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772B1 -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772B1
KR102188772B1 KR1020130105403A KR20130105403A KR102188772B1 KR 102188772 B1 KR102188772 B1 KR 102188772B1 KR 1020130105403 A KR1020130105403 A KR 1020130105403A KR 20130105403 A KR20130105403 A KR 20130105403A KR 102188772 B1 KR102188772 B1 KR 10218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loud
display device
keypad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485A (ko
Inventor
안학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0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7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는, 키패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에 연동하여,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는 통신부, 및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KEY INPUT DEVICE AND KEY INPUT DEVICE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클라우드 PC와 각각 연결을 설정하고,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른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와 연관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컴퓨터에서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작업 중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소지하는 USB 메모리나 웹 서버에 보관하고, 도서관, 인터넷 카페 등에 설치된 공공 PC에서, 상기 보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이어서 처리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공공 PC에서 작업 시, 바이러스나 해킹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공공 PC 보다는 휴대 가능한 개인 PC, 즉 랩탑 PC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작고 가벼운 랩탑 PC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무게와 사이즈 등으로 인해 휴대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랩탑 PC보다 작고 가벼운 태블릿 PC에 대한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태블릿 PC에서는 텍스트 입력 시 매번 화면을 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태블릿 PC를 통해 레포트와 같은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랩탑 PC에서와 같이, 개인 데이터를 키보드 입력으로 신속하고, 자신의 PC처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으면서, 랩탑 PC 보다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한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클라우드 PC와 각각 연결을 설정하고,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디에서든지 자신의 PC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편리함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flexible) 구조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휴대 및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상응하여 클라우드 PC 상에서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PC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함으로써, 상기 개인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전원 소비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로서, 키 입력 장치는, 키패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에 연동하여,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는 통신부, 및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은, 키패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키패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에 연동하여,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클라우드 PC와 각각 연결을 설정하고,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디에서든지 자신의 PC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편리함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플렉서블(flexible) 구조의 키패드를 구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휴대 및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상응하여 클라우드 PC 상에서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PC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함으로써, 상기 개인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전원 소비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클라우드 PC 간의 전체적인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키 입력 장치(100)는 키패드(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키 입력 장치(100)는 인증부(140) 및 메모리(15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키패드(110)는 문자, 숫자, 또는 특수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한다.
일례로, 키패드(110)는 플렉서블(flexible)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플렉서블 구조의 키패드(110)를 작게 접거나, 돌돌 말아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키패드(110)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에 연동하여, 클라우드 PC(170)에 접속한다.
일례로,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유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USB/HDMI 포트를 키패드(110)에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상기 USB/HDMI 포트에 입력되는 USB/HDMI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키패드(110) 내 전원 온(on) 버튼이 푸쉬 입력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연결 가능한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60)는 USB/HDMI 포트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 가능한 LCD/모니터, TV, 스마트 폰, 태블릿 피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RFID,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클라우드 PC(170)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이 설정되면,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클라우드 PC(170)에 Wi-Fi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이 설정 됨에 따라, 상기 LTE 모뎀을 동작시켜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통해 클라우드 PC(17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PC(170)는 이미지, 문서, 응용프로그램 등 사용자의 다양한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PC)로 정의될 수 있으며,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시스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키패드(110)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170)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에 표시한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클라우드 PC(170)와 접속 됨에 따라, 클라우드 PC(170)의 윈도우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개인 데이터 중, 사용자의 키패드(110)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이미지 파일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클라우드 PC(170)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키패드(110)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 데이터는 메모리(150) 내 플래시 램(Flash RAM) 영역으로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수신되는 개인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램 영역에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개인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램 영역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에도 상기 개인 데이터를 메모리(150) 내 플래시 램 영역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10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160)를 연결하고,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클라우드 PC(170)와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개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디에서나 쉽게 작업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통신부(120)는 상기 커버리지 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60)가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연결하여, 상기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60)에 걸쳐 상기 실행 화면이 단일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키패드(110) 내 방향키 조작에 상응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60)에서 이동하며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60)에서 상기 실행 화면을 자유롭게 이동시켜, 개인 데이터에 대한 처리 과정을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작업 처리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는 상기 개인 데이터에 의해 지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리지 내에 디스플레이 장치 'A'와 'B'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상기 이미지 파일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장치 'A'에 표시하고, 클라우드 PC(170)로부터 수신되는 문서 파일에서, 키패드(110) 내 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타이핑하는 실행 화면을, 상기 문서 파일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장치 'B'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100)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60)를 통해, 상기 실행 화면을 개인 데이터 별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서, 키패드(110) 내 선정된 버튼(예를 들면, 'ctrl'+'s')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170)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지정되는 타 단말에 전송하여, 백업(back up)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달리,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이 해제 됨에 따라,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170)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30)는 키패드(110)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170) 내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PC(17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에 관한 해상도 정보를 클라우드 PC(170)로 전송하고, 상기 해상도 정보에 맞게 화면 조정된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PC(1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개인 데이터를 클라우드 PC(170)로부터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PC(170) 상에서 사용자의 키패드(110)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PC(170)로부터 수신 시, 디스플레이 장치(160)의 해상도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100)에서의 전원 소비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키 입력 장치(100)는 OS 프로그램과 접속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메모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50)는 롬(ROM) 영역에 상기 OS 프로그램과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유지 함으로써, 상기 OS 프로그램과 상기 접속 프로그램이 삭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에 따라, 제어부(130)는 메모리(150)로부터 호출되는 상기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에 따라 상기 OS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메모리(150)로부터 접속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키 입력 장치(100)는 클라우드 PC(170)로의 접속 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에 따라, 메모리(150)로부터 호출되는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으로 인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 화면은 클라우드 PC(170)로의 접속을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인증부(140)는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110)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클라우드 PC(170)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인증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 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으로 인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110)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할 경우, 상기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OS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메모리(150)로부터 클라우드 PC(170)로의 접속을 위한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110)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실패일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접속 프로그램의 구동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6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100)는 허용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연결하여, 클라우드 PC(170)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클라우드 PC 간의 전체적인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 입력 장치(200)는 플렉서블 구조의 키패드(210)와, USB 포트(220) 및 LTE 모뎀(230)과 같은 유무선 통신 모듈과, ROM(240) 및 Flash RAM(250)과 같은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200)는 USB 포트(220)에 입력되는 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유선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키 입력 장치(200)는 블루투스, RFID 및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무선 연결할 수도 있다.
키 입력 장치(200)는 USB 포트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TV(261), 모니터(262) 등 단일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스마트 폰, 태블릿 피시 등의 무선 단말과도 연결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연결 됨에 따라, 키 입력 장치(200)는 ROM(240)에 저장된 OS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60)에 OS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 장치(200)는 LTE 모뎀(230)을 동작시켜 LTE 망을 통해 클라우드 PC(17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키 입력 장치(200)는 ROM(240)에 저장된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60) 상으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인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200)는 키패드(210)를 통해 입력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클라우드 PC(270)와 접속할 수 있다.
클라우드 PC(270)와 접속 됨에 따라, 키 입력 장치(200)는 클라우드 PC(270)의 윈도우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 장치(200)는 클라우드 PC(270)에 유지되는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예를 들면 이미지 파일을, 클라우드 PC(270)로부터 Flash RAM(250)으로 다운로드 하고, 사용자의 키패드(210)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다운로드한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키 입력 장치(20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렉서블 구조로 구현되어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키 입력 장치(200)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연결하고, 클라우드 PC(270)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어디에서나 자신의 개인 PC와 같은 환경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키 입력 장치는 허용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허용하고, 클라우드 PC와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키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인증 화면을 도 3의 (ⅰ)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화면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할 경우, 키 입력 장치는 내장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도 3의 (ⅱ)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OS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키 입력 장치는 메모리로부터 접속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구동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인증 화면을 도 3의 (ⅲ)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화면은 클라우드 PC로의 접속을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키 입력 장치는 클라우드 PC와의 접속하고, 클라우드 PC의 윈도우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도 4의 (ⅳ)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키 입력 장치는 상기 윈도우 화면에 표시되는 파일 또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PC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처리하고, 파일 또는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60) 상에 표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개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디에서나 쉽게 작업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은 상술한 키 입력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 입력 장치(100)는 문자, 숫자, 또는 특수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유지한다(410).
상기 키패드는 플렉서블(flexible)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키패드를 작게 접거나, 돌돌 말아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00)는 키패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한다(420).
예를 들어, 키 입력 장치(100)는 키패드 내 전원 온(on) 버튼이 푸쉬 입력되면, 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연결 가능한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 장치(100)는 키패드 내 USB/HDMI 포트에 입력되는 USB/HDMI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USB/HDMI 포트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 가능한 LCD/모니터, TV, 스마트 폰, 태블릿 피시 등이 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호출되는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표시한다(430).
본 단계(430)에서 키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인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할 경우, 상기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00)는 클라우드 PC로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440), 클라우드 PC에 접속한다(450).
키 입력 장치(100)는 상기 OS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메모리로부터 접속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구동하고,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우드 PC로의 접속을 위한 인증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키 입력 장치(100)는 클라우드 PC와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키 입력 장치(100)는 LTE 모뎀을 동작시켜 LTE 망을 통해 클라우드 PC에 접속하거나, 또는 Wi-Fi를 통해 클라우드 PC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PC는 이미지, 문서, 응용프로그램 등 사용자의 다양한 개인 데이터가 유지되는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PC)로 정의될 수 있으며,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시스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다음으로, 키 입력 장치(100)는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한다(460).
일례로, 키 입력 장치(100)는 클라우드 PC와 접속 됨에 따라, 클라우드 PC의 윈도우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개인 데이터 중, 사용자의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이미지 파일이 선택되면, 클라우드 PC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사용자의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키 입력 장치(10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끝으로, 키 입력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한다(470).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서, 키패드 내 키버튼 'ctrl'와 's'가 동시에 푸쉬 입력되는 경우, 키 입력 장치(100)는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지정되는 타 단말에 전송하여, 백업(back up)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키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 됨에 따라,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플렉서블 구조로 구현되어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키 입력 장치(100)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고,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어디에서나 자신의 개인 PC와 같은 환경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키 입력 장치(100)는 개인 데이터를 클라우드 PC로부터 다운로드하지 않고, 클라우드 PC 상에서 사용자의 키패드에 대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PC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행 화면은 클라우드 PC 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100)에서의 전원 소비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키 입력 장치
110: 키패드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인증부 150: 메모리
160: 디스플레이 장치 170: 클라우드 PC

Claims (19)

  1. 키패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에 연동하여,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는 통신부; 및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고,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 시, 지정되는 타 단말에,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여 백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플렉서블(flexible) 구조인
    키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호출되는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인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장치는,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클라우드 PC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호출되는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표시하는
    키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 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하는
    키 입력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내 방향키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화면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키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에 유지되는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실행 화면을,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키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해상도 정보를,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 전송하고,
    상기 해상도 정보에 맞게 화면 조정된 실행 화면을,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수신하는
    키 입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RFID,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는
    키 입력 장치.
  11. 키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에 연동하여,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실행 화면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개인 데이터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 시, 지정되는 타 단말에,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여 백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키패드를 플렉서블(flexible) 구조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호출되는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인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화면에 대한,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클라우드 PC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메모리로부터 호출되는 O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OS 구동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 됨에 따라,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처리된 작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PC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내 방향키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실행 화면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서의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에 유지되는 개인 데이터가 처리되는 화면을,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해상도 정보를,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로 전송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우드 PC에서 상기 해상도 정보에 맞게 상기 실행 화면이 화면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KR1020130105403A 2013-09-03 2013-09-03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KR10218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403A KR102188772B1 (ko) 2013-09-03 2013-09-03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403A KR102188772B1 (ko) 2013-09-03 2013-09-03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85A KR20150026485A (ko) 2015-03-11
KR102188772B1 true KR102188772B1 (ko) 2020-12-08

Family

ID=5302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403A KR102188772B1 (ko) 2013-09-03 2013-09-03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7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926A (ko) * 2002-10-16 2004-04-28 김인규 윈도우 기반 터미널용 키보드
KR20040080689A (ko) * 2003-03-13 2004-09-20 주식회사 라이벌코리아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니터 장치와 컴퓨터 본체와 다중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10109758A (ko) *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볼튼 터치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85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9952B2 (en) Dual operating system operation and configuration
KR1020897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67674B2 (en) Multi mode operation using user interface lock
US8624840B2 (en) Smart mouse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40195927A1 (en) Multi-Persona Devices and Management
JP6164224B2 (ja) スレートデバイスに変換可能なクラムシェルデバイス
US10929003B1 (en) Cross-platform drag and drop user experience
KR20130054750A (ko) 서로 다른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12889A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1211513A (ja) 制御システム、制御端末、画像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30073678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04655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0472407C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显示模块的用户界面
EP3982253B1 (en) Terminal software upgrade method, terminal software upgrad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303378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data entry and display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2188772B1 (ko)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KR20120081879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3192299U (ja) 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
KR20210124950A (ko)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단말 제어 방법
WO2017120056A1 (en) Content navigation control
US10705726B2 (en) Electronic device, wearable device, and character input control method
JP2003050661A (ja) 通信機能付き電子機器、及び通信プログラム
Thurrott et al. Windows 8 secrets
JP2014232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4073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