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616B1 -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616B1
KR102188616B1 KR1020200084128A KR20200084128A KR102188616B1 KR 102188616 B1 KR102188616 B1 KR 102188616B1 KR 1020200084128 A KR1020200084128 A KR 1020200084128A KR 20200084128 A KR20200084128 A KR 20200084128A KR 102188616 B1 KR102188616 B1 KR 10218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i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8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체열을 측정하고,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인증하여 건강 상태나 출입 권한에 따라 출입을 제한하는데 있다.
일례로,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 인증이 처리된 경우 개폐 패널을 개방하여 통행로를 형성하고, 출입자 인증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 패널을 폐쇄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 통제 장치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제1 체온 값을 측정하는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SPEED GATE SYSTEM HAVING BODY TEMPERATURE AUTHENTICATION FUNCTION}
본 발명의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체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혈동물(homeotherm)이다. 체온은 신체 내부의 온도를 말하는 것으로, 체온은 신체의 부위에 따라 매우 차이가 있지만, 항문에서 6㎝ 이상 들어간 곳에서 측정한 직장의 온도를 표준체온으로 한다. 인간의 정상 체온은 겨드랑이온도로 36.9℃라고 하며, 소아는 성인보다 약간 높고, 노인은 낮은 경향이 있다.
체온은 신체 부위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측정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건강한 사람이 안정상태에 있을 때의 구강온도는 직장온도보다 0.6℃ 낮을 수 있고, 겨드랑이 온도는 구강온도보다 0.2℃ 낮을 수 있다. 또한, 하루 사이에는 변동이 있는데, 새벽 46시에 가장 낮을 수 있고 저녁 68시에 가장 높을 수 있으며, 그 차이는 1.0℃ 이내일 수 있다.
체온은 몸 건강상태를 체크하는데 크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문에 체온계를 잘 쓰는 것만으로도 대략적인 건 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건강 상태를 체크할 때마다 체온계를 사용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체온계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할 경우 체온 측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체온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체에서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의 통증 부위 및 질병부위 의 미세한 체열변화를 컬러영상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인체의 이상유무와 질병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적외선 체 열 진단기가 개발되어 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회사, 학교, 학원 등 여러 사람이 모이거나 함께 머무르는 영역에서 사람의 체열을 측정하는 것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전염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이 간과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어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와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의 펜데믹을 통해 특정 공간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거나 건강 상태에 따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공익적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12390호(등록일자: 2018년10월22일) 한국등록특허 제10-1729327호(등록일자: 2017년04월17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7890호(공개일자: 2013년03월18일) 한국등록특허 제10-1355946호(등록일자: 2014년01월21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2282호(공개일자: 2011년07월19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체열을 측정하고,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인증하여 건강 상태나 출입 권한에 따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 인증이 처리된 경우 개폐 패널을 개방하여 통행로를 형성하고, 출입자 인증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 패널을 폐쇄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 통제 장치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제1 체온 값을 측정하는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증 처리부의 1차 인증 완료 시 출입자의 생체정보 및 ID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식별정보를 상기 인증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제1 체온 값 비교 결과에 따른 1차 인증 후 상기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활성화시키고, 기 등록된 식별정보 중 상기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식별정보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2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출입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식별정보 및 체온 값을 획득하기 위한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는, 출입자의 생체정보 및 ID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 받은 후 미리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활성화되고, IR 렌즈, IR 필터 및 IR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원적외선 파장만 통과시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제2 체온 값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 처리부로 전송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체부위에 대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된 다수의 체온 값의 평균 값을 최종적으로 측정된 상기 제2 체온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상기 제2 체온 값과 상기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체온 값과 상기 기준 체온 값의 제1 편차 값과, 상기 제2 체온 값과 상기 기준 체온 값의 제2 편차 값을 각각 산출한 후, 상기 제1 편차 값과 상기 제2 편차 값 간의 오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 값 이하인지 파악하고, 상기 기준 오차 값 이하인 경우 기 등록된 식별정보 중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식별정보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2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체열을 측정하고,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인증하여 건강 상태나 출입 권한에 따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인증 모드 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인증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인증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인증 모드 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인증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인증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1000)은 출입 통제 장치부(100),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 인증 처리부(300),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 및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100)는, 건물 내 출입구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출입자 인증이 처리된 경우 개폐 패널(110)을 개방하여 통행로를 형성하고, 출입자 인증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 개폐 패널(110)을 폐쇄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 통제 장치부(100)는 개폐 패널(110)을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구동 수단과 기계적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인증 처리부(300)는 출입 통제 장치부(100)의 전기적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최종 인증 처리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입 통제 장치부(100)로 전송하여 출입 통제 장치부(100)를 통한 출입 제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는, 출입 통제 장치부(100)에 설치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제1 체온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통제 장치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출입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해당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는 열화상 카메라, 일반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출입자의 열화상 처리 결과 및 일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안면 인식 결과를 각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안면 인식은 출입자의 생체정보 중 하나로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의 하드웨어 구성에 혼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겠으나 동작 순서는 체온 측정 후 안면 인식(생체정보 인식)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증 처리부(300)는, 출입 통제 장치부(100)에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된 출입자의 제1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제1 체온 값이 기준 체온 값 이하인 경우 1차 인증이 완료되고, 제1 체온 값이 기준 체온 값을 초과하는 경우 1차 인증이 실패되어 음성 또는 텍스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출입자가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해 체온을 재 측정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1차 인증을 실패한 경우 해당 출입자에 대한 출입이 불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는, 출입 통제 장치부(100)에 설치되고, 인증 처리부(300)의 1차 인증 완료 시 출입자의 생체정보 및 ID정보(ID카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인증 처리부(300)로 전달하여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인증이 완료되어야 최종 인증이 완료되어 출입이 허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한 1차 인증(체온 인증)과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를 통한 2차 인증(식별정보 인증)으로 구성된 인증 모드를 일반 인증 모드로 명명하며, 이하 인증 처리부(300)에 대한 구성 설명과 함께 일반 인증 모드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300)는, 일반 인증 모드에서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한 제1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 간의 비교 결과에 따른 1차 인증 이후,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를 활성화시키고(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음성 또는 텍스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면서 제1 출입자 식별정조 입력부(4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킴), 기 등록된 식별정보 중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를 통해 전달된 1차 인증이 완료된 해당 출입자의 식별정보에 대한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2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1차 인증과 2차 인증으로 이루어진 일반 인증 모드에서의 동작 순서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한 출입자의 제1 체온 값(A1)을 측정하고, 측정된 제1 체온 값(A1)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B)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온 값(A1)이 기준 체온 값(B) 이하인 경우, 1차 인증이 완료되면서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가 활성화되어 NFC 태그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하여 출입자의 지문, 홍채 등의 생체정보를 입력 받거나, ID 카드의 태깅을 통한 개인식별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에 내장된 얼굴 인식 카메라와 인식 모듈을 통한 출입자 얼굴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입력된 출입자의 생체정보(지문, 홍채, 얼굴 정보) 또는 ID정보가 미리 저장된 생체정보 또는 ID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 2차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인증 처리부(300)는 출입 통제 장치부(100)로 개방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출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 중 해당 출입자에 대하여 입력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 출입자 식별정보를 재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400)를 통해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다시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미리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인증 실패로 해당 출입자의 출입이 불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체온 값(A1)이 기준 체온 값(B)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해 체온을 다시 측정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면서 체온 측정과정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미리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를 초과하는 경우 1차 인증이 실패되면서 해당 출입자의 출입이 불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는,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출입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식별정보 및 체온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보안 강화 모드는 예를 들어 바이러스 등의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지역 사회 감염 차단을 위해 그 단계가 강화되거나, 해당 건물의 출입 통제를 더욱 강화하고자 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는,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통신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해당 건물 내에 개인 출입 인증을 위해 발급된 모바일 통신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 통신단말에는 체온 측정을 위한 IR 렌즈, IR 필터 및 IR 센서와 측정된 체온 데이터(각각의 개별 체온 값과 평균 값)를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된 체온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510),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520) 및 근거리무선통신부(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510)는, 출입자의 생체정보(지문, 홍채 등) 및 ID정보(ID카드 내용)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에 구비된 지문인식센서와 홍채인식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지문이나 홍채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으며, 필요 시 활성화된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510)를 통해 입력 받고, 입력된 정보와 입력된 시간(추후 유효시간으로 작용함)을 하나의 식별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520)는,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510)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 받은 후 미리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활성화되고, IR 렌즈, IR 필터 및 IR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원적외선 파장(8~14㎛)만 통과시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IR 렌즈, IR 필터 및 IR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영하 20도에서 영상 100도 범위 내에서 사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5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체부위(예를 들어, 머리, 팔, 목)에 대한 출입자의 체온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다수의 체온 값에 대한 평균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값을 최종적으로 측정된 제2 체온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530)는,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510)를 통해 입력된 식별정보와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520)를 통해 산출된 제2 체온 값을 NFC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인증 처리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처리부(300)는,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를 통해 측정된 제2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200)를 통해 제1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의 제1 편차 값과, 제2 체온 값과 기준 체온 값의 제2 편차 값을 각각 산출한 후, 제1 편차 값과 제2 편차 값 간의 오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 값 이하인지 파악하고, 해당 오차 값이 기준 오차 값 이하인 경우 기 등록된 식별정보 중 근거리무선통신부(530)를 통해 수신된 식별정보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2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인증 보안 강화 모드에 대한 인증 처리부(300)와 관련된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인증 보안 강화 모드는 일반 인증 모드의 1차 인증 완료 후 제1 체온 값(A1)과 기준 체온 값(B) 간의 제1 편차 값(C1)을 산출함을 전제로 한다.
우선, 이러한 전제 하에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를 통해 제2 체온 값(A2)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체온 값(A2)와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B) 간을 비교한 후, 그 비교 결과 제2 체온 값(A2)이 기준 체온 값(B) 이하인 경우 제2 체온 값(A2)과 기준 체온 값(B) 간의 제2 편차 값(C1)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앞서 산출된 제1 편차 값(C1)과 제2 편차 값(C2) 간의 절대적인 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 값(E)보다 작은지 확인한 후, 해당 오차 값이 기준 오차 값(E)보다 작은 경우,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500)로부터 수신된 출입자 식별정보를 기 등록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출입자의 식별정보와 기 등록된 식별정보 간에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 2차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최종 출입자 인증이 완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300)는 출입 통제 장치부(100)로 개방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출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1 편차 값(C1)과 제2 편차 값(C2) 간의 절대적인 차인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 값(E)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체온 값(A1, A2)를 각각 재 측정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재 측정 횟수는 제한(대략 5회 이하)될 수 있다.
또한, 출입자 식별정보 판별 과정에서 해당 출입자의 식별정보와 기 등록된 식별정보 간에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없는 경우 출입자 식별정보를 재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재 입력 횟수는 제한(대략 5회 이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100: 출입 통제 장치부
110: 개폐 패널
200: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
300: 인증 처리부
400: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
500: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
510: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
520: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
530: 근거리무선통신부

Claims (6)

  1.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 인증이 처리된 경우 개폐 패널을 개방하여 통행로를 형성하고, 출입자 인증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 패널을 폐쇄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 통제 장치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자의 제1 체온 값을 측정하는 제1 출입자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온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고,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출입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식별정보 및 체온 값을 획득하기 위한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통신 인증 단말부는,
    출입자의 생체정보 및 ID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 받은 후 미리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활성화되고, IR 렌즈, IR 필터 및 IR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원적외선 파장만 통과시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제2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제2 체온 값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 처리부로 전송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는,
    인증 보안 강화 모드 시, 상기 제2 체온 값과 상기 기준 체온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체온 값과 상기 기준 체온 값의 제1 편차 값과, 상기 제2 체온 값과 상기 기준 체온 값의 제2 편차 값을 각각 산출한 후, 상기 제1 편차 값과 상기 제2 편차 값 간의 오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 값 이하인지 파악하고, 상기 기준 오차 값 이하인 경우 기 등록된 식별정보 중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식별정보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2차 인증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증 처리부의 1차 인증 완료 시 출입자의 생체정보 및 ID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식별정보를 상기 인증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제1 체온 값 비교 결과에 따른 1차 인증 후 상기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활성화시키고, 기 등록된 식별정보 중 상기 제1 출입자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식별정보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2차 인증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입자 체온 측정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체부위에 대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된 다수의 체온 값의 평균 값을 최종적으로 측정된 상기 제2 체온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6. 삭제
KR1020200084128A 2020-07-08 2020-07-08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KR10218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28A KR102188616B1 (ko) 2020-07-08 2020-07-08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28A KR102188616B1 (ko) 2020-07-08 2020-07-08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16B1 true KR102188616B1 (ko) 2020-12-09

Family

ID=7378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128A KR102188616B1 (ko) 2020-07-08 2020-07-08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306B1 (ko) 2021-04-13 2022-08-01 이정규 Rfid 태그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88B1 (ko) * 2010-04-30 2011-02-28 창신정보통신(주) 출입 통제 시스템
JP2011085004A (ja) * 2009-10-16 2011-04-28 Nippon Harukon Kk セキュリティゲート
KR20110082282A (ko) 2010-01-11 2011-07-19 (주)휴비딕 적외선 체온 측정기에서의 중심 온도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30027890A (ko) 2011-09-08 2013-03-18 유덕봉 비접촉식 온도 감시 장치
KR101355946B1 (ko) 2010-11-17 2014-02-12 (주)이지템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온도측정장치 및 온도측정방법
KR101729327B1 (ko) 2015-11-10 2017-04-21 홍미선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20180079855A (ko) * 2017-01-03 2018-07-1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1912390B1 (ko) 2016-01-11 2018-10-26 (주) 비엑스 솔루션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5004A (ja) * 2009-10-16 2011-04-28 Nippon Harukon Kk セキュリティゲート
KR20110082282A (ko) 2010-01-11 2011-07-19 (주)휴비딕 적외선 체온 측정기에서의 중심 온도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017588B1 (ko) * 2010-04-30 2011-02-28 창신정보통신(주)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355946B1 (ko) 2010-11-17 2014-02-12 (주)이지템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온도측정장치 및 온도측정방법
KR20130027890A (ko) 2011-09-08 2013-03-18 유덕봉 비접촉식 온도 감시 장치
KR101729327B1 (ko) 2015-11-10 2017-04-21 홍미선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12390B1 (ko) 2016-01-11 2018-10-26 (주) 비엑스 솔루션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20180079855A (ko) * 2017-01-03 2018-07-1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306B1 (ko) 2021-04-13 2022-08-01 이정규 Rfid 태그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824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89929B1 (ko) 출입 요청자의 체온측정 기능을 갖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KR101939696B1 (ko) 사용자 무의식형 멀티모달 출입통제시스템
KR102188616B1 (ko) 체온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EP3965078A1 (en) Enhanced entry authorization
CN114724283B (zh) 一种智能门禁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9219721A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KR101674053B1 (ko) 출입통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10218A (ko) 감염병 관리를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KR20090065716A (ko) 홍채를 이용한 유비쿼터스형 보안 및 헬스케어 시스템
KR102442094B1 (ko) 적외선 체온 측정이 가능한 인터폰
WO2023038172A1 (ko) 멀티 모달 센서를 이용한 심박수 측정이 가능한 출입 통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9633A (ko) 출입 제어 장치, 서버 및 출입 제어 방법
KR102422695B1 (ko) 체온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푸쉬알림 서비스 방법
JP7199015B2 (ja) 顔認証装置および顔認証方法
JP7126138B2 (ja) 顔認証登録装置および顔認証登録方法
WO2022168588A1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US20240071610A1 (en) Smart gate apparatus with health identity detection
JP7492939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KR102381529B1 (ko) 비접촉식 체온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온정보 관리 시스템
WO202200386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7164675B1 (ja) 入退管理システム
KR20220081672A (ko) 딥러닝 기반의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한 열화상 출입제어 시스템
JP2021194199A (ja) 体温測定システム
KR20220040735A (ko) 스마트 도어벨 출입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