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64B1 -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 Google Patents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64B1
KR102187964B1 KR1020200038733A KR20200038733A KR102187964B1 KR 102187964 B1 KR102187964 B1 KR 102187964B1 KR 1020200038733 A KR1020200038733 A KR 1020200038733A KR 20200038733 A KR20200038733 A KR 20200038733A KR 102187964 B1 KR102187964 B1 KR 10218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detection sensor
camera
senso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8901A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20003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64B1/en
Publication of KR2020003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판이 적용된 입력장치에 있어서 자판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키보드 몸체의 세로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경사면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 회전몸체에 적용되어있어 마우스 없이도 대상물의 동작 인식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조작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In the input device to which the keyboard is applied, an object camera that photographs the movement of an object such as a user's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outside the keyboard area is provided in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vertical edge of the keyboard body or in a rotatable state. It is applied to the assembled rotating body, and it relates to a keyboard equipped with an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capable of performing a navigation operation function through motion recognition of an object without a mouse.

Description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본 발명은 물리 키보드 자판이 적용된 입력장치에 있어서 자판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키보드 몸체의 세로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경사면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 회전몸체에 적용되어있어 마우스 및 터치패드 없이도 오브젝트 카메라가 구비된 물리 키보드를 이용한 대상물의 동작 인식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조작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In an input device to which a physical keyboard keyboard is applied, an object camera that photographs the movement of an object such as a user's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outside the keyboard area is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vertical edge of the keyboard body or rotatable. It is applied to a rotating body assembled in a state, and it relates to an object camera and a keyboard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performing a navigation operation function through motion recognition of an object using a physical keyboard equipped with an object camera without a mouse and a touch pad.

데스크탑 컴퓨터에 화상입력장치가 적용되기 시작한 이후 사용자의 화상 채팅화면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에 화상입력장치를 적용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10-2002-0062714)가 제시되었으나 보편화 되진 않았다.Since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input device to desktop computers began, a patent (Korean Patent 10-2002-0062714) that applied the image input device to the keyboard so that users can more accurately input the video chat screen was proposed, but it was not universalized.

현재도 널리 사용중인 노트북은 폴딩면의 일면에 키보드가 자체적으로 적용되어있음으로 인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휴대가 가능한 생산성도구로서 평가를 받고 있으나 형상 불변이라는 제한점으로 인해 한손 그립과 같은 높은 상태의 휴대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터치패드를 이용해도 마우스의 생산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Laptops, which are still widely used today, are being evaluated as a productivity tool that can be carried within a limited range due to the keyboard being appli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sid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shape invariance, carrying in a high state such as a one-handed grip It is not satisfactory, and even with a touch pad, it does not reach the productivity of the mouse.

휴대성이 뛰어나고 인터넷 검색도 용이하며 촬영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로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이 출현한 후 사용자의 환경은 급격히 데스크탑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As a mobile device with excellent portability, easy Internet search, and equipped with a shooting function, the user's environment has rapidly shifted from the desktop environment to the mobile environment after the advent of smartphones and tablets.

그러나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은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편리하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달리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제한되어 생산성도구로서 사용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convenient to use image information in the conventional plate-shaped smartphone, but unlike a desktop or laptop computer, keyboard input and mouse input are limited,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be used as a productivity tool.

마찬가지로 판상형태를 갖는 태블릿 장치 또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태블릿 장치의 화면표시면을 덮는 일면에 키보드 기능을 적용시킨 탈부착 가능형의 커버를 적용한 투인원 제품이 출시되며 일부 키보드입력과 같은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한손으로 그립 할 수 없는 불편한 휴대성, 화면표시면의 키보드 접촉 긁힘 자국 발생 및 생산성 도구로서 중요한 마우스 입력장치의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Likewise, a tablet device having a plate shape also had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input keyboard and mouse input, and a two-in-one product with a detachable cover applied with a keyboard function applied to one side covering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tablet device was released. Although the same problem has been solved, the problems of inconvenient portability that cannot be gripped with one hand, the occurrence of scratch marks in contact with the keyboard on the screen display surface, and the use of a mouse input device, which is important as a productivity tool, are not solved.

또한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는 영상표시장치에 탈부착 수납이 가능한 키보드를 적용함으로 인해 휴대성과 생산성 증대라는 목적을 이루었으나 자체적인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해 영상표시장치의 베터리 적용공간 감소 및 탈부착 키보드에 적용된 카메라 모듈의 펼침 및 접힘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atent filed by the inventor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96694) achieved the purpose of increasing portability and productivity by applying a keyboard that can be attached and stor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but due to the application of its own keybo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application sp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reduced, and it is cumbersome to unfold and fold the camera module applied to the detachable keyboard.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 또는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가 수납 및 돌출되는 형태의 제품이 일부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flat-type smartphones, a product in which a rotating camera that can shoot both the front and the back with a single camera is applied to one corner or a product in which the camera is accommodated and protruded at one corner has been released by some manufacturers.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물리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물리 키보드만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First, in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hysical keyboard as an input device,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erform productivity tasks such as a desktop to which a mouse is applied without carrying a separate mouse, only with a physical keyboard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둘째, 대상물의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물리 키보드가 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줄이고 사용자가 수동적인 별도의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동작 인식 기능의 자동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한다.Second, to reduce unnecessary resource consumption due to the physical keyboard with motion recognition function of the object being maintained in the standby mode at all times, and to enable automati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func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 separate manual on-off operation. do.

셋째, 물리 키보드를 이용한 자판 입력 활동과 동작 인식을 통한 네비게이션 조작 활동이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자한다.Third, the keyboard input activity using the physical keyboard and the navigation operation activity through gesture recognition are not confused.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자판 및 자판이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 모서리에 자판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제1경사면, 제1경사면에 적용되어 제1경사면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제1경사면 또는 제1경사면 밖의 몸체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having a keyboard and a keyboard body to which the keyboard is applied, and the keyboard is positioned at one of the vertical edges shorter than the horizontal side of the keyboard body. An object camera that photographs objects such as a user's finger, a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which is applied to the first slope a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lope, which is formed by inclining and not parallel to the applied surface,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is applied that is applied to a first slope or a body outside the first slope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제 1실시 예에서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키보드 몸체에 적용된 자판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keyboard applied to the keyboard body form an acute angle.

제 1실시 예에서 키보드 몸체는 접힘 및 감김이 불가능한 판상형 몸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 감김 상태 유지가 가능한 롤러블 몸체 및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keyboard body is a plate-shaped body that cannot be folded and wound, a foldable body that can be 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a rollable body that can maintain a wound state, and a protective cover body that has a protective cover function in addition to the keyboard. It consists of either one.

제 1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utside the wide-angle area at one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secure a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 예는 자판 및 자판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키보드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및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including a keyboard and a keyboard body to which the keyboard is applied, and a rotating body that is applied in a rotatable state to any one of vertical corners that are shorter in length than the horizontal side of the keyboard body, It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keyboard body or the rotating body and is applied to the rotating shaft detection sensor or switch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of the rotating body, and it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photograph objects such as a moving user's finger, bare hand, or a hand holding the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bject camera.

제 2실시 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키보드 몸체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an object detection sensor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which the object camera is applied or the keyboard body outside the rotating body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o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ctivated only when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a switch detects that the rotation body has reached a set rotation angle.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nd a magnetic field that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ny one or more of a sensor,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reflection, and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lluminance is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물리 키보드의 가로측 모서리에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됨으로 인해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First, since an object camera that recognizes a user's motion is applied to a horizontal edge of a physical keyboard connect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productivity tasks such as a desktop with a mouse can be performed without carrying a separate mouse.

둘째, 대상물의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물리 키보드에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수동적인 별도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퇴출하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오브젝트 카메라가 활성화 되도록 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원 소모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Second, the user's hand or finger entering or exit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manual on-off operation by the user because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pplied to the physical keyboard to which the object camera with motion recognition function is applied. As the object camera is activat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camera,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user inconvenience can be eliminated.

셋째, 자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물리 키보드의 가로측 부분이 아닌 세로측 부분의 모서리에 오브젝트 카메라를 경사져서 배치하여 자판 입력영역과 동작 인식 영역을 분리함으로 인해 자판 입력 활동과 동작 인식 관련한 네비게이션 조작 활동이 혼동되지 않게 된다.Third, the keyboard input activity and the navigation operation activity related to motion recognition are confused by the object camera being inclined at the edge of the vertical part of the physical keyboard where the keyboard input takes place, so that the keyboard input area and the motion recognition area are separated. It will not be.

도 1은 자판이 적용된 물리 키보드에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의 동작인식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며,
도 3은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5는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5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9는 감김이 가능한 롤러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11은 서피스 제품의 보호커버와 같이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4는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도 14의 회전몸체가 동작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8은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20은 도 18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showing that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performing motion recognition can be applied to a physical keyboard to which a keyboard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tion recognition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plate-shaped body is appli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3,
5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a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foldable body capable of being fully opened is appli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5,
7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of the folded state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7,
9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rollable body is appli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9,
11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vertical side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a protective cover body with a protective cover function is applied in addition to a keyboard like a protective cover of a surface product. It is a partial detail view,
1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 detailed view of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2,
14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plate-shaped body is applied, a rotating body in a non-rotated state at a vertical edge of the second embodiment,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4,
FIG. 16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FIG. 14 is rotated to perform motion recognition and is maintained in an inclined stat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6,
18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rotating body in an unrotated stat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a vertical edge of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a foldable body capable of a fully unfolded state is applied,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8,
20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ed view of the folded state of FIG. 18,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20.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번호가 부여된 부호들 중에서 일부는 제시되는 도면들 상에 도시 생략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and some of the numerals assigned thereto may be omitted from the drawings.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을 이용한 문서생성 작업환경은 작업판, 물리 키보드,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가 요구된다.In general, a working environment for creating documents using a desktop or laptop requires a working board, a physical keyboard, a mouse pad, and a mouse.

이들 구성요소 들 중에서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과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별도로 휴대하여야하며 책상과 같은 작업판이 없는 허공의 공간에서는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Among these components, the mouse pad and mouse are separate components from the desktop and notebook, and must be carried separately, and cannot be used in an empty space without a working board such as a desk.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 이동, 축소, 확대 및 더블클릭과 같은 네비게이션 조작은 주로 사용자 손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터치조작에 의해 수행되며 터치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면의 많은 부분을 가리는 단점과 함께 손가락이 화면표시장치 바깥면을 지속적으로 터치하는 과정동안 긁힘 발생과 더불어 스마트폰 및 손가락 모두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navigation operations such as screen movement, reduction, enlargement, and double-click of the smartphone are mainly performed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using the user's hand, along with the disadvantage that the user's hand covers a large part of the screen display during touch operation. During the process of the finger continuously tou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scratches occur and both the smartphone and fingers are contaminated.

가상 키보드가 적용될 수 있는 테블릿에 전면 카메라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용도로 적용할 경우 스마트폰과 달리 광각 영역에 대한 간섭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장치의 일부를 가리는 문제와 함께 전면 카메라가 항시 활성화되어 있어야하는 문제점은 동일하게 존재한다.If the front camera is applied to a tablet to which a virtual keyboard can be applied to detect the motion of an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or hand, unlike a smartphone, interference in the wide-angle area does not occur, but the user's han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long with the problem of covering part of the device, the same problem exists that the front camera must be always activated.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판상형 스마트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하는 불편함 및 손가락에 의해 카메라 렌즈에 지문 자국이 남는 문제점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조작 용도의 영상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각을 매번 사용자가 설정해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flat-type smartphones, a product that has a rotating camera that can shoot both the front and the rear with a single camera was applied to one corner of the flat-type smartphone body, but it is a product specialized for still image and video shooting,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shoot.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ctivation and deactivation directly, fingerprint marks remain on the camera lens by a fing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set a rotation angle for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for navigation operation each time.

상기의 사항과 달리 사용자의 화상 채팅화면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에 화상입력장치를 적용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10-2002-0062714)가 제시되었고 이러한 개념을 통해 마우스를 대체하는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방안도 고려 가능하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Unlike the above, a patent (Korean Patent 10-2002-0062714) that applied an image input device to a keyboard was proposed so that users can more accurately input the video chat screen, and through this concept, a motion recognition that replaces a mouse is performed. A plan can also be considered, but it is not widely used because of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키보드 몸체의 후면 가로측 중앙 부분에 위치되는 전면 카메라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시 전면 카메라의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광각 영역과 자판 입력을 수행하는 자판입력 영역이 겹치는 문제가 생긴다.First, when performing motion recognition of an object using a front camer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rear horizontal side of the keyboard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de-angle area for recognizing the motion of the front camera and the keyboard input area for performing the keyboard input overlap.

둘째, 전면 카메라가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해 항상 활성화 되어 있어야하는 문제가 존재하며 전면 카메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단순 물리 스위치 또는 가상 스위치를 적용하여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하여도 사용자가 매번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게 된다. 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ont camera must always be activated to perform object motion recognition, and even if a simple physical switch or virtual switch that performs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front camera is applied to solve the problem, the user There is a new problem of the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perform activation and deactivation.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대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가 출원되었으나 탈부착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한 몸체의 베터리 적용공간 감소 및 카메라모듈의 접힘 및 펼침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96694) has been filed by the inventor, but the application of a detachable keyboard reduces the battery application space of the body and makes it difficult to fold and unfold the camera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가상 키보드가 아닌 물리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물리 키보드만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First, in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hysical keyboard rather than a virtual keyboard as an input device,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erform productivity tasks such as a desktop with a mouse applied only with a physical keyboard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out carrying a separate mouse.

둘째, 대상물의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물리 키보드가 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줄이고 사용자가 수동적인 별도의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동작 인식 기능의 자동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한다.Second, to reduce unnecessary resource consumption due to the physical keyboard with motion recognition function of the object being maintained in the standby mode at all times, and to enable automati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func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 separate manual on-off operation. do.

셋째, 물리 키보드를 이용한 자판 입력 활동과 동작 인식을 통한 네비게이션 조작 활동이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자한다.Third, the keyboard input activity using the physical keyboard and the navigation operation activity through gesture recognition are not confused.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부터 도 21의 예시된 도면들과 함께 키보드 몸체(110)에 제1경사면(120)이 적용되는 제 1실시 예와 키보드 몸체(110)에 회전몸체(150)가 적용되는 제 2실시 예들로 실시예를 대별하여 제시하며 각각의 실시 예에는 키보드 몸체(11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세 실시예가 제시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applied to the keyboard body 110 and the rotating body to the keyboard body 110 together with the illustrated drawings of FIGS. 1 to 21. Examples are roughly presented as second embodiments to which 150 is applied, and various detailed embodiment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board body 110 in each embodiment.

도 1은 자판이 적용된 물리 키보드에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의 동작인식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며, 도 3은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5는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5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9는 감김이 가능한 롤러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11은 서피스 제품의 보호커버와 같이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showing that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performing motion recognition can be applied to a physical keyboard to which a keyboard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tion recognition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ed view to which a first slop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plate-shaped body is applied, and FIG. 4 is a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5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FIG. 5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foldable body capable of a fully unfolded state is applied, and FIG. 6 is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5, FIG. 7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of the folded state of FIG. 5, and FIG. 8 is a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9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rollable body is applied, and FIG. 10 is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of, and FIG. 11 is a first inclined surface, an object camera,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at the vertical edge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a protective cover body with a protective cover function is applied along with a keyboard like a protective cover of a surface product.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ed view to which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pplied, FIG. 1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 detailed view of FIG. 11,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2.

도 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는 자판(101) 및 자판이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110)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110)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 모서리에 자판(101)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제1경사면(120), 제1경사면(120)에 적용되어 제1경사면(120)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제1경사면(120) 또는 제1경사면(120) 밖의 키보드 몸체(110)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40)가 적용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 to 13, the first embodiment is an input device having a keyboard 101 and a keyboard body 110 to which the keyboard is applied, and is a vertical edge whose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side of the keyboard body 110. A user who moves by being appli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formed by inclining and not parallel to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keyboard 101 at one of the corners and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The object camera 130 is applied to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keyboard body 110 outsid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or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to photograph an object such as a finger, a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An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pplied that senses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키보드 몸체(110)의 모서리에 제 1 실시 예의 구성 요소인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적용은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과 세로측 모서리에 고려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to the edge of the keyboard body 110 It can be considered for the front horizontal and vertical corners.

세로측의 모서리에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자판(101)을 벗어난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상호 간섭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When the first slope 12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are applied to the vertical edge, the user's character input behavior using the keyboard 101 and the user's motion beyond the keyboard 101 are recognize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behavior is clearly separated and no mutual interference error occurs.

그러나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을 위한 영역이 상호간에 겹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동작 인식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first slope 12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are applied to the front horizontal edge of the keyboard body 110, the user's character input behavior using the keyboard 101 and the user's Motion recognition A problem occurs in which areas for action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is causes an error in motion recognition.

따라서 이후 서술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적용은 키보드 몸체(110)의 세로측에 적용되며 보조적으로 전면 가로측에 적용이 추가 고려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pplied to the vertical side of the keyboard body 110, and i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front horizontal side. Further application may be considered.

또한 또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오브젝트 카메라(130)를 이용한 제 1 실시 예의 동작 인식 대상은 제1경사면(120) 앞부분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2, the motion recognition object of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object camera 130 may be an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lope 120, a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I can.

도 4, 도 6, 도 8,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제1경사면(120)의 수직축과 키보드 몸체(110)에 적용된 자판(101)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한다.4, 6, 8, 10, and 13,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keyboard 101 applied to the keyboard body 110 in the first embodiment are acute angles. To form.

키보드 몸체(110)의 모서리에 제1경사면(120)이 예각을 이루어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책상과 같은 작업판이 없는 공간 및 작업판 위에서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을 원활히 감지할 수 있어 마우스 없이도 마우스를 통해 수행하던 네비게이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formed at an acute angle at the corner of the keyboard body 110, the user smoothly senses the user's hand outside the keyboard input area even in a space without a working plate such as a desk an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on the working plate. You can do it, so you can perform navigation operations that were performed with a mouse without a mouse.

만일 키보드 몸체(110)에 예각이 아닌 직각의 상태로 제1경사면(120)이 적용되면 작업판이 없는 공간의 상태에서는 문제가 크게 발생치 않으나 작업판 위 또는 무릅 위에 놓여지는 상황에서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이 작업판 면 또는 무릅 면을 향하게 되는 관계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작업판 면 또는 무릅 면을 스치며 움직여야하는 불편함과 함께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광각 영역의 절반 부분은 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I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applied to the keyboard body 110 at a right angle rather than an acute angle, the problem does not occur in a space without a working plate, but in a situation where it is placed on the working plate or on the knee, the object camera 130 The camera wide-angle axis 131 of the object camera 130 along with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s hand must move by rubbing the working plate or knee due to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camera wide-angle axis 131 of) faces the working plate surface or the knee surface.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utilize half of the wide-angle area located at the bottom.

다른 경우로서 키보드 몸체(110)에 제1경사면(120)이 직각을 넘어 둔각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 하단 부분에 대부분의 광각 영역이 적용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광각 영역 범위가 직각인 경우보다 더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As another case,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maintained at an obtuse angle beyond the right angle to the keyboard body 110, most of the wide-angle region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wide-angle axis 131 of the object camera 1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nge of the usable wide-angle area becomes narrower than that in the case of a right angle.

도 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키보드 몸체(110)는 접힘 및 감김이 불가능한 판상형 몸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 감김 상태 유지가 가능한 롤러블 몸체 및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1 to 13, in the first embodiment, the keyboard body 110 has a plate-shaped body that cannot be folded and wound, a foldable body that can be 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a rollable body that can maintain a wound state, and a keyboard.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the protective cover bodies that have a protective cover function.

또한 도 2, 도 3, 도 5, 도 7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120)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122)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3, 5, 7 and 9, in the first embodiment,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to secure a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122 is formed outside the wide-angle area.

도 5부터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상기 제1경사면(120)이 형성되는 경우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적용두께 확보를 위해 제1경사면 돌출부(121)가 폴더블 몸체의 판상형 두께보다 일부분이 높게 돌출 형성되며, 제1경사면 돌출부(121)의 돌출 높이는 접힘 상태의 폴더블 몸체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다.5 to 8,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formed at one corner of the foldable body that can b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ax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sion to secure the applied thickness of the object camera 130 Part 121 is formed to protrude higher than the plate-shaped thickness of the foldable body,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sion 121 does not exceed the thickness of the foldable body in the folded state.

도 1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상기 제1경사면(120)이 형성되는 경우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적용두께 확보를 위해 제1경사면 돌출부(121)가 판상형의 키보드 몸체 두께보다 일부분이 높게 돌출 형성되며, 제1경사면 돌출부(121)는 키보드 몸체의 보호커버 기능 수행시 판상형 영상표시장치(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영상표시장치의 둘레에 해당하는 키보드 몸체(110)의 둘레 밖 영역에 형성된다.11 to 13,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protective cover body with a protective cover func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sion ( 121) is formed to protrude a portion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late-shaped keyboard body,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sion 121 corresponds to the perimeter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late-shaped image display device 10 when performing the protective cover function of the keyboard body. It is formed in an area out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keyboard body 110.

도 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경사면(1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이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활성화 되어 촬영모드로 즉시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동작인식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1 to 13,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appli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 130) is preferably disposed so that the object camera 130 is activated and immediately enters the shooting mode while detecting that the user's hand outside the keyboard input area enters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This arrangement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aiting time for motion recognition.

이를 위해 제 1 실시 예에서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제1경사면(120)의 오브젝트 카메라(130) 인접 부위에 적용된다.To this en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ppli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object camera 130 of the first slope 120.

도 14는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도 14의 회전몸체가 동작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8은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20은 도 18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다.14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a rotating body,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o a vertical edge of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a plate-shaped body is applied, and FIG. 15 is an object camera of FIG.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nd FIG. 16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FIG. 14 is rotated to perform motion recognition and maintained in an inclined stat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6, and FIG. 18 is a rotating body, an object camera,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in an unrotated state at the vertical edge of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a foldable body capable of a fully unfolded state is applied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view to which is applied,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18, and FIG. 20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partial detail of the folded state of FIG. 18 And FIG. 21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of FIG. 20.

도 14부터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 실시 예는 자판(101) 및 자판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110)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110)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150), 키보드 몸체(110) 또는 회전몸체(150)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150)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52) 및 회전몸체(150)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4 to 21,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having a keyboard 101 and a keyboard body 110 to which the keyboard is applied, compared 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keyboard body 110. It is applied to any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150, the keyboard body 110, or the rotating body 150, which is applied in a rotatable state to any one of the short longitudinal corners, and dete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shaft detection sensor or switch 152 and an object camera 130 that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50 to photograph an object such as a moving user's finger, a bare hand, or a hand holding the device.

도 1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 예의 제1경사면(120)에 해당하는 회전몸체(150) 또한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과 세로측 모서리에 고려 가능하다.The rotating body 150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may also be considered at the front horizontal and vertical edges of the keyboard body 110.

세로측의 모서리에 회전몸체(15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자판(101)을 벗어난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상호 간섭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rotating body 15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to the vertical edge, the user's character input behavior using the keyboard 101 and the user's gesture recognition behavior outside the keyboard 101 It is clearly separated and has the advantage that no mutual interference error occurs.

그러나 도 1과 유사한 개념으로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 모서리에 회전몸체(15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을 위한 영역이 상호간에 겹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동작 인식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rotating body 15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to the front horizontal edge of the keyboard body 110 with a concept similar to that of FIG. 1, the user's character using the keyboard 101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input behavior and the region for the user's motion recognition behavior overlap each other, and this causes an error in motion recognition.

따라서 이후 서술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 회전몸체(15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적용은 키보드 몸체(110)의 세로측에 적용되며 보조적으로 전면 가로측에 적용이 추가 고려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application of the rotating body 150,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pplied to the vertical side of the keyboard body 110, and i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front horizontal side. This may be further considered.

또한 제 1 실시 예의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경사면(120)의 오브젝트 카메라(130)를 이용한 동작 인식 대상은 제 2 실시예의 경우 회전몸체(150)의 오브젝트 카메라(130) 앞부분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the motion recognition target using the object camera 130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object camera 130 of the rotating body 150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t could be an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bare hand, or a hand holding an instrument.

제 2실시 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적용된 회전몸체(150)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150) 밖의 키보드 몸체(110)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40)가 적용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50 to which the object camera 130 is applied or the keyboard body 110 outside the rotating body 150 detects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signal is applied.

도 14부터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몸체(15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이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활성화 되어 촬영모드로 즉시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동작인식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14 to 21, an object detection sensor 140 that detects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150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 Is preferably arranged so that the object camera 130 is activated and immediately enters the shooting mode while detecting that the user's hand outside the keyboard input area enters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aiting time for motion recognition.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회전몸체(150)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52)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ctivated only when it is detected by the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the switch 152 that the rotation body 150 has reached a set rotation angle.

제 2 실시 예에서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52)가 특정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한 경우에만 오브젝트 감지센서(140)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도록 함으로 인해 회전몸체(150)가 회전되지 않아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과 화면표시면(11)의 수직축이 평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회전몸체(150)를 회전시켜 동작 인식 대기상태로 전환해야만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활성화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되어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ctivated only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the switch 152 has reached a specific set angle, so that the rotation body 150 is not rotated. When the camera wide-angle axis 131 of the camera 130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11 become parallel, the object camera 130 is activated only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body 150 to switch to the motion recognition standby state.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having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chieved.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130,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ostatic charge, Any one or more of a magnetic field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reflection, and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lluminance is applied.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130)는 단일 카메라가 적용됨이 나타내어졌지만 2개 이상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체 동작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게 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has been shown that a single camera is applied to the object camera 130, but two or more cameras may be applied,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stereoscopic motion recognition.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키보드 몸체(110)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제어 및 영상표시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베터리가 적용되며,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동일하게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인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100)가 연결되면 영상표시장치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고 연결된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control unit and a battery for controlling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and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are applied to the keyboard body 110, When the keyboard 100 equipped with the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for motion recognition are applied equally,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re inactive. The object camera 1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40 converted to the state and applied to the connected keyboard have a feature of being activated.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키보드(100)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다시 활성 대기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keyboard 100 to which the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is separa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object camera and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re switched back to the active standby state.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판상형 영상표시장치 11: 화면표시면
10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101: 자판 110: 키보드 몸체
111: 몸체1 112: 몸체2
113: 영상표시장치 고정부
120: 제1경사면 121: 제1경사면 돌출부
122: 제2경사면
130: 오브젝트 카메라 131: 카메라 광각 축
140: 오브젝트 감지센서 141: 센서 감지 축
150: 회전몸체 151: 회전몸체 수납 돌출부
152: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미도시)
References to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0: plate-shaped image display device 11: screen display
100: keyboard with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101: keyboard 110: keyboard body
111: body 1 112: body 2
113: image display device fixing part
120: first inclined surface 121: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sion
122: second slope
130: object camera 131: camera wide-angle axis
140: object detection sensor 141: sensor detection axis
150: rotating body 151: rotating body receiving protrusion
152: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switch (not shown)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자판; 및
자판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키보드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키보드 몸체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센서 영역이 상기 자판의 자판 입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자판의 적용면에 대해 상기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했는지 여부를 상기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 확인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상기 광각 영역 및 센서 영역은 서로 중복 형성되며,
상기 중복 형성된 센서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에 대응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자동 스위칭을 통해 상기 중복 형성된 광각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Keyboard; An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keyboard body applied to a keyboard
A rotating body applied in a rotatable state to one of the corners of the keyboard body;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switch that is applied to any one side of the keyboard body or the rotation body and detects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ody;
An object camera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photograph a moving object; And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which the object camera is applied or a keyboard body outside the rotating body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o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and
The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switch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on body is rotated at a set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keyboard so that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sensor area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do not overlap with the keyboard input area of the keyboard. Through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r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The wide-angle area and the sensor area of the object camera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overlapped sensor area,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are provided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in the overlapping wide-angle area through automatic switching of the object camer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The method of claim 7,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 keyboard provided with an object camera and detection sensor having a feature that is activated only when a rotation axis detection sensor or a switch detects that the rotation body has reached a set rotation ang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The method of claim 7,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 thermal sensor that detects heat of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the wide-angle area of the object camera, a static charge sensor that detects a static charge, a magnetic field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reflection, and illuminance A keyboard equipped with an object camera and a detection sensor having a feature to which one or more of the illuminance sensors for detecting changes are applied.
KR1020200038733A 2020-03-31 2020-03-31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KR102187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3A KR102187964B1 (en) 2020-03-31 2020-03-31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3A KR102187964B1 (en) 2020-03-31 2020-03-31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54A Division KR20190092000A (en) 2018-01-30 2018-01-30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901A KR20200038901A (en) 2020-04-14
KR102187964B1 true KR102187964B1 (en) 2020-12-07

Family

ID=7029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33A KR102187964B1 (en) 2020-03-31 2020-03-31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83A1 (en) * 2021-06-17 2022-12-22 이재규 Computer keyboard provided with thumb-operated optical mo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631B1 (en) * 2004-06-09 201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puter with camera module
KR20130090210A (en) * 2012-02-03 2013-08-13 (주)파트론 Input device
KR101636903B1 (en) * 2014-01-02 2016-07-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tion sensing camera and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motion sensing
KR102559030B1 (en) * 2016-03-18 202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83A1 (en) * 2021-06-17 2022-12-22 이재규 Computer keyboard provided with thumb-operated optical mouse
CN117377931A (en) * 2021-06-17 2024-01-09 李在珪 Computer keyboard with thumb operated optical mouse
CN117377931B (en) * 2021-06-17 2024-03-12 李在珪 Computer keyboard with thumb operated optical m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901A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68B1 (en) A Keyboard Unit and A Folding Display Device with A Keyboard Unit
US2024006959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20090034172A1 (en) Handheld computer having an adjustable length for selectively exposing a surface component
CN111580601A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3657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JP2010020762A (en) Touch input on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US9035882B2 (en) Computer input device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JP2011233064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screen operation method
US7248248B2 (en) Pointing system for pen-based computer
KR102187964B1 (en)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CN106899765A (en) Mobile terminal dual camera changing method and device
KR20210021863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display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therof
US10585510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multiple display units
US201502127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328833A1 (en) Dual-mode input apparatus
WO2005083990A1 (en) Rotatable phone
JP630423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187965B1 (en)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KR20190092000A (en) 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KR2016014220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JP5383754B2 (en) Wireless input device
KR20190092005A (en) 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US11422639B2 (en) One-finger mouse
CN104516594A (en) Optical touch device and gesture dete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