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65B1 -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 Google Patents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65B1
KR102187965B1 KR1020200038734A KR20200038734A KR102187965B1 KR 102187965 B1 KR102187965 B1 KR 102187965B1 KR 1020200038734 A KR1020200038734 A KR 1020200038734A KR 20200038734 A KR20200038734 A KR 20200038734A KR 102187965 B1 KR102187965 B1 KR 102187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ensor
camera
display device
object camer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7179A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20003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65B1/en
Publication of KR2020003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마우스 없이도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화면표시장치의 가림 및 오염이 수반되는 터치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화면표시장치 영역 밖의 가상공간에서 대상물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a physical keyboard or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recognize the movement of an object such as a user's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outside the physical keyboard or virtual keyboard area, and do not require a mouse. In addition to allowing you to perform productivity tasks such as a laptop or desktop, it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b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in a virtual space outside the screen display area without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involving obstruction and contamination of the display device. It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Video display device with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본 발명은 노트북과 같이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거나 또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과 같이 화면표시장치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마우스 없이도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면표시장치의 가림, 긁힘 및 오염이 수반되는 터치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화면표시장치 영역 밖의 가상공간에서 대상물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a physical keyboard is applied to a body such as a laptop or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to a screen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Object cameras and detection sensors applied to the body recognize the movement of objects such as a hand held, so that productivity tasks such as laptops or desktops can be performed without a mouse, and touch operations involving screen display devices are covered, scratched, and dir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that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by recognizing a motion of an object in a virtual space outside the area of a screen display device without doing so.

데스크탑 컴퓨터에 화상입력장치가 적용되기 시작한 이후 사용자의 화상 채팅화면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에 화상입력장치를 적용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10-2002-0062714)가 제시되었으나 보편화 되진 않았다.Since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input device to desktop computers began, a patent (Korean Patent 10-2002-0062714) that applied the image input device to the keyboard so that users can more accurately input the video chat screen was proposed, but it was not universalized.

현재도 널리 사용중인 노트북은 폴딩면의 일면에 키보드가 자체적으로 적용되어있음으로 인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휴대가 가능한 생산성도구로서 평가를 받고 있으나 형상 불변이라는 제한점으로 인해 한손 그립과 같은 높은 상태의 휴대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터치패드를 이용해도 마우스의 생산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Laptops, which are still widely used today, are being evaluated as a productivity tool that can be carried within a limited range due to the keyboard being appli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sid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shape invariance, carrying in a high state such as a one-handed grip It is not satisfactory, and even with a touch pad, it does not reach the productivity of the mouse.

휴대성이 뛰어나고 인터넷 검색도 용이하며 촬영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로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이 출현한 후 사용자의 환경은 급격히 데스크탑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As a mobile device with excellent portability, easy Internet search, and equipped with a shooting function, the user's environment has rapidly shifted from the desktop environment to the mobile environment after the advent of smartphones and tablets.

그러나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은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편리하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달리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제한되어 생산성도구로서 사용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convenient to use image information in the conventional plate-shaped smartphone, but unlike a desktop or laptop computer, keyboard input and mouse input are limited,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be used as a productivity tool.

마찬가지로 판상형태를 갖는 태블릿 장치 또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태블릿 장치의 화면표시면을 덮는 일면에 키보드 기능을 적용시킨 탈부착 가능형의 커버를 적용한 투인원 제품이 출시되며 일부 키보드입력과 같은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한손으로 그립 할 수 없는 불편한 휴대성, 화면표시면의 키보드 접촉 긁힘 자국 발생 및 생산성 도구로서 중요한 마우스 입력장치의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Likewise, a tablet device having a plate shape also had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input keyboard and mouse input, and a two-in-one product with a detachable cover applied with a keyboard function applied to one side covering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tablet device was released. Although the same problem has been solved, the problems of inconvenient portability that cannot be gripped with one hand, the occurrence of scratch marks in contact with the keyboard on the screen display surface, and the use of a mouse input device, which is important as a productivity tool, are not solved.

또한 접힘 및 감김이 가능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취약부위인 접힘 발생 또는 감김 발생 부위와 함께 화면표시면을 긁힘이나 찍힘으로 부터도 보호해줄 필요성을 갖고 있다.In addition,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folding and winding is applied has a need to protect the screen display surface from scratches or imprints, along with a folding or winding part, which is a weak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그리고 현재 판상형 스마트폰의 크기는 화면 크기 비율이 16:9 제품에서 18:9 제품으로 추세가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며 향후 출시 예상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될 형상가변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에서도 18:9 비율이 유지되며 적용될 것이라 예측되는 상황이고 이러한 18:9 비율을 갖는 스마트폰 자체의 판상면에 가상 키보드의 적용을 고려할 경우 큰폭의 축소 없이도 키보드자판을 온전히 구성할 수 있는 크기에 도달하게 된다.And the current size of flat-type smartphones is changing the trend from 16:9 products to 18:9 products with a screen size ratio, and even in the folded state of the shape variabl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expected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is applied. It is predicted that the 9 ratio will be maintained and applied, and when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a virtual keyboard to the top surface of the smartphone itself having such an 18:9 ratio, it will reach a size that can fully compose the keyboard without significant redu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는 휴대성과 생산성 증대라는 목적을 이루었으나 자체적인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해 베터리 적용공간의 감소 및 카메라 모듈의 펼침 및 접힘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atent filed by the inventor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96694) achieved the purpose of increasing portability and productivity, but due to the application of its own keyboard, the application space for batteries and camera modules were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to unfold and fold.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 또는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가 수납 및 돌출되는 형태의 제품이 일부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flat-type smartphones, a product in which a rotating camera that can shoot both the front and the back with a single camera is applied to one corner or a product in which the camera is accommodated and protruded at one corner has been released by some manufacturers.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가 지원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First, in an image display device supporting a physical keyboard or a virtual keyboard,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erform productivity tasks such as a desktop to which a mouse is applied without carrying a separate mouse.

둘째, 별도의 보호 필름 적용이 어려우며 강화유리 보다 긁힘 저항성이 떨어지는 투명 강화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 폴리이미드 필름 자체의 터치 필요성을 줄여 영상표시장치의 긁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하고자한다.Second, it is difficult to apply a separate protective film, and in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with a transparent reinforced polyimide film that has less scratch resistance than tempered glass, the need to touch the polyimide film itself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cratching on the image display device. I want to be.

셋째, 세균 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손가락을 이용한 직접 터치조작의 필요성을 줄여 터치 조작에 의한 세균 오염 가능성을 낮추도록 하고자한다.Third, it is intend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acterial contamination by touch manipulation by reducing the necessity of direct touch manipulation using a finger, which has a high possibility of bacterial contamination.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는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또는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는 경우 적용되는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있고 제1경사면에는 제1경사면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 screen display device, and a body to which the screen display device is applied, and at one edge of the body, the screen display surface or the body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When a physical keyboard is applied to the applied physical keyboard, 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that is not parallel to the applied surface of the applied physical keyboard, but is inclined,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moves the user's fingers, bare hands, or instruments. An object camera that photographs an object such as a holding hand is applied.

제 1실시예의 몸체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다.An object detection sensor is applied to the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은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어있는 경우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모서리들 중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에 한 개 이상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 physical keyboard is applied to the body,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applied surface of the physical keyboard, and when the physical keyboard is not applied to the body, the edges of the applied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t least on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one or more of the corners.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이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하고, 제1경사면이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이룬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physical keyboard,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physical keyboard form an acute angl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one edge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When formed in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forms an acute angle.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t one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utside the wide-angle area to secure a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제 1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별도의 키보드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bod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an inactive state when a separate keyboard to which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is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method. It has a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control by activating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a separate keyboard.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 electro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 magnetic field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nd an ultrasonic reflection. Any one or more of the used distance sensor and the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the change in illuminance is applied.

제 1 실시예에서 몸체의 가로측 모서리와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이 각각 적용되고 각각의 제1경사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의 경우, 화면표시장치에 가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가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활성화되지 않으며 화면표시장치에 세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세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활성화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video display field in which a first slope is applied to a horizontal edge and a vertical edge of the body and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slope, When the keyboard is displayed,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first slope of the horizontal corner are not activated. When the virtual keyboard of the vertical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camera applied to the first slope of the vertical corner are displayed. It has a feature tha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not activ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에 적용된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일측 모서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및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 screen display device, and a body to which the screen display device is applied, and is applied in a rotatable state at one edge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body. It is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the body, or any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is applied to the rotating shaft detection sensor or switch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moving user's finger, bare hand, or a hand holding the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bject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제 2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몸체 모서리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which the object camera is applied or the edge of the body outside the rotating body. do.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ctivated only when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a switch detects that the rotation body has reached a set rotation angle.

제 2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별도의 키보드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bod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an inactive state when a separate keyboard to which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is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method. It has a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control by activating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a separate keyboard.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 magnetic field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nd an ultrasonic reflection. Any one or more of the used distance sensor and the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the change in illuminance is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vantages are obtained.

첫째,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가 지원되는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마우스 없이도 몸체의 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를 이용한 대상물의 동작인식을 통해 화면표시장치의 가림 없이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pporting a physical keyboard or a virtual keyboard, productivity tasks such as a desktop with a mouse can be performed without blocking the screen display device through motion recognition of the object using an object camera applied to the slope of the body. There will be.

둘째, 별도의 보호 필름 적용이 어려우며 강화유리 보다 긁힘 저항성이 떨어지는 투명 강화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도 폴리이미드 필름 자체의 터치를 수행하지 않고 가상의 오브젝트 영역에서 손 동작 변화를 감지해 터치 조작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인해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영상표시장치의 긁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Second, it is difficult to apply a separate protective film, and even in th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with a transparent reinforced polyimide film, which has less scratch resistance than tempered glass, the change of hand motion in the virtual object area is not performed without touching the polyimide film itself. By detecting and providing the same user experience as touch manipula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reduce the possibility of scratching on th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foldable body is applied.

셋째, 화면표시면을 손가락을 이용해 직접 터치하지 않고 화면표시장치의 영역을 벗어난 제1경사면의 광각 영역에서 대상물의 동작 변화를 감지해 터치 조작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인해 세균 오염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Third, the possibility of bacterial contamination is reduced by providing the same user experience as the touch operation by detecting the change in motion of the object in the wide-angle area of the first slope outside the area of the display device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screen display surface with a finger. .

도 1은 노트북의 사용자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의 터치조작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 및 전방 카메라의 광각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며,
도 3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스마트폰의 가로 모드 광각 영역 겹침을 보여주는 개념도 들이고,
도 4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테블릿의 가로 모드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노트북의 물리 키보드 적용면 세로 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8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9는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 이고,
도 10은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1은 도 8의 오브젝트 카메라에 대한 광각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은 테블릿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에 대한 광각 영역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접힘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18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9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텐트 형태로 예각 펼침된 상태의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20은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평면 펼침된 상태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1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평면 펼침 상태로 네비게이션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2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3은 접힘상태인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평면 펼침 상태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5는 도 23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6은 접힘상태인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8은 도 26의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가 완전 평면 펼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9는 도 8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가 별도 적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30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몸체와 회전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되고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 밖의 모서리에 분리 적용되어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r environment of a notebook,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ouch operation environment of a smartphone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wide angle of a front camera,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horizontal mode wide-angle region overlap of a smartphon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of a tablet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5 is a conceptual and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physical keyboard application surface of the notebook,
6 is a plan view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bject camera portion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portion of FIG. 6,
FIG. 8 is a conceptual and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corner of a smartphon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to FIG. 8,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ing a portrait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not applied in FIG. 8,
1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e-angle region of the object camera of FIG. 8;
12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ection area fo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8,
13 is a plan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corner of the tablet,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landscape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to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e-angle area for the object camera portion of FIG. 13 and a detection area fo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portion,
16 is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corner of the body of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n a folded state,
1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e of a portrait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not applied in FIG. 16;
1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ing a landscape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to FIG. 16,
FIG. 1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e in a state in which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6 is acutely opened in a tent shape,
FIG. 2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e of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with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6 in a flat unfolded state;
FIG. 2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navigation in a flat unfolded stat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not applied in FIG. 16;
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ing a virtual key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6 is opened in a notebook-type use mode,
23 is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corner of the body of the in-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n a folded state,
FIG. 2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landscape mode in a flat unfolded stat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in FIG. 23;
FIG. 2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virtual key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in-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23 is opened in a notebook-type use mode,
26 is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edge of a body of a two-stage 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n a folded state,
FIG. 2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landscape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to FIG. 26;
FIG. 2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26 is switched to a fully flat unfolded state,
FIG. 2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to which a keyboard provided with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is separately applied in FIG. 8;
30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detailed view of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a rotatable rotating body applied to one corner of a smartphone,
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and rotating body of FIG. 30,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that an object camera is applied to a rotatable rotating body applied to one edge of the smartphone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is separately applied to an outer edge of the rotating bod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번호가 부여된 부호들 중에서 일부는 제시되는 도면들 상에 도시 생략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and some of the numerals assigned thereto may be omitted from the drawings.

도 1은 노트북의 사용자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의 터치조작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 및 전방 카메라의 광각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며, 도 3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스마트폰의 가로 모드 광각 영역 겹침을 보여주는 개념도 들이고, 도 4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테블릿의 가로 모드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r environment of a notebook,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ouch operation environment of a smartphone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e angle of a front camera, and FIG. 3 is a horizontal mode wide-angle area overlap of a smartphon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of a tablet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을 이용한 문서생성 작업환경은 작업판(1), 물리 키보드(5), 마우스 패드(2) 및 마우스(3)가 요구된다.As shown in Fig. 1, a working environment for document creation using a desktop or laptop requires a working board 1, a physical keyboard 5, a mouse pad 2, and a mouse 3.

이들 구성요소 들 중에서 마우스 패드(2) 및 마우스(3)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과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별도로 휴대하여야하며 책상과 같은 작업판(1)이 없는 허공의 공간에서는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Among these components, the mouse pad 2 and the mouse 3 are separate components from the desktop and notebook, and must be carried separately, and cannot be used in an empty space without a working board 1 such as a desk.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화면 이동, 축소, 확대 및 더블클릭과 같은 네비게이션 조작은 주로 사용자 손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터치조작에 의해 수행되며 터치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면의 많은 부분을 가리는 단점과 함께 손가락이 화면표시장치(10) 바깥면을 지속적으로 터치하는 과정동안 긁힘 발생과 더불어 스마트폰 및 손가락 모두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As shown in FIG. 2, navigation operations such as screen movement, reduction, enlargement, and double-click of the smartphone are mainly performed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using the user's hand. Along with the disadvantage of covering the part, scratches occur while the finger continuously tou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and contamination of both the smartphone and the finger occurs.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스마트폰에 자체적으로 적용된 전면 카메라(7)를 이용한 사용자의 손 동작 인식을 통해 네비게이션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이 고려 가능하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으로 인해 적용이 어렵다.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 method of performing a navigation operation through recognition of a user's hand gesture using the front camera 7 applied to the smartphone itself may be considered, but this is difficult to apply due to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전면 카메라(7)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시 전면 카메라(7) 상단 부분에 위치하는 손 부분이 화면표시장치(10)의 많은 부분을 가리는 문제가 생긴다.First, when performing motion recognition of an object using the front camera 7, there is a problem that a hand par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amera 7 covers many parts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둘째, 전면 카메라(7)가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해 항상 활성화 되어 있어야하는 문제가 존재하며 전면 카메라(7)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단순 물리 스위치 또는 가상 스위치를 적용하여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하여도 사용자가 매번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게 된다. 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ont camera 7 must always be activated to perform object motion recognition, and a simple physical switch or virtual switch that performs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front camera 7 is applied to solve the problem. Even if it does, there is a new problem of hassle that the user must manually perform activation and deactivation each time.

셋째,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가상 키보드(6)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환경시 자판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이 전면 카메라(7)의 광각 영역에 걸치게 됨으로 인해 전면 카메라(7)를 통한 동작 인식에 오류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ird, as shown in FIG. 3, the user's hand performing the keyboard input in the landscape mode use environment to which the virtual keyboard 6 of the smartphone is applied extends over the wide-angle area of the front camera 7. ),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an error in recognition of motion.

도 4는 테블릿에 가상 키보드(6)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자체 적용된 전면 카메라(7)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용도로 적용할 경우 도 3과 같은 광각 영역에 대한 간섭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장치(10)의 일부를 가리는 문제와 함께 전면 카메라(7)가 항시 활성화되어 있어야하는 문제점은 동일하게 존재한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in which a virtual keyboard 6 is applied to a tablet, and when the self-applied front camera 7 is applied to detect the motion of an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or hand, The interference problem does not occur in the same wide-angle area, but the problem that the user's hand covers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problem that the front camera 7 must be always activated are the same.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대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가 출원되었으나 탈부착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한 몸체의 베터리 적용공간 감소 및 카메라모듈의 접힘 및 펼침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96694) has been filed by the inventor, but the application of a detachable keyboard reduces the battery application space of the body and makes it difficult to fold and unfold the camera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판상형 스마트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하는 불편함 및 손가락에 의해 카메라 렌즈에 지문 자국이 남는 문제점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조작 용도의 영상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각을 매번 사용자가 설정해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flat-type smartphones, a product that has a rotating camera that can shoot both the front and the rear with a single camera was applied to one corner of the flat-type smartphone body, but it is a product specialized for still image and video shooting,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shoot.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ctivation and deactivation directly, fingerprint marks remain on the camera lens by a fing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set a rotation angle for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for navigation operation each time.

또한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가 수납 및 돌출되는 형태의 제품이 일부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조작 용도의 영상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각 변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flat-type smartphones, some manufacturers have released products in which the camera is stored and protruded at one corner, but this is also a product specialized for still image and video shooting, and the user manually activates and deactivates the shooting mode.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that must b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rotation angle for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for navigation operation.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부터 도 32의 예시된 도면들과 함께 몸체(20)에 제1경사면(110)이 적용되는 제 1실시 예와 몸체(20)에 회전몸체(140)가 적용되는 제 2실시 예들로 실시예를 대별하여 제시하며 각각의 실시 예에는 몸체(2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세 실시예가 제시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applied to the body 20 along with the illustrated drawings of FIGS. 5 to 32 and the rotating body 140 to the body 20. Examples are roughly presented as second embodiments to which are applied, and various detailed embodiment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20 in each embodiment.

도 5는 노트북의 물리 키보드 적용면 세로 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8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9는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 이고, 도 10은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1은 도 8의 오브젝트 카메라에 대한 광각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은 테블릿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에 대한 광각 영역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접힘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18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9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텐트 형태로 예각 펼침된 상태의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20은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평면 펼침된 상태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1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평면 펼침 상태로 네비게이션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2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3은 접힘상태인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평면 펼침 상태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5는 도 23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6은 접힘상태인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8은 도 26의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가 완전 평면 펼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and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physical keyboard application surface of the notebook, and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and FIG. 7 is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bject camera part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part, and FIG. 8 is a conceptual and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edge of a smartphone, and FIG. 9 is Conceptual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ing a vertic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not applied, and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wide-angle region of the object camera of FIG. 8 And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12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ection area fo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8, and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edge of the tablet. It is a partial detailed view, and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in FIG. 13,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e-angle area for the object camera part and a detection area fo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part of FIG. , FIG. 16 is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edge of the body of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n a folded state, and FIG. 17 is a virtual keyboard applied to FIG.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in Fig. 16, and Fig. 19 is a state in which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6 is opened at an acute angle in a tent shape.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e, and FIG. 2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e of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with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6 in a flat unfolded state, and FIG. 21 is a virtual keyboard in which the virtual keyboard is not applied to FIG.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navigation system in an unfolded state, and 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se of a virtual key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6 is unfolded in a notebook-type usage mode, and FIG. 23 is folded It is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edge of the body of the in-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n a state, and FIG. 24 is a horizontal unfolded state with a virtual keyboard applied in FIG. FIG. 2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mode, and FIG. 2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virtual key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in-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23 is unfolded in a notebook-type use mode, and FIG. 26 is a two-stage folding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one edge of the bod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FIG. 2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in FIG. , FIG. 2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horizontal mode to which a virtual keyboard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folding image display device of FIG. 26 is switched to a fully flat unfolded state.

도 5부터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10) 및 화면표시장치(10)가 적용되는 몸체(20)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20)의 일측 모서리에는 화면표시장치(10)의 화면표시면 또는 몸체(20)에 물리 키보드(5)가 적용되는 경우 적용되는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어있고 제1경사면(110)에는 제1경사면(110)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적용된다.5 to 28,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 screen display device 10, and a body 20 to which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is applied. At one corner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when the physical keyboard 5 is applied to the body 20 or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a first inclined surface ( 110) is formed, and an object camera 120 is applied to the first slope 110 to photograph an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a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lope 110 and moves do.

제 1실시 예에서 몸체(20)는 노트북, 형상 불변인 판상형 스마트폰, 형상 불변인 판상형 테블릿과 함께 형상 가변인 아웃폴딩 몸체, 인폴딩 몸체 및 인앤아웃 폴딩이 모두 가능한 2단폴딩 몸체를 포함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ody 20 includes a notebook computer, a plate-shaped smartphone that is invariant in shape, a plate-shaped tablet that is invariant in shape, and an out-folding body that is variable in shape, an in-folding body, and a two-stage folding body capable of both in-and-out folding. do.

제 1실시예의 몸체(20)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된다.An object detection sensor 130 is applied to the body 20 of the first embodiment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20 and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가상 키보드(6)의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이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활성화 되어 촬영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동작인식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As shown in FIG. 9,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detects that the user's hand outside the keyboard input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6 enters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object camera 12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t so that it can be activated and enter the photographing mode, and this arrangemen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motion recognition waiting time.

이를 위해 제 1실시예에서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오브젝트 감지센서(130)의 감지와 동시에 촬영모드 진입이 가능하도록 제1경사면(110)의 오브젝트 카메라(120) 인접 부위에 적용된다.To this en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is adjacent to the object camera 120 on the first slope 1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nter the photographing mode simultaneously with the detection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as shown in FIG. 9. It is applied to the area.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110)은 몸체에 물리 키보드(5)가 적용되어있는 경우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고, 몸체(20)에 물리 키보드(5)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장치(10)의 적용면 모서리를 이루는 가로측 모서리 또는 세로측 모서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에 한 개 이상의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어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physical keyboard 5 is applied to the body,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110 formed at one edge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physical keyboard 5, and the body 20 When the physical keyboard 5 is not applied, one or more first inclined surfaces 110 are formed at one or more of the horizontal or vertical corners forming the corner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

상기의 가로측 모서리는 화면표시장치(10)가 최대 펼침 상태인 경우를 기준으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측을 의미하며 세로측 모서리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모서리측을 의미한다.The horizontal edge refers to a side with a relatively long length based on a cas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 is in a maximum open state, and a vertical side refers to a side with a relatively small length.

도 7, 도 11, 도 12 및 도 15의 단면도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110)이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110)의 수직축과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하고, 제1경사면(110)이 화면표시장치(10)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110)의 수직축과 화면표시장치(10)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이룬다.As specifically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7, 11, 12, and 15,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physical keyboard 5,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vertical axis of 110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physical keyboard 5 form an acute angle, and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The vertic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 form an acute angle.

몸체(20)의 모서리에 제1경사면(110)이 예각을 이루어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작업판(1)이 없는 공간 및 작업판(10) 위에서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을 원활히 감지할 수 있어 마우스(3) 없이도 네비게이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formed at an acute angle at the corner of the body 20, the user's hand out of the keyboard input area even in a space without the working plate 1 an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on the working plate 10. It is possible to smoothly detect the navigation operation without the mouse (3).

만일 몸체(20)에 예각이 아닌 직각의 상태로 제1경사면(110)이 적용되면 작업판(1)이 없는 공간의 상태에서는 문제가 크게 발생치 않으나 작업판(1) 위 또는 무릅 위에 놓여지는 상황에서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이 작업판(1) 면 또는 무릅 면을 향하게 되는 관계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작업판(1) 면 또는 무릅 면을 스치며 움직여야하는 불편함과 함께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광각 영역의 절반 부분은 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I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applied to the body 20 at a right angle rather than an acute angle, the problem does not occur in the state of the space without the working plate 1, but it is placed on the working plate 1 or on the knee. In the situation, due to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camera wide-angle axis 121 of the object camera 120 faces the working plate 1 or knee, the user's hand must move by touching the working plate 1 or knee. Togeth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utilize half of the wide-angle region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wide-angle axis 121 of the object camera 120.

다른 경우로서 몸체(20)에 제1경사면(110)이 직각을 넘어 둔각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 하단 부분에 대부분의 광각 영역이 적용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광각 영역 범위가 직각인 경우보다 더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As another case,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to the body 20 maintains an obtuse angle beyond a right angle, most of the wide-angle area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mera wide-angle axis 121 of the object camera 12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le wide-angle area range is narrower than that in the case of a right angle.

도 8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경사면(110)에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적용된 스마트폰의 실시예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전면 카메라(7)가 적용되지 않아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기존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7)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경우 제1경사면(110)이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전면 카메라(7)를 이용한 셀카 촬영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도 존재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8 to 12, the front camera 7 as shown in FIGS. 2 and 3 is not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in which the object camera 120 is applied to the first slope 110 The camera 120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ront camera 7 of the existing smartphone, an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slope 110 forms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it is impossible to take a selfie using the front camera 7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그러나 제1경사면(110)이 예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를 이용한 전방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어 전면 카메라(7)의 대체가 가능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has an acute ang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ront photographing using the object camera 120 is possible, so that the front camera 7 can be replaced.

또한 후술할 제 2실시예의 회전몸체(140)와 같이 오브젝트 카메라(12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조작 수행시 손가락에 의해 렌즈에 지문 또는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고정된 제1경사면(110)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즉응성의 향상과 더불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bject camera 120 is applied in a rotatable state like the rotating body 140 of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 problem that fingerprints or contamination are generated on the lens by a finger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o rotate the camera. Although a problem arise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ixed first inclined surface 110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rotation is not required, this problem does not occur along with improvement in immediate response.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110)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촬영 가능 범위에 해당하는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111)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t one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a second inclined surface 111 is formed outside the wide-angle area to secure a wide-angle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sible shooting range of the object camera 120.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20,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nd a magnetic field change. Any one or more of a magnetic field sensor,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reflection, and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lluminance is applied.

도 20, 도 22, 도 24, 도 25 및 도 2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몸체(20)의 가로측 모서리와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110)이 각각 적용되고 각각의 제1경사면(110)에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의 경우, 화면표시장치(10)에 가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6)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가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11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간섭을 피하거나 입력되는 정보의 장기간 부재상태를 피하기 위해 활성화되지 않으며 화면표시장치(10)에 세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6)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세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11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활성화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20, 22, 24, 25, and 28,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rners of the body 20, respectively, and In the case of a video display in which the object camera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are applied to the slope 110, when the virtual keyboard 6 in the horizontal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 the horizontal edge The object camera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appli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are not activated to avoid interference by the hand of the user performing text input or to avoid the long-term absence of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 the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virtual keyboard 6 in the vertical mode is displayed on the device 10, the object camera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appli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at the vertical edge are not activated.

도 10,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화면표시장치(10)에 가상 키보드(6)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경사면(110)에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되어 있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몸체(20)를 한손으로 그립하고 나머지 한손으로 화면을 가리는 터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화면표시면 밖에 위치되는 광각 영역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네비게이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As shown in FIGS. 10, 17, 19, and 21, the object camera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even when the virtual keyboard 6 is not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130) is applied, even if the user grips the body 20 with one hand and does not perform a touch operation to cover the screen with the other hand, the motion recognition in the wide-angle area outside the screen display surface is performed.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navigation operation.

그리고 제 1실시 예의 도 1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텐트 형태로 예각 펼침된 상태의 경우 접힘축을 기준으로 앞, 뒷면에 서로를 마주보며 위치 하는 개별 사용자들에게 광각 영역이 각각 활성화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함도 얻을 수 있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19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s opened in a tent shape at an acute angle, the wide-angle area is activated for individual users located facing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olding axis.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convenience of providing a user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또한 제 1실시 예에서와 같이 몸체(20)에 제1경사면(110)이 예각을 이루며 기울어져 형성되어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의한 지지 없이 작업판(1)위에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이 놓여있는 상태에서도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도 2의 전방 카메라(7)와 달리 사용자 얼굴 측을 자연스럽게 향하고 있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화상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부가적인 장점도 갖게 된다.In addi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0 is formed at an acute angle and inclined to the body 20, the smartphone or tablet is placed on the working plate 1 without support by the user's hand. Also, since the object camera 120 naturally faces the user's face, unlike the front camera 7 of FIG. 2, there is an additional advantage of enabling a natural video call.

도 30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몸체와 회전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되고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 밖의 모서리에 분리 적용되어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다.30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detailed view of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a rotatable rotating body applied to one edge of a smartphone, and FIG. 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and rotating body of FIG. 30, and FIG. 32 is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detail view showing that an object camera is applied to a rotatable rotating body applied to one edge of the phone,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is applied separately to a corner outside the rotating body.

도 30부터 도 3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10) 및 화면표시장치(10)가 적용되는 몸체(20)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20)에 적용된 화면표시장치(10)의 화면표시면 일측 모서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140)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41) 및 회전몸체(140)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0 to 32,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 screen display device 10, and a body 20 to which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is applied. , Applied to a rotating body applied to one edge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 applied to the body 20 in a rotatable state, applied to any one side of the body or rotating body, and dete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1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switch 141 and an object camera that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40 to photograph an object such as a moving user's finger, a bare hand, or a hand holding the device.

도 30 및 도 3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적용된 회전몸체(140)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140) 밖의 몸체 모서리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된다.As shown in FIGS. 30 and 32,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camera 120 enters into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20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140 or at the edge of the body outside the rotating body 140 Alternatively, an object detection sensor 130 that detects an object to be deviated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pplied.

또한 도 3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회전몸체(140)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41)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1,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is activated only when it is detected by the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the switch 141 that the rotation body 140 has reached a set rotation angle. Has features.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41)가 특정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한 경우에만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도록 함으로 인해 회전몸체(140)가 회전되지 않아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과 화면표시장치(10)의 수직축이 평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촬영모드로 전환해야만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게 되어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Since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is activated only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the switch 141 has reached a certain set angle, the rotation body 140 is not rotated and the object camera 120 is When the camera wide-angle axis 121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display device 10 become parallel, the object camera 120 is activated only when the user switches to the photographing mod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제 2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200)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별도로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object camera 120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body 2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the keyboard 200 equipped with the object camera and the detection sensor is separately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method. 130) is converted to an inactive state, and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a separate keyboard connected to it are activated to perform control.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20,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nd a magnetic field change. Any one or more of a magnetic field sensor,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reflection, and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lluminance is applied.

도 29는 도 8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가 별도 적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2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camera and a keyboard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are separately applied in FIG. 8.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키보드(200)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별도로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으며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키보드(200)가 제어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몸체(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다시 활성 대기상태로 전환되며 이러한 특징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된다.As shown in FIG. 29,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an object camera applied to the body 2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the keyboard 200 to which the object camera and the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is separately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method.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are converted to an inactive state, and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connected separate keyboard are activated to perform control, and the object camera and the keyboard 200 to which the detection sensor is applied. )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the object camera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30 applied to the body 20 are switched back to the active standby state, and this feature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업판 2: 마우스 패드
3: 마우스 4: 터치패드
5: 물리 키보드 6: 가상 키보드
7: 전면 카메라 8: 후면 카메라
10: 화면표시장치 20: 몸체
10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110: 제1경사면 111: 제2경사면
120: 오브젝트 카메라 121: 카메라 광각 축
130: 오브젝트 감지센서 131: 센서 감지 축
140: 회전몸체 141: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20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210: 오브젝트 카메라 220: 오브젝트 감지센서
References to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working plate 2: mouse pad
3: mouse 4: touchpad
5: physical keyboard 6: virtual keyboard
7: front camera 8: rear camera
10: display device 20: body
100: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110: first slope 111: second slope
120: object camera 121: camera wide-angle axis
130: object detection sensor 131: sensor detection axis
140: rotating body 141: rotating shaft detection sensor or switch
200: keyboard with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210: object camera 220: object detection sensor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에 적용된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일측 모서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몸체 모서리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감지 영역이 자판 입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화면표시면에 대해 상기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했는지 여부를 상기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 확인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상기 광각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서로 중복 형성되며,
상기 중복 형성된 감지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에 대응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자동 스위칭을 통해 상기 중복 형성된 광각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A screen display device; And
As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body to which a screen display device is applied;
A rotating body applied in a rotatable state at one edge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body;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switch applied to any one side of the body or the rotation body and detec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ody;
An object camera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photograph a moving object; And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which the object camera is applied or to the edge of the body outside the rotating body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
To ensure that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detection area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do not overlap the keyboard input area, it is checked through the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a switch whether the rotation body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creen display surface at a set rotation angle, and ,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r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The wide-angle area and the detection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overlapping detection area,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are provided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in the overlapping wide-angle area through automatic switching of the object camer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object detection sensor has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having a feature that is activated only when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a switch detects that the rotation body has reached a set rotation ang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제어부가 적용되고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별도의 키보드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control unit is applied to the body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bod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separate keyboard to which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is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method, and applied to the connected separate keyboard. An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having a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control by activating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the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 magnetic field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magnetic field,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reflection, and an illuminance that detects changes in illuminance An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having features to which one or more of the sensors are applied.
KR1020200038734A 2020-03-31 2020-03-31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KR102187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4A KR102187965B1 (en) 2020-03-31 2020-03-31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4A KR102187965B1 (en) 2020-03-31 2020-03-31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71A Division KR20190092005A (en) 2018-01-30 2018-01-30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79A KR20200037179A (en) 2020-04-08
KR102187965B1 true KR102187965B1 (en) 2020-12-07

Family

ID=7027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34A KR102187965B1 (en) 2020-03-31 2020-03-31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65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631B1 (en) * 2004-06-09 201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puter with camera module
KR20130090210A (en) * 2012-02-03 2013-08-13 (주)파트론 Input device
KR101535738B1 (en) * 2013-10-28 2015-07-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device with touchless controlling operation function and the control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36903B1 (en) * 2014-01-02 2016-07-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tion sensing camera an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motion sensing
KR102559030B1 (en) * 2016-03-18 202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79A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68B1 (en) A Keyboard Unit and A Folding Display Device with A Keyboard Unit
US1182238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7433179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universal human interface
KR102009926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US20090034172A1 (en) Handheld computer having an adjustable length for selectively exposing a surface component
US20140375574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697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ning/closing angle detecting method, and opening/closing angle detecting program
JP2010020762A (en) Touch input on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KR101904143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10223825A1 (en) Computing device modules
JP2011233064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screen operation method
US7248248B2 (en) Pointing system for pen-based computer
KR102187964B1 (en)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GB2279617A (en) Portable computer with folding keyboard.
TW201135533A (en) Handwrite input electronic device
KR102187965B1 (en)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JP630423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90092000A (en)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KR20190092005A (en)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CN104516594A (en) Optical touch device and gesture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210318763A1 (en) One-finger mouse
Nakamura et al. Distinction system of left and right hands placed on a keyboard of laptop computers
KR101604763B1 (en) Mobile terminal
EP1061433B1 (en) Flexibly interfaceable portable computing device
TWM492654U (en) Carrying apparatus for portable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