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61B1 - 계류형 비행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형 비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61B1
KR102187961B1 KR1020190052148A KR20190052148A KR102187961B1 KR 102187961 B1 KR102187961 B1 KR 102187961B1 KR 1020190052148 A KR1020190052148 A KR 1020190052148A KR 20190052148 A KR20190052148 A KR 20190052148A KR 102187961 B1 KR102187961 B1 KR 10218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kite
vertical
tail
vertical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634A (ko
Inventor
김제욱
김태형
박정현
이승렬
이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Priority to KR102019005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2Tether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40Balloons
    • B64B1/42Construction or attachment of stabilis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30Lighter-than-air aircraft, e.g. aerostatic aircraft
    • B64C2201/022
    • B64C2201/101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공에 떠서 임무를 수행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를 제공한다. 계류형 비행 장치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주입되는 벌룬; 그리고 상기 벌룬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상기 벌룬의 하부에 결합된 꼬리부와, 상기 꼬리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벌룬이 안착되는 단일막 형태의 수평날개부와, 상기 꼬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날개부의 아래에 구비된 수직날개부를 가지는 카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형 비행 장치{MOORING TYPE F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형 비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류형 비행 장치에 장착되는 임무수행 모듈의 시야 및 비행안정성이 향상된 계류형 비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 바다, 건설현장 등은 그 범위가 매우 넓어, 사람이 직접 감시 또는 관리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카메라가 결합된 드론을 이용해 원격으로 감시를 진행한다.
그러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해 감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감시 카메라가 결합될 수 있는 상당한 높이의 지지대가 필요하며, 카메라는 지지대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촬영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가 결합된 드론은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비행 시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장시간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주입된 무인 공중 비행체에 카메라를 결합하여, 해당 지역을 감시하는 고공 촬영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고공 촬영장치의 일 예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헬리카이트는 독특한 모양 때문에 주입되는 헬륨의 부피에 비해 부양능력이 탁월하며, 거의 모든 날씨에 관계없이 띄울 수 있다. 이러한 헬리카이트는 연이나 비행선에는 없는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부(13: 카이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헬리카이트에서는 날개부의 구조가 좌측 날개 및 우측 날개가 헬리카이트의 꼬리부에 각각 부착되어 물리적인 강도가 충분하지 못한 구조이며, 벌룬(12)과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카이트(13)의 연결 또는 결합 구조에 있어서, 비행 안정성이나 강한 바람에 대한 저항성 측면에서 더욱 개선해야할 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헬리카이트에서는 카메라(14) 촬영 등 임무수행 모듈이 벌룬(12)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 경우 벌룬(12)의 진동이 임무수행 모듈에 전달되어 임무수행에 지장을 주고, 카이트(13)의 꼬리부가 카메라(14)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적 내구성이 향상되고, 임무장치의 시야 및 비행안정성이 향상된 계류형 비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공에 떠서 임무를 수행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를 제공한다. 계류형 비행 장치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주입되는 벌룬; 그리고 상기 벌룬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상기 벌룬의 하부에 결합된 꼬리부와, 상기 꼬리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벌룬이 안착되는 단일막 형태의 수평날개부와, 상기 꼬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날개부의 아래에 구비된 수직날개부를 가지는 카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개부에 의해 지지되며, 촬영을 포함한 임무를 수행하는 임무수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무수행 모듈은 수직날개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단에 상기 임무수행 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날개부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개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은 상기 수평날개부의 하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무수행 모듈은 수직날개부 및 꼬리부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카이트는 꼬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카본봉; 그리고 상기 수직날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날개부의 형태유지를 강화하는 제2 카본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카이트는 상기 제1 카본봉과 상기 제2 카본봉 사이의 상기 수직날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날개부의 형태유지를 강화하는 제3 카본봉; 그리고 상기 꼬리부 및 상기 수직날개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카본봉이 각각 삽입되는 터널형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계류형 비행 장치는 상기 벌룬 또는 카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벌룬의 이착륙을 안내하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임무수행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해권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결합되어 상기 윈치에 권취된 상기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유닛; 그리고 상기 윈치 및 상기 전력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이트의 형태, 카이트와 벌룬의 결합 구조로 인해 구조적인 내구성이 향상되고, 장착되는 위치로 인해 카메라 등 임무장치의 시야가 향상되고, 카이트의 구조로 인해 비행안정성이 향상된 계류형 비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헬리카이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의 카이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의 벌룬과 카이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임무수행 모듈을 지지하는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임무수행 모듈을 지지하는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10)의 카이트(3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상공에 떠서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계류형 비행 장치(10)일 수 있다.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예: 헬륨)가 주입되는 벌룬(100) 및 카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벌룬(100)은 내부에 기체가 주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기체가 충진됨으로써 부력을 가질 수 있다. 벌룬(100)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이트(300)는 글라이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룬(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카이트(300)가 형성됨으로써, 공기 저항이 적기 때문에 강풍에도 본래의 비행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즉, 카이트(300)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계류형 비행 장치(10)의 안정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한다.
카이트(300)는 꼬리부(301), 수평날개부(310) 및 수직날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꼬리부(301)는 벌룬(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꼬리부(301)는 벌룬(100)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꼬리부(301)는 강성을 가지는 막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막대 자체가 꼬리부일 수도 있고, 이러한 막대에 벌룬(100)과의 연결구조를 더한 것을 꼬리부로 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꼬리부(301)는 바람에도 모양이 변형되지 않으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꼬리부의 내부가 벌룬(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날개부(310)는 꼬리부(301)의 하면에 부착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벌룬(100)은 수평날개부(3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수평날개부(310)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날개부(310)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경우, 바람의 힘에 따라 벌룬(100)과 꼬리부(301) 간의 경사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강풍이 불 때 꼬리부(301)는 바람의 힘에 의해 벌룬(100)과의 경사도가 줄어들며 바람과의 저항의 줄어들 수 있다.
수평날개부(310)는 단일막 형태의 하나의 막일 수 있다. 여기서, 단일막 형태란 하나의 층을 갖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꼬리부(301)에 좌측 및 우측으로 별개로 분리된 수평 날개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수평날개가 꼬리부(301)의 하면에 부착 내지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날개부(310)는 꼬리부(301)의 하면 및 벌룬(100)의 하면에 부착 내지 결합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100)의 표면을 따라 곡면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수직날개부(330)는 꼬리부(301)에 대응하도록 수평날개부(310)의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날개부(330)의 하단은 꼬리부(301)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임무수행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임무수행 모듈(500)은 촬영을 하거나 측정을 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러한 임무수행 모듈(500)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임무수행 모듈(500)은 벌룬(100)의 하부에 고정되거나 카이트(3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상기 벌룬(100) 또는 카이트(300)에 결합되어 상기 벌룬(100)의 이착륙을 안내하며, 임무수행 모듈(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111)과,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111)이 권취되거나 해권되는 윈치(도 1의 11 참조)와, 윈치에 결합되어 윈치에 권취된 케이블(1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유닛(도 1의 1 참조)과, 윈치 및 전력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행장치는 케이블(111) 권취 정도에 의해 고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는 임무수행 모듈(500: 도 5 참조)로부터 송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윈치 컨트롤러 및 임무수행 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10)를 정면에서 본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날개부(310)가 단일막 형태를 가져서, 벌룬(100)이 수평날개부(310) 상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될 수 있고, 수직날개부(330)는 꼬리부(3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평날개부(310)의 아래에 부착 내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날개를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별개로 하여 꼬리부(301)나 벌룬(100)에 부착하는 구조에 비하여 내구성이나 견고성이 훨씬 향상되고, 강풍에 대해서도 강한 저항력을 가져서,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날개부(330)가 수평날개부(310)의 아래에 형성되어 수직날개부(330)가 벌룬(100)의 후방이나 수평날개부(3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구조에 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고, 계류형 비행 장치(10)의 비행안정성이 훨씬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임무수행 모듈(500)을 지지하는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임무수행 모듈(500)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계류형 비행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촬영이나 측정 등을 수행하는 임무수행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임무수행 모듈(500)은 압력, 온도, 풍속 등을 측정하거나 관측하는 장치이거나, 카메라를 포함하여 촬상하는 장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임무수행 모듈(500)은 윈치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케이블(111)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며, 지상이나 해상의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임무수행 모듈(500)은 수직날개부(33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연결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수직날개부(330)에 의해 구속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재(400)의 하단에는 임무수행 모듈(50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400)의 상단은 수평날개부(310)의 하면에 매달릴 수 있다. 즉, 연결부재(400)의 상단은 벌룬(100)의 아래의 수평날개부(3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룬(100)의 하면에는 체결부(121)가 형성되고, 연결부재(400)의 상단(410)이 체결부(121)에 체결되거나 링과 같은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무수행 모듈(500)의 하중은 연결부재(400) 및 상기 체결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400)는 수직날개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날개부(330)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삽입 고리(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고리(331)에 연결부재(400)가 삽입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끈 형태의 고정띠를 연결부재(400)에 묶어서 연결부재(400)가 고정되는 예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삽입 고리(331)는 예를 들어, 텐트의 지지대 혹은 텐트의 지지살을 고정하기 위해 텐트에 형성된 삽입용 고리일 수 있으며, 삽입 고리(331)는 터널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400)의 하단에 임무수행 모듈(500)을 결합시키고, 연결부재(400)를 수직날개부(330)에 형성된 삽입 고리(331)로 유동을 방지하고, 수평날개부(310)의 하면 또는 벌룬(100)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부(121)에 연결부재(400)의 상단(410)을 체결하거나 연결시키는 구성에 의해, 임무수행 모듈(500)은 실질적으로 계류형 비행 장치(1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꼬리부(301)에 의해 임무수행 모듈(500)이 촬영하는 시야를 가리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나 삽입 고리(331)와 같은 구성은 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달성할 수 있고, 재사용성이 좋고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지상이나 해상에 구비된 제어부와, 전력공급부와, 윈치와 윈치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케이블(111)에 의해 계류형 비행 장치(10)가 제어될 수 있다.
케이블(111)은 대략 “”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일 가닥은 벌룬(100)의 하면이나 수평날개부(310)의 하면에 연결되고, 다른 가닥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날개부(33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벌룬(100)과 수직날개부(330)를 케이블(111)로 당기거나 늦추어서 제어할 수 있어서 쉽게 제어되며, 비행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력공급부로부터 케이블(111)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며, 이러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공급선(510)이 벌룬(100)으로부터 수평날개부(310)의 하면을 따라 구비되어, 케이블(111)에 걸리는 장력에 무관하게, 즉 전력공급선(510)에는 장력이 걸리지 않게 구성하여, 임무수행 모듈(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임무수행 모듈을 지지하는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결부재(4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400)는 수직날개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날개부(330)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찍찍이(335)(벨크로: Velcro))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찍찍이(335) 부분을 열고, 연결부재(400)를 열려진 찍찍이(335) 사이에 넣고 찍찍이(335)를 붙이면 연결부재(4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찍찍이(335)는 수직날개부(330)가 복수의 증으로 형성되고 이 중 일부의 층이 절개되어 찍찍이(3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수직날개부(330)에 찍찍이(335)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를 형성한 후 부착부에 찍찍이(335)를 고정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찍찍이(335)는 수직날개부(330)가 복수의 증으로 형성되고 이 중 일부의 층이 절개되어 찍찍이(3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수직날개부(330)에 찍찍이(335)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를 형성한 후 부착부에 찍찍이(335)를 고정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형 비행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카이트(300)에 카본봉, 즉 탄소 막대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계류형 비행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고리(333)에 삽입되어 꼬리부(301)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카본봉(303)과, 수직날개부(330)의 고리(333)에 삽입되어 수직날개부(330)의 형태유지를 강화하는 제2 카본봉(351)을 포함할 수 있다.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제1 카본봉(303)과 제2 카본봉(351)의 사이에 수직날개부(330)의 고리(333)에 삽입되어 수직날개부(330)의 형태유지를 강화하는 제3 카본봉(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본봉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카본봉이 삽입될 수 있는 긴 터널 형태의 터널형 고리(333)를 꼬리부(301), 및 수직날개부(330)에 각각 형성하여 카본봉들을 복수의 고리(333)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카본봉들이 꼬리부(301), 수직날개부(330)에 각각 매립되고 바느질 형태로 박음질을 하여 카본봉들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계류형 비행 장치(10)는 경우에 따라서는 부채살 형태로 수평날개부(310)에 형성된 고리에 삽입되어 수평날개부(310)의 형태 유지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카본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본봉들은 예를 들어, 낙시대나 텐트의 폴대나 지지살과 같이 가볍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본봉들로 인해 강한 바람에 대해서도 꼬리부(301)의 형태가 유지되고, 수평날개부(310) 및 수직날개부(330)의 바람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 비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카이트의 구조적 강인함이 향상되며, 임무수행 장치의 시야가 더욱 확보되고, 강한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비행안정성이 향상되는 계류형 비행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계류형 비행 장치
100 : 벌룬
111 : 케이블
301 : 꼬리부
300 : 카이트
303 : 제1 카본봉
310 : 수평날개부
330 : 수직날개부
331 : 삽입 고리
333 : 터널형 고리
351 : 제2 카본봉
353 : 제3 카본봉
400 : 연결부재
500 : 임무수행 모듈
510 : 전력공급선

Claims (10)

  1. 상공에 떠서 임무를 수행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에 있어서,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주입되는 벌룬;
    상기 벌룬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상기 벌룬의 하부에 결합된 꼬리부와, 상기 꼬리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벌룬이 안착되는 단일막 형태의 수평날개부와, 상기 꼬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날개부의 아래에 구비된 수직날개부를 가지는 카이트;
    일단은 상기 벌룬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날개부의 하면에 고정되되, 상기 수직날개부의 전체 면적 중 상기 벌룬에 대하여 수직하는 형상의 상기 수직날개부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 면적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카이트 및 상기 연결부재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촬영을 포함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임무수행모듈; 그리고
    상기 벌룬 또는 상기 카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벌룬의 이착륙을 안내하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임무수행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은, 상기 벌룬의 하면 또는 상기 수평날개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라인과, 상기 수직날개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이트는, 상기 꼬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카본봉, 상기 수직날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날개부의 형태유지를 강화하는 제2 카본봉, 그리고 상기 제1 카본봉과 상기 제2 카본봉 사이의 상기 수직날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날개부의 형태유지를 강화하는 제3 카본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개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이트는,
    상기 꼬리부 및 상기 수직날개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카본봉이 각각 삽입되는 터널형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해권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결합되어 상기 윈치에 권취된 상기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유닛; 그리고
    상기 윈치 및 상기 전력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형 비행 장치.
KR1020190052148A 2019-05-03 2019-05-03 계류형 비행 장치 KR10218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148A KR102187961B1 (ko) 2019-05-03 2019-05-03 계류형 비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148A KR102187961B1 (ko) 2019-05-03 2019-05-03 계류형 비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634A KR20200127634A (ko) 2020-11-11
KR102187961B1 true KR102187961B1 (ko) 2020-12-08

Family

ID=7345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148A KR102187961B1 (ko) 2019-05-03 2019-05-03 계류형 비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091B1 (ko) * 2022-11-01 2023-04-17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드론 기반의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하천 탁도 분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026B1 (ko) * 2022-02-16 2024-03-05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계류형 비행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086A1 (en) * 2007-04-27 2008-10-30 Yee-Chun Lee Long mission tethered aerostat and method of accomplishing
WO2015170078A2 (en) * 2014-05-05 2015-11-12 Spillconsult Limited Tethered aerial platform and aerial observation system
US20160307448A1 (en) * 2013-03-24 2016-10-20 Bee Robotics Corporation Hybrid airship-drone farm robot system for crop dusting, planting, fertilizing and other field job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3468A (en) * 1995-10-24 1998-10-20 Bothe; Hans-Jurgen Hybrid aircraft
KR20140111414A (ko) * 2013-03-11 2014-09-19 장수영 비행선 운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행선의 위치유지방법
KR101777702B1 (ko) * 2016-01-08 2017-09-12 (주)유에스티21 풍력기반 조향 가능한 관측시스템
KR101928451B1 (ko) * 2017-03-21 2018-12-12 주식회사 한 지아이에스 실내 검사용 무인비행선
KR101952660B1 (ko) * 2017-07-27 2019-02-27 방기환 헬리 카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086A1 (en) * 2007-04-27 2008-10-30 Yee-Chun Lee Long mission tethered aerostat and method of accomplishing
US20160307448A1 (en) * 2013-03-24 2016-10-20 Bee Robotics Corporation Hybrid airship-drone farm robot system for crop dusting, planting, fertilizing and other field jobs
WO2015170078A2 (en) * 2014-05-05 2015-11-12 Spillconsult Limited Tethered aerial platform and aerial observ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091B1 (ko) * 2022-11-01 2023-04-17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드론 기반의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하천 탁도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634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9946B2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350291B1 (ko) 유선연결 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AU782704B2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8544788B1 (en) Aerostat assembly
KR101213056B1 (ko) 풍력선의 자유비행 카이트식 수풍 부재를 위한 배치 장치
KR102187961B1 (ko) 계류형 비행 장치
KR101388491B1 (ko) 위치제어 기능을 구비한 비행체 운용시스템
JP5769850B1 (ja) 係留気球
JP6167273B1 (ja) 係留気球システム
KR20090038917A (ko) 공기역학 프로파일 요소의 발진 및 회수 장치와 공기역학 프로파일 요소
US20140012433A1 (en) Self-powered releasable aerostat and method and system for releasing and controlling the aerostat
JP2017191963A (ja) 船舶の通信方法、船舶、船舶間の通信システム、及び、船陸間の通信システム
JP2008126907A (ja) 航空機の発進方法及び発進装置
RU2278060C1 (ru) Способ посадки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KR101952660B1 (ko) 헬리 카이트
JP7510646B2 (ja) 観測装置
KR102100111B1 (ko) 고공 촬영 장치
KR102643026B1 (ko) 계류형 비행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661309B1 (ko) 패러포일, 패러포일 전개장치 및 패러포일 전개 시스템
WO2019186621A1 (ja) 吊下装置を備えた撮影用無人飛行体
JP2017118308A (ja) 船舶の通信方法、船舶、船舶間の通信システム、及び、船陸間の通信システム
JP2007001458A (ja) 繋留型気球
JP2018151113A (ja) ケーブル連結型気球式ロケット発射機。
WO2023187638A1 (en) Sail-driven aircraft piloting system
RU2094324C1 (ru) Планирующий парашю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