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585B1 -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585B1
KR102186585B1 KR1020190118141A KR20190118141A KR102186585B1 KR 102186585 B1 KR102186585 B1 KR 102186585B1 KR 1020190118141 A KR1020190118141 A KR 1020190118141A KR 20190118141 A KR20190118141 A KR 20190118141A KR 102186585 B1 KR102186585 B1 KR 10218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loan contract
online
remittance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우
Original Assignee
김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우 filed Critical 김승우
Priority to KR102019011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금융거래시 선택적으로 대출계약이 자동으로 생성 및 관리되도록 하여, 금융 거래 당사자 간의 대출 계약의 존재, 대출 금액, 대출금 상환 일정 또는 대출금 상환 여부 등의 대출 계약 정보와 관련되어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Management Method of Online Loan Contract And Online Financial Trading Ap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Method of Online Loan Con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온라인 금융거래시 선택적으로 대출계약이 자동 생성 및 관리되도록 하여, 금융 거래 당사자 간의 대출 계약의 존재, 대출 금액, 대출금 상환 일정 또는 대출금 상환 여부 등의 대출 계약 정보와 관련되어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금전을 직접 주고받는 방식의 금융거래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노트북/스마트폰/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 통신의 발전에 따라 금융 거래도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온라인 금융거래가 일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금융거래는 은행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개인과 은행 또는 개인과 개인간의 금융거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 금융거래가 필요한 경우 거래 당사자 중 일인이 은행을 방문하여 현금으로 인출해 상대방에게 제공하거나 은행에서 계좌이체를 통해 금전을 이체했지만, 최근에는 PC, 스마트폰 등의 온라인 통신이 가능한 기기들을 통해 쉽게 온라인 거래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온라인 거래는 수수료 부담과 시간 낭비가 최소화되어, 금전을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이 번거롭지 않게 되어 온라인을 통한 개인간 금전 거래의 건수가 은행을 방문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금전 거래 건수를 압도하고 있으며, 개인과 개인 사이의 금융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가까운 지인에게 쉽게 소액의 돈을 대여하거나 상환하는 금전 거래가 일상화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금전 거래는 단순히 금전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지만 금전 거래의 이유가 금전의 대여 또는 상환인 경우, 이를 거래 당사자들이 정확하게 기억하고 관리하지 못해 많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여금이 소액인 경우 돈을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 모두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돈을 대여한 채권자가 채권의 회수를 원하더라도 인간관계 등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채무자에게 상환을 요청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고, 소액의 금전 관계로 인하여 인간 관계가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금융거래시 선택적으로 대출계약이 자동으로 생성 및 관리되도록 하여, 금융 거래 당사자 간의 대출 계약의 존재, 대출 금액, 대출금 상환 일정 또는 대출금 상환 여부 등의 대출 계약 정보와 관련되어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대출계약을 생성 및 관리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송금인이 송금액 및 수금인을 포함하는 송금정보를 특정하여 입력하는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 상기 금전 거래가 금전 대출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임을 확인하는 대출 계약 확인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된 경우 온라인 금전 거래의 송금과 함께 대출 계약을 생성하는 대출 계약 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선택하는 선택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는 상기 송금정보 입력 화면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선택하는 체크박스를 클릭하거나, 상기 송금정보 입력 화면에서 팝업된 팝업창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선택하는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는 대출금 상환일, 대출 이자 및 상환일 알림 일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추가정보 입력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대출 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보관함에 대출 계약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는 생성된 대출 계약서를 대출 계약의 채무자에게 SMS 또는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출 계약의 채무자로부터 채권자에게 송금이 발생되고,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전액 상환으로 확인된 경우 대출 계약을 종료시키는 대출 계약 종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출 계약의 채무자로부터 채권자에게 송금이 발생되고,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일부 상환으로 확인된 경우 대출 계약을 변경시키는 대출 계약 변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또는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 수행 전 상기 채무자의 송금이 발생시 상기 채권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송금용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상환이 맞는지 채권자에게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는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대출 계약서를 변경 또는 삭제하거나, 대출 계약서의 내용을 일부 상환 또는 상환 완료로 변경하거나, 대출 계약이 변경되거나 완료된 계약서를 상기 보관함과 다른 보관함에 이동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는 대출 계약의 상환된 금액의 영수증을 생성하고, 채무자에게 상기 영수증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는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보관함 또는 영수증 보관을 위한 영수증 보관함에 상기 영수증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의하면, 소액 금전 대여 발생시 채권자와 채무자 간의 대여금의 존재, 상환 여부 또는 상환 일정 등과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착오 또는 망각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불미스러운 상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의하면, 금전 송금시 금전의 성격이 대여금이라는 간단한 확인 절차만으로 계약의 생성 및 관리가 수행되어, 별도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며 상환 요청 또는 상환에 따른 영수증 요청 등의 절차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거래 당사자들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금전의 송금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됨에 따라 금전 송금을 위한 추가정보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적용된 대출 진행중에 상환일 알림이 진행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보관함에 대출 계약서가 저장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대출 계약서가 전송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대출 계약서가 상환 완료 상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대출 계약이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대출 계약이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채무자의 상환에 대한 영수증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해당하며 동일한 효과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역시 동일/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대출계약을 생성 및 관리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개인용 컴퓨터(Personal PC) 등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가능한 것이라면 모두 해당되며,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스마트 뱅킹(Smart Banking), 인터넷 뱅킹(Internet Banking), 모바일 송금 서비스(Mobile Money Transfer) 등 금전 거래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송금인이 송금액 및 수금인을 포함하는 송금정보를 특정하여 입력하는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S100), 상기 금전 거래가 금전 대출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임을 확인하는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 및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된 경우 온라인 금전 거래의 송금과 함께 대출 계약을 생성하는 대출 계약 생성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S100)는 특정인, 즉, 수금인에게 특정 금액을 송금하기 위해, 수금인의 계좌정보 및 송금 금액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온라인 뱅킹 및 스마트 뱅킹 등에서의 송금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인 송금 과정을 통해 송금인과 수금인 간 송금과정 혹은 수금과정에 적용된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 구축되어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금융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적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금의 송금이 완료된 후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송금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SMS 또는 SNS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송금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송금이 단순 송금인지 여부에 따라 채무자의 송금이 발생시 상기 채권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상환이 맞는지 채권자에게 확인하는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고, 전액 상환인 경우에는 대출 계약 종료단계(S400)가 수행되어 대출 계약이 소멸되도록 관리하거나, 일부 상환인 경우, 대출금의 금액을 변경하는 대출 계약 변경단계(S500)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상환된 금액에 대해서는 영수증(이미지 또는 PDF 포맷 등)이 발행될 수 있고 채무자에게도 전송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액 대여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금전 대여 계약 등을 체결하고 계약서 작성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금전 송금의 성질을 송금 단계에서 선택 메뉴(팝업창 등)를 통해 대여금이라는 선택을 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계약 생성과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금전의 송금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일반적인 송금과정은 송금자가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한 후 '이체'항목을 선택(도 2(a) 참조) 한 후, 송금 금액 및 수금인 계좌정보를 입력(도 2(b) 참조)한 후, 공인인증서 등 송금 주체가 계좌주임을 확인하는 절차를 걸쳐 이체를 진행(도 2(c))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송금 과정이 일반적인 송금, 즉, 대출계약 등 송금인과 수금인 간의 암묵적이거나 공식적인 계약관계가 개입되지 않은 송금과정이라면, 종래의 송금 과정으로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지만, 만약, 송금인 및 수금인 간 송금되는 돈에 대한 대여 및 대출 관계가 형성될 경우, 이에 대한 금전거래 내역이 명확히 기재된 계약서 및 대여금(또는 대출금)의 상환 스케줄 등을 명확화 및 체계화 하는 것이 송금인 및 수금인 상호간에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은행, 캐피탈 및 대부업체와 같이 대출업체 및 수금인(채무자 혹은 채무자) 간의 대출계약이 아니더라도,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전이동에 대하여, 향후 상환 스케줄이나 이자 산정 등이 필요할 경우, 개인간의 거래에서도 대출계약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상술한 기존의 금전 송금 과정과는 달리,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전 거래, 즉, 대출 거래에 특화된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융기관 외의 개인간의 금전거래 상에서도 대출 계약 체결 및 상환이 용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적용된 단말기의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송금 금액 및 수금인 정보를 입력(도 3의 (b) 참조)하는 상기 금전 거래 준비단계(S100) 까지는 상술한 종래의 온라인 금전 송금 과정과 유사하지만,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부터는 종래 방법과는 차별화된 목적 및 기능을 포함한다.
즉,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는 송금인의 송금 목적이 결정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송금인의 송금 이유가 일반적인 금전 이동에 해당하는 단순 송금인지, 혹은 대출을 목적으로 하는 송금인지가 결정될 수 있으며, 대출을 목적으로 하는 송금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본격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송금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선택하는 선택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를 통해,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송금인은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S100)에서 입력한 송금 금액 및 수금인 정보(수금인명, 수금인 계좌 정보 등)를 기반으로, 송금의 목적이 대출 계약을 전제로 하는 것인지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될 수 있는 체크박스 등 별도의 선택항목을 선택하거나, 상기 온라인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 상 송금정보 입력 화면에서 팝업된 팝업창을 통한 선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별도 구비된 체크박스가 선택됨으로써, 송금인의 금전 송금 행위가 대여 목적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에서 진행되는 송금인의 송금 목적 선택은,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전 이동에 앞서, 금전 이동에 대한 송금인 및 수금인 간 대출 계약 체결 의향이 사전 합의된 상황을 전제 하는 것으로서,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전적인 이해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스마트 뱅킹(Smart Banking), 인터넷 뱅킹(Internet Banking), 모바일 송금 서비스(Mobile Money Transfer) 등 다양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들과 연동 가능하거나, 별도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도 있다.
근래에 들어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하는 핀테크(FinTech = Finance + Technology)가 각광받고 있는데, 이러한 핀테크 서비스 중 하나로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결제, 송금, 멤버십, 청구서, 인증 등을 이용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송금인 및 수금인 간 보다 간편한 대출 계약의 체결 및 이의 관리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핀테크 서비스에도 적용되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 구현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이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송금인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선택 가능하게 구비되는 송금 항목을 선택(도 4의 (a) 참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융 거래의 개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금인 및 수금인 간 대화 도중에 송금인의 송금 선택으로 개시될 수 있으며, 또는 송금인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대화상대 리스트 중 특정인에 대한 송금을 선택함으로써 개시될 수 도 있다.
이경우,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송금인의 송금 선택은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S100)에 해당하는데, 이는 송금인이 특정인을 수금인으로 선택함으로써 수금인의 정보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하므로 수금인의 계좌정보 또한 자동으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융거래가 개시되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는 송금의 목적이 대여인지, 혹은 대여 외의 타 목적의 송금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송금인의 의사에 의해 송금 목적이 대여임이 선택(도 4의 (b) 참조)되고, 금전의 송금이 진행(도 4의 (c)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이와 연동 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구현 가능한 바, 사용자의 접속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의 적용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사용 친화력을 높일 수 있으며,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금전의 송금(대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됨에 따라 금전 송금을 위한 추가정보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에서 송금인의 송금 이유가 금전 대출임이 선택(도 5의 (a))됨에 따라,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상 송금 유형이 금전 대출임이 확정될 수 있으며, 이후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전 대출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는 대출금 상환일, 대출 이자 상환일 알림 일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추가정보 입력단계(S210)를 더 수행(도 5의 (b) 참조)할 수 있다.
송금인으로부터 수금인 간 대출 계약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금전 송금에 대한 수금인의 상환 일, 즉, 대출금 상환일이 명확해져야 하므로, 송금인 및 수금인 간 합의에 따라, 또는 채권자 자격을 얻게 될 송금인의 결정에 따라 대출금 상환일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출금 상환일로부터 일정 기간 전에 수금인 또는 송금인에게 대출금 상환일이 도달하였음을 일회적 또는 일정 주기로 알릴 수 있는 상환일 알림 일자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정보 입력단계(S210)를 통해 설정된 상환일 알림 일자에 따라, 송금인 및 수금인의 사용자 단말기는 대출금 상환일이 도달 하였음을 사전 알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 기능은 송금인 및 수금인 간 금전 송금이 진행되는 상기 온라인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전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관리 어플이나 알람 어플 등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연이율 등의 이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환일에 따라 (연이율/365) * 대여일수에 해당되는 이자가 부가될 수 있고, 이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무이자 대여로 대출 계약이 진행될 수 있고, 상환일을 따로 입력하지 않는 경우, 무기한 대여 또는 일반 채권의 소멸시효 완성일로 대출 계약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이 적용된 대출 진행중에 상환일 알림이 진행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이러한 상환일 알림 진행이 사용자 단말기의 SMS 서비스(SNS 서비스)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도시하나, 상기 대여금 송금에 사용된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나 알람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 제공기능을 통해서도 진행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추가 정보 입력단계(S210)는 송금인의 대여 금액에 대한 이자 부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상기 추가 정보 입력단계(S210)를 통해 입력된 대출 이자는 송금인 및 수금인 간 대출계약 사항에 반영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추가 정보 입력단계(S210)를 통해 대출금 상환일, 대출 이자 및 상환일 알림 일자가 모두 입력되는 것을 도시하나, 경우에 따라 이 중 선택적인 입력이 가능할 수 도 있으며, 그 외 대출 계약에 용이한 항목 설정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항목이라도 추가될 수 도 있다.
대출 계약을 위한 추가 정보를 입력한 후, 송금인이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금인에게 송금을 진행하면, 대출 계약이 체결될 수 있으며, 송금인 및 수금인은 대출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채권자 및 채무자 관계로 변환되어 법적 효력에 따른 금전적 채무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채권자 및 채무자 가 대출 계약이 체결되면,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S300)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대출 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가능한 SNS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제공된 보관함에 대출 계약서(이미지 또는 PDF 포맷 등의 호환성 있는 파일 형태이거나 암호화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전용 문서 양식)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채권자 및 채무자 간 합의에 따라 송금액, 상환일 및 대출이자 등 대출 계약을 위한 기반 사항이 결정될 수 있으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의사가 반영된 사항이 대출 계약서로 생성되므로, 전체적으로 반자동적 대출 계약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채권자 및 채무자 간 대출 계약에 따른 합의사항은 모두 수동으로 입력 가능하므로, 당사자 간 법적 분쟁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이의 모든 사항은 대출 계약서로 자동 생성되므로, 보다 간편한 대출 계약 체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보관함에 대출 계약서가 저장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채권자로부터 채무자에게 금전이 송금되어 대출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대출 계약서가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보관함에 저장(도 7의 (a) 참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보관함을 통해, 채권자 및 채무자는 대출 계약서를 열람(도 7의 (b) 참조)할 수 있으며, 이와 별도로 기존에 진행되었던 대출 계약건들이 존재할 경우, 그간 진행되어 상환이 완료되었거나 대출이 진행중인 다른 대출 계약건들에 대한 대출 계약서 또한 열람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S210)는 생성된 대출 계약서를 대출 계약의 채무자에게 SMS 메시지 또는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SNS 메시징 기능을 통해 전송(이미지 또는 PDF 포맷 등)함으로써, 당사자 간 대출 계약에 대한 의무사항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시키고 대여금의 존재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채무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출 계약서가 전송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S210)가 생성된 대출 계약서를 사용자 단말기의 SMS 기능을 통해 채무자 및/또는 채권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나, 그 외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SNS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며, 대출 계약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S100),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S200) 및 상기 추가 정보 입력단계(S210)를 통해 진행될 수 있는 대출 계약 체결에서부터 계약서 생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대출 계약 이후로부터 대출 계약이 종료되거나, 대출 계약이 변경되는 사항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상기 대출 계약의 채무자로부터 채권자에게 송금이 발생되고,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전액 상환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대출 계약을 종료시키는 대출 계약 종료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대출 계약의 종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대출 계약은 대출 계약의 만료일 또는 대출 계약 기간 중에, 채무자의 채무액 상환을 통해 종료될 수 있으며, 채무자는 금전 상환을 목적으로 채권자에게 금전을 송금(즉, 채무자의 입금 발생)할 수 있다.
채무자가 채무액의 전액을 상환한 것으로 확인된다면, 상기 대출 계약 종료관계(S400)는 채무자 및 채권자 간 대출 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채무자가 상환해야 할 채무액은 금전 상환 시점에, 대출 계약에 따른 이자가 원금에 합산된 금액일 수 있다.
따라서, 채권자는 채무자가 송금한 금액이 대출금의 상환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의 송금인지 확인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S400) 수행 전 상기 채무자의 송금이 발생시 상기 채권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상환이 맞는지 채권자에게 확인하는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무자로부터 채권자로의 송금이 발생될 경우,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에서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은 채무자의 송금을 인식하고, 채권자에게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 또는 채권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SMS나 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권자의 금액 확인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에 채권자는 채무자로부터 송금된 금액을 확인하여 송금된 금액이 송금 시점에서의 상환금 전액인지, 아니면 상환금액보다 부족한 금액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는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팝업창을 통한 문답식 확인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채권자의 확인결과, 채무자가 송금한 금액이 상환되야 할 대출 상환금 전액이라고 판단되어 대출 종료가 확인될 경우, 채권자 및 채무자 간 대출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경우, 채무자는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체크박스나,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팝업된 팝업창을 통해 대출 계약의 종료를 승인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S350)에서 채권자의 확인에 따른 채무자의 송금 금액 검토 결과, 송금된 금액이 채무자가 상환해야 할 대출금 전액보다 부족한 경우, 채무자는 해당 대출 계약의 종료를 승인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은 상기 대출 계약의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송금이 발생된 시점에서,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전액 상환이 아닌 일부 상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대출 계약을 종료키지 않고 대출 계약을 변경시키는 대출 계약 변경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무자의 송금이 전액 상환인지, 혹은 아닌지의 여부는,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에 대한 사항과 대동소이 하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S400)에서 대출 계약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보관함에 저장된 대출 계약서가 상환 완료 상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곧 해당 대출 계약이 상환 완료 상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대출 계약서가 상환 완료 상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채무자로부터 채권자로 송금이 발생(도 9의 (a) 참조)될 경우,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S350)에서 해당 송금이 대출금 전액에 대한 송금인지 판단될 수 있으며, 만약 전액 상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S400)는 채권자 및 채무자 간 대출 계약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보관함에 저장된 대출 계약서를 상환 완료로 변경(도 9의 (b)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환 완료된 대출 계약에 대한 대출 계약서는 상기 보관함에 상환 완료로 표기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채무 및 채권 관계가 종료된 당사자들은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상환 완료된 대출 계약서를 확인(도 9의 (c) 참조)할 수 있다.
도 9을 통해서는 대출 계약 종료된 거래에 대해 상환 완료 상태의 대출 계약서가 보관함에 저장되어, 대출 계약 종료 후에도 그간 대출 이력을 확인할 수 있음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를 통해서는 대출 종료된 계약서가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삭제될 수 도 있으며, 또는 대출 종료된 계약서가 대출 진행중인 계약서가 보관된 상기 보관함과는 다른 보관함으로 이전도어 별도로 보관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대출 계약 종료와는 달리 채무자가 송금한 금액이 전액 상환이 아니라 일부 상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S500)는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대출 계약서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채무자의 송금액이 송금 시점의 대출금 상환 전액에 못미치는 경우,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S500)는 상기 보관함에 저장되어 있는 대출 계약서를 변경하거나, 대출 계약서의 내용을 일부 상환으로 변경하거나, 계약 변경된 대출 계약서를 기존의 저장 공간인 상기 보관함과 다른 보관함으로 이관하여 별도로 저장할 수 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대출 계약이 변경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대출 계약이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대출 계약 변경에 따른 상기 보관함 및 대출 계약서의 변경에 대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S500)는 채무자의 송금이 기존 체결된 대출 계약에 따른 전액 상환 금액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보관함에 저장되어 있는 대출 계약서를 채무자의 송금 시점 대출금 차액에 대한 계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도 10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에 상기 보관함에 저장되어 있던 대출 계약서를 채무자의 송금액에 대해서만 상환 완료로 변경(도 10의 (b), (c) 참조)하고, 상환되지 않은 차액에 대한 계약은 새롭게 생성(도 10의 (b), (d) 참조)할 수 있으며, 도 1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에 상기 보관함에 저장되어 있던 대출 계약서의 상태를 일부 상환으로 변경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채무자의 전액 미상환으로 인한 대출 계약 변경에 따른 상기 보관함 및 상기 대출 계약서의 변경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로만 한정되지 않고, 대출 계약 변경 사항을 채무자 및 채권자가 모두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모든 대출 계약에서는 대출금 상환(일부 또는 전액)에 대한 영수증이 제공되어야 하는 바, 상기 대출계약 변경단계(S500) 및 상기 대출계약 종료단계(S400)는 대출 계약의 상환된 금액의 영수증을 생성하고, 채무자에게 영수증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따라 채무자의 상환에 대한 영수증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채무자의 상환에 따라 영수증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S500)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S400)는 상기 영수증을,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상기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되어 대출 계약서가 저장되는 보관함 또는 이와 별도로 상환에 대한 영수증이 별도로 보관되는 영수증 보관함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의하면, 금전 송금시 금전의 성격이 대여금이라는 간단한 확인 절차만으로 계약의 생성 및 관리가 수행되어, 별도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며 상환 요청 또는 상환에 따른 영수증 요청 등의 절차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거래 당사자들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고, 소액 금전 대여 발생시 채권자와 채무자 간의 대여금의 존재, 상환 여부 또는 상환 일정 등과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착오 또는 망각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불미스러운 상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상술한 사항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S100 ………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
S200 ……… 대출 계약 확인단계
S210 ……… 추가 정보 입력단계
S300 ……… 대출 계약 생성단계
S350 ………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
S400 ……… 대출 계약 종료단계
S500 ……… 대출 계약 변경단계

Claims (13)

  1.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대출계약을 생성 및 관리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에 있어서,
    개인인 송금인이 송금액 및 개인인 수금인을 포함하는 송금정보를 특정하여 입력하는 온라인 금전 거래 준비단계;
    상기 금전 거래가 금전 대출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확인하는 선택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대출 계약 확인단계;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된 경우 온라인 금전 거래의 송금과 함께 대출 계약을 생성하는 대출 계약 생성단계;
    상기 대출 계약의 채무자로부터 채권자에게 송금이 발생되면, 상기 채권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금전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상환이 맞는지 채권자에게 확인하는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 및,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에서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전액 상환 또는 일부 상환으로 확인된 경우 대출 계약을 종료 또는 변경시키는 대출 계약 종료 또는 변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송금을 위한 모바일 뱅킹(Banking) 어플리케이션, 송금(Mobile Money Transfer) 어플리케이션, 온라인 송금 기능을 구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온라인 송금 기능을 구비한 SNS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송금은 개인간 금전 송금으로 처리되며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 또는 변경단계는 수행되지 않고, 상기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이 확인되면,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 상기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 또는 변경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는 상기 송금정보 입력 화면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선택하는 체크박스를 클릭하거나, 상기 송금정보 입력 화면에서 팝업된 팝업창에서 송금의 이유가 금전 대출임을 선택하는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에서 금전 거래가 대출 계약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대출 계약 확인단계는 대출금 상환일, 대출 이자 및 상환일 알림 일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추가정보 입력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는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대출 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보관함에 대출 계약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생성단계는 생성된 대출 계약서를 대출 계약의 채무자에게 SMS 또는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또는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 수행 전 상기 채무자의 송금이 발생시 상기 채권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송금용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송금이 대출금의 상환이 맞는지 채권자에게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대출금 상환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는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대출 계약서를 변경 또는 삭제하거나, 대출 계약서의 내용을 일부 상환 또는 상환 완료로 변경하거나, 대출 계약이 변경되거나 완료된 계약서를 상기 보관함과 다른 보관함에 이동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는 대출 계약의 상환된 금액의 영수증을 생성하고, 채무자에게 상기 영수증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계약 변경단계 및 상기 대출 계약 종료단계는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보관함 또는 영수증 보관을 위한 영수증 보관함에 상기 영수증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13.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며,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의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KR1020190118141A 2019-09-25 2019-09-25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KR10218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41A KR102186585B1 (ko) 2019-09-25 2019-09-25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41A KR102186585B1 (ko) 2019-09-25 2019-09-25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585B1 true KR102186585B1 (ko) 2020-12-03

Family

ID=7377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141A KR102186585B1 (ko) 2019-09-25 2019-09-25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448A (ko) * 2001-01-29 2002-08-03 삼성증권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금융자산을 담보로 한 청약 대출서비스시스템
KR20170088168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소액 결제 기반의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4974A (ko) * 2016-11-14 2018-05-2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수취인 증명 기반의 모바일 차용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448A (ko) * 2001-01-29 2002-08-03 삼성증권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금융자산을 담보로 한 청약 대출서비스시스템
KR20170088168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소액 결제 기반의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4974A (ko) * 2016-11-14 2018-05-2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수취인 증명 기반의 모바일 차용거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7448B2 (en) Physical, logical separation of balances of funds
KR102634772B1 (ko) 비-금융 기관 시스템에서 안전 거래를 돕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32884A1 (en) Real-time payments through financial institution
US20180005323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cking transactions
US201303323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rusted Borrowing and Lending Using Electronic Funds
US20080015982A1 (en) Funds transfer method and system including payment enabled invoices
US20150371212A1 (en) Integrated transaction and account system
US20180308073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resource deficiency triggered dynamic resource transfer
CN114819927A (zh) 用于便于多收款方支付的电子支付的系统、方法及介质
US8527414B2 (en) Offsetting future account discrepancy assessments
WO2008011102A2 (en) Funds transfer method and system including payment enabled invoices
US11270313B2 (en) Real-time resource account verification processing system
US20200242600A1 (en) System for leveraged collaborative pre-verification and authentication for secure real-time resource distribution
Pochynok et al.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accounting of public procurement
KR101699536B1 (ko) 하이브리드 계좌를 이용한 자동투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11087324B2 (en) Pre-authorized secure resource allocation system
US20200242509A1 (en) System for event data extraction for real-time event modeling and resolution
KR102186585B1 (ko) 온라인 대출계약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WO2022271428A1 (en) Automatic tax account management
US20140258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otating funding cycle
KR101360173B1 (ko) 특정금전신탁기능이 구비된 뱅킹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07678A1 (en) Disbursement and settlements system and method
KR101702858B1 (ko) 하이브리드 계좌를 이용한 자동투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20130212023A1 (en) Offsetting future exceeded account threshold payments
KR101681767B1 (ko) 하이브리드 계좌를 이용한 자동투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