) 특정 동작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사이의 대응 관계를 연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와 같은) 물리 어드레스,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이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근접장 디바이스가 인증될 때, 단말기는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서버는 인증될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가 서버에 저장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를 문의받고 인증될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한다. 근접장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디바이스일 때, 식별은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일 수 있다. 각각의 블루투스 송수신기 및 수신기는 고유의 48비트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할당받는다.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24비트 LAP 도메인, 16비트 NAP 도메인, 및 8비트 UAP 도메인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근접장 디바이스가 인증될 때, 단말기는 근접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서버는 인증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서버에 저장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를 문의받고 인증될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블루투스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한다.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동작이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분실 또는 임의의 다른 이유로 인해 다른 사람에 의해 동작될 때 다른 조작자가 설정값을 맘대로 바꿀 수 없게 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단말기를 통해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단말기는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개인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일 수 있다. 다른 단말기는 개인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동작이 소정 단말기를 통해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를 설정해야 할 때, 서버는 단말기의 디바이스 유형을 식별하고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서 설정값이 효과적인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는 단말기의 유형이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필요로 하는 지정된 디바이스 유형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그 결과가 긍정이면, 설정값은 서버에 저장된다. 그렇지 않으면, 설정값은 무효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 간의 대응 관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를 미리 조합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다시 트리거할 때,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은 특정 동작에 대해 수행된다.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 관계는 서버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값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특정 동작에 대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은 근접장 인증 기능이라고 지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동작에 대해 애플리케이션의 근접장 인증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값(또는 설정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설정값은 근접장 인증 기능의 개방 및 폐쇄 상태(또는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사전에 단말기와 연계된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을 트리거할 때, 서버는 사용자가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한 근접장 인증 기능의 설정값을 확인한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을 맨 먼저 트리거 할 때(사용자가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인증 기능을 열지 않을 때)와 같이, 만일 사용자가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인증 기능을 열지 않으면, 서버는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설정할지를 결정 내리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는 사용자에게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인증 기능을 열지를 상기시킨다. 만일 사용자가 근접장 인증 기능을 열기로 선택하면, 서버는 사용자에게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를 설정하도록 상기시킨다.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를 설정할 때,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을 처음 트리거할 때 사용자는 다른 단말기에서 설정값을 설정하는데 제한받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서 다른 단말기에서 특정 동작에 대한 근접장 디바이스 인증의 설정값을 수정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은 애플리케이션이 결제하기 위한 결제 확인 동작으로 로깅될 때 로그인하는 동작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동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로깅을 통해 특정 동작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열고 임의의 동작을 트리거할 때, 만일 그 동작이 미리 설정된 특정 동작이면, 본 기술은 근접장 인증이 특정 동작에 필요한지를 문의하여 근접장 인증이 특정 동작에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특정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의 문의 요청은 서버로 전송된다. 본 기술은 서버에 의해 반환된 문의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한다. 특정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는 미리 설정되어 서버에 저장된다. 문의 요청을 수신한 후, 서버는 사용자가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 인증을 설정했는지를 문의받고 문의 결과를 반환한다. 따라서, 서버에 의해 반환된 문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기술은 특정 동작에 대하여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결제용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결제를 확인하는 버튼을 클릭한 후(그러한 결제 확인 동작은 특정 동작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음), 애플리케이션은 문의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게 사용자가 결제 확인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한다고 설정했는지를 문의하도록 요청하며, 그럼으로써 결제 확인 동작을 위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만일 특정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212)에서 동작이 수행된다. 특정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특정 동작이 실시된다.
만일 특정 동작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면, (204)에서 동작이 수행된다. (204)에서, 단말기와 소정 거리 이내의 근접장 디바이스가 검출된다. 예를 들면, 본 기술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기 및 근접장 디바이스는 동일한 근접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가 블루투스 기능 및 NFC 기능을 둘 다 가질 수 있도록) 하나보다 많은 근접장 통신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인증될 때 근접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근접장 디바이스와 동일한 근접장 통신 모드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근접장 통신 모드는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으며 근접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일 수 있다. 소정 거리는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이다. 단말기는 통신을 위해 근접장 디바이스와 소정 거리 이내에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근접장 디바이스가 검색될 수 있고 단말기는 통신을 위해 근접장 디바이스와 매칭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 있을 때, 단말기는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에서 열린다. 일반적으로 유효 블루투스 통신 거리는 10미터이므로,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이 사용될 때, 특정 동작과 연계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단말기로부터 10미터 이내에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이동 전화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고 디바이스와의 매칭을 통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과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유효 블루투스 통신 거리는 일반적으로 10미터이므로, 사용자는 이동 전화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휴대하면 될 뿐이지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동 전화에 가까이 둘 필요는 없다.
만일 근접장 디바이스가 단말기와의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206)에서 동작이 수행된다.
(206)에서,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획득된다. 식별은 서버에 전송되어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서버는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만일 검색 결과로서 근접장 디바이스와의 맵핑을 통해 근접장 디바이스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 있다고 하면, 단말기는 근접장 디바이스와 근접장 통신을 시작하고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추가로 획득한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획득된 후, 단말기는 식별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게 요청하여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 즉 특정 동작과 연계된 미리 설정된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문의한다.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때, 서버는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어 수신한 식별 및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서 인증하고 인증의 결과를 반환한다.
예를 들면, 서버는 특정 동작과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수신될 때, 서버는 식별을 서버에 저장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과 비교하여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고 그 인증 결과를 반환한다. 만일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과 일치하면, 근접장 디바이스는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이다. 즉,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만일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이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과 일치하지 않으면, 근접장 디바이스는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다. 즉,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는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와 같은) 물리 어드레스,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이름일 수 있다. 식별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는 근접장 디바이스를 단말기와 연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는 서버에 저장된다. 근접장 디바이스가 인증될 때, 근접장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는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에게 발견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과 연계된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도록 요청한다. 서버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 및 그 MAC 어드레스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의 대응 관계에 따라서, 서버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반환한다.
(208)에서,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가 획득된다. 즉, 서버에 의해 반환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의 인증 결과가 수신된다.
(210)에서,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가 특정 동작에 적용된다. 즉, 서버가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한 인증 결과에 따라서, 특정 동작에 후속 처리가 적용된다.
(210)에서 동작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인증 결과로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일 때, 특정 동작이 수행된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만일 인증 결과로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라면,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연다. 특정 동작에 연계된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이다.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열고 로그인 동작(그러한 로그인하는 동작은 특정 동작으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음)을 트리거 할 때, 문의 요청이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로부터 반환 결과는 로그인하는 동작에 대해 디바이스의 인증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단말기는 근접장 디바이스와 동일한 근접장 통신 모드를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를 가진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검색된다. 만일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발견되면,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가 획득된다. MAC 어드레스는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에게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블루투스 디바이스인지를 문의하도록 요청한다. MAC 어드레스를 수신한 후, 서버는 이를 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폰의 이전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와 비교한다. 만일 서버에 의해 반환된 결과가 두 MAC 어드레스가 일치한다고 하면,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블루투스 이어폰이다. 즉,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은 성공적이다. 만일 서버에 의해 반환된 결과가 두 MAC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면,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블루투스 이어폰이 아니다. 즉,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은 성공적이지 않다.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확인" 버튼을 클릭할 때(결제 확인 동작은 특정 동작으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음), 만일 사용자가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필요하다고 설정하면, 본 기술은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 있는 단말기와 동일한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갖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발견된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하며, 그 식별을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게 이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도록 요청한다. 다시 말해서, 본 기술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만일 그러한 근접장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인증은 실패이며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단말기와 동일한 근접장 통신 모드를 갖는 근접장 디바이스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발견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연계된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다. 그러한 인증의 실패는 결제 확인 동작이 비정상 동작이라는 것(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기가 분실되었을 때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단말기를 남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204)에서, 만일 어떠한 근접장 디바이스도 단말기와 소정 거리 이내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으면, (214)에서 동작이 수행된다.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이 수행된다.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은 단말기를 잠그기, 단말기의 메모리 내의 비밀번호를 지우기, 및 다른 단말기에게 통보하기와 같은 후속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서 발견되지 않을 때, 또는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실패할 때, 단말기가 잠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이동 전화일 때, 현재 트리거된 특정 동작이 종료되고 이동 전화의 스크린이 잠긴다. 즉, 현재 조작자가 이동 전화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스크린 잠김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 이동 전화를 잠금 해제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면, 단말기에서 저장된 비밀번호는 지워질 수 있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삭제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로깅할 때, 후속 로그인하는 편의를 위해, 사용자는 종종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 비밀번호를 기억하도록 설정한다. 만일 사용자의 이동 전화가 분실되면, 다른 사람이 이동 전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로깅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실패할 때, 현재의 동작은 종료되고 메모리 내 비밀번호는 지워진다. 비록 로그인 비밀번호가 맞을지라도, 이동 전화에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실패이므로, 이동 전화는 (이동 전화가 애플리케이션에 로깅하려는 요청이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현재 트리거된 특정 동작을 종료시킨다. 그 결과, 현재의 조작자는 여전히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에 성공적으로 로깅할 수 없다.
다른 예를 들면, 다른 단말기에게 통지될 수 있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실패일 때, 리마인더(reminder)가 다른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되는 사용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의 이동 전화가 분실되면, 다른 사람이 특정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이동 전화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블루투스 전화와 같은) 이동 전화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으므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은 실패한다. 사용자의 이동 전화는 단문 메시지와 같은 한 가지 이상의 형태의 리마인더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시키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화번호로서 다른 이동 전화의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실패할 때, 상기시키는 단문 메시지가 자동으로 다른 전화의 번호로 전송된다. 그래서, 본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안전을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분실된 것을 알고 있지 못할 때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이 실패할 때,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위치를 찾기 위해 열릴 수 있고 (프론트 엔드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가 사진을 찍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치 찾기 기술 또한 카메라에 의해 사진 촬영을 통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는 상기시키는 단문 메시지와 같은 한 가지 이상의 형태로 다른 단말기에 전송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는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은 감추어진 프로세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인증 프로세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에는 근접장 디바이스의 임의의 인증을 보여주는 아무런 프롬프트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현재의 조작자는 진행중인 인증 동작을 알지 못한다.
본 개시는 또한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예시적인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예시적인 단말기(300)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면, 단말기(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302)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들) 및 메모리(30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4)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일 예이다. 메모리(304)는 검출 모듈(306), 획득 모듈(308), 송신 모듈(310), 수신 모듈(312), 및 처리 모듈(314)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6)은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의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획득 모듈(308)은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한다. 송신 모듈(310)은 식별을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수신 모듈(312)은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한다. 처리 모듈(314)은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특정 동작에 적용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만일 인증 결과로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라고 하면, 처리 모듈(314)은 추가로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결과로서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하면, 처리 모듈(314)은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300)는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특정 동작이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문의하는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 의해 반환된 결과에 따라서 특정 동작에 대해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모듈(306)은 또한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획득 모듈(308)은 근접장 디바이스가 존재하면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한다. 처리 모듈(314)은 근접장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소정 거리는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은 단말기를 잠그기, 단말기의 메모리에서 비밀번호를 지우기, 및 다른 단말기에게 통보하기와 같은 후속 조치 중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단말기 시스템(400)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시스템(400)은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402) 및 단말기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404)를 포함한다.
단말기(4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406) 또는 처리 유닛(들) 및 메모리(4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8)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일 예이다. 메모리(408)는 검출 모듈(410), 획득 모듈(412), 송신 모듈(414), 수신 모듈(416), 및 처리 모듈(418)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검출 모듈(410)은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의 소정 거리 이내의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획득 모듈(412)은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한다. 송신 모듈(414)은 식별을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게 근접장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수신 모듈(416)은 식별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한다. 처리 모듈(418)은 인증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특정 동작에 적용한다.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404) 및 단말기(402)는 동일한 근접장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장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다. 특정한 근접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일 수 있다.
단말기 및 단말기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동작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 및 예시적인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단락과 유사하므로, 예시적인 단말기 실시예 및 예시적인 단말기 시스템의 상세 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관련 부분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설명되지 않는다.
표준의 구성에서,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 단말기 또는 근접장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같은 비영구적 메모리 및/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플래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flash RA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일 예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정보 저장을 구현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영구적 및 비영구적, 이동 및 고정 매체를 포함한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 데이터 구조,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상전이 메모리(phase-change memory, PC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다른 유형의 RAM, 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플래시메모리, 내부 메모리, CD-ROM, DVD, 광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임의의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비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비하는",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변형 용어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가 복수의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히 열거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본질적이거나 내재하는 임의의 요소를 포함하도록 배타적이 아닌 포함을 일컫는다. 더 많은 한정이 없다면, "...을 포함하는"이라는 관용어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가 그 요소 이외에 다른 동일한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예시적인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기술은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컴퓨터 실행 가능한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지만, 디스크, CD-ROM, 또는 광 저장 디바이스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의 형태로 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앞의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을 임의로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모든 변경, 등가물 대체 또는 개선은 여전히 본 개시의 청구 범위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20)

  1.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에 가까이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에 따라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 매칭하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해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에 따라서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상기 단말기의 가까이에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음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가까이에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상기 특정 동작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상기 특정 동작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라고 하면,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서 후속 처리를 상기 특정 동작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하면,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안전 동작은,
    상기 단말기를 잠그는 동작과,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 내 비밀번호를 지우는 동작과,
    다른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과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간의 대응 관계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게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에 따라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 매칭하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의 상기 특정 동작과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 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를 묻는 문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해 반환된 문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상기 특정 동작을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에 가까이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 있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 및 상기 단말기는 동일한 근접장 통신 모드를 갖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통신 모드는,
    블루투스 통신(Bluetooth)과,
    근접장 무선 통신(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NFC) 기능과,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인
    방법.
  1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단말기에 가까이 있는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것과,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하는 것과,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에 따라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 매칭하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해 상기 식별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과,
    상기 식별에 따라서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상기 단말기의 가까이에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음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가까이에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라고 하면,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하면,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를 묻는 문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 의해 반환된 문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단말기와의 유효 근접장 통신 거리 이내에 있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것인
    단말기.
  19. 단말기와,
    근접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상기 단말기에 가까이 있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것과,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을 획득하는 것과,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식별에 따라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를 상기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근접장 디바이스와 매칭하는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해 상기 식별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과,
    상기 식별에 따라서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특정 동작이 트리거될 때 상기 단말기의 가까이에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음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가까이에 근접장 디바이스가 없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안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인
    시스템.
KR1020167010768A 2013-10-30 2014-10-29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KR102188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26656.2A CN104601324B (zh) 2013-10-30 2013-10-30 一种针对应用的验证方法、终端和系统
CN201310526656.2 2013-10-30
PCT/US2014/062999 WO2015066236A1 (en) 2013-10-30 2014-10-29 Authentication for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071A KR20160077071A (ko) 2016-07-01
KR102188983B1 true KR102188983B1 (ko) 2020-12-10

Family

ID=5190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768A KR102188983B1 (ko) 2013-10-30 2014-10-29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544279B2 (ko)
EP (1) EP3063921A1 (ko)
JP (1) JP6809754B2 (ko)
KR (1) KR102188983B1 (ko)
CN (2) CN104601324B (ko)
HK (1) HK1205834A1 (ko)
TW (2) TWI636412B (ko)
WO (1) WO2015066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1324B (zh) 2013-10-30 2018-08-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针对应用的验证方法、终端和系统
CN105631495A (zh) * 2015-12-20 2016-06-01 汪衍 一种物联网防伪装置及动态加密方法
CN106911653B (zh) * 2015-12-23 2021-05-1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终端远程控制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系统
CN106921498B (zh) * 2015-12-28 2019-09-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资源的安全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6331276B (zh) * 2016-08-24 2020-07-07 深圳市超世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蓝牙耳机发送电子名片的装置和方法
CN106612131B (zh) * 2016-11-18 2020-09-18 林楚强 一种信息交换的方法及装置
CN106779701A (zh) * 2016-11-22 2017-05-31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一种支付方法和装置
DE102017205887A1 (de) 2017-04-06 2018-10-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Zuordnung von industriellen Feldgeräten in einer Cloud-Umgebung
DE102017111933A1 (de) * 2017-05-31 2018-12-06 Krohne Messtechnik Gmbh Verfahren zur sicheren Kommunikation mit einem Feldmessgerät der Prozesstechnik und entsprechendes Feldmessgerät
CN109426546B (zh) * 2017-09-01 2022-10-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启动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CN108055293A (zh) 2017-11-10 2018-05-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应用程序中业务快速启动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CN109257728B (zh) * 2018-09-18 2021-09-10 武汉移动互联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蓝牙传输方法
WO2020111316A1 (ko) * 2018-11-29 2020-06-04 고진솔 Ble 비콘 서비스의 선택적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le 비콘 서비스 시스템
CN109831442A (zh) * 2019-02-25 2019-05-31 中云信安(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电子公文包系统
WO2021137482A1 (ko) * 2020-01-03 2021-07-08 (주)이스톰 근접 센싱을 이용한 단말 간 인증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2525654B1 (ko) * 2020-02-04 2023-04-25 (주)이스톰 범용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플랫폼
CN112311753A (zh) * 2020-05-15 2021-02-0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7429609B2 (ja) * 2020-06-04 2024-02-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処理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照合装置
WO2022219434A1 (en) * 2021-04-14 2022-10-20 Abb Schweiz A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connection between field devices with compu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8891A1 (en) 2005-11-16 2007-05-24 Broadcom Corporation Universal authentication token
US20080060059A1 (en) 2006-09-05 2008-03-06 Takuya Yoshida Data processor, peripher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ed herewith
US20110169654A1 (en) 2008-07-22 2011-07-14 Nissaf Ketari Multi Function Bluetooth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914A (ja) * 1993-08-27 1995-03-10 Toshiba Corp 端末アクセス管理装置
US7784684B2 (en) 2002-08-08 2010-08-31 Fujitsu Limited Wireless computer wallet for physical point of sale (POS) transactions
JP2005352710A (ja) * 2004-06-10 2005-12-22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
US20070082703A1 (en) * 2004-10-28 2007-04-12 Koninklijke Kpn N.V.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dentification
EP1708528A1 (en) * 2005-03-31 2006-10-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US20060294388A1 (en) * 2005-06-22 2006-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user security and session persistence
KR100721520B1 (ko) * 2005-11-03 2007-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보호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65984A1 (en) 2006-04-24 2007-11-15 Prakash Santhan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mobile devices
US7748618B2 (en) 2006-08-21 2010-07-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near field transaction
US9185123B2 (en) * 2008-02-12 2015-11-10 Finsphe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identity protection for online user authentication
US9179296B2 (en) 2009-03-03 2015-11-03 Mobilitie, Ll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uthentication in a dynamic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564403B2 (en) * 2009-03-18 2013-10-22 Mario Landau-Holdsworth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icity to electric vehicles, monitoring the distribution thereof, and/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thereof
JP5326853B2 (ja) * 2009-06-19 2013-10-3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機能制限方法
CN101674367A (zh) * 2009-09-17 2010-03-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nfc移动终端的解锁方法及系统
CN101707772A (zh) * 2009-11-10 2010-05-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nfc的身份识别方法及系统
JPWO2011077512A1 (ja) 2009-12-22 2013-05-02 順子 杉中 本人認証方法、本人認証システム及び携行型通信端末
JP5633233B2 (ja) * 2010-08-05 2014-1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端末装置、携帯電話機、動作管理方法及び動作管理プログラム等
US8912879B2 (en) * 2010-09-23 2014-12-16 Blackberry Limited Security system providing temporary personnel access based upon near-field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2571825A (zh) * 2010-12-07 2012-07-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互联网应用程序的登录方法、装置及系统
US9032493B2 (en) * 2011-03-31 2015-05-12 Intel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internet-connected vehicles, and cloud services
CN102737256A (zh) * 2011-04-01 2012-10-17 深圳市指媒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rfid智能卡的身份认证方法及系统
KR101522393B1 (ko) 2011-04-06 2015-05-2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단말의 자세 정보에 따라 구분된 인증값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GB2490310A (en) * 2011-04-18 2012-10-31 Nearfield Comm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ervice.
US20130009756A1 (en) 2011-07-07 2013-01-10 Nokia Corporation Verific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JP2013050930A (ja) * 2011-08-31 2013-03-14 Panasonic Corp 携帯端末、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及び認証システム
US20130085796A1 (en) * 2011-10-03 2013-04-04 Frank Ruffolo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Management
CH705774B1 (de) * 2011-11-16 2016-12-15 Swisscom Ag Verfahren, System und Karte zur Authentifizierung eines Benutzers durch eine Anwendung.
JP2013109695A (ja) * 2011-11-24 2013-06-06 Systena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ロック解除システムおよびロック解除用プログラム
KR101950998B1 (ko) * 2012-01-03 2019-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449397B (zh) 2012-01-13 2014-08-11 Asustek Comp Inc 近場通訊電子裝置、使用此裝置的登入系統及其方法
US8725113B2 (en) * 2012-03-12 2014-05-13 Google Inc. User proximity control of devices
WO2013159110A1 (en) * 2012-04-20 2013-10-24 Conductiv Software, Inc. Multi-factor mobile transaction authentication
CN103235923B (zh) * 2013-03-27 2016-08-24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获取验证标识的方法及装置
CN104601324B (zh) 2013-10-30 2018-08-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针对应用的验证方法、终端和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8891A1 (en) 2005-11-16 2007-05-24 Broadcom Corporation Universal authentication token
US20080060059A1 (en) 2006-09-05 2008-03-06 Takuya Yoshida Data processor, peripher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ed herewith
US20110169654A1 (en) 2008-07-22 2011-07-14 Nissaf Ketari Multi Function Bluetooth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01324A (zh) 2015-05-06
TWI636412B (zh) 2018-09-21
US9544279B2 (en) 2017-01-10
KR20160077071A (ko) 2016-07-01
US20150121486A1 (en) 2015-04-30
JP2016538623A (ja) 2016-12-08
TW201905750A (zh) 2019-02-01
EP3063921A1 (en) 2016-09-07
CN109040099B (zh) 2021-06-22
US10142331B2 (en) 2018-11-27
HK1205834A1 (en) 2015-12-24
CN109040099A (zh) 2018-12-18
TWI652596B (zh) 2019-03-01
US20170085559A1 (en) 2017-03-23
JP6809754B2 (ja) 2021-01-06
CN104601324B (zh) 2018-08-24
TW201516907A (zh) 2015-05-01
WO2015066236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983B1 (ko)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KR102242766B1 (ko) 신원 등록 방법 및 장치
CN105306204B (zh) 安全验证方法、装置及系统
US102355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via bluetooth device
US1036204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ver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US20190268155A1 (en) Method for Ensuring Terminal Security and Device
US201502812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wo factor user authentication using a smartphone and nfc token and for the automatic generation as well as storing and inputting of logins for websites and web applications
US20130174252A1 (en) Secure User Authentication for Bluetooth Enabled Computer Storage Devices
US20170231022A1 (en) Pairing management metho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apparatus
US1106205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storing and managing sensitive information
US11038684B2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ompanion device
KR102372571B1 (ko) 모바일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10136577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US20180083939A1 (en) Geolocation dependent variable authentication
US1115330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uthentication with a server
CN111800273A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231338B (zh) 网络连接方法、装置以及用于网络连接的装置
JP2005316660A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77827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plurality of users for a mobile device using biometric means
JP2022076942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824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86102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storing and managing sensitive information
US11388157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JP2010257487A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8549B1 (ko) 단말장치를 이용한 인증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