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418B1 -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418B1
KR102187418B1 KR1020190116670A KR20190116670A KR102187418B1 KR 102187418 B1 KR102187418 B1 KR 102187418B1 KR 1020190116670 A KR1020190116670 A KR 1020190116670A KR 20190116670 A KR20190116670 A KR 20190116670A KR 102187418 B1 KR102187418 B1 KR 102187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on
dust collecting
dust
duct
l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진
박종진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텍
Priority to KR102019011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33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2Crowns; Roofs
    • F27D1/025Roofs supported around their periphery, e.g. arched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래이들 로 루프는 레이들 로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루프 본체; 상기 루프 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앙 배출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전극봉이 설치되는 전극봉 장착구를 가지는 집진후드부; 상기 집진후드부에 연결되는 집진덕트; 상기 루프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집진구;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측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집진구 하우징; 및 상기 집진구 하우징 내 격벽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중 상기 집진덕트에 인접하는 양 집진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덕트까지의 유로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우회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우회유로 형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레이들 로의 루프에 따르면, 집진후드부 주변에 4개의 추가적인 집진구를 추가하거나 기존 레이들로 루프의 부원료 투입구, 샘플링&측온용 도어 및 작업구 도어 등 3개소를 집진구로 활용하고 1개소의 집진구를 추가하여 개선하는 방식으로 총4개소 집진구 확보하고, 동일 중심각 간격으로 집진구가 위치하도록 하여 균일한 집진유동 생성시키고, 충분한 집진구 홀 크기 확보로 슬래그에 의한 집진홀 막힘을 방지하며, 큰 집진구 확보로 슬래그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Roof apparatus of ladle furnace}
본 발명은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들 로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레이들 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순원소를 집진하여 제거하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용융물이나 슬래그의 튐으로부터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들 로는, 전기로에서 1차 산화정련 후 비금속 개재물이 적고 화학성분이 균일한 용강을 생산할 수 있는 레이들 정련법을 위한 것으로서, 전기로에서 1차 정련작업 후에 출강되어 나온 용강에 합금철, 조재제 등을 첨가하여 쇳물의 화학성분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해주며, 불순원소(유황, 가스 등)를 제거하여 고순도의 용융물을 얻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레이들 로의 정련 작업중 로 내에서 발생하는 불순원소(유황, 가스 등)를 제거하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용융물이나 슬래그의 튐으로부터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레이들 로의 상부에는 루프(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루프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루프 본체(11)의 중앙 부분에는 전극봉(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전극봉 결합구(12)가 복수 구비된다. 전극봉 결합구(12) 주변에는 부원료를 레이들 로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부원료 투입구(13)와, 샘플링 구멍(14)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극봉 결합구(12)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레이들 로 내부의 불순원소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집진후드(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집진후드(15)는 집진덕트(16)와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10)는 가스의 집진 과정에 있어서, 로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시 전극봉이 설치되는 중심부를 거쳐 배출되므로 상대적으로 고가의 전극봉의 손상과 마모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이들 로 내의 불순원소를 외부로 집진하여 배출시, 배출원소에 의해 전극봉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레이들 로의 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집진유동을 생성하고, 슬래그에 의한 집진홀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레이들로의 루프를 제공한다.
또한 집진 덕트의 하단에 더스트(dust)가 퇴적 및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레이들로의 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이들 로 루프는 레이들 로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루프 본체; 상기 루프 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앙 배출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전극봉이 설치되는 전극봉 장착구를 가지는 집진후드부; 상기 집진후드부에 연결되는 집진덕트; 상기 루프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집진구;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측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집진구 하우징; 및 상기 집진구 하우징 내 격벽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중 상기 집진덕트에 인접하는 양 집진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덕트까지의 유로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우회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우회유로 형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중심각 90도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덕트에 인접하는 상기 양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에 이르는 유로의 길이와 나머지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에 이르는 유로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덕트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루프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더스트 낙하구;가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 낙하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는 수냉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덕트를 통한 집진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봉 장착구에는 상기 전극봉의 삽입 시 상기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 장착구 사이의 갭을 커버하는 갭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덕트의 하부에 개폐가능한 점검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구 하우징 및 상기 우회 유로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및 상기 집진덕트의 하부에 더스트 및 슬래그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퍼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들 로의 루프에 따르면, 집진후드부 주변에 4개의 추가적인 집진구를 추가하거나 기존 레이들로 루프의 부원료 투입구, 샘플링&측온용 도어 및 작업구 도어 등 3개소를 집진구로 활용하고 1개소의 집진구를 추가하여 개선하는 방식으로 총4개소 집진구 확보하고, 동일 중심각 간격으로 집진구가 위치하도록 하여 균일한 집진유동 생성시키고, 충분한 집진구 홀 크기 확보로 슬래그에 의한 집진홀 막힘을 방지하며, 큰 집진구 확보로 슬래그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들로 루프에 따르면 레이들로 루프의 집진홀 4개소 각각으로부터 집진덕트까지의 유로 거리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형성하여 집진홀 4군데에서의 집진 유속이 비슷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들로 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들로 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이들로 루프의 일부 구성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레이들로 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레이들로 루프 중 집진후드부 및 집진구 하우징의 상부면을 제거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내지 제4 집진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집진구로부터 집진덕트로 이어지는 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집진덕트 하부의 더스트 낙하구의 개폐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덕트 하부의 점검창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들로 루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들로 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이들로 루프의 일부 구성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레이들로 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레이들로 루프 중 집진후드부 및 집진구 하우징의 상부면을 제거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내지 제4 집진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집진구로부터 집진덕트로 이어지는 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래이들로 루프(100; ladle-furnace roof)는 레이들로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루프 본체(110), 집진후드부(120), 집진덕트(150)를 포함한다. 집진후드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본체(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앙 배출구(도 5 참조)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전극봉이 설치되는 전극봉 장착구(121)가 형성된다.
전극봉 장착구(121)는 전극봉의 하단부가 집진후드부(120)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극봉이 전극봉 장착구(121)에 수용되는 경우 전극봉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장착구(121)에는 각각의 전극봉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갭 커버 플레이트(129)를 포함한다.
갭 커버 플레이트(129)는 전극봉과 전극봉 삽입홀과의 갭을 최소화함으로써 집진유량 및 집진유속을 작게 한다. 갭 커버 플레이트(129)는 타부분에 비하여 내구성의 열화가 심한 부분으로서 이와 같이 소모품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집진후드부(120) 전체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루프 본체(110)의 상부면(111)에는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a, 112b, 112c, 112d)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a, 112b, 112c, 112d)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중심각 90도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a, 112b, 112c, 112d)는 신규 레이들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형태 및 배열의 집진구를 형성하고, 기존의 레이들로를 개조하는 경우에는 부원료 투입구, 샘플링/측온용 도어, 작업구 도어 등 루프 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3곳을 집진구로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하나의 관통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총 4개소의 집진구를 확보한다.
이 때 90도 간격으로 집진구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집진유동을 생성시키고, 충분한 집진구 홀 크기를 확보하여 슬래그에 의한 집진홀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집진덕트(150)는 집진후드부(120)와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a, 112b, 112c, 112d)들과 연결되어 집진된 더스트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집진구 하우징(115)는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a, 112b, 112c, 112d)들로부터 집진덕트(150)에 이르는 유로를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집진구 하우징(115)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후드부(120)의 측면 둘레에 일정한 유로(F1)가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우회유로 형성부(1151b)는 집진구 하우징 내 격벽구조로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 중 집진덕트(150)에 인접하는 양 집진구측에 구비된다. 우회유로 형성부(1151b)가 없는 경우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 중 집진덕트(150)에 인접하는 양 집진구로부터 집진덕트(150)까지의 유로 길이는 나머지 타 집진구로부터 집진덕트(150)까지의 유로 길이(P1)에 비하여 짧다. 우회유로 형성부(1151b)는 집진덕트(150)까지의 유로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우회하는 유로(P2)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집진구(112)들로부터 집진덕트(150)에 이르는 유로의 길이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도록 만들게 된다.
또한 집진구 하우징(115)은 집진후드부(120)를 일측면의 격벽으로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집진구 하우징(115)으로부터 집진후드부(120)를 향하여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플레이트(1151a)를 연장함으로써 집진구 하우징(115)과 집진후드부(120)의 측면 외벽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구 하우징(115), 연결플레이트(1151a) 및 우회 유로형성부(1151b)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는 에어퍼지부(1153)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퍼지부(1153)는 제1 내지 제4 집진구(112a, 112b, 112c, 112d) 및 집진덕트(150)의 하부에 더스트 및 슬래그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를 분사한다. 에어퍼지부(1153)는 집진과정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향에어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며, 간헐 또는 순차적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더스트가 쌓이지 않고 부유된 상태에서 집진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집진덕트의 더스트 제거를 위한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집진덕트 하부의 더스트 낙하구의 개폐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덕트 하부의 점검창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집진덕트(150)의 하부에는 더스트 낙하구(143)이 형성될 수 있다. 더스트 낙하구(143)에는 더스트 낙하구(143)를 유압 실린더(175)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는 게이트부(170)를 포함한다. 게이트부(170)는 레이들로 내부의 열원에 의한 가열을 식히기 위하여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을 할 수 있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집진을 수행하면 집진덕트(150)의 하부에는 더스트 또는 슬래그들이 퇴적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부(170)를 작동시켜 더스트 낙하구(143)를 통하여 더스트를 낙하시킴으로써 더스트의 퇴적으로 인한 집진 효율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래들이 빠질 때마다(보통 1회/Hr)에 게이트부(170)를 열어 더스트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덕트(150)의 하부에는 집진덕트(150)의 일부 지점을 개폐가능하도록 점검창(1501)이 구비될 수 있다. 점검창(1501)을 통하여 필요 시 집진덕트(150) 하부의 상황을 점검할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집진덕트에는 댐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댐퍼를 집진덕트(150) 후단에 구비하여 집진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에어 퍼지부(1153)를 작동하는 경우 댐퍼를 100% 개방하고, 그 외 조업 시에는 집진유량을 적게 하여 더스트의 집진을 극대화하고 전극봉 주변의 유속을 낮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레이들로 루프
110: 루프 본체
112: 제1 집진구, 제2 집진구, 제3 집진구, 제4 집진구
115: 집진구 하우징
120: 집진후드부
143: 더스트 낙하구
150: 집진덕트
170: 게이트부
175: 실린더부
1151b: 우회 유로형성부

Claims (9)

  1. 레이들 로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루프 본체;
    상기 루프 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앙 배출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전극봉이 설치되는 전극봉 장착구를 가지는 집진후드부;
    상기 집진후드부에 연결되는 집진덕트;
    상기 루프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집진구;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 측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집진구 하우징; 및
    상기 집진구 하우징 내 격벽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중 상기 집진덕트에 인접하는 양 집진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덕트까지의 유로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우회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우회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레이들로 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중심각 90도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레이들로 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덕트에 인접하는 상기 양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에 이르는 유로의 길이와 나머지 집진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진덕트에 이르는 유로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레이들로 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덕트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루프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더스트 낙하구;가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 낙하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하는 레이들로 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는 수냉식으로 냉각되는 레이들로 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덕트를 통한 집진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를 구비하는 레이들로 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장착구에는 상기 전극봉의 삽입 시 상기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 장착구 사이의 갭을 커버하는 갭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이들로 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덕트의 하부에 개폐가능한 점검창이 구비되는 레이들로 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구 하우징 및 상기 우회 유로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집진구 및 상기 집진덕트의 하부에 더스트 및 슬래그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퍼지부;를 포함하는 레이들로 루프.
KR1020190116670A 2019-09-23 2019-09-23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KR10218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70A KR102187418B1 (ko) 2019-09-23 2019-09-23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70A KR102187418B1 (ko) 2019-09-23 2019-09-23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418B1 true KR102187418B1 (ko) 2020-12-08

Family

ID=7377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70A KR102187418B1 (ko) 2019-09-23 2019-09-23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4235A4 (en) * 2018-07-17 2022-04-20 Systems Spray-Cooled, Inc. METALLURGICAL FURNACE WITH INTEGRATED GAS VENTING PI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672Y2 (ko) * 1985-02-05 1988-11-28
KR20030008134A (ko) * 2001-07-16 2003-01-24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덕트 누적물 자동배출 장치
KR101026515B1 (ko) * 2010-03-19 2011-04-01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KR20120111892A (ko) * 2011-03-30 2012-10-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용 지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672Y2 (ko) * 1985-02-05 1988-11-28
KR20030008134A (ko) * 2001-07-16 2003-01-24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덕트 누적물 자동배출 장치
KR101026515B1 (ko) * 2010-03-19 2011-04-01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KR20120111892A (ko) * 2011-03-30 2012-10-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용 지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4235A4 (en) * 2018-07-17 2022-04-20 Systems Spray-Cooled, Inc. METALLURGICAL FURNACE WITH INTEGRATED GAS VENTING PIPE
US11815313B2 (en) 2018-07-17 2023-11-14 Systems Spray-Cooled, Inc. Metallurgical furnace having an integrated off-gas h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266B2 (en) Ladle metallurgy furnace having improved roof
KR102187418B1 (ko)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US7871559B2 (en) Inspection hole structure for flash-smelting furnace
EP3740731B1 (en) Sidewall with buckstay for a metallurgical furnace
KR101026515B1 (ko) 레이들 로의 루프장치
JP4728165B2 (ja) 転炉排ガス処理設備におけるスカートのシール構造
US11747015B2 (en) Tapered plug burner cleaning ports
US8790570B2 (en) Movable device for injecting oxygen and other materials into electric arc furnace
US6148678A (en) Furnace waste gas sampling
CN211227192U (zh) 一种可拆卸式残铁沟除尘罩
CN201569296U (zh) 水冷炉盖
KR930005064B1 (ko) 철광석의 용융환원설비의 예비환원로
CN111172339A (zh) 一种可拆卸式残铁沟除尘罩
KR101299096B1 (ko) 래들로용 지붕
EP2237909B1 (en) Launder assembly and launder section
JP2020510212A (ja) ガス分析システムのためのランス
CN213335469U (zh) 一种冲天炉的前炉
US6104743A (en) Electric arc furnace cooling apparatus
EP4025857B1 (en) A burner panel and a method for cooling a burner panel of a metallurgical furnace
EP3638969B1 (en) Drop out box of a steelmaking furnace and steelmaking furnace system comprising the drop out box
JP4448631B2 (ja) 閉鎖可能な混合物装入通路を備えた溶融槽
JPH07113111A (ja) 金属精錬炉の炉口カバー
RU2662762C1 (ru) Способ улавливания выбросов из конверте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выбросов из конвертера
KR101909508B1 (ko) 소결광 제조 설비
US20130328252A1 (en) Furnace direct evacu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