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61B1 -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61B1
KR102188961B1 KR1020200011022A KR20200011022A KR102188961B1 KR 102188961 B1 KR102188961 B1 KR 102188961B1 KR 1020200011022 A KR1020200011022 A KR 1020200011022A KR 20200011022 A KR20200011022 A KR 20200011022A KR 102188961 B1 KR102188961 B1 KR 10218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ection steel
coupling plate
bolt
precas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주)캐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어콘 filed Critical (주)캐어콘
Priority to KR102020001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81Embedding aggregates to obtain particular properties
    • B28B23/0087Lightweight aggregates for making lightweigh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41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12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erforated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fibrous materials or whis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6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the elements being prestres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멘트 30~80 중량%, 팽창재 1~10 중량%, 규사 5~53 중량%, 폴리머 0.1~1 중량%, 유동화제 0.1~2 중량%, 섬유보강재 0.1~1 중량%, 물 13~30 중량%, 바인더 1~ 50 중량%,를 포함하는 캐프리스트 콘크리트 조성물(10); 콘크리트 조성물(10)에 매립되거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보강섬유(20);를 포함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매립하여 제작한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우수하지만 인장강도(압축저항성의 1/11 수준)가 낮은 단점이 있다.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매립하여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면 철근의 부식과 접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피복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가 커지고 자중이 무거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대체한 보강섬유를 매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를 줄이고, 자중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축외관용 판넬, 보도교, 조립식 구조물 및 바닥판, 발코니, 바닥재, 계단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두께를 얇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왔다. 즉, 외부 침투수의 침입으로 부터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을 보호하기 위해 최소 30mm의 콘크리트 피복두께(옥외노출, D16 이하 철근 사용시)를 형성해야 하는 한계가 있어왔다.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무게와 두께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철근과 콘크리트를 결합하는 재료적 한계에 효율적인 구조물의 경량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두께가 얇으면서 강성이 우수한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멘트 30~79 중량%, 팽창재 1~10 중량%, 규사 5~53 중량%, 폴리머 0.1~1 중량%, 유동화제 0.1~2 중량%, 섬유보강재 0.1~1 중량%, 물 13~30 중량%, 바인더 1~ 50 중량%,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성물(10);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0)에 매립되거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보강섬유(20);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섬유(20)는 카본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바살트섬유, PET섬유 중 어느 하나 이거나 둘이 이상이 혼합된 섬유이고, 상기 보강섬유(20)의 원사(21) 또는 상기 보강섬유(20)가 격자 구조로 결합된 그리드 섬유(22)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섬유(20)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PVC(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수지 또는 EVA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는 실리카흄과 슬래그가 1:9 ~ 4:6 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보강재는 PVA(Polyvinyl Alcohol) 또는 P.P(Polypropylene) 섬유이고, 길이가 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섬유(20)는 인장응력(P)을 받는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사(21)는 2000~4800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상기 그리드 섬유(22)는 폭이 100~2,000mm, 두께 0.1~10mm, 격자간격이 5~4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은 섬유 인장기(100)에 상기 보강섬유(20)를 설치하는 섬유 설치단계; 상기 섬유 인장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섬유(20)에 인장응력(P)을 도입하는 인장력 도입단계; 상기 보강섬유(20)에 상기 인장응력(P)이 도입된 상태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2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20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 인장기(1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 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형강(111) 과 이동형 형강(112)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강봉(120); 상기 고정형 형강(111), 상기 이동형 형강(112), 한 쌍의 상기 강봉(120)으로 둘러싸인 공간부(S)에 상기 보강섬유(20)를 정착하도록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전방 중앙부 영역과 상기 이동형 형강(112)의 후방 중앙부 영역에 각각 결합된 보강섬유 정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섬유(20)의 전후방 양단부가 상기 정착부(13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형 형강(112)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보강섬유(20)에 상기 인장응력(P)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섬유(20)가 상기 격자형 섬유(22)일 경우, 상기 정착부(130)는 상기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장볼트(131); 상기 장볼트(131)에 관통홀(h)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판(132); 상기 결합판 상부에 거치되는 고무판(133); 상기 고무판(133)의 상면에 올려지되, 상기 격자형 섬유(22)의 가장자리부가 말려 감싸진 상태로 결합되는 섬유고정부재(134); 상기 결합판(132), 상기 고무판(133), 상기 섬유고정부재(13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섬유(20)가 상기 원사(21)인 경우,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양측방 가장자리 상면에 각각 결합된 일측단부볼트(111a) 및 타측단부볼트(111b); 상기 정착부(130)는 상기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장볼트(131); 상기 장볼트(131)에 관통홀(h)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판(132); 상기 결합판(132) 상면에 측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열지어 돌출되도록 결합된 복수의 결합판 볼트(136);를 포함하고, 상기 원사(21)는 상기 일측단부볼트(111a)에 가장자리가 결속된 상태로 상기 이동형 형강(112)에 결합된 결합판 볼트(136) 중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결합판 볼트(136) 중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b), 상기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상기 이동형 형강(112)의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d), 상기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를 순차적으로 둘러 상기 타측단부볼트(111b)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철근 대신 보강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중량을 줄이고, 얇은 두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공시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공시체 1,2,3의 하중-변위 값
도 3은 비교예의 하중-변위 값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공시체 휨강도 시험전경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구조의 격자형 보강섬유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 인장기에 그리드 구조의 격자형 보강섬유가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 인장기에 그리드 구조의 격자형 보강섬유가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섬유 인장기에 원사형 보강섬유가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구조의 격장형 보강섬유가 정착부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판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섬유 인장기에 원사형 보강섬유가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사형 보강섬유가 일측 단부볼트에 고정되어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에 설치되는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사형 보강섬유가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를 둘러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에 설치되는 공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사형 보강섬유가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를 둘러 다시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에 설치되는 공정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사형 보강섬유가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와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를 둘러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에 설치되는 공정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사형 보강섬유가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를 둘러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에 설치되는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사형 보강섬유가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와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를 둘러 타측단부볼트에 결속되는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멘트 30~79 중량%, 팽창재 1~10 중량%, 규사 5~53 중량%, 폴리머 0.1~1 중량%, 유동화제 0.1~2 중량%, 섬유보강재 0.1~1 중량%, 물 13~30 중량%, 바인더 1~ 50 중량%,를 포함하는 캐프리스트 콘크리트 조성물(10); 콘크리트 조성물(10)에 매립되거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보강섬유(20);를 포함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매립하여 제작한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우수하지만 인장강도(압축저항성의 1/11 수준)가 낮은 단점이 있다.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매립하여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면 철근의 부식과 접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피복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가 커지고 자중이 무거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대체한 보강섬유를 매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를 줄이고, 자중을 감소시키면서 부식에 의한 저항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보강섬유(20)가 인장응력을 받는 상태로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매립되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이 된다.
본 발명은 기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대비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건축물의 외장재, 발코니의 바닥판, 보도부의 deck, 난간의 미관용 부재, 소규모의 담장 등에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보강섬유(20)는 카본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바살트섬유, PET섬유 중 어느 하나 이거나 둘이 이상이 혼합된 섬유이고, 보강섬유(20)의 원사(21) 또는 보강섬유(20)가 격자 구조로 결합된 그리드 섬유(22)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강섬유(20)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PVC(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팅 될 수 있다. 코팅시에는 보감섬유(20)의 부착력 증진을 위해 모래 등과 함께 코팅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 조성물(10)에 혼합되는 폴리머는 아크릴수지 또는 EVA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는 실리카흄과 슬래그가 1:9 ~ 4:6 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래그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함인데,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 시멘트 생산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을 줄여 대기오염을 줄이는 목적이다.
섬유보강재는 PVA(Polyvinyl Alcohol) 또는 P.P(Polypropylene) 섬유이고, 길이가 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보강재는 보강섬유와 조성물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조성물의 휨강도, 인장강도, cracking strength를 향상시킨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섬유보강재가 조성물 내부에서 crack bridging force를 발생시켜 구조물의 응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섬유(20)는 인장응력(P)을 받는 상태로 콘크리트 조성물(10)과 결합되는데, 원사(21)는 2000~4800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그리드 섬유(22)는 폭이 100~2,000mm, 두께 0.1~10mm, 격자간격이 5~4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은 섬유 인장기(100)에 보강섬유(20)를 설치하는 섬유 설치단계; 섬유 인장기(100)를 이용하여 보강섬유(20)에 인장응력(P)을 도입하는 인장력 도입단계; 보강섬유(20)에 인장응력(P)이 도입된 상태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200)을 설치하는 단계; 거푸집(20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조성물(1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거푸집(200) 내면에 문양을 형성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문양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C)에 안료를 혼합할 경우 여러 색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거푸집 표면에 스프레이 뿜칠을 이용하여 색상을 입힐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색상을 조절할 수 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콘크리트 양생이 끝 난 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컷팅하여 적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인장력 도입단계는 콘크리트(C)와 보강섬유(20)의 적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보강섬유(20)의 변형율을 0.012mm/min 이하로 제한한다.
과도하게 인장력을 도입하는 경우, 콘크리트(C) 양생 후 인장력 제거 단계에서 보강섬유(20)와 콘크리트(C)의 일체성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콘크리트의 양생은 증기양생을 기본으로 실시한다.
섬유 인장기(1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 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되, 고정형 형강(111)과 이동형 형강(112)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강봉(120); 고정형 형강(111), 이동형 형강(112), 한 쌍의 강봉(120)으로 둘러싸인 공간부(S)에 보강섬유(20)를 정착하도록 고정형 형강(111)의 전방 중앙부 영역과 이동형 형강(112)의 후방 중앙부 영역에 각각 결합된 보강섬유 정착부(130);를 포함하고, 보강섬유(20)의 전후방 양단부가 정착부(130)에 고정되고, 이동형 형강(112)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보강섬유(20)에 인장응력(P)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섬유(20)가 격자형 섬유(22)일 경우, 정착부(130)는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장볼트(131); 장볼트(131)에 관통홀(h)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판(132); 결합판 상부에 거치되는 고무판(133); 고무판(133)의 상면에 올려지되, 격자형 섬유(22)의 가장자리부가 말려 감싸진 상태로 결합되는 섬유고정부재(134); 결합판(132), 고무판(133), 섬유고정부재(13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드 구조의 격자형 보강섬유(21)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확보하고, 운반 및 시공의 용이성을 위해 폭 100~2,000mm, 두께 0.1~10mm, 격자간격 5~40m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섬유(20)가 원사(21)인 경우, 고정형 형강(111)의 양측방 가장자리 상면에 각각 결합된 일측단부볼트(111a) 및 타측단부볼트(111b); 정착부(130)는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장볼트(131); 장볼트(131)에 관통홀(h)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판(132); 결합판(132) 상면에 측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열지어 돌출되도록 결합된 복수의 결합판 볼트(136);를 포함하고, 원사(21)는 일측단부볼트(111a)에 가장자리가 결속된 상태로 이동형 형강(112)에 결합된 결합판 볼트(136) 중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고정형 형강(111)의 결합판 볼트(136) 중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b),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이동형 형강(112)의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 고정형 형강(111)의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d),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를 순차적으로 둘러 기 타측단부볼트(111b)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사형 보강섬유(22)는 도 12 ~ 도 17의 공정도 순서대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원사형 보강섬유(22)는 일단부가 고정형 형강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측단부볼트(111a)에 고정되고,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b), 다시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와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를 둘러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d)에 설치되고, 이후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d)와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를 둘러 타측단부볼트(111b)에 고정된다.
콘크리트(C) 양생 이후에 일측단부볼트(111a)와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에 설치된 원사형 보강섬유(22)와 타측단부볼트(111b)와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에 설치된 원사형 보강섬유(22)는 절단된다.
일측단부볼트(111a)로 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b),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d)에 지그재그 구조로 원사형 보강섬유(22)를 설치하고, 타측단부볼트(111b)에서 원사형 보강섬유(22)의 설치를마무리한 것은 인장력 도입단계시 설치된 원사형 보강섬유(22)에 균등한 인장응력을 도입하고, 파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섬유가 매립되지 않은 비교예의 실험용 공시체에 대한 상세 내용을 기재한 것이다.
실시예는 격자형 보강섬유를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매립하여 공시체를 제작한 것이다. 공시체는 길이 380mm, 단면 100×24mm 로 제작되었고, 비교예에는 보강섬유가 매립되지 않았다.
구분 격자형 보강섬유 간격
(mm)
콘크리트 압축강도
(MPa)
시험횟수 보강섬유
코팅
실시예 - 82 1
비교예 23×23 82 3 SBR
아래 표 2는 휨 시험용 지그 및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3 POINT BENDING 시험방법으로 공시체의 휨 강도 및 처짐을 측정한 결과이다.
휨 강도는 KS F 2566(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인성 시험 방법)에 의하여 산정하였고 식은 아래 와 같다.
Figure 112020009999181-pat00001
여기에서, Fr : 휨 강도 (MPa), P :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 하중 (N), l : 지간 (mm), b : 파괴 단면의 폭 (mm), h : 파괴 단면의 높이 (mm) 이다.
보강섬유 유무 격자형
섬유간격
(mm)
보강섬유
코팅방법
1ST 균열
하중
(N)
최대
하중
(N)
최대
휨강도
(MPa)
최대휨강도
/균열하중
휨강도 비교예 1 - - 1,322 1,322 10.3 1
실시예
(CARBON 섬유)
1 23*23 SBR 1,584 2,825 22.1 2.2
2 1,309 3,139 24.5
3 1,294 2,805 21.9
avg. 1,396 2,923 22.8
실험결과 보강섬유가 매립된 실시예의 휨강도가 비교예 보다 약 2.2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C : 콘크리트 h : 관통홀
P : 인장응력 S : 공간부
10 : 콘크리트 조성물 20 : 보강섬유
21 : 격자형 보강섬유 22 : 원사형 보강섬유
100 : 인장기 111 : 고정형 형강
112 : 이동형 형강 120 : 강봉
130 : 정착부 131 : 장볼트
132 : 결합판 133 : 고무판
134 : 섬유고정부재 135 : 고정볼트
200 : 거푸집

Claims (12)

  1. 시멘트 30~79 중량%,
    팽창재 1~10 중량%,
    규사 5~53 중량%,
    폴리머 0.1~1 중량%,
    유동화제 0.1~2 중량%,
    섬유보강재 0.1~1 중량%,
    물 13~30 중량%,
    바인더 1~ 50 중량%,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성물(10);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0)에 매립되거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보강섬유(2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섬유(20)는 카본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바살트섬유, PET섬유 중 어느 하나 이거나 둘이 이상이 혼합된 섬유이고,
    상기 보강섬유(20)의 원사(21) 또는 상기 보강섬유(20)가 격자 구조로 결합된 그리드 섬유(22)로 혼합되며,
    상기 보강섬유(20)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PVC(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팅되고,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수지 또는 EVA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실리카흄과 슬래그가 1:9 ~ 4:6 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재는 PVA(Polyvinyl Alcohol) 또는 P.P(Polypropylene) 섬유이고, 길이가 1~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20)는 인장응력(P)을 받는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21)는 2000~4800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상기 그리드 섬유(22)는 폭이 100~2,000mm, 두께 0.1~10mm, 격자간격이 5~4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9. 제1항, 제5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의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으로서,
    섬유 인장기(100)에 상기 보강섬유(20)를 설치하는 섬유 설치단계;
    상기 섬유 인장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섬유(20)에 인장응력(P)을 도입하는 인장력 도입단계;
    상기 보강섬유(20)에 상기 인장응력(P)이 도입된 상태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2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20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인장기(1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
    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형강(111) 과 이동형 형강(112)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강봉(120);
    상기 고정형 형강(111), 상기 이동형 형강(112), 한 쌍의 상기 강봉(120)으로 둘러싸인 공간부(S)에 상기 보강섬유(20)를 정착하도록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전방 중앙부 영역과 상기 이동형 형강(112)의 후방 중앙부 영역에 각각 결합된 보강섬유 정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섬유(20)의 전후방 양단부가 상기 정착부(13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형 형강(112)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보강섬유(20)에 상기 인장응력(P)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20)가 격자형 섬유(22)일 경우,
    상기 정착부(130)는
    상기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장볼트(131);
    상기 장볼트(131)에 관통홀(h)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판(132);
    상기 결합판 상부에 거치되는 고무판(133);
    상기 고무판(133)의 상면에 올려지되, 상기 격자형 섬유(22)의 가장자리부가 말려 감싸진 상태로 결합되는 섬유고정부재(134);
    상기 결합판(132), 상기 고무판(133), 상기 섬유고정부재(13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20)가 상기 원사(21)인 경우,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양측방 가장자리 상면에 각각 결합된 일측단부볼트(111a) 및 타측단부볼트(111b);
    상기 정착부(130)는
    상기 고정형 형강(111) 및 이동형 형강(112)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장볼트(131);
    상기 장볼트(131)에 관통홀(h)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판(132);
    상기 결합판(132) 상면에 측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열지어 돌출되도록 결합된 복수의 결합판 볼트(136);를 포함하고,
    상기 원사(21)는
    상기 일측단부볼트(111a)에 가장자리가 결속된 상태로 상기 이동형 형강(112)에 결합된 결합판 볼트(136) 중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결합판 볼트(136) 중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고정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b), 상기 이동형형강 일측 결합판 볼트(136a), 상기 이동형 형강(112)의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 상기 고정형 형강(111)의 고정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d), 상기 이동형형강 타측 결합판 볼트(136c)를 순차적으로 둘러 상기 타측단부볼트(111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KR1020200011022A 2020-01-30 2020-01-30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218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22A KR102188961B1 (ko) 2020-01-30 2020-01-30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22A KR102188961B1 (ko) 2020-01-30 2020-01-30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961B1 true KR102188961B1 (ko) 2020-12-10

Family

ID=7379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022A KR102188961B1 (ko) 2020-01-30 2020-01-30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9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706A (ko) * 2006-03-22 2007-10-01 유용진 고강도 특성을 갖는 초경량 또는 초고중량 폴리머콘크리트의 조성물과 조성방법 및 그 특성을 갖는 폴리머콘크리트 성형물의 성형방법
KR100921447B1 (ko) * 2008-09-26 2009-10-13 (주)국민산업 긴장력의 효율적 분배를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101809237B1 (ko) * 2017-09-15 2017-12-15 주식회사 세승 내장 속경형 폴리머시멘트 매트의 제조방법 및 매트의 조성물
KR20180061512A (ko) * 2016-11-29 2018-06-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테이블 제작용 섬유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706A (ko) * 2006-03-22 2007-10-01 유용진 고강도 특성을 갖는 초경량 또는 초고중량 폴리머콘크리트의 조성물과 조성방법 및 그 특성을 갖는 폴리머콘크리트 성형물의 성형방법
KR100921447B1 (ko) * 2008-09-26 2009-10-13 (주)국민산업 긴장력의 효율적 분배를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20180061512A (ko) * 2016-11-29 2018-06-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테이블 제작용 섬유보강장치
KR101809237B1 (ko) * 2017-09-15 2017-12-15 주식회사 세승 내장 속경형 폴리머시멘트 매트의 제조방법 및 매트의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ano et al. Shear retrofitt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Oskoue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punching behavior of GFRP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footing
JP4541916B2 (ja) 合成床版
PL211155B1 (pl) Układ nieorganicznej matrycy-tkaniny oraz sposób
CN102121289B (zh) 叠合板用超高强超薄底板及其生产方法
EP07940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girder and so manufactured girder
Hu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RC beam-column joints retrofitted by ECC, FRP, and concrete jacketing methods
KR100783818B1 (ko) 고인성 시멘트복합체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CN201972287U (zh) 叠合板用超高强超薄底板
KR10095071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 받침부의 콘크리트층을 보수하는 방법
KR1010130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과 전단 동시 보강공법
US11753823B2 (en) Short fiber-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continuous fiber-reinforced polymer material
KR102188961B1 (ko)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CN105350790A (zh) 一种预制预应力trc板加固钢筋混凝土板的方法
Nicolae et al. Fibre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as internal and external reinforcements for building elements
JP2729718B2 (ja) 表面材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工法
CN205189435U (zh) 一种钢筋混凝土板加固结构
Najafgholipour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flexural behavior of masonry prisms strengthened by fiber-reinforced mortar layer
Rempel et al. Extremely light and slender precast-bridge made out of textile-reinforced-concrete
JP7263164B2 (ja) 壁高欄の補修方法
KR100838490B1 (ko) 이중바닥재용 고강도 경량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18059914U (zh) 一种配筋ecc-强化再生混凝土复合的桥面板
KR102331411B1 (ko) 슬래브
JP3906414B2 (ja) 大変形追従性能を有するセメント複合構造体
KR102236651B1 (ko) 무기계 세라믹 시트를 복층으로 접착하고 보강한 기둥과 바닥면, 보강한 기둥과 슬라브를 고탄성 보강꺽쇠를 이용하여 앙카로 고정하는 보강꺽쇠 일체형 내진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