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205B1 -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205B1
KR102188205B1 KR1020200056452A KR20200056452A KR102188205B1 KR 102188205 B1 KR102188205 B1 KR 102188205B1 KR 1020200056452 A KR1020200056452 A KR 1020200056452A KR 20200056452 A KR20200056452 A KR 20200056452A KR 102188205 B1 KR102188205 B1 KR 10218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marketing
morphemes
market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결
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터미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터미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터미아자
Priority to KR102020005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205B1/ko
Priority to CN202110410461.6A priority patent/CN11365791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8Avoiding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K9/00456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화 광고 콘텐츠 대상 상품 또는 상품분류 상의 마케팅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 과정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사전 검증 및 저작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를 감수하는 감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의 특징은 개인화된 쇼핑몰 환경에서 상품의 판매를 위해 직접 저작하는 마케팅 콘텐츠 및 온라인상에서 배포되고 있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와,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에서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하는 상품정보 분류부와, 상기 상품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부와, 상기 판별 처리부에서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하고,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상품연결 승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ccess to Marketing Content}
본 발명은 개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화 광고 콘텐츠 대상 상품 또는 상품분류 상의 마케팅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 과정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사전 검증 및 저작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를 감수하는 감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이 보편화되기 이전에도 기업 간 문서를 전자적 방식으로 교환하거나, PC통신의 홈쇼핑/홈뱅킹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나,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상에서의 거래와 관련지어 생각하게 되었다. 이때 거래되는 상품에는 전자부품과 같은 실물뿐 아니라, 원거리 교육이나 의학적 진단과 같은 서비스도 포함된다. 또한 뉴스, 오디오, 소프트웨어 같은 디지털 상품도 포함된다.
이처럼, 전자상거래는 정보통신기술과 정보시스템 개발기술의 발전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간의 경제생활은 물론 의식구조와 사회구조의 변동을 초래하고 있다.
다만, 오늘날 점점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여러 장점이 있으나 부정적인 요인도 몇 가지 존재한다. 특히, 개인화 광고 콘텐츠 대상 상품 또는 상품분류 상의 마케팅용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개인이 콘텐츠를 저작하는 과정에서 부정판매, 허위/과대/기반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해당 광고 콘텐츠를 보고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피해를 입게 됨은 물론, 광고 콘텐츠를 저작한 판매자를 상대로 고소장이나 소송을 제기하여 판매자에게도 손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케팅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 과정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사전 검증 및 저작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개인화된 판매채널을 안전하게 생성 및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활발한 판매 촉진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 콘텐츠 감수 프로세스의 연구와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444호(공개일자 2018.07.16.) 등록특허공보 제10-1868421호(등록일자 2018.06.11.) 등록특허공보 제10-1800373호(등록일자 2017.11.16.)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8216호(공개일자 2020.04.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개인화 광고 콘텐츠 대상 상품 또는 상품분류 상의 마케팅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 과정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사전 검증 및 저작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를 감수하는 감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의 특징은 개인화된 쇼핑몰 환경에서 상품의 판매를 위해 직접 저작하는 마케팅 콘텐츠 및 온라인상에서 배포되고 있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와,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에서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하는 상품정보 분류부와, 상기 상품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부와, 상기 판별 처리부에서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하고,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상품연결 승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별 처리부는 상기 상품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대상 상품을 식별하여 상품분류별 마케팅 콘텐츠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마케팅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텍스트 형태소 및 이미지로 분해하며,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식별하여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으로 분류하는 벡터 모델링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해된 텍스트 형태소 및 이미지를 각각 분석하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식별하여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트레이닝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상품분류별 부정 위반 여부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품목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가이드 준수성 여부를 판별하는 부정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닝부는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로 선별하여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로 선별하여 형태소를 분석하는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을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분석하는 차후요소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정 판별부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에서 분석된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부정 이미지를 판별하는 부정 이미지 판별부와, 상기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에서 분석된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및 분류체계에 따른 형태소의 위반요소를 판별하는 부정 텍스트 판별부와, 상기 차후요소 분석부에서 분석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적용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위반사항을 판별하는 위반요소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정 텍스트 판별부는 금지어, 위험어 및 금지문장과 관련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를 수집하는 형태소 수집부와, 상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을 수집하는 개정법안 수집부와, 공개된 외부 적발사례(Open API) 및 과대, 과장, 부정, 비방, 기만, 형태소 라이브러리에서 부정 광고 형태소를 수집하는 피드백 수집부와, 전문가에 의해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되는 마케팅 콘텐츠 중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수집하는 전문가 감수의견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부정 광고 형태소 및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금지어 형태소를 판별하는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와,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부정 광고 형태소 및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위험어 형태소를 판별하는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와,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부정 광고 형태소 및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금지 연관어(금지문장) 형태소를 판별하는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방법의 특징은 (A)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를 이용하여, 개인위탁판매를 위해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품정보 분류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하는 단계와, (C) 판별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D) 상기 판별 결과 부정 위반으로 판별되면,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E) 상기 판별 결과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품연결 승인부를 이용하여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되는 단계와, (F)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를 이용하여 사회관계망 광고성과 및 개인위탁 판매성과 등을 포함하는 마케팅 활동성과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상에서 배포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에 의한 콘텐츠 감수, 유사 콘텐츠 비교 및 광고 허위성 평가 수집에 따른 사후 감수 및 평가정보 등의 감수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이미지 분석부를 이용하여 분류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로 선별하여 분석한 후, 부정 이미지 판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부정 이미지로 판별하는 단계와,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를 이용하여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로 선별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부정 텍스트 판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를 상품 및 분류체계별로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형태소의 위반요소를 판별하는 단계와, 차후요소 분석부를 이용하여 분류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의 온라인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분석한 후, 위반요소 판별부를 이용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기 분석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을 기반으로 위반사항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개인화 광고 콘텐츠 대상 상품 또는 상품분류 상의 마케팅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 과정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사전 검증 및 저작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전 검증 및 저작 가이드를 제공함에 따라,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로 인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물론 마케팅 콘텐츠를 저작하는 판매자에게 발생되는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판별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부정 텍스트 판별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S300)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판별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는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와, 상품정보 분류부(200)와, 판별 처리부(300)와, 상품연결 승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정 콘텐츠 DB(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는 개인화된 쇼핑몰 환경에서 상품의 판매를 위해 직접 저작하는 마케팅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개인화된 쇼핑몰 환경은 판매자의 사회관계망을 이용하는 개인 판매채널일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콘텐츠는 폐쇄형 쇼핑몰 시스템(200)의 상품에 대해 개인위탁판매를 위해 해당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가공 및 저작된 광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케팅 콘텐츠는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는 온라인상에서 배포되고 있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해 전문가에 의한 콘텐츠 감수, 유사 콘텐츠 비교 및 광고 허위성 평가 수집에 따른 사후 감수 및 평가정보 등을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고객들의 신고내용 및 상기 고객들의 신고내용을 감수전문가가 육안 등으로 검토하여 판독한 판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분류부(200)는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상품카테고리는 상품명(대표명), 상품의 유형,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 처리부(300)는 상품정보 분류부(200)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판별 처리부(300)는 벡터 모델링부(310)와, 트레이닝부(320)와, 부정 판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모델링부(310)는 상품정보 분류부(200)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대상 상품을 식별하여 상품분류별 마케팅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된 마케팅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텍스트 형태소 및 이미지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 모델링부(310)는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식별하여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부(320)는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해된 텍스트 형태소 및 이미지를 각각 분석하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식별하여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적용하여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부정 판별부(330)는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상품분류별 부정 위반 여부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품목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가이드 준수성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정 판별부(330)는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감수전문가에 의해 검토 판독된 판별정보를 이용하여 부정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트레이닝부(320)는 이미지 분석부(321)와,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322)와, 차후요소 분석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정 판별부(330)는 부정 이미지 판별부(331)와, 부정 텍스트 판별부(332)와, 위반요소 판별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321)는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류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로 선별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부정 이미지 판별부(331)는 분석된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부정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322)는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로 선별하여 형태소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부정 텍스트 판별부(332)는 분석된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및 분류체계에 따른 형태소의 위반요소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차후요소 분석부(323)는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류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선별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위반요소 판별부(333)는 분석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적용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위반사항을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부정 이미지, 형태소의 위반요소 및 위반사항은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 준수성 여부로서 판별할 수 있다. 이는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로 판별될 수 있다.
이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는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금지를 위한 가이드로서,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여 합리적인 구매 행위를 못할 뿐 아니라, 구매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광고자체의 내용을 잘못 받아들여 소비자 오인의 가능성이 있는 표현을 하는 행위를 금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상기 상품연결 승인부(400)는 판별 처리부(300)에서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연결 승인부(400)는 판별 처리부(300)에서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연결 승인부(400)는 마케팅 콘텐츠에 부정 위반된 이미지 및 텍스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허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및 텍스트를 식별하여 마케팅 콘텐츠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허용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는 관련어, 유사어 형태소 및 이미지 등을 기반으로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정 콘텐츠 DB(500)는 감수자 육안식별로 적발된 적발내용 정보와, 외부 적발사례 수집정보와, 과대, 과장, 부정, 비방, 기만, 형태소 라이브러리와,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서 부정 텍스트 판별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부정 텍스트 판별부(332)는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301)와,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302)와,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303)와, 형태소 수집부(304)와, 개정법안 수집부(305)와, 피드백 수집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정 텍스트 판별부(332)는 전문가 감수의견 수집부(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태소 수집부(304)는 금지어, 위험어 및 금지문장과 관련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개정법안 수집부(305)는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은 1)한국인터넷진흥원, "온라인 광고 법제도 가이드북, 2018.12", 2)법, 공정거래위원회_"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제 3조, 제 6조), 3)법, 공정거래위원회_"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제21조 제1항 제1호), 4)법, 공정거래위원회_"소비자기본법"(제11조), 5)법, 방송통신위원회_"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24조, 제44조의 7), 6)법, 여성가족부_"청소년보호법"(제7조, 제23조), 7)법, 특허청_"상표법"(제91조, 제92조 제2항, 제224조), 8)법, 특허청_"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제3조 이하), 기타 디자인보호법, 특허법 등, 9)법, 문화체육관광부_"저작권법"(제50조, 제123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수집부(306)는 공개된 외부 적발사례(Open API) 및 과대, 과장, 부정, 비방, 기만, 형태소 라이브러리에서 부정 광고 형태소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301)는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및 부정 광고 형태소를 이용하여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금지어 형태소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302)는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및 부정 광고 형태소를 이용하여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위험어 형태소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303)는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및 부정 광고 형태소를 이용하여 벡터 모델링부(310)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금지 연관어(금지문장) 형태소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301), 상기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302) 및 상기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303)는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및 부정 광고 형태소를 이용하여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이용함에 따른 등록된 형태소와의 비교를 통해 위반 형태소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위반 형태소를 식별함에 있어, 등록된 형태소와의 비교만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관련어, 유사어 또는 연관어에 대해서는 모두 식별하는데 한계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전문가 감수의견 수집부(307)는 전문가에 의해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되는 마케팅 콘텐츠 중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301), 상기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302) 및 상기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303)는 각각 판별된 금지어 형태소, 위험어 형태소 및 금지 연관어(금지문장)로 판별된 후, 다시 상기 전문가 감수의견 수집부(307)에서 수집된 위반 요소로 판별된 형태소와 비교를 통해 2차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를 이용하여, 개인위탁판매를 위해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S100). 이때, 수집되는 마케팅 콘텐츠는 상품정보와 함께 상품정보 형식 등의 템플릿(template) 변경, 광고성 콘텐츠 연계 페이지 추가, 약관 추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만의 추천문구(광고 마케팅 문구)를 추가 작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품정보 분류부(20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할 수 있다(S200). 이때, 상품카테고리는 상품명(대표명), 상품의 유형,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별 처리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300). 또한, 상기 판별 처리부(300)는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감수전문가에 의해 검토 판독된 판별정보를 이용하여 부정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별 처리부(300)는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에서 수집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고객들의 신고내용을 감수전문가가 육안 등으로 검토하여 판독하여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별 처리부(300)는 부정 이미지, 형태소의 위반요소 및 위반 사항을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 준수성 여부로써 판별할 수 있다. 이는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별 결과 부정 위반으로 판별되면(S400),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500). 이때, 상품연결 승인부(400)를 이용하여 마케팅 콘텐츠에 부정 위반된 이미지 및 텍스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허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및 텍스트를 식별하여 마케팅 콘텐츠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허용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는 관련어, 유사어 형태소 및 이미지 등을 기반으로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S400), 상품연결 승인부(400)를 이용하여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될 수 있다(S600). 즉, 저작된 광고 콘텐츠는 개인 위탁판매자의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해당상품이 지인, 일반회원 및 비회원을 포함하는 소비자에게 노출(배포)될 수 있다.
이어서,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100)를 이용하여 사회관계망 광고성과 및 개인위탁 판매성과 등을 포함하는 마케팅 활동성과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상에서 배포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에 의한 콘텐츠 감수, 유사 콘텐츠 비교 및 광고 허위성 평가 수집에 따른 사후 감수 및 평가정보 등의 감수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700).
이때, 감수를 위한 감시 요소로서, 텍스트, 평가 통계, 이미지, 미디어, 마케팅 콘텐츠 상의 댓글의 뉘앙스, 상품의 유형, 상품정보상의 댓글의 뉘앙스, 디지털 콘텐츠 저작 및 배포자 정보, 유사 콘텐츠의 부정성, 유입 또는 판매사태의 변위, 판매상품정보와의 연결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S300)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S30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이미지 분석부(321)를 이용하여 분류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로 선별하여 분석한 후, 부정 이미지 판별부(331)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를 식별하여 부정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S310).
이어서,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322)를 이용하여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로 선별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부정 텍스트 판별부(332)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를 상품 및 분류체계별로 식별하여 형태소의 위반요소를 판별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차후요소 분석부(323)를 이용하여 분류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의 온라인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분석한 후, 위반요소 판별부(333)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기반으로 위반사항을 판별할 수 있다(S330).
이때, 상기 부정 이미지, 형태소의 위반요소 및 위반사항은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 준수성 여부로서 판별할 수 있다. 이는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로 판별될 수 있다.
이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는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금지를 위한 가이드로서,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여 합리적인 구매 행위를 못할 뿐 아니라, 구매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광고자체의 내용을 잘못 받아들여 소비자 오인의 가능성이 있는 표현을 하는 행위를 금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는 1)한국인터넷진흥원, "온라인 광고 법제도 가이드북, 2018.12", 2)법, 공정거래위원회_"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제 3조, 제 6조), 3)법, 공정거래위원회_"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제21조 제1항 제1호), 4)법, 공정거래위원회_"소비자기본법"(제11조), 5)법, 방송통신위원회_"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24조, 제44조의 7), 6)법, 여성가족부_"청소년보호법"(제7조, 제23조), 7)법, 특허청_"상표법"(제91조, 제92조 제2항, 제224조), 8)법, 특허청_"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제3조 이하), 기타 디자인보호법, 특허법 등, 9)법, 문화체육관광부_"저작권법"(제50조, 제123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 오인 표현을 사용한 광고는 "관련 법률"에 따라 거짓·과장광고, 기만광고, 부당한 비교 광고, 비방광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거짓·과장광고는 광고내용과 제품·서비스의 실제내용이 다르거나 사실을 지나치게 부풀림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방해하는 광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품의 구체적인 사항을 신의성실의 의무에 비추어 비난받을 정보의 방법으로 허위로 고지한 경우에는 기만행위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짓·과장광고는 직접적으로 표현된 문장, 단어, 디자인, 도안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제시되는 표현일 수 있다. 또한,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는 상황, 관례적이고 통상적인 상황 등도 종합하여 전체적·궁극적 인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만광고는 소비자에게 알려야하는 중요한 사실이나 정보를 은폐, 축소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광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은폐, 누락, 축소 행위 등으로 구매 선택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련 법률은 추천 보증 등에 관한 표시 광고 심사지침 공정위 예규 제271호 "광고주와 추천·보증인과의 사이에 추천·보증 등의 내용이나 신뢰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또는 추천·보증인은 이러한 경제적 이해관계를 공개하여야 함."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개시된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 200: 상품정보 분류부
300: 판별 처리부 301: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
302: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 303: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
304: 형태소 수집부 305: 개정법안 수집부
306: 피드백 수집부 307: 전문가 감수의견 수집부
310: 벡터 모델링부 320: 트레이닝부
321: 이미지 분석부 322: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
323: 차후요소 분석부 330: 부정 판별부
331: 부정 이미지 판별부 332: 부정 텍스트 판별부
333: 위반요소 판별부 400: 상품연결 승인부
500: 부정 콘텐츠 DB

Claims (7)

  1. 개인화된 쇼핑몰 환경에서 상품의 판매를 위해 직접 저작하는 마케팅 콘텐츠 및 온라인상에서 배포되고 있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와,
    상기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에서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하는 상품정보 분류부와,
    상기 상품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부와,
    상기 판별 처리부에서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하고,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및 상기 마케팅 콘텐츠에 부정 위반된 이미지 및 텍스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허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및 텍스트를 식별하여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상품연결 승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 처리부는
    상기 상품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대상 상품을 식별하여 상품분류별 마케팅 콘텐츠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마케팅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텍스트 형태소 및 이미지로 분해하며,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식별하여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으로 분류하는 벡터 모델링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해된 텍스트 형태소 및 이미지를 각각 분석하고, 상품의 유형 및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식별하여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트레이닝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상품분류별 부정 위반 여부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를 품목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가이드 준수성 여부를 판별하는 부정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부는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로 선별하여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로 선별하여 형태소를 분석하는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와,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을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분석하는 차후요소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정 판별부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에서 분석된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부정 이미지를 판별하는 부정 이미지 판별부와,
    상기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에서 분석된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품 및 분류체계에 따른 형태소의 위반요소를 판별하는 부정 텍스트 판별부와,
    상기 차후요소 분석부에서 분석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을 적용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위반사항을 판별하는 위반요소 판별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텍스트 판별부는
    금지어, 위험어 및 금지문장과 관련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를 수집하는 형태소 수집부와,
    상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을 수집하는 개정법안 수집부와,
    공개된 외부 적발사례(Open API) 및 과대, 과장, 부정, 비방, 기만, 형태소 라이브러리에서 부정 광고 형태소를 수집하는 피드백 수집부와,
    전문가에 의해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되는 마케팅 콘텐츠 중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수집하는 전문가 감수의견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부정 광고 형태소 및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금지어 형태소를 판별하는 금지어 형태소 판별부와,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부정 광고 형태소 및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위험어 형태소를 판별하는 위험어 형태소 판별부와,
    상기 수집된 관련어 및 유사어 형태소,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광고 관련 개정법안, 부정 광고 형태소 및 위반 요소로 판단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모델링부에서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 중 금지 연관어(금지문장) 형태소를 판별하는 금지 연관어 형태소 판별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6. (A)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를 이용하여, 개인위탁판매를 위해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품정보 분류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마케팅 콘텐츠를 각 상품카테고리별로 식별하여 분류하는 단계와,
    (C) 판별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상품카테고리별로 마케팅 콘텐츠의 이미지 및 텍스트 형태소, 그리고 상품의 유형, 사후 감수 및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여 저작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허위, 과장, 과대, 기만 광고 등의 부정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D) 상품연결 승인부를 이용하여, 상기 판별 결과 부정 위반으로 판별되면, 부정 위반으로 판별된 마케팅 콘텐츠 및 상기 마케팅 콘텐츠에 부정 위반된 이미지 및 텍스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허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및 텍스트를 식별하여 부정 위반 정보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E) 상기 판별 결과 부정 위반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품연결 승인부를 이용하여 마케팅 콘텐츠를 사회관계망의 개인 판매채널을 통해 배포되는 단계와,
    (F) 마케팅 콘텐츠 수집부를 이용하여 사회관계망 광고성과 및 개인위탁 판매성과 등을 포함하는 마케팅 활동성과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상에서 배포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에 의한 콘텐츠 감수, 유사 콘텐츠 비교 및 광고 허위성 평가 수집에 따른 사후 감수 및 평가정보 등의 감수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이미지 분석부를 이용하여 분류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로 선별하여 분석한 후, 부정 이미지 판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대표 이미지 및 다수의 서브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부정 이미지로 판별하는 단계와,
    텍스트 형태소 분석부를 이용하여 분류된 텍스트 형태소를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로 선별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부정 텍스트 판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대표 텍스트 및 다수의 서브 텍스트를 상품 및 분류체계별로 식별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형태소의 위반요소를 판별하는 단계와,
    차후요소 분석부를 이용하여 분류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 등의 온라인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분석한 후, 위반요소 판별부를 이용하여 상품 품목분류별 온라인 마케팅 법제도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기 분석된 의심광고, 상품정보 연계 적정성, 사후 회수경로 추적을 기반으로 위반사항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방법.
  7. 삭제
KR1020200056452A 2020-05-12 2020-05-12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KR10218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52A KR102188205B1 (ko) 2020-05-12 2020-05-12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CN202110410461.6A CN113657918B (zh) 2020-05-12 2021-04-16 营销内容检查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52A KR102188205B1 (ko) 2020-05-12 2020-05-12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205B1 true KR102188205B1 (ko) 2020-12-08

Family

ID=7377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452A KR102188205B1 (ko) 2020-05-12 2020-05-12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8205B1 (ko)
CN (1) CN11365791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131A (zh) * 2021-10-29 2022-02-0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监控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4004645A (zh) * 2021-10-29 2022-02-01 浙江省民营经济发展中心(浙江省广告监测中心) 融媒体广告智慧监测平台和电子设备
KR102468452B1 (ko) 2022-01-24 2022-11-21 (주)레오테크코리아 고객 맞춤형 광고 승인 플랫폼 장치
KR102546328B1 (ko) 2023-03-06 2023-06-22 시너지마인 주식회사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 정보 모니터링 및 콘텐츠 기획 자동화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9985B (zh) * 2022-04-19 2023-04-18 北京网鲜供应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软件自动化测试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137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웹 컨텐츠 제공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1785288B1 (ko) * 2016-05-25 2017-10-16 (주)망고플레이트 온라인 콘텐츠의 허위 평가 정보 적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00373B1 (ko) 2016-12-30 2017-11-22 (주)엠더블유스토리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8421B1 (ko) 2017-02-17 2018-06-20 박성진 웹 상의 콘텐츠들에 대한 거짓 여부 판별 지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81444A (ko)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4521B1 (ko) * 2019-05-08 2020-01-09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금지어를 필터링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38216A (ko) 2020-03-31 2020-04-10 강호남 브랜디드 콘텐츠 제작을 통한 마케팅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5657A (ko) * 2018-10-23 2020-05-06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팩트 체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14611A (zh) * 2004-11-30 2005-05-11 辽宁协同信息技术有限公司 商品营销监督系统及其方法
US9946975B2 (en) * 2007-08-24 2018-04-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to identify influencers
KR101140078B1 (ko) * 2010-11-24 2012-04-30 성 완 김 무료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US9058619B2 (en) * 2011-05-19 2015-06-16 Purushottaman Nandakumar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planning, monitoring, and execution of out-of-home media
US20150149274A1 (en) * 2013-11-27 2015-05-28 William Conrad Internet marketing-advertising system
CN104881796A (zh) * 2015-05-16 2015-09-02 成都数联铭品科技有限公司 基于评价内容和id识别的虚假评价判断系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137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웹 컨텐츠 제공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1785288B1 (ko) * 2016-05-25 2017-10-16 (주)망고플레이트 온라인 콘텐츠의 허위 평가 정보 적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00373B1 (ko) 2016-12-30 2017-11-22 (주)엠더블유스토리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1444A (ko)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68421B1 (ko) 2017-02-17 2018-06-20 박성진 웹 상의 콘텐츠들에 대한 거짓 여부 판별 지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5657A (ko) * 2018-10-23 2020-05-06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팩트 체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KR102064521B1 (ko) * 2019-05-08 2020-01-09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금지어를 필터링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38216A (ko) 2020-03-31 2020-04-10 강호남 브랜디드 콘텐츠 제작을 통한 마케팅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131A (zh) * 2021-10-29 2022-02-0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监控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4004645A (zh) * 2021-10-29 2022-02-01 浙江省民营经济发展中心(浙江省广告监测中心) 融媒体广告智慧监测平台和电子设备
CN114007131B (zh) * 2021-10-29 2023-04-2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监控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102468452B1 (ko) 2022-01-24 2022-11-21 (주)레오테크코리아 고객 맞춤형 광고 승인 플랫폼 장치
KR102546328B1 (ko) 2023-03-06 2023-06-22 시너지마인 주식회사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 정보 모니터링 및 콘텐츠 기획 자동화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57918B (zh) 2024-04-30
CN113657918A (zh)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05B1 (ko) 마케팅 콘텐츠에 대한 감수 장치 및 방법
Staake et al. The emergence of counterfeit trade: a literature review
Xu et al. The illegal wildlife digital market: an analysis of Chinese wildlife marketing and sale on Facebook
Hu et al. Manipulation of online reviews: An analysis of ratings, readability, and sentiments
AU2016202659A1 (en) Device, process and system for risk mitigation
Parsons et al. Do users focus on the correct cues to differentiate between phishing and genuine emails?
US20100262512A1 (en) Processing and Present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Other Information
Moraes et al. Smile, you are being identified! Risks and measures for the use of facial recognition in (semi-) public spaces
Wu et al. FairPlay: Detecting and deterring online customer misbehavior
Ghapa et al. Information Regulation: A Measure of Consumer Protection.
Lagioia et al. AI in search of unfairness in consumer contracts: the terms of service landscape
CN113689148A (zh) 一种文本风险识别方法、装置及设备
Bieker et al. Data Protection Impact Assessment: A Hands-On Tour of the GDPR’s Most Practical Tool
Lee et al. The detection of fraud activities on the stock market through forward analysis methodology of financial discussion boards
Othman et al. Text readability and fraud detection
Sim et al. Acceptance of viral marketing in social media by SMEs: a survey among Malaysian Youth
CN116563006A (zh) 业务风险预警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hebii Determinants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procurement in public institutions in Kenya
Ariyaratna Protection of consumer rights on the internet: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the Sri Lankan legal system
Liu et al. Research on identification method of anonymous fake reviews in e-commerce
CN110046200B (zh) 文本可信模型分析方法、设备和装置
Ma et al. Does differentiated key audit matter in unqualified audit reports indicate increased financial misstatement risk? Evidence from China
Parthasarathy et al. A framework for managing ethics in data science projects
Siering All pump, no dump? the impact of internet deception on stock markets
Franks et al. Report: China’s New AI Reg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