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999B1 -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999B1
KR102185999B1 KR1020190086069A KR20190086069A KR102185999B1 KR 102185999 B1 KR102185999 B1 KR 102185999B1 KR 1020190086069 A KR1020190086069 A KR 1020190086069A KR 20190086069 A KR20190086069 A KR 20190086069A KR 102185999 B1 KR102185999 B1 KR 10218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air
impact bar
conveyor bel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to KR102019008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물을 컨베이어 벨트에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슈트와, 슈트를 지지하는 슈트 프레임과, 양측의 하부에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안쪽은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수직 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확장되는 U 형상의 지지 스탠드부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컨베이어 벨트가 세로 방향으로 무빙하도록 지지하는 임팩트 바 모듈 및 임팩트 바 모듈의 다수의 임팩트바의 에어 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수단 및 상단 임팩트 바 모듈과 슈트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Dust Prevention Apparatus for Chute of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서 수송물을 낙하시키는 슈트 위치에서 분진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통 일반 구간에서는 컨베이어 벨트는 롤러에 의하여 거의 수평으로 이동되다가 슈트 위치에서는 분진발생이나 수송물의 벨트 밖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펙트 바에 의하여 반 타원 형태로 형성된 바닥부를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하므로 컨베이어 벨트도 반 타원 형태의 모양으로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슈트 위치를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50059호(2015. 9. 4.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는 1차 스커트 보드(10), 1차 스커트 보드(10)의 바깥쪽에 일정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2차 스커트 보드(20), 2차 스커트 보드(20)의 바깥쪽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실링 러버(30)로 구성된다. 1차 스커트 보드(10)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서 예컨대 5~7t 두께의 철판으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슈트(1)의 저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도록 플랜지 결합된다. 1차 스커트 보드(10)와 컨베이어 벨트(3)의 마모와 손상 방지를 위하여 1차 스커트 보드(10)는 컨베이어 벨트(3)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컨베이어 벨트(3)를 따라 운반되는 석탄의 대부분(95% 이상)을 차단한다. 1차 스커트 보드(10)의 안쪽면에 라이너(40)가 덧대어질 수 있다. 라이너(40)는 철판,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7~9t의 두께일 수 있고, 1차 스커트 보드(10)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컨베이어 벨
트(3)와 8~12mm 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2차 스커트 보드(20)는 1차 스커트 보드(10)의 바깥쪽에 각각 일정 공간(S)을 두고 설치된다. 1차 스커트 보드(10)와 2차 스커트 보드(20) 사이의 공간(S)은 1차 스커트 보드(10)에 의해 차단되지 못한 석탄이 잔류하는 공간이며 2차 스커트 보드(20)의 점검창을 통해 공간(S)에 잔류하는 석탄을 제거할 수 있다. 2차 스커트 보드(20)는 1차 스커트 보드(10)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보드 고정부(21), 보드 고정부(21)에서 1차 스커트 보드(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며 점검창(22)이 구비되는 경사부(23), 경사부(23)의 하단부에서 컨베이어 벨트(3)를 향해 연장되며 사이드 실링 러버(30)가 장착되는 러버 장착부(24)로 구성된다. 2차 스커트 보드(20)는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드 고정부(21)와 러버 장착부(24) 사이에 경사부(23)를 형성하는 것이며, 부식방지를 위하여 SUS를 재질로 하거나 표면이 부식방지 코팅된 철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드 고정부(21)는 볼트와 너트, 용접 등으로 1차 스커트 보드(10)에 조립된다. 2차 스커트 보드(20)와 컨베이어 벨트(3) 간의 간격조절을 위하여 1차 스커트 보드(10)에는 상하 종방향의 장공 또는 다단의 갭조정 구멍이 형성되고 보드 고정부(21)는 상기 장공 또는 다단의 갭조정 구멍에 조립되어 2차 스 커트 보드(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경사부(23)의 점검창(22)은 절개를 통해 개방되는 공간이며 점검창 도어(50)를 통해 개폐된다. 점검창 도어(50)는 예를 들어 일측(바람직하게 상측)이 경사부(23) 또는 보드 고정부(21)에 경첩으로 연결되는 회동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 다양한 개폐 방식이 가능하고, 록커 등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또한, 점검창 도어(50)는 점검창(22)을 통해 석탄과 미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점검창(22)을 막는 크기의 판재이며 점검창(22)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공간(S)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점검창 도어(50)는 손잡이가 갖추어진다. 점검창(22)은 1차 스커트 보드(10)와 2차 스커트 보드(20) 사이의 공간(S)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공간만을 제공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수(석탄의 제거 등)가 가능하도록 작업 도구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가 과다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슈트 하부를 지나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슈트 하부에 구성되는 다수의 임팩트 바를 통하여 에어를 상부로 공급하여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하부를 밀어 올려서 컨베이어 벨트와 임팩트 바와의 마찰을 줄이도록 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를 줄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슈트에서 컨베이어 벨트 상부로 낙하하는 수송물에도 불구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으로 분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은 수송물을 컨베이어 벨트에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슈트와, 슈트를 지지하는 슈트 프레임과, 양측의 하부에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안쪽은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수직 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확장되는 U 형상의 지지 스탠드부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컨베이어 벨트가 세로 방향으로 무빙하도록 지지하는 임팩트 바 모듈 및 임팩트 바 모듈의 다수의 임팩트바의 에어 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수단 및 상단 임팩트 바 모듈과 슈트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 위치에서의 분진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팩트 바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여 임팩트 바 상부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에어로 밀어 올려 컨베이에 벨트와 임팩트 바와의 마찰을 줄여서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슈트 하부의 임팩트 바 모듈 형상이 반 원형으로 형성되어 슈트에서 낙하하는 수송물이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으로 낙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모듈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 사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모듈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 공급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정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진 방지 장치의 확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절개 확대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를 도 2 내지 도 8을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는 수송물을 컨베이어 벨트에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슈트(100)와, 슈트를 지지하는 슈트 프레임(200)과, 양측의 하부에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320)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안쪽은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수직 프레임(330)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확장되는 U 형상의 지지 스탠드부(300)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전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롤러부로 구성된 전면 롤러부(400)와, 스탠드부 후면에 설치되어 스탠드부를 패스한 컨베이어 벨트를 가이드하는 후면 롤러부(500)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컨베이어 벨트가 세로 방향으로 무빙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에서 무빙하는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다수의 임팩트바로 구성된 임팩트 바 모듈(600) 및 임팩트 바 모듈의 다수의 임팩트바에 형성된 에어 공급수단(700) 및 임팩트 바 모듈의 상단 임팩트 바와 슈트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8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측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800)는 슈트 하부에서 슈트(100)와 양단 상단 임팩트 바 사이에 구성되는 것이고, 슈트 하부에 구성되는 임팩트 바 모듈(600) 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롤러부가 연결 구성되는 전면 롤러부(400)는 수평면과의 경사각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롤러부가 형성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롤러부는 롤러부 지지대(45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고, 상기 다수의 롤러부 상부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되며, 슈트(100)에 가까이 갈수록 롤러부의 수평면과의 경사각이 커져서 임팩트 바 모듈(600)이 형성하는 반타원형 곡선부와 그 형상이 거의 일치하게 되는 것으로 슈트 (100)전에서는 수평으로 이동되던 컨베이어 벨트가 슈트 직 하부에서는 전면 롤러부(40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타원형으로 굽은 형태로 변형되어 이동되고 슈트(100)를 패스한 후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다시 거의 수평 형태로 복원되어 이동되도록 후면 롤러부(500)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전면 롤러부(400)는 다수의 롤러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1롤러부(410)와 제2롤러부(420) 또는 제1롤러부, 제2롤러부 및 제3롤러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정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800)는 슈트(100)와, 슈트를 지지하는 슈트 프레임(200)과, 양측의 하부에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320)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안쪽은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수직 프레임(330)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확장되는 U 형상의 지지 스탠드부(300)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300)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임팩트 바로 구성되는 임팩트바 모듈(600)과, 지지 스탠드부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롤러부(400)와 스탠드부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 롤러부(500)와 후면 롤러부를 지지하는 롤러부 지지대(51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모듈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모듈(600)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800)는 양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320)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안쪽은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수직 프레임(330)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확장되는 U 형상의 지지 스탠드부(300)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임팩트 바에 의하여 구성되는 임팩트 바 모듈(600)과, 임팩트 부 모듈의 양측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슈트에 체결되는 평면부(810)와 임팩트 바 모듈의 내측으로 확장되는 탭부(820)로 구성된 분진 방지 장치(800)와 임팩트 바 모듈(600)의 다수의 임팩트바의 에어 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수단(70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에어 공급 수단(700)은 일측에서 에어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 임팩트 바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에어 주입구(710)와, 임팩트 바 내부에서 에어가 흐로도록 하는 에어 통로(720, 미도시)와 에어 통로를 통하여 흐른 에어가 임팩트 바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에어 홀(730)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모듈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모듈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800)는 슈트(100)와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되는 임팩트 바 모듈(60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양측에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구성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320)와 상기 가로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U 자형 다수의 수직 프레임(330)과 상기 U 자형 다수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임팩트 바로 구성되는 임팩트 바 모듈(600)과, 임팩트 바 모듈(600)의 일측에서 다수의 임팩트 바(660)에 연결 체결되어 각 임팩트 바(660)에 형성된 에어 주입구(710)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호스(760)와 임팩트 바 내부에 형성된 에어 통로(720)와, 에어 통로를 통하여 흐른 에어가 배출되는 것으로 각 임팩트 부 상면에 형성된 에어 홀(730)로 구성된 에어 공급 수단(700)이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본 구성에 체결되는 분진 방지 장치(800)는 임팩트 바 모듈(600)의 양 측 상단과 슈트(100) 사이에 구성되고 슈트 양측의 확장 탭부(1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최상단 임팩트 바의 측면을 덮는 평면부(810)와 임팩트 바 모듈의 내측으로 라운드되도록 확장되는 탭부(820)로 구성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각 임팩트 바(660)에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 주입구(710)에 에어 호스(760)가 체결 연결되는 것이고, 에어 주입구(710)로 유입된 에어는 내부의 에어 통로(720)를 통하여 흐르고 다시 상면에 형성된 에어 홀(730)로 유출되어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상부로 밀어 올리도록 에어 힘이 작용하며 에어 홀(730)로 유출된 에어는 컨베이어 벨트를 밀어 올린 후에 일부 임팩트 바와 임팩트 바가 형성하는 에어 배기구(7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진 방지 장치(800)는 컨베이에 벨트를 상부로 밀어올려 컨베이어 벨트와 임팩트 바와의 마찰을 줄여서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에어 공급 수단(700)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분진이나 슈트에서 낙하한 수송물이 임팩트 바 모듈(600)과 슈트(100) 사이로 새어 나오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 공급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정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에어 공급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800)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다수의 가로 지지재(320)와, 가로 지지대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330)으로 구성되는 지지 스탠드부(300)와, 지지 스탠드부 상부에 설치되는 임팩트 바 모듈(600)과, 상기 임팩트 바 모듈 중에서 하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각 임팩트 바 일측에 형성된 에어 주입구들을 연결 체결하는 에어 호스와 임팩트 바 일측에 형성된 에어 주입구와 상기 에어 주입구에 유입된 에어가 임팩트 바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에어 통로와 에어 통로를 통과한 에어가 임팩트 바 상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홀을 구비한 에어 공급 수단(700)과, 임팩트 바 모듈(600)의 최상단 임팩트 바와 슈트(10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슈트의 확장 탭부(110)에 체결되는 평면부(810)와 임팩트 바 모듈의 내부로 확장되는 탭부(820)로 구성되는 분진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진 방지 장치의 확대 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진 방지 장치800)는 슈트(100)의 양측에 구성되는 길이가 긴 확장 탭부(110)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길이가 긴 평면부(810)와, 상기 평면부의 일측 끝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임팩트 부 모듈의 내부로 구부러진 형태로 확장되는 길이가 긴 형태의 탭부(820)로 구성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각 임팩트 바(660)는 수직프레임(330)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에어 주입구(7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에어가 흐를수 있도록 에어 통로(720)가 형성되고 에어 통로로 통과한 에어는 상면에 형성된 에어 홀(730)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임팩트 바 모듈의 임팩트 바(660)와 임팩트 바 사이는 공기가 새지 않로록 하는 쐐기부(900)가 삽입되며, 소수의 임팩트 바와 임팩트 바 사이에는 쐐기부를 삽입하지 아니하여 에어가 배기되도록 하는 에어 배기구(78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사시도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는 하부체(662)와 상부체와 일체로 체결되는 중부체(664)와 상기 중부체와 일체로 체결되는 상부체(666)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체 일측에는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구(710)이 형성된 구조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 절개 확대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10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팩트 바(660)는 지지 스탠드부(300)의 수직프레임(330)에 체결되고 에어 호스(760)와 연결되고 에어 주입구와 수평 에어 통로가 형성된 하부체(662)와, 하부체와 체결되고 하부체의 수평 에어 통로(720-1)와 연결되는 수직 에어 통로(720-2)가 형성된 중부체(664)와, 중부체(664)의 수직 에어 통로와 연통되는 에어 홀(730)이 형성되는 상부체(6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0 : 슈트, 200 : 슈트 프레임,
300 : 지지 스탠드부, 400 : 전면 롤러부,
500 : 후면 롤러부, 600 : 임팩트 바 모듈,
700 : 에어 공급 수단, 800 : 분진 방지 장치
900 : 쐐기부

Claims (5)

  1.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는,
    수송물을 컨베이어 벨트에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슈트(100)와;
    슈트를 지지하는 슈트 프레임(200)과;
    양측의 하부에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 지지대(320)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안쪽은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수직 프레임(330)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확장되는 U 형상의 지지 스탠드부(300)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전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가 슈트(100) 전에서는 수평 형태로 가이드 되고, 슈트 직 하부에서는 반타원형 형태로 가이드 되도록 슈트(10))에 가까울수록 수평면과의 경사각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제1롤러부(410), 제2롤러부(420) 및 제3롤러부로 구성된 전면 롤러부(400)와;
    지지 스탠드부 후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가 슈트(100)를 패스한 후에는 수평 형태로 복원되도록 가이드하는 후면 롤러부(500)와;
    상기 지지 스탠드부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컨베이어 벨트가 세로 방향으로 무빙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에서 무빙하는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다수의 임팩트바로 구성된 임팩트 바 모듈(600)과;
    임팩트 바 모듈의 일측에 구성되어 임팩트 바로 에어를 공급하여 컨베이어 하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에어 공급수단(700);
    및 임팩트 바 모듈의 상단 임팩트 바와 슈트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 방지 장치(800)로 구성되고, 상기 임팩트 바 모듈의 임팩트 바(660)와 임팩트 바 사이는 공기가 새지 않로록 하는 쐐기부(900)가 삽입되며, 소수의 임팩트 바와 임팩트 바 사이에는 쐐기부를 삽입하지 아니하여 에어가 배기되도록 하는 에어 배기구(770)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방지 장치(800)는,
    슈트에 체결되는 평면부(810);
    및 임팩트 바 모듈의 내측으로 확장되는 탭부(8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수단은,
    임팩트 바 모듈의 일측에서 에어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 임팩트 바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에어 주입구(710)와;
    임팩트 바 내부에서 에어가 흐로도록 하는 에어 통로(720);
    및 에어 통로를 통하여 흐른 에어가 임팩트 바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에어 홀(7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바(660)는,
    지지 스탠드부(300)의 수직프레임(330)에 체결되고 에어 호스(760)와 연결되고 에어 주입구와 수평 에어 통로가 형성된 하부체(662)와;
    하부체와 체결되고 하부체의 수평 에어 통로(720-1)와 연결되는 수직 에어 통로(720-2)가 형성된 중부체(664);
    및 중부체(664)의 수직 에어 통로와 연통되는 에어 홀(730)이 형성되는 상부체(6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KR1020190086069A 2019-07-17 2019-07-17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KR10218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69A KR102185999B1 (ko) 2019-07-17 2019-07-17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69A KR102185999B1 (ko) 2019-07-17 2019-07-17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999B1 true KR102185999B1 (ko) 2020-12-03

Family

ID=7377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069A KR102185999B1 (ko) 2019-07-17 2019-07-17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2326A (zh) * 2022-05-12 2022-07-22 湖北麦格森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倾斜式多晶硅打粉用防漏输送装置
CN117719911A (zh) * 2024-02-18 2024-03-19 黑龙江科技大学 一种煤矿防尘式输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104U (ja) * 1994-01-11 1994-08-02 株式会社洋行 コンベアベルト支持装置
JPH107222A (ja) * 1996-06-26 1998-01-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
JP2012136346A (ja) * 2010-12-28 2012-07-19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の復路側ベルト支持構造
KR101406607B1 (ko) * 2013-04-03 2014-06-12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장치
KR101564369B1 (ko) * 2015-03-23 2015-10-30 주식회사 케이이씨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용 스탠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104U (ja) * 1994-01-11 1994-08-02 株式会社洋行 コンベアベルト支持装置
JPH107222A (ja) * 1996-06-26 1998-01-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
JP2012136346A (ja) * 2010-12-28 2012-07-19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の復路側ベルト支持構造
KR101406607B1 (ko) * 2013-04-03 2014-06-12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장치
KR101564369B1 (ko) * 2015-03-23 2015-10-30 주식회사 케이이씨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용 스탠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2326A (zh) * 2022-05-12 2022-07-22 湖北麦格森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倾斜式多晶硅打粉用防漏输送装置
CN114772326B (zh) * 2022-05-12 2024-01-26 江苏麦格森特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倾斜式多晶硅打粉用防漏输送装置
CN117719911A (zh) * 2024-02-18 2024-03-19 黑龙江科技大学 一种煤矿防尘式输送装置
CN117719911B (zh) * 2024-02-18 2024-04-19 黑龙江科技大学 一种煤矿防尘式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999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용 분진 방지 장치
US6634490B2 (en) Roller bed for a conveyor belt system
US7527144B2 (en) Impact bed for conveyor systems
RU2286298C2 (ru) Откидная стенка
AU626555B2 (en) Transfer apparatus for belt conveyor
US8365901B2 (en) Conveyor pan with changeable trough, and a changeable trough
KR101550059B1 (ko)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
KR101680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트 장치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50014644A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KR20120132782A (ko) 슈트용 라이너
KR102411127B1 (ko)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US5417524A (en) Tunnel track-pneumatic conduit system
CN115465636A (zh) 带式输送机低阻力扩容降尘密闭导料槽
KR101972324B1 (ko) 낙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KR101542108B1 (ko) 석탄 운반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TW561188B (en) Levelling rod for coking furnace
US20100230251A1 (en) Barrier Seal
US20160137420A1 (en) An Improved Liner
KR100779622B1 (ko)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유동되는 스커트장치
CN104555359A (zh) 无泄漏导料槽装置
US2331724A (en) Locomotive coaling apparatus
CN103935736A (zh) 煤矿输送皮带的防尘罩
KR20240048202A (ko) 낙광 개선형 충격 흡수용 롤러 컨베이어
CN216425808U (zh) 一种新型全密封抑尘导料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