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439B1 -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 Google Patents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439B1
KR102185439B1 KR1020190068648A KR20190068648A KR102185439B1 KR 102185439 B1 KR102185439 B1 KR 102185439B1 KR 1020190068648 A KR1020190068648 A KR 1020190068648A KR 20190068648 A KR20190068648 A KR 20190068648A KR 102185439 B1 KR102185439 B1 KR 10218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ionate
insects
attracting
m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열
이성찬
서미혜
이선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6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2,10-dimethyldodecyl propionate),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2,8-dimethyldecyl propion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및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Sex Pheromone Composition for Attracting or Disrupting Mating Insect of Eurytomidae Family}
본 발명은 씨살이좀벌과 곤충을 유인 또는 교미를 교란함으로써 예찰 또는 방제에 이용할 수 있는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숭아씨살이좀벌(Eurytoma maslovskii, Nikol'skaya)은 2010년대 초부터 대한민국 남부지역 매실 주산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유충이 매실 종자를 갉아먹어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피해과율은 33 내지 67%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지역에서 매실 뿐만 아니라 살구 및 중국산 복숭아 종자에서도 복숭아씨살이좀벌에 의한 낙과 피해가 알려지고 있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은 땅에 떨어진 핵과류의 핵 속에서 유충 상태로 월동하고, 노숙유충은 4월 중순까지, 번데기는 3월 하순에서 4월 하순까지 관찰되었으며, 성충은 4월 하순 내지 5월 상순 사이에 90% 이상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컷 성충은 핵이 경화되기 이전 씨앗이 액상일 때 과실 씨앗의 외피 바로 밑에 산란하였으며, 산란관의 길이가 5mm를 넘지 않아 산란이 가능한 매실의 크기는 직경이 2cm를 넘지 않는다. 하나의 과실에 최대 5개의 알이 관찰되었으며, 산란까지 기간은 2일이 넘지 않았다. 부화한 유충은 먼저 고형화되는 배로 이동하여 이를 섭식하면서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충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하여 한 마리의 유충만 생존하게 된다. 6월 상순경에는 피해를 받은 과실의 대부분이 부패하여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과실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복숭아씨살이좀벌의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방제를 위해 살충제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 해충의 살충제 저항성 유발, 천적 및 유용곤충의 감소로 인해 생태계 파괴, 및 잔류독성에 의한 인체내 독성 축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살충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유럽 등 농업선진국에서는 곤충의 성페로몬을 이용하는 방제법이 활용되고 있다. 성페로몬은 같은 종 내의 한 개체가 외부로 방출하는 물질로 다른 이성 개체에 의해 감지되어 유인하는 물질이다. 성페로몬은 종특이적으로 작용하고, 독성이 없으며, 다른 생물에 영향이 없으므로 해충의 예찰, 대량 유살, 및 교미교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해충 방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공고 제10-1862006호(2018.05.31)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과 다른 물질로 구성되고, 유인 효과가 뛰어난 성페로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2,10-dimethyldodecyl propionate) 또는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2,8-dimethyldecyl propion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는 씨살이좀벌과 곤충을 유인할 수 있는 새롭게 발견된 성페로몬 성분으로서, 씨살이좀벌과 곤충을 유인하여 포획하거나, 이성을 탐색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교미를 교란할 수 있다. 씨살이좀벌의 교미를 교란하면 과수원의 과실에 이루어지는 산란이 저해되므로 과수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또는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인 효과가 등록특허 10-1862006의 조성물보다 높으므로, 씨살이좀벌의 포획 또는 교미교란 방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은 2가지 성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므로 제조 및 혼합이 간편하며, 상대적으로 더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으로 씨살이좀벌과 곤충을 유인할 수 있으므로 포획 및 교미교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9059423074-pat00001
Figure 112019059423074-pat00002
상기 씨살이좀벌과(Eurytomidae Family) 곤충은 매실, 복숭아, 살구, 및 아몬드 등 핵과류 씨앗에 서식하여 피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봄부터 열매 속에 산란관을 뚫고 알을 낳기 시작하는 해충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은 복숭아씨살이좀벌(Eurytoma maslovskii, Nikol'skaya), 고치살이좀벌(Eurytoma appendigaster), 장미혹살이좀벌(Eurytoma rosae Nees), 혹살이좀벌(Eurytoma brunniventris Ratzeburg), 및 씨살이좀벌(Eurytoma laricis Yano)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변종으로서 성페로몬이 동일한 종류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씨살이좀벌과 곤충의 유인력이 현저히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은 2가지 성분만의 조합만으로 구성되므로 제조 및 혼합이 간편하며, 적은 양으로도 보다 효과적으로 씨살이좀벌과 곤충을 유인함으로서 포획 및 교미교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비극성 용매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헥세인(Hexa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함량은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함량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질량비는 1:1 내지 15:1, 2:1 내지 15:1, 3:1 내지 15:1, 4:1 내지 15:1, 5:1 내지 15:1, 6:1 내지 15:1, 7:1 내지 15:1, 8:1 내지 15:1, 9:1 내지 15:1, 9.5:1 내지 15:1, 1:1 내지 14:1, 2:1 내지 14:1, 3:1 내지 14:1, 4:1 내지 14:1, 5:1 내지 14:1, 6:1 내지 14:1, 7:1 내지 14:1, 8:1 내지 14:1, 9:1 내지 14:1, 9.5:1 내지 14:1, 1:1 내지 13:1, 2:1 내지 13:1, 3:1 내지 13:1, 4:1 내지 13:1, 5:1 내지 13:1, 6:1 내지 13:1, 7:1 내지 13:1, 8:1 내지 13:1, 9:1 내지 13:1, 9.5:1 내지 13:1, 1:1 내지 12:1, 2:1 내지 12:1, 3:1 내지 12:1, 4:1 내지 12:1, 5:1 내지 12:1, 6:1 내지 12:1, 7:1 내지 12:1, 8:1 내지 12:1, 9:1 내지 12:1, 9.5:1 내지 12:1, 1:1 내지 11:1, 2:1 내지 11:1, 3:1 내지 11:1, 4:1 내지 11:1, 5:1 내지 11:1, 6:1 내지 11:1, 7:1 내지 11:1, 8:1 내지 11:1, 9:1 내지 11:1, 9.5:1 내지 11:1, 1:1 내지 10.5:1, 2:1 내지 10.5:1, 3:1 내지 10.5:1, 4:1 내지 10.5:1, 5:1 내지 10.5:1, 6:1 내지 10.5:1, 7:1 내지 10.5:1, 8:1 내지 10.5:1, 9:1 내지 10.5:1, 9.5:1 내지 10.5:1, 1:1 내지 10:1, 2:1 내지 10:1, 3:1 내지 10:1, 4:1 내지 10:1, 5:1 내지 10:1, 6:1 내지 10:1, 7:1 내지 10:1, 8:1 내지 10:1, 9:1 내지 10:1, 또는 9.5:1 내지 10:1 일 수 있다. 상기 질량비는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함량이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함량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실시예에 따르면 10:1이 가장 유인수가 높았으나, 환경적인 요인 또는 개체의 유전적 차이 등에 의해 최적의 유인 효과를 나타내는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씨살이좀벌과 곤충의 수컷을 유인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숭아씨살이좀벌 교미교란제를 제공한다. 상기 교미교란제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과수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성 페로몬을 방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파우치 또는 튜브형이 있다. 상기 교미교란제는 씨살이좀벌과 곤충의 수컷이 암컷을 탐색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과수 피해율을 낮출 수 있다. 상기 교미교란제는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미교란제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과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만을 포함하는 제 1 교미교란제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만을 포함하는 제 2 교미교란제를 각각 제작하여 단독으로 또는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교미교란제 및 상기 제 2 교미교란제를 함께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설치 개수 비율을 다르게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교미교란제 설치 개수 및 제 2 교미교란제 설치 개수의 비율은 약 10:1일 수 있다. 또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제 3 교미교란제를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3 교미교란제와 제 1 교미교란제 및/또는 제 2 교미교란제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설치 환경에 따라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최적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교미교란제를 제작하고 설치 방법을 다르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포획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포획용 장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의 수컷을 유인하고 포획함으로써 곤충의 개체수를 파악할 수 있고, 농작물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 포획용 장치는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고무 셉텀(septum)에 담아 미끼를 제작하고, 미끼를 포획용 장치에 설치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포획용 장치는 비행하는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판매하는 곤충 포획용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씨살이좀벌과 곤충 암컷의 흉부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한 흉부를 비극성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분리하여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분리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질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15:1, 2:1 내지 15:1, 3:1 내지 15:1, 4:1 내지 15:1, 5:1 내지 15:1, 6:1 내지 15:1, 7:1 내지 15:1, 8:1 내지 15:1, 9:1 내지 15:1, 9.5:1 내지 15:1, 1:1 내지 14:1, 2:1 내지 14:1, 3:1 내지 14:1, 4:1 내지 14:1, 5:1 내지 14:1, 6:1 내지 14:1, 7:1 내지 14:1, 8:1 내지 14:1, 9:1 내지 14:1, 9.5:1 내지 14:1, 1:1 내지 13:1, 2:1 내지 13:1, 3:1 내지 13:1, 4:1 내지 13:1, 5:1 내지 13:1, 6:1 내지 13:1, 7:1 내지 13:1, 8:1 내지 13:1, 9:1 내지 13:1, 9.5:1 내지 13:1, 1:1 내지 12:1, 2:1 내지 12:1, 3:1 내지 12:1, 4:1 내지 12:1, 5:1 내지 12:1, 6:1 내지 12:1, 7:1 내지 12:1, 8:1 내지 12:1, 9:1 내지 12:1, 9.5:1 내지 12:1, 1:1 내지 11:1, 2:1 내지 11:1, 3:1 내지 11:1, 4:1 내지 11:1, 5:1 내지 11:1, 6:1 내지 11:1, 7:1 내지 11:1, 8:1 내지 11:1, 9:1 내지 11:1, 9.5:1 내지 11:1, 1:1 내지 10.5:1, 2:1 내지 10.5:1, 3:1 내지 10.5:1, 4:1 내지 10.5:1, 5:1 내지 10.5:1, 6:1 내지 10.5:1, 7:1 내지 10.5:1, 8:1 내지 10.5:1, 9:1 내지 10.5:1, 9.5:1 내지 10.5:1, 1:1 내지 10:1, 2:1 내지 10:1, 3:1 내지 10:1, 4:1 내지 10:1, 5:1 내지 10:1, 6:1 내지 10:1, 7:1 내지 10:1, 8:1 내지 10:1, 9:1 내지 10:1, 9.5:1 내지 10:1, 또는 10: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만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간편하다.
일 구체예에 따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여러 성분이 아닌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2 가지 성분만을 조합하는 것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간편하다.
일 구체예에 따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씨살이좀벌과 곤충이 이성을 탐색하는 것이 방해되어 산란이 저하됨으로써 과실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씨살이좀벌과 곤충을 유인할 수 있어 포획에 유용하므로 예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C-EAD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질량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미끼를 제작하는데 사용한 고무 셉텀 및 유살된 씨살이좀벌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수원에 설치된 파우치형 교미교란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수원에 설치된 트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실의 내부에 존재하는 씨살이좀벌의 유충을 확인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숭아씨살이좀벌 페로몬 물질 추출 및 수컷의 촉각 반응 유도물질 동정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암컷을 수집하고 흉부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흉부를 Hexane 용매에 약 10분 동안 침지하여 흉부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성분을 GC-EAD(Gas Chromatograph - Electro-Antennographic Detection, 전기 자극 촉각 검출기)로 분석하여, 추출물 내에서 분리된 다양한 물질 중에서 수컷 촉각에 반응을 유도하는 물질 2 가지를 발견하였다(도 1 참조).
상기 2 가지 물질을 GC-EAD 분석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GC 칼럼 및 분석 조건으로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기)로 분석하여 상기 2 가지 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2가지 물질은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임을 확인하였다(도 2 및 도 3 참조).
실시예 2: 복숭아씨살이좀벌 수컷 유인 효과 확인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는 주식회사 에이디(http://www.2017ad.co.kr)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상기 2 단계에서 합성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Hexane 용매에 혼합하고 고무 셉텀에 담아 미끼를 제작하였다.(도 4의 고무 셉텀 참조) 제작한 미끼를 설치한 트랩을 과수원에 설치하여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2가지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도 유인효과가 뛰어났으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유인 효과가 더 높았다.
또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2 가지 물질 중 어느 한 가지만 사용한 경우보다(비교예 1 내지 3) 두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실험예 1 내지 3) 복숭아씨살이좀벌 수컷의 유인 효과가 상승하였다.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동일한 양을 사용하고,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혼합하는 비율을 변화시킨 결과,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와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질량비가 10:1이 2:1보다 유인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같은 실험 조건에서 특허 10-1862006의 조성물(노나날(nonanal) 50 μg, (E)-2-헥세닐 부티레이트((E)-2-hexenyl butyrate) 100 μg,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800 μg, 및 테트라데카날(tetradecanal) 50 μg으로 구성)의 유인 효과를 비교하였다. 비교예 4를 참조하면, 특허 10-1862006의 조성물은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2 가지 물질 중 어느 한 가지만 사용한 경우보다도 유인수가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2 가지 물질 중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여도 특허 10-1862006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복숭아씨살이좀벌 수컷을 유인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2 가지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유인효과가 더욱 상승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 분 2,10-dimethyldodecyl propionate (μg) 2,8-dimethyldecyl propionate (μg) 유인수
(마리/트랩)*
실험예1 100 100 7.0
실험예2 100 50 18.7
실험예3 100 10 35.0
비교예1 100 0 5.3
비교예2 0 100 2.7
비교예3 0 0 0
비교예4 등록특허 10-1862006 조성물: nonanal 50 μg, (E)-2-hexenyl butyrate 100 μg, methyl salicylate 800 μg, 및 tetradecanal 50 μg으로 구성 1.3
실시예 3: 복숭아씨살이좀벌 교미교란 방제 효과 확인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10:1(질량비) 혼합물을 이용하여 파우치형 교미교란제 1000개를 제작하였다. 교미교란제 1개당 포함되는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성분의 총함량은 50 mg 으로 하였다.
약 1 ha 넓이의 매실 과수원에 상기 파우치형 교미교란제 1000개를 나무에 매달아 설치하였다(도 5 참조). 1 ha 면적당 교미교란제의 사용량은 50 g/ha였다. 교미교란제 설치기간은 4월 초부터 5월 말까지 약 2 달이었다. 같은 기간 동안, 동일한 미끼를 사용한 트랩을 설치하여 유살수를 조사하였다(도 6 참조). 유살수는 1개의 트랩 당 포획한 복숭아씨살이좀벌의 개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과실 피해율은 6월 초에 조사하였으며, 과실(매실)을 무작위로 50개 수집하고 내부에 애벌레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총 3번 조사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도 7 참조).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무방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교미교란 방제를 한 과수원은 트랩 당 유살수의 숫자는 약 1/130로 감소하였고 과실피해율은 약 1/15 로 감소하였다(표 2 참조).
구 분 유살수(마리/트랩) 과실피해율(%)
교미교란 방제 1.7 2.0
무방제 224.3 29.7
상기 표 2 에서 교미교란 방제 실험군의 유살수 숫자가 크게 감소한 것은 같은 과수원에 설치된 교미교란제들에 의해 복숭아씨살이좀벌 수컷이 암컷을 찾아가는 행동이 방해되었기 때문이므로,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혼합물이 복숭아씨살이좀벌 성충의 교미행동을 효과적으로 방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과실피해율이 약 1/15 비율로 감소함을 확인함으로써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혼합물의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대한 교미교란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2,10-dimethyldodecyl propionate) 또는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2,8-dimethyldecyl propion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
  2.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함량이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함량보다 높은 것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10-디메틸도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 및 상기 2,8-디메틸데실 프로파이오네이트의 질량비는 2:1 내지 15:1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컷을 유인하는 것인,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씨살이좀벌과 곤충은 복숭아씨살이좀벌(Eurytoma maslovskii, Nikol'skaya), 고치살이좀벌(Eurytoma appendigaster), 장미혹살이좀벌(Eurytoma rosae Nees), 혹살이좀벌(Eurytoma brunniventris Ratzeburg), 및 씨살이좀벌(Eurytoma laricis Yan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교미교란제.
KR1020190068648A 2019-06-11 2019-06-11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KR10218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48A KR102185439B1 (ko) 2019-06-11 2019-06-11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48A KR102185439B1 (ko) 2019-06-11 2019-06-11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439B1 true KR102185439B1 (ko) 2020-12-01

Family

ID=7379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48A KR102185439B1 (ko) 2019-06-11 2019-06-11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78A (ko) * 2020-12-01 2022-06-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894A (ko) * 2010-12-24 2012-07-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6436A (ko) * 2013-10-21 2015-04-30 파수꾼영농조합법인 복숭아순나방 종 특이적 성페로몬 조성물
KR20180053829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894A (ko) * 2010-12-24 2012-07-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6436A (ko) * 2013-10-21 2015-04-30 파수꾼영농조합법인 복숭아순나방 종 특이적 성페로몬 조성물
KR20180053829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006B1 (ko) 2016-11-14 2018-05-31 대한민국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vestigation of the ecology and development of control technology for the recent problem pest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control technology for the peach seedling,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Task No.: PJ010206), (2017.02.28.) *
Journal of Chemical Ecology, Vol.27, pp.2169-2181 *
Tetrahedron, 72, (2016) pp.4593-4607 *
Tetrahedron, 73, (2017) pp.4766-4769 *
기후변화에 따른 최근 문제해충 복숭아씨살이좀벌의 발생생태 구명 및 방제기술 개발,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제번호:PJ010206), (2017.02.2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78A (ko) * 2020-12-01 2022-06-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방제용 조성물
KR102496822B1 (ko) 2020-12-01 2023-02-07 대한민국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방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ber et al. Chemical ecology of Halyomorpha halys: discoveries and applications
Allsopp The biology of false wireworms and their adults (soil-inhabiting Tenebrionidae)(Coleoptera): a review
Smit et al. Mass-trapping male Cylas spp. with sex pheromones: a potential IPM component in sweetpotato production in Uganda
Zia et al. Comparative bioefficacy of different Citrus peel extracts as grain protectant against Callosobruchus chinensis, Trogoderma granarium and Tribolium castaneum
Ajayi et al. Bio-activity of three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edible seeds on the rust-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Herbst.) infesting stored pearl millet.
El-Wahab et al. Efficacy of aggregation nano gel pheromone traps on the catchability of Rhynchophorus ferrugineus (Olivier) in Egypt
KR102185439B1 (ko)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교미교란용 성페로몬 조성물
Wallingford et al. Avoiding unwanted vicinity effects with attract-and-kill tactics for harlequin bug, Murgantia histrionica (Hahn)(Hemiptera: Pentatomidae)
Darus et al. Intensive IPM for management of oil palm pests
KR101862006B1 (ko)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659439B2 (ja) フタスジコナカイガラムシの性誘引物質
JP6659440B2 (ja) クロテンコナカイガラムシの性誘引物質
US20080236027A1 (en) Composition of grandlure and dichlorvos for attracting and killing boll weevils in boll weevil traps
KR20140120160A (ko) 열매꼭지나방 유인 및 방제용 성페로몬 물질
Gunawardena et al. Enhancement of the activity of ferrugineol by N-pentanol in an attractant baited trap for the coconut pest, Rhynchophorus ferrugineus F.(Coleoptera: Curculionidae)
Sabbahi et al. An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pheromone traps in managing the red palm weevil
Ugwu et al. Evaluation of traps and attractants for mass trapping of African invader fly, Bactrocera invadens on mango in South West Nigeria
JP2004196727A (ja) アカヒゲホソミドリカスミカメの交信攪乱剤
KR101361703B1 (ko)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hen et al. Japanese beetle lures used alone or combined with structurally related chemicals to trap NE China scarabs (Coleoptera: Scarabaeidae)
Raviprasad et al. Management of Tea Mosquito Bug (TMB)–major pest of cashew
KR102496822B1 (ko) 씨살이좀벌과 곤충 유인 또는 방제용 조성물
Gaffar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Leafminer Moth, Tuta absoluta on Tomato
Sulistyowati Effectiveness of sex pheromone in controlling cocoa pod borer, Conopomorpha cramerella (Snell.)
Chand et al. Bioefficacy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hadda beetle, Henosepilachna vigintioctopunctata (Fabrici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