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599B1 -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 Google Patents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599B1
KR102186599B1 KR1020180128073A KR20180128073A KR102186599B1 KR 102186599 B1 KR102186599 B1 KR 102186599B1 KR 1020180128073 A KR1020180128073 A KR 1020180128073A KR 20180128073 A KR20180128073 A KR 20180128073A KR 102186599 B1 KR102186599 B1 KR 10218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implant
long hole
hip join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632A (ko
Inventor
유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플
Priority to KR102018012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61F2/3662Femoral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 A61B17/742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 A61B17/74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the longitudinal elements coupled to an intramedullary n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 A61B17/742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 A61B17/748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with means for adapting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elements and the shaft axis of the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hip femoral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61F2/3662Femoral shafts
    • A61F2002/3678Geometric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7Mechanical guides for implantat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관절을 구성하는 대전자와 대퇴골두 사이의 각도 차이나 거리 차이를 유발하더라도 이를 충분히 수용하면서 상부나사못을 대퇴골두의 중심에 정확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고관절 임플란트 시술불량을 막고,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Hip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관절을 구성하는 대전자와 대퇴골두 사이의 각도 차이나 거리 차이를 유발하더라도 이를 충분히 수용하면서 상부나사못을 대퇴골두의 중심에 정확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고관절 임플란트 시술불량을 막고,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관절은 인체의 대퇴골과 골반의 비구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로서, 사람이 앉거나 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관절이다.
이러한 고관절은 결핵과 같은 병적 원인나 질병 혹은 낙상이나 사고 등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 외과 수술을 통해서 인공고관절용 기기(예. 임플란트)가 적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인공고관절용 기기는 스템(즉, 임플란트)과 컵으로 이루어진다. 스템과 컵은 예를 들면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등 합금 등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스템은 대퇴골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컵은 골반의 비구에 고정된다.
스템의 단부에는 세라믹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헤드가 고정되며, 컵안에는 상기 헤드가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라이너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라이너는 세라믹 재료 또는 고분자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다.
예컨대, 특히 고관절이 골절되었을 때 임플란트를 시술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관절은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와 같이, 골반(1)의 비구에 결합되는 대퇴골두(10)와, 상기 대퇴골두(10)로부터 하향 연장된 대퇴골경부(12)와, 상기 대퇴골경부(12)에서 대퇴골두(10)와 간격을 두고 대략 'Y' 형상을 갖도록 돌출된 대전자(14)와, 상기 대전자(14)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소전자(16) 및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퇴부(1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템, 즉 임플란트(20)는 대전자(14)의 상부에서 대퇴부(18)를 향해 박히는 몸체(22)와, 대전자(14)의 하측에서 대퇴골두(10) 속으로 경사지게 박혀 몸체(22)의 상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상부나사못(24)과, 상기 대퇴부(18)를 수평하게 가로질러 박혀 몸체(22)의 하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하부나사못(26)을 포함한다.
아울러, 이러한 고관절 임플란트(20)를 시술하기 위해 작업툴(30)이 사용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은 고관절의 형상과 크기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임플란트(20)의 형상과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출시되어 시술되고 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대퇴골두(10)의 돌출길이가 달라 대전자(14)와 대퇴골두(1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거나 혹은 대퇴골두(10)의 돌출각도가 달라 일반적으로 시술되는 공산품인 임플란트(20)의 상부나사못(24)의 각도와 달라져 시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대퇴골두(10)의 각도가 달라져 임플란트(20)를 시술했을 때 상부나사못(24)이 대퇴골두(10)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고 하방향으로 편심되거나 혹은 상방향으로 편심되게 되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시술불량이 되므로 시술하여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또한, 대전자(14)의 돌출높이가 달라질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대전자(14)의 돌출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상부나사못(24)의 위치가 당연히 높아지게 되어 결국 대퇴골두(10)의 중심에서 상방향으로 편심되게 되는 문제가 생기고, 대전자(14)의 돌출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그 반대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20)를 덜 심거나 더 깊숙이 심어야 하는데 덜 심을 경우에는 임플란트(20)의 상단이 대전자(14)의 상단과 일치되지 못하고 그 상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주변 근육과의 마찰 등 크나큰 시술사고를 유발하므로 당연히 그렇게 시술해서는 안되며, 또한 너무 깊숙이 박힐 경우에도 문제가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3041호(2006.12.22.), 인공고관절용 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029호(2018.09.27.), 개선된 고관절 보철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0911호(2017.06.23.),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관절을 구성하는 대전자와 대퇴골두 사이의 각도 차이나 거리 차이를 유발하더라도 이를 충분히 수용하면서 상부나사못을 대퇴골두의 중심에 정확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고관절 임플란트 시술불량을 막고,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관절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작업툴을 포함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고관절의 대퇴부에 심어지는 임플란트 본체와, 상기 임플란트본체의 상단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타원형상의 장공과, 상기 장공을 통해 경사 고정되면서 고관절의 대퇴골경부를 통해 대퇴골두에 심어지는 한 쌍의 상부나사못과, 상기 임플란트본체의 하단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한 쌍의 정공과, 상기 정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임플란트본체의 하단부를 고관절의 대퇴부에 고정하는 하부나사못과, 상기 장공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나사못의 설치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툴은 본체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본체고정부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장공이 형성된 임플란트본체의 내경에는 장공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장공의 제일 하단에 체결 고정되어 상부나사못이 고정될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상부나사못이 특정각도로 유지되게 고정하도록 상기 장공에 단순히 끼워지는 제2조절부재와, 상기 제2조절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장공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3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제1헤드부가 볼록하게 반구형상으로 라운드 가공된 형상을 가지며, 라운드 가공된 제1헤드부의 표면에 제1공구홈이 요입형성되고, 제1헤드부의 하측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1체결부를 이루며, 제1체결부의 둘레에는 장공나사산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는 하단면이 경사진 형태를 갖고, 경사진 하단면에는 상부나사못이 끼워지는 못고정홈이 곡률을 갖고 상향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조절부재는 상기 제2조절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부재로서, 표면이 평평하고 평평한 표면에 제2공구홈이 형성된 제2헤드부를 포함하며, 제2헤드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제2체결부를 형성하되 제2체결부의 둘레에는 상기 장공나사산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고정부의 일단에는 임플란트본체의 상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롤홈이 형성되며, 상기 롤홈에는 다수의 나사형롤이 구비된 나사롤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고정되고, 상기 나사롤의 일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본체고정부에서 일체로 돌출된 롤커버부에 의해 커버되며, 롤커버부의 내부에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단에는 상기 롤커버부에 내장되면서 상기 나사롤에 나사결합되는 롤나사부가 형성되어 높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부는 하단가이드부로 더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단가이드부에는 하부나사못가이드공이 포함되며; 상기 하단가이드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에는 나사홈부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내경에는 피메일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부의 상단에는 상기 나사홈부에 삽입되게 돌출된 돌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의 외경에는 상기 나사홈부에 나사체결되는 메일나사부가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관절의 형태에 상관없이 시술불량없이 정확하고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
둘째, 상부나사못이 대퇴골두의 중심에 정확하게 박힐 수 있다.
셋째, 임플란트의 상단이 대전자의 상단에 정확하게 일치되게 시술할 수 있어 시술후유증이 없다.
넷째, 임플란트의 높낮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도 1은 일반적인 고관절의 위치를 설명하는 인체 하부 개요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고관절 골절시 임플란트 시술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관절 임플란트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상단부분만을 발췌하여 상부나사못의 높이조절 및 각도 조절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는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와 같이, 고관절에 시술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작업툴(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100)는 고관절의 대퇴부에 심어지는 임플란트 본체(110)와, 상기 임플란트본체(110)의 상단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타원형상의 장공(120)과, 상기 장공(120)을 통해 경사 고정되면서 고관절의 대퇴골경부를 통해 대퇴골두에 심어지는 한 쌍의 상부나사못(130)과, 상기 임플란트본체(110)의 하단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한 쌍의 정공(140)과, 상기 정공(140)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임플란트본체(110)의 하단부를 고관절의 대퇴부에 고정하는 하부나사못(150)과, 상기 장공(120)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나사못(130)의 설치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60,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임플란트본체(110)의 상단은 상기 작업툴(200)에 나사고정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본체(110)의 하단부는 대퇴부에 쉽게 박힐 수 있도록 끝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파이도록 가공된다.
아울러, 상기 장공(120)은 도 7의 예시와 같이, 임플란트본체(110)의 상단부 직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부나사못(130)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기존에는 상부나사못(130)이 정공(정원) 형태의 나사못구멍에 끼워졌기 때문에 경사진 각도가 고정될 수 밖에 없어 시술상 어려움이 생겼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존 정원 형태의 나사못구멍의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장공(120)이 형성되고, 이 장공(120) 속에 조절부재(160)를 장입시켜 상부나사못(130)의 각도와 높이(설치위치)를 아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러한 종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나사못(130) 한 쌍이 갖는 상호 이격거리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되는데, 이것은 상기 조절부재(160)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상부나사못(130)이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 고정되기 때문에 도면에서는 하나의 상부나사못(130) 고정예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120)이 형성된 임플란트본체(110)의 내주면에는 장공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나사산(122)은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기 때문에 나사산의 피치가 매우 촘촘하게, 즉 미세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확대하여 큰 피치로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조절부재(160)는 상기 장공(120)의 제일 하단에 체결 고정되어 상부나사못(130)이 고정될 위치를 잡아줄 뿐만 아니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재(162)와, 상기 상부나사못(130)이 특정각도로 유지되게 고정하도록 상기 장공(120)에 단순히 끼워지는 제2조절부재(164)와, 상기 제2조절부재(16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장공(120)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3조절부재(16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3조절부재(162,164,166)는 상기 장공(1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볼륨이 작기 때문에 장공(120) 내에 충분히 다수개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도면의 도시는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원래 크기보다 다소 크게 도시하였을 뿐이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재(162)는 제1헤드부(HD1)가 볼록하게 반구형상으로 라운드 가공된 형상을 가지며, 라운드 가공된 제1헤드부(HD1)의 표면에 십자형 혹은 일자형의 제1공구홈(GO)이 요입형성되고, 제1헤드부(HD1)의 하측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1체결부(CH1)를 이루며, 제1체결부(CH1)의 둘레에는 상기 장공(120)의 장공나사산(122)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제1조절부재(162)의 제1헤드부(HD1)에 상부나사못(130)을 안착시키게 되면 제1헤드부(HD1)가 라운드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가 매우 쉽다.
즉, 제1헤드부(HD1)의 라운드 정점을 기준으로 상부나사못(130)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어 각도조절이 쉽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재(162)를 최초 장공(120)에 체결하여 고정할 때 그 고정되는 위치가 상부나사못(130)이 설치될 위치를 특정하는 기준점이 되므로 제1조절부재(16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나사못(13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부재(164)는 상기 장공(120)에 단순히 삽입되는 것으로 나사체결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조절부재(164)는 상기 상부나사못(130)의 각도를 확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대략 사각블럭 형태를 가지며, 하단면(IC)이 경사진 형태를 갖고, 경사진 하단면(IC)에 못고정홈(HOM)이 곡률을 갖고 상향요입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제2조절부재(164)는 상기 하단면(IC)의 경사가 서로 다른 다수개가 구비되어 시술하고자 하는 환자의 고관절 상태에 맞춰 대응되는 제2조절부재(164)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조절부재(164)를 장공(120)에 삽입한 후 눌러 못고정홈(HOM)을 상부나사못(130)의 둘레에 끼우게 되면 상부나사못(130)이 상기 제2조절부재(164)의 하단면(IC) 경사에 대응되게 자동으로 경사각이 맞춰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조절부재(164)를 사각블럭 형태로 도시 설명하엿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장공(120)에 조립하기 쉽도록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고, 외관만 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3조절부재(166)는 앞서 설명한 제1조절부재(162)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헤드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3조절부재(166)는 상기 제2조절부재(16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히 고정하는 기능를 수행하는 바, 이를 위해 표면이 평평하고 평평한 표면에 제2공구홈(GO2)이 형성된 제2헤드부(HD2)를 포함하며, 제2헤드부(HD2)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제2체결부(CH2)가 형성되되, 제2체결부(CH2)의 둘레에는 상기 장공나사산(122)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조절부재(162)를 끼워 고정한 후 상부나사못(130)을 배치하고, 그 위에 순차로 제2,3조절부재(164,166)를 조립 고정함으로써 상부나사못(130)의 각도와 높이를 아주 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상부나사못(130)과 하부나사못(150) 간의 거리(L, 도 6 참조)가 고정되어서 작업툴(200)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지만, 이와 같이 상부나사못(130)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상기 거리(L)가 바뀌게 되므로 작업툴(200)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작업툴(200)은 상부나사못(130)과 하부나사못(150)을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술불량이 초래되기 쉽고, 시술실패가 일어나면 큰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업툴(200)을 본체고정부(210)와, 높이조절부(220)로 분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본체고정부(210)의 일단에는 임플란트본체(110)의 상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롤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롤홈(212)에는 다수의 나사형롤이 구비된 나사롤(214)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롤(214)의 일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본체고정부(210)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성형된 롤커버부(216)에 의해 커버되고, 롤커버부(216)의 내부에는 유동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220)의 일단에는 상기 롤커버부(216)에 내장되면서 상기 나사롤(214)에 나사결합되는 롤나사부(22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동공간(S)은 상기 롤나사부(222) 보다 크게 형성되어 롤나사부(222)가 높이방향으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거리(L)에 차이가 생겨 하부나사못(150)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툴(200)의 하부나사못가이드공(232)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상기 나사롤(214)을 회전시켜 롤나사부(222)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만약, 거리(L)가 클 경우에는 높이조절부(220)를 상기 본체고정부(210)에 대해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거리(L)가 작을 경우에는 높이조절부(220)를 상기 본체고정부(210)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220)는 대략 '역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롤나사부(222)로부터 일정길이 수평하게 연장된 후 다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이 수직하게 연장된 부분에는 상부나사못가이드공(224)이 경사 형성되어 상부나사못(130)을 고정할 때 가이드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나사못가이드공(224)에는 상부나사못(130)의 각도가 조절부재(16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부나사못가이드공(224)에는 조절부재(160)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나사못가이드공(224)에도 조절부재(160)의 삽입과 조절을 위한 장공(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더욱 더 원활한 시술을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220)의 하단부는 하단가이드부(230)로 더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단가이드부(230)에는 하부나사못가이드공(232)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가이드부(230)는 상기 높이조절부(220)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및 도 8의 예시와 같이, 높이조절부(220)의 하단에는 나사홈부(226)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226)의 내경에는 피메일나사부(2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가이드부(230)의 상단에는 상기 나사홈부(226)에 삽입되게 돌출된 돌출결합부(23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234)의 외경에는 상기 나사홈부(226)에 나사체결되는 메일나사부(23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피메일나사부(228)와 메일나사부(236)는 피치가 매우 작게, 즉 촘촘하게 형성되어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나사롤(214)을 이용한 높이 조절없이 상기 하단가이드부(230) 만의 조절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우 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한, 나사롤(214)로 조절하고도 높이 조절이 더 필요한 경우 하단가이드부(230)를 더 조절할 수도 있어 정확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를 통한 시술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술할 부위의 피부를 절개한다.
그런 다음, 고관절의 대전자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드릴링하여 일정깊이 구멍을 뚫는다.
이때, 드릴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본체(110)의 하단을 구멍에 끼운 후 박아 넣으면서 최종적으로 임플란트본체(110)의 상단이 고관절의 대전자 상면과 일치되게 유지시킨다.
이후, 작업툴(200)의 본체고정부(210) 일단을 임플란트본체(110)의 상단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작업툴(200)의 상부나사못가이드공(224)을 통해 나사못가이드(미도시)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나사못(130)을 박기 위해 대전자의 하부에서 대퇴골두를 향해 대퇴골경부 속으로 드릴링한다.
어느 정도 드릴링이 완료되면 상부나사못(130)을 드릴링된 구멍에 끼운 후 나사못가이드를 통해 상부나사못(130)을 대퇴골두까지 조여 박는다.
이때, 상부나사못(130)이 설치된 위치(높이) 및 각도 등의 조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되어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부나사못(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어 하부나사못(150)을 고정함으로써 기본적인 시술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는 형태가 다른 고관절 환자에 가장 적합하고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토록 하여 준다.
100: 임플란트
200: 작업툴

Claims (6)

  1. 고관절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작업툴을 포함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고관절의 대퇴부에 심어지는 임플란트 본체와, 상기 임플란트본체의 상단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타원형상의 장공과, 상기 장공을 통해 경사 고정되면서 고관절의 대퇴골경부를 통해 대퇴골두에 심어지는 한 쌍의 상부나사못과, 상기 임플란트본체의 하단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한 쌍의 정공과, 상기 정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임플란트본체의 하단부를 고관절의 대퇴부에 고정하는 하부나사못과, 상기 장공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나사못의 설치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툴은 본체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본체고정부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된 임플란트본체의 내경에는 장공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장공의 제일 하단에 체결 고정되어 상부나사못이 고정될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상부나사못이 특정각도로 유지되게 고정하도록 상기 장공에 단순히 끼워지는 제2조절부재와, 상기 제2조절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장공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3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제1헤드부가 볼록하게 반구형상으로 라운드 가공된 형상을 가지며, 라운드 가공된 제1헤드부의 표면에 제1공구홈이 요입형성되고, 제1헤드부의 하측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1체결부를 이루며, 제1체결부의 둘레에는 장공나사산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는 하단면이 경사진 형태를 갖고, 경사진 하단면에는 상부나사못이 끼워지는 못고정홈이 곡률을 갖고 상향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조절부재는 상기 제2조절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부재로서, 표면이 평평하고 평평한 표면에 제2공구홈이 형성된 제2헤드부를 포함하며, 제2헤드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제2체결부를 형성하되 제2체결부의 둘레에는 상기 장공나사산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의 일단에는 임플란트본체의 상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롤홈이 형성되며, 상기 롤홈에는 다수의 나사형롤이 구비된 나사롤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고정되고, 상기 나사롤의 일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본체고정부에서 일체로 돌출된 롤커버부에 의해 커버되며, 롤커버부의 내부에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단에는 상기 롤커버부에 내장되면서 상기 나사롤에 나사결합되는 롤나사부가 형성되어 높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부는 하단가이드부로 더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단가이드부에는 하부나사못가이드공이 포함되며;
    상기 하단가이드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에는 나사홈부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내경에는 피메일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부의 상단에는 상기 나사홈부에 삽입되게 돌출된 돌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의 외경에는 상기 나사홈부에 나사체결되는 메일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KR1020180128073A 2018-10-25 2018-10-25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KR10218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073A KR102186599B1 (ko) 2018-10-25 2018-10-25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073A KR102186599B1 (ko) 2018-10-25 2018-10-25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632A KR20200046632A (ko) 2020-05-07
KR102186599B1 true KR102186599B1 (ko) 2020-12-11

Family

ID=7073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073A KR102186599B1 (ko) 2018-10-25 2018-10-25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5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930A (en) * 1996-01-26 1997-07-22 Kertzner; Richard I. Orthopedic centering tool
US20080140077A1 (en) * 2006-12-09 2008-06-12 Adel Kebaish Femoral Universal Nail
JP5744968B2 (ja) 2003-09-08 2015-07-08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整形外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骨ねじ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041B1 (ko) 2006-07-14 2007-01-05 (주)오티스바이오텍 인공고관절용 스템
EP2386273B1 (en) 2010-05-12 2016-03-09 Smith & Nephew Orthopaedics AG Improved hip-joint prosthesis
KR101244901B1 (ko) * 2010-12-06 2013-03-18 김정재 대퇴골 골수 정 고정용 조준아암
KR20170070911A (ko) 2015-12-14 2017-06-23 주식회사 케이씨스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930A (en) * 1996-01-26 1997-07-22 Kertzner; Richard I. Orthopedic centering tool
JP5744968B2 (ja) 2003-09-08 2015-07-08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整形外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骨ねじアセンブリ
US20080140077A1 (en) * 2006-12-09 2008-06-12 Adel Kebaish Femoral Universal N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632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62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ing a secondary glenoid prosthesis
US7553332B2 (en) Expandable, supporting acetabular cup
ES2283597T3 (es) Acetabulo protesico modular.
US6706072B2 (en) Modular prosthesis having a stem component with a counterbored cavity defined therein and associated method
US6193755B1 (en) Spinal cage assembly
US3996625A (en) Artificial hip joint with novel stem
US3641590A (en) Acetabular replacement prosthesis and method of assembling
US3053251A (en) Joint prosthesis
US5489310A (en) Universal glenoid shoulder prosthesis and method for implanting
EP2484315A1 (en) Minimally invasive total hip replacement
AU2003242502A1 (en) Intramedullary nail with a hybrid bow
US20080004711A1 (en) An external proximal femoral prosthesis for total hip arthroplasty
WO1993016663A1 (en) Hip joint prosthesis
JP2011502641A (ja) 人工関節周囲骨折の修復
JP2004504070A (ja) 大腿骨固定具および大腿骨固定具セット
US10307245B2 (en) Tendon retention device
US1195759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less invasive glenoid replacement
KR102186599B1 (ko)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US9180014B2 (en) Hip joint device and method
KR100458638B1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 컵
EP3191028B1 (en) Femoral stem and post system for hip prosthesis
CN213346178U (zh) 一种股骨柄假体
RU27967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тазобедренного сустава у собак и кошек
US1199241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less invasive glenoid replacement
WO2021115960A1 (en) Total hip or shoulder prosthesis and kit of instruments for placement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