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910B1 -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 Google Patents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910B1
KR102186910B1 KR1020190017933A KR20190017933A KR102186910B1 KR 102186910 B1 KR102186910 B1 KR 102186910B1 KR 1020190017933 A KR1020190017933 A KR 1020190017933A KR 20190017933 A KR20190017933 A KR 20190017933A KR 102186910 B1 KR102186910 B1 KR 10218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ap
support
shaped blocking
coupl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235A (ko
Inventor
조동준
Original Assignee
(주)대양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기연 filed Critical (주)대양기연
Priority to KR102019001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강제배기에 따라 무동력 구조로 자동 개폐되는 원반형 차단날개가 후드 캡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장력 조절스프링으로 하여금 기류정지 시에는 기류 이송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역류방지를 하고, 배기 시에만 장력 조절스프링이 밀려나면서 기류를 배기시키도록 하면서 역류 방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되어 배기시 원활한 개방이 이루어져 환기성이 확보되도록 하되, 평상시에는 외기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바, 이는 결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면서 후드 캡 자체가 직접 역류방지를 도모하도록 형성되어 실내 환경(미세먼지와 악취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결로와 빗물유입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을 개선)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Hood cap for anti-dew condensation an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강제배기에 따라 무동력 구조로 자동 개폐되는 원반형 차단날개가 후드 캡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장력 조절스프링으로 하여금 기류정지 시에는 기류 이송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역류방지를 하고, 배기 시에만 장력 조절스프링이 밀려나면서 기류를 배기시키도록 하면서 역류 방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되어 배기시 원활한 개방이 이루어져 환기성이 확보되도록 하되, 평상시에는 외기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바, 이는 결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면서 후드 캡 자체가 직접 역류방지를 도모하도록 형성되어 실내 환경(미세먼지와 악취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결로와 빗물유입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을 개선)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종전의 역류방지를 위한 전동댐퍼(MD: Motor Damper)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에 따른 전원(동작 구동을 위한 전원연결), 배선 및 전기 부속의 소요가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기존 전동댐퍼(MD: Motor Damper) 사용 상에서 발생된 기구수명의 감독(염려)과 잦은 고장 등의 유지관리문제로부터 근본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캡 하우징이 부착되는 장착 테두리(외벽에 맞닿는 밀착부)에 일정 수용 공간을 형성한 뒤 그 내부 공간에 독립기포 단열재를 충전하여 단열성을 개선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마감 실런트 없이도 방수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반형 차단날개는 복수의 접시체가 대칭 결합된 구조로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기능과 방풍기능, 소음차단기능 및 보온기능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원반형 차단날개의 접합면(복수의 접시체가 맞닿는 외측 끝 접촉부)에는 실리콘 패킹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기밀성과 역류방지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드 캡은 노출면이 반구 형태로 곡면 처리되어 바람의 스침이나 빗물 떨어지는 소음을 최소화(차단날개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후드 캡은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실내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종래의 후드 캡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캡에 반원형태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하되,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는 경우 바람과 빗물이 후드 캡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드 캡은 내부 기류 이송 공간이 상시 개방된 상태로서 기류의 역류를 조장하게 되고,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치하게 되며 특히, 결로 현상을 야기하여 곰팡이와 같은 세균을 증식시켜 실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2409호(2015.04.0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강제배기에 따라 무동력 구조로 자동 개폐되는 원반형 차단날개가 후드 캡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장력 조절스프링으로 하여금 기류정지 시에는 기류 이송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역류방지를 하고, 배기 시에만 장력 조절스프링이 밀려나면서 기류를 배기시키도록 하면서 역류 방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되어 배기시 원활한 개방이 이루어져 환기성이 확보되도록 하되, 평상시에는 외기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바, 이는 결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면서 후드 캡 자체가 직접 역류방지를 도모하도록 형성되어 실내 환경(미세먼지와 악취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결로와 빗물유입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을 개선)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종전의 역류방지를 위한 전동댐퍼(MD: Motor Damper)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에 따른 전원(동작 구동을 위한 전원연결), 배선 및 전기 부속의 소요가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기존 전동댐퍼(MD: Motor Damper) 사용 상에서 발생된 기구수명의 감독(염려)과 잦은 고장 등의 유지관리문제로부터 근본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캡 하우징이 부착되는 장착 테두리(외벽에 맞닿는 밀착부)에 일정 수용 공간을 형성한 뒤 그 내부 공간에 독립기포 단열재를 충전하여 단열성을 개선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마감 실런트 없이도 방수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반형 차단날개는 복수의 접시체가 대칭 결합된 구조로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기능과 방풍기능, 소음차단기능 및 보온기능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원반형 차단날개의 접합면(복수의 접시체가 맞닿는 외측 끝 접촉부)에는 실리콘 패킹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기밀성과 역류방지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드 캡은 노출면이 반구 형태로 곡면 처리되어 바람의 스침이나 빗물 떨어지는 소음을 최소화(차단날개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10)를 관통한 슬리브(20)에 대하여 실외 측에서 삽입되는 결합관(1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관(100)은 일측에 개구공(1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통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통공(120)의 외주면에는 절곡부(131)가 구비된 결합플렌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렌지(130)에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반구형 노출면(210)을 갖는 캡 하우징(200)의 일측에 장착 테두리(22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 테두리(220)는 꺽임턱(221)이 형성되어 결합플렌지(130)와 조립시 단면이 사각형이고, 원주방향으로 원형링 형태의 수용홈(230)이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노출면(210)은 하부 일측에 개방구(240)가 형성되어 배기 통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는 원반형 차단날개(300)가 수납되면서 결합관의 연통공(120)의 개폐를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300)는 탄성 조절구(400)와 결합되어 강제배기시 발생된 풍압에 따라 연통공(1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면서 열림시 실내공기를 배기시키고, 닫힘시 역류방지, 방풍, 결로방지, 소음차단, 단열 및 보온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결합관(100)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구(140)가 형성되어 슬리브(20)에 장착시 이탈방지를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200)은 수용홈(230)에 독립기포 단열재(250)가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300)는 복수의 접시체(310)가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공기층(320)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접시체(310)는 맞닿는 접합면(J)에 각각 결합턱(330)과 결합홈(340)이 형성되어 끼움방식으로 암수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J)의 테두리에는 실리콘 패킹(350)이 결합되어 기밀성과 차음성을 확보하면서 원반형 차단날개(300)의 원반 형태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탄성 조절구(400)는 고정핀(410)과 장력 조절스프링(423)을 갖는 지지구(420) 및 상기 지지구(420)를 고정하는 지지가이드(430)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핀(410)은 일측단에 체결구(411)가 형성되어 원반형 차단날개(300)의 일측 결합홈(360)에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410)의 타측단에는 걸림턱(412)이 형성되어 지지구(420)의 삽입공(421)을 통해 내부 유동공간(422)으로 삽입된 후 장력조절 구간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422) 내부에는 장력 조절스프링(423)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장력 조절스프링(423)은 고정핀(410)이 관통된 통공(424) 주변의 지지면(425)과 걸림턱(412) 사이에서 탄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21)에는 나사 조임구(426)가 조립되어 걸림턱(412)과 밀착되면서 장력 조절스프링(423)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430)는 연통공(120)을 통해 삽입된 후 외경이 결합관(100)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가이드(430)와 지지구(420) 사이에는 지지구(420)를 기준으로 분기되어 지지가이드(430)의 내경과 맞닿아 일체로 성형된 일자형, 십자형 또는 방사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지지리브(43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제배기에 따라 무동력 구조로 자동 개폐되는 원반형 차단날개가 후드 캡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장력 조절스프링으로 하여금 기류정지 시에는 기류 이송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역류방지를 하고, 배기 시에만 장력 조절스프링이 밀려나면서 기류를 배기시키도록 하면서 역류 방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되어 배기시 원활한 개방이 이루어져 환기성이 확보되도록 하되, 평상시에는 외기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바, 이는 결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면서 후드 캡 자체가 직접 역류방지를 도모하도록 형성되어 실내 환경(미세먼지와 악취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결로와 빗물유입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을 개선)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종전의 역류방지를 위한 전동댐퍼(MD: Motor Damper)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에 따른 전원(동작 구동을 위한 전원연결), 배선 및 전기 부속의 소요가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기존 전동댐퍼(MD: Motor Damper) 사용 상에서 발생된 기구수명의 감독(염려)과 잦은 고장 등의 유지관리문제로부터 근본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캡 하우징이 부착되는 장착 테두리(외벽에 맞닿는 밀착부)에 일정 수용 공간을 형성한 뒤 그 내부 공간에 독립기포 단열재를 충전하여 단열성을 개선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마감 실런트 없이도 방수기능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반형 차단날개는 복수의 접시체가 대칭 결합된 구조로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기능과 방풍기능, 소음차단기능 및 보온기능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원반형 차단날개의 접합면(복수의 접시체가 맞닿는 외측 끝 접촉부)에는 실리콘 패킹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기밀성과 역류방지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드 캡은 노출면이 반구 형태로 곡면 처리되어 바람의 스침이나 빗물 떨어지는 소음을 최소화(차단날개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캡의 측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캡의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구 중 지지구와 지지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차단날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5에 실리콘 패킹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와 지지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플렌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노출면에 보강용 포밍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급기용 인사이드 후드 캡에 원반형 차단날개 및 탄성 조절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후드 캡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부 혹은 일부 재질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으로, 결합관(100)과 캡 하우징(200) 그리고 원반형 차단날개(300)와 탄성 조절구(4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결합관(100)은 벽체(10)를 관통한 슬리브(20)에 대하여 실외 측에서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관(100)은 일측에 개구공(1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통공(120)이 형성되어 기류 이송 통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공은 실내측에 배치되고, 연통공은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상기 연통공(120)의 외주면에는 절곡부(131)가 구비된 결합플렌지(13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플렌지의 절곡부는 후술되는 캡 하우징의 장착 테두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관(100)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구(140)가 형성되어 슬리브(20)에 장착시 이탈방지를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캡 하우징은 반구형 노출면(2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장착 테두리(220)가 형성되어 외벽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플렌지(130)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 테두리(220)는 꺽임턱(221)이 형성되어 결합플렌지(130)와 조립시 단면이 사각형이고, 원주방향으로 원형링 형태의 수용홈(230)이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캡 하우징(200)은 수용홈(230)에 독립기포 단열재(250)가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외벽에서의 단열 기능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실런트 도포 마감 없이도 방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반구형 노출면(210)은 하부 일측에 개방구(240)가 형성되어 배기 통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는 원반형 차단날개(300)가 수납되면서 결합관의 연통공(120)의 개폐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300)는 탄성 조절구(400)와 결합되어 강제배기시 발생된 풍압에 따라 연통공(1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면서 열림시 실내공기를 배기시키고, 닫힘시 역류방지, 방풍, 결로방지, 소음차단, 단열 및 보온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300)는 복수의 접시체(310)가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공기층(320)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접시체(310)는 맞닿는 접합면(J)에 각각 결합턱(330)과 결합홈(340)이 형성되어 끼움방식으로 암수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접합면(J)의 테두리에는 실리콘 패킹(350)이 결합되어 기밀성과 차음성을 확보하면서 원반형 차단날개(300)의 원반 형태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 패킹은 단면이 V형태로 이루어져 모서리 부분이 원반형 차단날개의 뾰족한 접합면에 대응되면서 씌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조절구(400)는 고정핀(410)과 장력 조절스프링(423)을 갖는 지지구(420) 및 상기 지지구(420)를 고정하는 지지가이드(430)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핀(410)은 일측단에 체결구(411)가 형성되어 원반형 차단날개(300)의 일측 결합홈(360)에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410)의 타측단에는 걸림턱(412)이 형성되어 지지구(420)의 삽입공(421)을 통해 내부 유동공간(422)으로 삽입된 후 장력조절 구간을 설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유동공간(422) 내부에는 장력 조절스프링(423)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장력 조절스프링(423)은 고정핀(410)이 관통된 통공(424) 주변의 지지면(425)과 걸림턱(412) 사이에서 탄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421)에는 나사 조임구(426)가 조립되어 걸림턱(412)과 밀착되면서 장력 조절스프링(423)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430)는 연통공(120)을 통해 삽입된 후 외경이 결합관(100)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장력 조절스프링은 상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배기 풍량이 발생되면 탄성력이 발생하면서 좁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장력 조절스프링의 탄성 정도는 강제배기 팬의 풍량 정도에 따라 나사 조임구를 통해 장력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기류 배기시 개방은 원활하게 하되, 기류 정지시 닫힘 밀착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가이드(430)와 지지구(420) 사이에는 지지구(420)를 기준으로 분기되어 지지가이드(430)의 내경과 맞닿아 일체로 성형된 일자형, 십자형 또는 방사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지지리브(43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지지구를 고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기 관체는 결합관의 개구공과 대응되는 단부에 쐐기형 결합돌기(433)가 형성되어 일방향 삽입은 수월하도록 하되, 장착 후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반형 차단날개의 접시체(310) 중 외곽면이 닿는 연통공(120)의 바깥 결합플렌지(130)는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 접시 형태(또는 깔대기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만곡된 접시체(310)의 테두리 부분이 결합플렌지의 경사면과 더욱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접시체(310)의 외주(원주)면에 결합된 실리콘 패킹(350)은 끝단부면이 결합플렌지의 경사면을 통해 연통공(120) 외곽부에 더욱 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밀성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즉, 실리콘 패킹(350)의 끝부분은 얇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경사면에 의해 접촉시 서로 간 밀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원반형 차단날개가 배기용 외에 급기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는 강제급기(급기휀)에 따라 무동력 구조로 자동 개폐되는 원반형 차단날개가 인사이드 후드 캡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급기시 원활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실내외 측에 각각 아웃사이드 후드 캡과 인사이드 후드 캡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인사이드 후드 캡(아웃사이드 후드 캡에는 단순 그릴 망만 결합된 형태임)에는 원반형 차단날개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외기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결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면서 인사이드 후드 캡 자체가 직접 역류방지를 도모하도록 형성되어 실내 환경(미세먼지와 악취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결로와 빗물유입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을 개선)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인사이드 후드 캡은 상술한 아웃사이드 후드 캡을 대칭 형태로 구성한 것로서, 인사이드 후드 캡 일측에는 개구된 조립관(260)이 형성되어 실내로 연결되는 덕트(플렉시블 덕트 등)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는 탄성 조절구의 장력 조절스프링으로 하여금 기류정지 시에는 기류 이송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역류방지를 하고, 배기 시에만 장력 조절스프링이 밀려나면서 기류를 배기시키도록 하면서 역류 방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급기시 원활한 개방이 이루어져 환기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기본 (아웃사이드) 후드 캡 구조와 동일한 형태이다.
이때, 상기 급기용 구조는 배기용 구조와 별도 구성으로 각각 단독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동시 연동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캡 하우징 중 노출면(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단면이 반구 형태인 보강용 포밍(211)을 형성되어 구조 강성을 보강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벽체 20 ... 슬리브
100 ... 결합관 110 ... 개구공
120 ... 연통공 130 ... 결합플렌지
131 ... 절곡부 140 ... 걸림구
200 ... 캡 하우징 210 ... 노출면
220 ... 장착 테두리 221 ... 꺽임턱
230 ... 수용홈 240 ... 개방구
250 ... 독립기포 단열재 300 ... 원반형 차단날개
310 ... 접시체 320 ... 공기층
330 ... 결합턱 340 ... 결합홈
350 ... 실리콘 패킹 360 ... 결합홈
400 ... 탄성 조절구 410 ... 고정핀
411 ... 체결구 412 ... 걸림턱
420 ... 지지구 421 ... 삽입공
422 ... 유동공간 423 ... 장역 조절스프링
424 ... 통공 425 ... 지지면
426 ... 나사 조임구 430 ... 지지가이드
432 ... 지지리브 433 ... 결합돌기

Claims (6)

  1. 벽체(10)를 관통한 슬리브(20)에 대하여 실외 측에서 삽입되는 결합관(1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관(100)은 일측에 개구공(1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통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통공(120)의 외주면에는 절곡부(131)가 구비된 결합플렌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렌지(130)에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반구형 노출면(210)을 갖는 캡 하우징(200)의 일측에 장착 테두리(22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 테두리(220)는 꺽임턱(221)이 형성되어 결합플렌지(130)와 조립시 단면이 사각형이고, 원주방향으로 원형링 형태의 수용홈(230)이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노출면(210)은 하부 일측에 개방구(240)가 형성되어 배기 통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는 원반형 차단날개(300)가 수납되면서 결합관의 연통공(120)의 개폐를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300)는 탄성 조절구(400)와 결합되어 강제배기시 발생된 풍압에 따라 연통공(1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면서 열림시 실내공기를 배기시키고, 닫힘시 역류방지, 방풍, 결로방지, 소음차단, 단열 및 보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에 있어서,
    상기 원반형 차단날개(300)는 복수의 접시체(310)가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공기층(320)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접시체(310)는 맞닿는 접합면(J)에 각각 결합턱(330)과 결합홈(340)이 형성되어 끼움방식으로 암수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J)의 테두리에는 실리콘 패킹(350)이 결합되어 기밀성과 차음성을 확보하면서 원반형 차단날개(300)의 원반 형태를 고정하도록 하되, 상기 실리콘 패킹(350)은 단면이 V형태로 이루어져 모서리 부분이 원반형 차단날개의 뾰족한 접합면에 대응되면서 씌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100)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구(140)가 형성되어 슬리브(20)에 장착시 이탈방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200)은 수용홈(230)에 독립기포 단열재(250)가 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구(400)는 고정핀(410)과 장력 조절스프링(423)을 갖는 지지구(420) 및 상기 지지구(420)를 고정하는 지지가이드(430)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핀(410)은 일측단에 체결구(411)가 형성되어 원반형 차단날개(300)의 일측 결합홈(360)에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410)의 타측단에는 걸림턱(412)이 형성되어 지지구(420)의 삽입공(421)을 통해 내부 유동공간(422)으로 삽입된 후 장력조절 구간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422) 내부에는 장력 조절스프링(423)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장력 조절스프링(423)은 고정핀(410)이 관통된 통공(424) 주변의 지지면(425)과 걸림턱(412) 사이에서 탄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21)에는 나사 조임구(426)가 조립되어 걸림턱(412)과 밀착되면서 장력 조절스프링(423)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430)는 연통공(120)을 통해 삽입된 후 외경이 결합관(100)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가이드(430)와 지지구(420) 사이에는 지지구(420)를 기준으로 분기되어 지지가이드(430)의 내경과 맞닿아 일체로 성형된 일자형, 십자형 또는 방사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지지리브(4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렌지(130)는 외측단을 기준으로 접시체(310)의 외곽면이 닿는 연통공(120) 부분까지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종단면 형상이 접시 형태 또는 깔대기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KR1020190017933A 2019-02-15 2019-02-15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KR10218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33A KR102186910B1 (ko) 2019-02-15 2019-02-15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33A KR102186910B1 (ko) 2019-02-15 2019-02-15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35A KR20200100235A (ko) 2020-08-26
KR102186910B1 true KR102186910B1 (ko) 2020-12-07

Family

ID=7224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933A KR102186910B1 (ko) 2019-02-15 2019-02-15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54Y1 (ko) 2020-10-21 2022-12-12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에어덕트 슬리브용 체결링
KR20220001067U (ko) 2020-11-05 2022-05-12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단차가 형성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102377241B1 (ko) * 2021-09-02 2022-03-22 주식회사 거양 일방향 개방형 덕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932A (ja) * 2004-03-23 2005-10-06 Bakuma Kogyo Kk 換気構造及び換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70Y1 (ko) * 2007-09-15 2009-10-05 김정환 디퓨져 조립체
KR101052912B1 (ko) * 2009-08-14 2011-07-29 심창섭 역풍방지 댐퍼
KR101090261B1 (ko) * 2010-01-20 2011-12-06 (주)인디고존 압력조절 밸브
KR20110009419U (ko) * 2010-03-29 2011-10-06 비오티스아시아 주식회사 건물 벽체용 후드 캡
KR101512409B1 (ko) 2014-01-23 2015-04-16 주식회사 제일테크 결로방지용 후드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932A (ja) * 2004-03-23 2005-10-06 Bakuma Kogyo Kk 換気構造及び換気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35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910B1 (ko)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KR101311451B1 (ko) 마그넷 댐퍼를 이용한 직배기 환기 시스템
KR101559374B1 (ko) 댐퍼 송풍장치
JP4680673B2 (ja) ドレンホース用バルブ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200485101Y1 (ko) 댐퍼일체형 송풍기
KR101586892B1 (ko)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1549083B1 (ko) 회전개폐식 송풍장치용 댐퍼
JP4798267B2 (ja) 給排気口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CA3147448A1 (en) Duct connector
KR101116284B1 (ko) 자연환기식 유니트의 기밀구조
JP4304129B2 (ja) フィルタ及び通気装置
KR20080072342A (ko)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춘 배수구 장치
KR20090008640U (ko) 에어덕트용 댐퍼
CN211572423U (zh) 一种可调节方向的管道风帽
JP2014066404A (ja) 外壁端末換気口
RU222712U1 (ru) Приточный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JP3490413B2 (ja) 垂直管および水平管両用通気装置
KR200388636Y1 (ko) 역류방지담파
BE1029933B1 (nl) Verbeterde ventilatieluchtslangfitting
KR102267486B1 (ko) 환풍기
JP380710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