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839B1 -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839B1
KR102188839B1 KR1020190071605A KR20190071605A KR102188839B1 KR 102188839 B1 KR102188839 B1 KR 102188839B1 KR 1020190071605 A KR1020190071605 A KR 1020190071605A KR 20190071605 A KR20190071605 A KR 20190071605A KR 102188839 B1 KR102188839 B1 KR 10218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luid
sensor
freshwate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남훈
이홍현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7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1/00Locks or dry-docks; Shaft locks, i.e. locks of which one front side is formed by a solid wall with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through which the ships pass
    • G01F23/006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은 방조제의 담수측 배수갑문해수측에 설치되며,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해수 유입 감지장치;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 또는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담수측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자동문비 및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에 설치되어 해수측의 수위 및 담수측의 수위를 감지하는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상기 해수측 자동문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측 자동문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 수위감지센서 및 기울기센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기울기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감지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감지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감지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상기 감지정보가 정상값과 다른 이상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DRAIN DETECTION SYSTEM FOR SEA DIKE SLUICE}
본 발명은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조제에 설치되는 배수갑문의 개방에 따른 해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조제라함은 간척지와 같이 항상 해면보다 낮은 장소 또는 이상고조시에 관수(冠水)하는 장소에 해안을 따라 또는 해안과 일정거리로 이격하여 육지와 방조제 양쪽선단을 연결하는 제방을 말하는바, 특히 육지 해안선이 내륙쪽으로 만곡되고 그 양측 선단이 외해쪽으로 연하여 전체 해안선이 마제형(瑪蹄形)으로 되는 지형에 있어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방을 방조제라 한다.
이러한 방조제는 평상시에는 해수가 담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담수측 배수갑문 및 해수측 자동문비를 닫아서 간척지, 관개지 등을 해수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고,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담수측의 배수갑문을 개방하여 담수를 해수측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방조제는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어 운영되며, 홍수 등의 자연재해 예상 상황을 제외하고는 항시 담수측의 배수갑문 및 해수측 자동문비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담수측의 배수갑문 및 해수측 자동문비에 이물질이 끼거나, 관리자의 부주의로 인해 담수측의 배수갑문 및 해수측 자동문비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때 수위가 깊어 자동문비 개방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배수갑문이 열린 상태로 해수의 유입으로 인한 간척지 및 관계지 등의 피해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조제의 담수측에 설치되어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의 감지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방조제에서 담수측으로 적은 양의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해수의 유입에 대한 감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해수의 유입에 대한 즉각적인 감지를 통해 해수 유입에 따른 담수호 주변의 간척지, 관계지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해수의 유입이 감지되면 관리자단말기로 즉시 전송되어 관리자가 해수의 유입을 즉시 확인하여 신속하게 배수갑문을 닫는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은 방조제의 담수측 배수갑문해수측에 설치되며,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해수 유입 감지장치;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 또는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담수측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자동문비 및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에 설치되어 해수측의 수위 및 담수측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상기 해수측 자동문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측 자동문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 수위감지센서 및 기울기센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기울기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감지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감지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감지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상기 감지정보가 정상값과 다른 이상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중공관 형태이고, 상기 중공관의 상단부를 개방하는 입구부 및 상기 중공관의 하단부측 둘레를 개방하는 유체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측이 수중으로 삽입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 상기 회전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유체통로부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유체감응부재; 및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의 유체통로부는 메쉬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감응부재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유체통로부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유체충돌부; 상기 제1 수평부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외부를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 또는 수직부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중심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는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감응부재는 상기 유체충돌부의 양측의 수직한 단부로부터 상기 유체충돌부의 표면에 수직하도록 연장되는 유체저항증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가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모터거치부재; 상기 모터거치부재 상에 거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정/역 회전되면 회전되면 상기 유체감응부재가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하는 이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방조제의 담수측에 설치되어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의 감지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방조제에서 담수측으로 적은 양의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해수의 유입에 대한 감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해수의 유입에 대한 즉각적인 감지를 통해 해수 유입에 따른 담수호 주변의 간척지, 관계지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해수의 유입이 감지되면 관리자단말기로 즉시 전송되어 관리자가 해수의 유입을 즉시 확인하여 신속하게 배수갑문을 닫는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의 해수 유입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의 해수 유입 감지장치가 방조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갑문 누수감지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은 해수 유입 감지장치(100), 염도측정센서(210), 해수측 수위감지센서(220),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 기울기센서(240), 제어부(300), 중앙관리서버(400), 경광등(250)을 포함한다.
해수 유입 감지장치(100)는 방조제의 담수측 배수갑문 또는 해수측 자동문비에 설치되며,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감지한다.
염도측정센서(210)는 담수측 배수갑문(11) 또는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11) 주변, 예를들면, 방조제(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담수측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일 예로, 염도측정센서(210)는 담수의 전도도로를 기준으로 염도를 산출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해수측 수위감지센서(220)는 해수측 자동문비(12)에 설치되어 해수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는 담수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일 예로,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는 담수측 배수갑문(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는 부유체를 이용하여 수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기울기센서(240)는 해수측 자동문비(12)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일 예로, 기울기센서(240)는 해수측 자동문비에 설치될 수 있다. 기울기센서(240)는 실시간으로 현재 기울기값을 전송한다.
제어부(300)는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210), 해수측 수위감지센서(220)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 기울기센서(24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100), 해수측 수위감지센서(220)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 기울기센서(24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감지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어부(300)는 방조제(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정보는 염도측정센서(210)를 통해 측정되어 변화하는 담수측의 염도값, 상기 해수측 수위감지센서(220)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를 통해 측정되어 변화하는 담수측 및 해수측의 수위값, 상기 기울기센서(240)를 통해 측정되어 변화하는 해수측 자동문비(12)의 기울기값이고, 상기 기울기센서(240)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값은 기준값, 즉 해수측 자동문비(12)의 평상시 기울기에 해당하는 값으로부터 증가하는 기울기값이 기울기에 대한 이상값으로 판단하고, 상기 염도값은 허용가능한 담수측의 염도값을 초과하는 염도값을 이상값으로 판단한다.
중앙관리서버(400)는 제어부(300)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감지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감지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관리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기 및 방조제관리센터에 설치되는 P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100) 및 제어부(300) 간의 통신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의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중앙관리서버(400)와 제어부(300) 간의 통신은 WCDMA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
경광등(250)은 감지정보가 정상값과 다른 이상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된다. 즉,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로부터 입력되는 수위값이 증가하거나, 염도측정센서(210)로부터 입력되는 염도값이 증가하거나, 기울기센서(240)로부터 입력되는 기울기값이 증가하는 경우, 또는 상기 담수측의 수위값, 염도값 및 기울기값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300)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경광등(250)은 방조제(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의 해수 유입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케이싱(110), 회전중심축(120), 유체감응부재(130) 및 회전감지센서(14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회전중심축(120) 및 유체감응부재(13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 케이싱(110)은 중공관 형태이고, 중공관의 상단부는 개방되며, 중공관의 하단부측 둘레를 개방하는 유체통로부(111)를 포함한다. 일 예로, 케이싱(110)은 횡방향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부(111)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케이싱(110)의 사방에서의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메쉬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은 하단부측, 즉 유체통로부(111)측이 수중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유체통로부(111)를 통해 케이싱(110) 사방에서의 해수의 유입이 가능하다.
회전중심축(120)은 유체감응부재(130)가 회전하기 위한 중심축이고,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중심축(120)은 케이싱(110)의 상단부의 가운데의 일측으로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유체감응부재(130)는 케이싱(110)의 하단부의 유체통로부(111)를 유체, 즉 해수의 밀물시 유체통로부(111)를 통과하는 해수에 반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유체감응부재(130)는 제1 수평부(131), 제1 수평부(131)에 수직하도록 제1 수평부(131)로부터 유체통로부(111)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유체충돌부(132), 제1 수평부(131)에 수직하도록 제1 수평부(131)로부터 케이싱(110)의 외부를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부(133) 및 수직부(133)의 상단부에서 수직부(133)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부(131) 및 유체충돌부(132)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이 회전중심축(120)과 연결되어서 유체감응부재(1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수평부(131), 유체충돌부(132), 수직부(133) 및 제2 수평부(134)는 플레이트 형태이며, 유체감응부재(130)는 유체충돌부(132)의 하단부가 케이싱(110)의 유체통로부(111)의 영역 내에 위치하여 유체통로부(111)를 통과하는 해수와 충돌하게 유체통로부(111)의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면에 대향한다.
유체감응부재(130)는 유체저항증가부(135)를 더 포함한다. 유체저항증가부(135)는 유체충돌부(132)의 양측의 수직한 단부로부터 유체충돌부(132)의 표면에 수직하도록 연장된다. 유체저항증가부(135)가 유체충돌부(132)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제2 수평부(134)가 연장되는 방향이다. 즉, 유체충돌부(132) 및 유체저항증가부(135)를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ㄷ'자 형상의 내측 공간으로 유체가 충돌하면 유체를 짧은 시간동안 가둘 수 있게 되므로 유체가 가두어지는 작용에 의해 유체가 충돌하게 되면 유체감응부재(130)가 회전중심축(120)을 중심으로 더욱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회전감지센서(140)는 유체감응부재(13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체감응부재(13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한다. 즉, 회전감지센서(140)는 유체감응부재(130)의 제2 수평부(134)의 상면에 부착되어서 유체감응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해수 유입 감지장치(100)는 모터거치부재(150), 구동모터(160) 및 이송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거치부재(150)는 유체감응부재(1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거치부(151)를 포함하고, 거치부(151)가 케이싱(110)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케이싱(110)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모터거치부재(150)의 높이는 유체감응부재(130)의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일 수 있다.
구동모터(160)는 모터거치부재(150)의 거치부(15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송부재(170)는 구동모터 및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정/역 회전되면 회전되면 상기 유체감응부재가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한다. 일 예로, 이송부재(170)는 구동모터(16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와이어권취릴(171) 및 유체감응부재(130)의 제2 수평부(134)에 연결되는 인양와이어(172)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을 통해 배수갑문의 누수감지 및 누수감지에 따른 조치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의 해수 유입 감지장치가 방조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해수 유입 감지장치(100)는 담수측의 배수갑문(11)에 설치되고, 염도측정센서(210)는 담수측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해수측 수위감지센서(220)는 해수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담수측 수위감지센서(230)는 담수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기울기센서(240)는 해수측 자동문비(12)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조제(10)의 해수측 자동문비(12)이 관리자의 부주로 개방된 경우 해수가 담수측으로 유입되며, 이때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해수의 유입을 감지한다.
이때, 해수가 담수측으로 유입되면 담수측으로 흐르는 해수는 케이싱(110)의 유체통로부(111)로 유입되고, 유체통로부(111)로 유입된 해수는 유체감응부재(130)의 유체충돌부(132)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유체감응부재(130)는 회전중심축(120)을 축으로 하여 담수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유체감응부재(130)가 회전하면 유체감응부재(130)의 제2 수평부(134)는 해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때 회전감지센서(140)는 유체감응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한다.
이 과정에서, 유체감응부재(130) 상에 구비되는 회전감지센서(140)의 위치가 회전중심축(120)의 위치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므로 회전감지센서(140)가 유체감응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과정이 극대화된다. 즉, 회전감지센서(140)는 제1 수평부(131)로부터 수직부(133)를 매개로 연결된 제2 수평부(134)에 위치하여 회전중심축(120)보다 높고 멀게 위치하므로 제2 수평부(134)의 이동거리, 즉 회전중심축(120)으로부터의 제2 수평부(134)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수평부(134) 상에 구비되는 회전감지센서(140)는 제2 수평부(134)와 함께 회전 및 이동하여 회전각도의 측정값이 커지게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따라서, 적은양의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해수의 유입을 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감지센서(14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제어부(300)로 입력되며, 제어부(300)는 중앙관리서버(400)와 통신하여 상기 측정값을 중앙관리서버(400)로 송출하고, 중앙관리서버(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된 상기 측정값을 관리자단말기(500), 예를 들어, 방조제관리센서에 설치된 PC로 전송한다.
관리자단말기로 입력된 상기 측정값은 관리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측정값을 관리자가 확인하여 담수측 및 해수측 자동문비(12)을 즉시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해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해수 유입에 따라 담수측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담수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증가된 수위값이 제어부(300)로 전송되고, 해수 유입에 따라 담수측의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도측정센서(210)로부터 증가된 염도값이 제어부(300)로 전송되고, 기울기센서(240)로부터 증가된 기울기값이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증가된 염도값을 이상값으로 판단하고, 증가된 기울기값을 이상값으로 판단하여 중앙관리서버(400)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감지정보가 정상값과 다른 이상값인 경우 제어부(300)는 경광등(250)을 구동시키며, 경광등(250)이 구동됨에 따라 방조제의 현장에서 즉시 해수의 유입에 대한 위험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유체감응부재(130)의 관리가 용이하다. 즉, 유체감응부재(130)를 수중으로부터 인출하여 유지보수, 예를 들어, 유체감응부재(13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160)를 정회전시켜서 구동모터(160)의 구동축에 결합된 와이어권취릴(171)을 회전시키면, 유체감응부재(130)에 연결된 인양와이어(172)가 와이어권취릴(171)에 감기면서 유체감응부재(130)를 상승시켜서 유체감응부재(130)를 수중 및 케이싱(110)의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을 이용하면, 방조제(10)의 담수측에 설치되어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의 감지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방조제(10)에서 담수측으로 적은 양의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해수의 유입에 대한 감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해수의 유입에 대한 즉각적인 감지를 통해 해수 유입에 따른 담수호 주변의 간척지, 관계지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해수의 유입이 감지되면 관리자단말기로 즉시 전송되어 관리자가 해수의 유입을 즉시 확인하여 신속하게 배수갑문을 닫는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방조제의 담수측 배수갑문해수측에 설치되며, 담수측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해수 유입 감지장치;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 또는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담수측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자동문비 및 상기 담수측 배수갑문에 설치되어 해수측의 수위 및 담수측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상기 해수측 자동문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측 자동문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기울기센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 염도측정센서, 해수측 수위감지센서 및 담수측 수위감지센서, 기울기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감지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감지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감지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상기 감지정보가 정상값과 다른 이상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경광등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중공관 형태이고, 상기 중공관의 상단부를 개방하는 입구부 및 상기 중공관의 하단부측 둘레를 개방하는 유체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측이 수중으로 삽입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
    상기 회전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유체통로부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유체감응부재; 및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감응부재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유체통로부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유체충돌부;
    상기 제1 수평부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외부를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 또는 수직부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중심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는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유체통로부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감응부재는 상기 유체충돌부의 양측의 수직한 단부로부터 상기 유체충돌부의 표면에 수직하도록 연장되는 유체저항증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 감지장치는,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가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모터거치부재;
    상기 모터거치부재 상에 거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유체감응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정/역 회전되면 회전되면 상기 유체감응부재가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하는 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KR1020190071605A 2019-06-17 2019-06-17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KR10218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05A KR102188839B1 (ko) 2019-06-17 2019-06-17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05A KR102188839B1 (ko) 2019-06-17 2019-06-17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839B1 true KR102188839B1 (ko) 2020-12-10

Family

ID=7379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605A KR102188839B1 (ko) 2019-06-17 2019-06-17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715B1 (ko) * 2023-06-30 2023-12-13 염명섭 유압을 이용한 수문 개폐 밸런싱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333A (ja) * 1996-02-09 1997-08-19 Kensetsusho Kyushu Chiho Kensetsu Kyokucho 水門の開閉制御方法
KR100563369B1 (ko) * 2003-08-19 2006-03-22 오후석 배수용 수문
KR100920684B1 (ko) * 2009-04-09 2009-10-09 윤주섭 무인 완전자동화 하천수문 개폐시스템
KR101200040B1 (ko) * 2012-06-13 2012-11-12 우일산업 주식회사 센서 일체형 수문
KR20170033287A (ko) * 2017-03-06 2017-03-24 차운철 표층수 취수용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333A (ja) * 1996-02-09 1997-08-19 Kensetsusho Kyushu Chiho Kensetsu Kyokucho 水門の開閉制御方法
KR100563369B1 (ko) * 2003-08-19 2006-03-22 오후석 배수용 수문
KR100920684B1 (ko) * 2009-04-09 2009-10-09 윤주섭 무인 완전자동화 하천수문 개폐시스템
KR101200040B1 (ko) * 2012-06-13 2012-11-12 우일산업 주식회사 센서 일체형 수문
KR20170033287A (ko) * 2017-03-06 2017-03-24 차운철 표층수 취수용 수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715B1 (ko) * 2023-06-30 2023-12-13 염명섭 유압을 이용한 수문 개폐 밸런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839B1 (ko) 자동문비 누수감지 시스템
KR20110072887A (ko)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KR20170092082A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및 권양기
KR10071523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30097562A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JP3544503B2 (ja) 作動装置付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2466155B1 (ko) 부력체 수문의 부력을 이용한 어도
KR101200040B1 (ko) 센서 일체형 수문
JP2006274704A (ja) ポンプゲート及びポンプゲートのフラップ弁の異常検出方法
KR101739117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저수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90036B1 (ko) 방조제 자동수문 오작동 및 제방 붕괴에 의한 농경지 해수피해 방지 경보시스템
KR102680980B1 (ko) 배수갑문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JP3894369B2 (ja) 作動装置付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の監視システム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KR20040062356A (ko)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KR20090128143A (ko) 전도식 수문 구동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3418737B2 (ja) 流向検知装置および流向検知システム
KR102669417B1 (ko) 수위계 일체형 수문 시스템
JP2002167736A (ja) 利水制御システム及び利水制御方法
KR102482127B1 (ko) 진출입 차단 게이트
KR102204308B1 (ko) 자동 전도수문
KR20050001595A (ko) 펌프식 수문
KR100955318B1 (ko)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
KR102198358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스크린 및 수문 훼손방지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