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19B1 -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19B1
KR102184719B1 KR1020190005919A KR20190005919A KR102184719B1 KR 102184719 B1 KR102184719 B1 KR 102184719B1 KR 1020190005919 A KR1020190005919 A KR 1020190005919A KR 20190005919 A KR20190005919 A KR 20190005919A KR 102184719 B1 KR102184719 B1 KR 10218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portion
correction
pencil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171A (ko
Inventor
허경용
유승민
김광훈
오승윤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상부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교정 바디부, 교정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교정 바디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부 및 센서부 및 LED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LED부는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여 사용자가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Pencil and Chopsticks Calibration Devices}
본 발명은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교정 바디부, 교정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교정 바디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부 및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LED부는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문자를 쓰거나 그림 등을 그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로서 연필, 볼펜, 만년필, 사인펜 등 다양한 종류와 모양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컴퓨터의 보급과 주변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필기구를 이용한 필기가 거의 사라지고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고 그림 등도 저장된 이미지나 그리기 전용의 툴로 이용하여 프린트로 출력하여 사용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어린 시절부터 연필이나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를 이용하여 수기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나 그림의 출력이 늘어남에 따라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부터 필기구를 바르게 잡는 방법을 모르게 되고, 필기구와 친숙하지 않는 것 등의 원인으로 필체가 바르지 못한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경우 연필을 주먹으로 움켜 쥔듯한 형태로 필기구를 사용하여 손에 무리를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 시간에 비해 손의 고통을 빨리 느끼게 되어 학습에 방해를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기구 또는 필기구를 수용하는 형태의 홀더에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면서 결정된 손가락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엄지와 검지 사이를 필기구가 벗어나지 못하도록 큰 크기의 돌기를 돌출시키는 형태의 교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정기의 경우에는 필기구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이 필기구를 잡고 이용하는데 있어서, 큰 돌기에 의하여 상당한 거부감을 발생시키고,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필기구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이용자들에게 크기에 대해 거부감이 없고, 불편한 요소가 없이 손가락에 밀착되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정 자세에 대해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하여 빠른 교정에 도움을 주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1888호
본 발명은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교정 바디부, 교정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교정 바디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부 및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LED부는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여 사용자가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는 상부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교정 바디부; 상기 교정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교정 바디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LED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부는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여 사용자가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상기 교정 바디부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도록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일부 함몰되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내지 제3 바디부; 및 중심부에 연필 및 젓가락이 통과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절삭된 삽입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바디부 내지 상기 제3 바디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상기 LED부는, 상기 제1 바디부 내지 상기 제3 바디부의 각각에 삽입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다는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 받았을 경우에만 상기 LED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는 상기 교정 바디부의 상면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 상기 LED부 및 상기 제어부가 구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 바디부의 재질은 탄성 및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혹은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착용감이 증대되고 부드러운 질감으로 쿠션성을 발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손에 무리를 줄여 피로감을 저하시켜 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바디부 내지 제3 바디부는 내부를 향하여 손가락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함몰되어 손가락과 맞닿을 때에 밀착력이 증대되고, 그립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 바디부 내부에 센서부가 삽입되어 별도의 기계적인 연동없이 책상 및 테이블을 포함하는 수평을 가진 기구의 수평면에서부터 교정 바디부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 및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기구를 잡는데 안정적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바디부 내지 제3 바디부에 LED부가 결합되어 기 설정된 기울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LED부가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어 사용자는 육안으로 바로 확인하여 필기 자세를 수정할 수 있으므로 자세 교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교정 바디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교정 바디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는 교정 바디부(100), 센서부(200), 외부기기부(300), LED부(400), 제어부(500) 및 전원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는 필기구(10) 및 젓가락(20)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기구(10) 및 젓가락(20)을 잡는 손가락의 자세를 올바른 자세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필기구(10)는 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물건으로, 가장 오래된 필기구로는 철필 및 갈대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볼펜, 연필 및 만년필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진 디자인과 형태를 포함하는 필기구(10)를 일컫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교정 바디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교정 바디부(100)는 상부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좁아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교정 바디부(100)를 필기구(10)와 결합하여 사용할 때에 사용자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좁아지는 형상 즉,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에 안정된 그립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교정 바디부(100)의 재질은 실리콘 혹은 고무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합성 수지재, 금속재 및 목재 등의 다양한 재질이 선택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리콘은 탄성 및 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자가 교정 바디부(100)를 통하여 필기구(10)를 잡게 될 때에,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을 포함하여 딱딱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 보다 착용감이 증대되고 부드러운 질감으로 쿠션성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손의 피로감을 저하시켜 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실리콘 재질은 부식성이 없고, 산화되지 않으며 공기 투과율이 좋은 첨단소재로써 뛰어난 내구성은 물론 내열성과 내한성도 갖춘 소재이다. 게다가, 환경 문제가 대두되는 최근 환경 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안전한 소재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는 우수한 재질이다. 이와 같은 성질을 띄는 실리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교정 바디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교정 바디부(100)의 평면도이다. 교정 바디부(200)는 각각의 면에 제1 바디부(110), 제2 바디부(120) 및 제3 바디부(130)를 구비하고,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정 바디부(100)의 중심부에는 원형 형상으로 절삭되는 삽입부(140)를 구비하여 필기구(10)가 관통되어 삽입되어지는 형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각각의 제1 바디부(110) 내지 제3 바디부(130)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를 향하여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점이 필기구(10)의 심이 있는 쪽에 가깝게 위치되어 사용자는 손으로 교정 바디부(100)를 잡는데 있어서 편안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바디부(110) 내지 제3 바디부(130)는 내부를 향하여 손가락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를 사용할 때에 필기구(10)를 교정 바디부(100)의 삽입부(140)에 관통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제1 바디부(110)가 사용자의 엄지와 맞닿고, 제2 바디부(120)가 사용자의 검지와 맞닿고, 제3 바디부(130)가 사용자의 중지 위에 맞닿는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과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손가락이 제1 바디부(110) 내지 제3 바디부(130)에 각각 위치될 때, 손가락에 대응하여 함몰되는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밀착력을 증대시켜 줄 수 있고, 그립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바디부(110) 내지 제3 바디부(130)에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된 제1 파지 홈(111), 제2 파지 홈(112) 및 제3 파지 홈(113)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닿을 수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형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인 엄지, 검지 및 중지가 맞닿을 때에 밀착력을 더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교정 바디부(100) 내부에는 센서부(20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200)는 교정 바디부(100)의 각도 레벨링 및 위치 검출이 가능한 2축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 혹은 핀 연결로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와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보유하여 원격 전송-요청 텔레그램(remote transmit-request telegram : RTR),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 등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오류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0)는 경사계, 중력에 대한 물체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적절한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MPU6050 센서, 다이나믹 경사계, 스테틱 경사계, 3축 가속도 센서, 2축 경사계 및 1축 경사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200)가 교정 바디부(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별도의 기계적인 연동없이 책상 및 테이블을 포함하는 수평을 가진 기구의 수평면에서부터 교정 바디부(100)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음에 따라, 공간 방위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지속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전에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를 필기구(10)와 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수평면에서부터 가장 안정적인 자세를 위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기울기 및 각도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200)는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 후술할 제어부(500)에 제1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제어부(500)의 작동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센서부(200)로부터 측정되는 교정 바디부(100)의 기울기 측정값을 사용자는 외부기기부(300)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부(3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폰, 전자 장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유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써,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 핸드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e-리더(e-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부(300)는 제어부(500)를 통해 센서부(200)의 측정값인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고, 휴대용 전자 장치들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무선 통신 방식들 중의 하나인 블루투스 등의 수단을 포함하여, LAN, IrDA, HomeRF,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무선 USB(Wirelees USB)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들로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의 통신 가능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들을 통해 외부기기부(300)는 센서부(200)로부터 교정 바디부(100)의 기울기 측정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교정 바디부(100)를 사용할 때에 측정되는 교정 바디부(100)의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세 변화 그래프, 자세 교정 스트레칭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 및 스트레칭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기기부(300)에서 필기구(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세변화를 한 눈에 그래프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자세 교정에 있어서 유용한 스트레칭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필기구(10) 사용의 유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외부기기부(300)에서 애플리케이션 또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Hybrid Application)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웹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부(110) 내지 제3 바디부(130)에는 LED부(400)가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부(400)는 공지의 LED 모듈로써, 회로기판에 다수의 LED 소자가 일정한 배열로 장착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후술할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LED 소자를 일정한 자리에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일정한 방향 및 빛의 흐름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빛의 밝기 또는 색상, 명암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ED부(400)는 제어부(500)가 교정 바디부(100)의 기울기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다는 제1 신호를 센서부(200)로부터 전달받을 경우에만 제어부(5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교정 바디부(100)의 기울기 값은 사전에 수평면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가 40° ~ 50°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기울기 값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LED부(400)에 의해 필기 자세가 적절하지 않음을 경고 받을 수 있고, 즉각적으로 자세를 수정하여 안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500)가 LED부(400)를 구동하여 LED부(400)가 빛을 발생시킴에 따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하여 자세 수정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필기 자세 교정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부(400)의 빛의 발생되는 기능은 사용자가 LED부(400)의 발광을 인식하고 필기 자세를 수정하였을 경우에 발광이 중지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가 교정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하여 필기 또는 학습에 다시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의 제어부(500)는 센서부(200), 외부기기부(300) 및 LED부(400)를 구동하기 위해 신호를 수신 및 출력을 공급하여 동작을 지시하는 공지의 제어장치(control unit)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하였지만, 제어부(500)는 신호부를 구비하여 센서부(200)의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LED부(4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제어 기술인 프로세서 및 알고리즘 등에 의해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원부(600)는 도 3과 같이 교정 바디부(100)의 상부 내부에 삽입되는 배터리형식으로 평판형 극판 또는 원판형 극판으로 구비된 소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600)는 센서부(200), LED부(400) 및 제어부(500)가 구동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플러그의 전원단자로 구비될 수 있고, 전원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600)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 형상의 버튼(61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중지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위의 구성으로 구비된 전원부(600)에 의해 상기 구성 요소들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는 도 5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젓가락(20)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젓가락을 사용하는 식문화를 가진 대표적인 국가에 해당되는데, 젓가락(20) 형상의 특성 상 한번에 사용방법을 숙지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고, 어려 연습과 숙련을 통해 올바른 사용방법을 익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젓가락(20)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올바르지 않은 자세는 손가락이 저리는 것을 유발할 수 있고, 필기구(10)를 잡는 자세와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젓가락(20)의 올바른 자세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사항 중 하나이다.
이에, 교정 바디부(100)의 중심부에 구비된 삽입부(140)에 한 쌍의 젓가락(20) 중 어느 하나만을 삽입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를 두개 구비하여 한 쌍의 젓가락(20) 각각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20)의 움직임을 서술한 바와 같이 외부기기부(300)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부(400)의 빛이 발생되는 기능을 통해 육안으로 잘못된 자세를 인식 후 바로 교정이 가능함에 따라 필기구(10)에 작용되는 효과와 동일하게 젓가락(20)에도 적용할 수 있어 자세교정에 관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교정 바디부(100)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대전 방지 효과 및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따.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수 효과로 인해,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5592735-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 측정 결과, 130 내지 140도로 확인되었으며, 상기 접촉각의 범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팅층에 의해 방수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대전방지층 내에서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코팅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는 소수성기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친수성 부분의 반대 부분은 소수성기가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탄소나노튜브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전도성 필러 20 내지 4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및 방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5592735-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전도성 필러
10
20
30
40
50
탄소나노튜브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대전 방지 및 균일 코팅층의 형성을 실험하기 위해, 태양광패널 대신 폴리카보네이트를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대전방지 효과 실험]
1. 점도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TX1
TX2
TX3
TX4
TX5
점도(cP)
620
1520
1600
1750
191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의 일면에 TX1 내지 TX5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3℃,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비교예
TX1
TX2
TX3
TX4
TX5
표면전기저항
(Ω/cm2)
7.4×1011 내지 1.6×1012
6.4×109 내지 1.4×1010
1.4×109 내지 1.6×1010
4.4×107 내지 2.1×108
6.5×107 내지 4.5×108
5.8×108 내지 7.8×108
상기 표 3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TX 1 내지 TX5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4. 발수각의 측정
상기 기재층에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발수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전진 접촉각(°) 정지 접촉각(°) 후진 접촉각(°)
TX1 117.±12.9 112.1±4.1 < 10
TX2 132.4±1.5 131.5±2.7 141.7±3.4
TX3 138.9±3.0 138.9±2.7 139.8±3.7
TX4 136.9±2.0 135.6±2.6 140.4±3.4
TX5 116.9±0.7 115.4±3.0 < 1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X1 및 TX5는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즉,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TX2 내지 4에서는 피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정 바디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위와 같은 코팅층이 형성되어 대전 방지 효과는 물론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를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전기 발생 및 먼지가 붙는 등의 불편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렁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M, RAM, 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필기구, 20 : 젓가락,
100 : 교정 바디부, 110 : 제1 바디부,
111 : 제1 파지 홈, 120 : 제2 바디부,
121 : 제2 파지 홈, 130 ; 제3 바디부,
131 : 제3 파지 홈, 200 : 센서부,
300 : 외부기기부, 400 : LED부,
500 : 제어부, 600 : 전원부.

Claims (5)

  1. 상부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교정 바디부;
    상기 교정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교정 바디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LED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부는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여 사용자가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정 바디부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도록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일부 함몰되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내지 제3 바디부; 및
    중심부에 연필 및 젓가락이 통과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절삭된 삽입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바디부 내지 상기 제3 바디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LED부는,
    상기 제1 바디부 내지 상기 제3 바디부의 각각에 삽입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다는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 받았을 경우에만 상기 LED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정 바디부의 상면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 상기 LED부 및 상기 제어부가 구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형 형상의 버튼은 상기 전원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 전원 인가를 차단시켜 상기 LED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교정 바디부의 기울기 값을 전달받는 외부기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기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상기 기울기 값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교정 바디부의 상기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알람 및 시청각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것인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5919A 2019-01-16 2019-01-16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KR10218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19A KR102184719B1 (ko) 2019-01-16 2019-01-16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19A KR102184719B1 (ko) 2019-01-16 2019-01-16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71A KR20200089171A (ko) 2020-07-24
KR102184719B1 true KR102184719B1 (ko) 2020-11-30

Family

ID=7189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919A KR102184719B1 (ko) 2019-01-16 2019-01-16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672A (ko) 2021-06-05 2022-12-13 박진영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4316A (ja) 2010-02-09 2011-08-25 Erupurasu:Kk 鉛筆用持ち方矯正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986A (ja) * 1995-02-10 1996-08-30 Toshimi Yanai 鉛筆等の筆記具保持矯正具
KR100695977B1 (ko) * 2004-02-24 2007-03-15 김해일 집필 교정구
KR100811310B1 (ko) 2006-04-12 2008-03-07 주식회사 숲엔들 자세교정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KR101967176B1 (ko) * 2016-09-30 2019-04-09 정지민 필기구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4316A (ja) 2010-02-09 2011-08-25 Erupurasu:Kk 鉛筆用持ち方矯正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672A (ko) 2021-06-05 2022-12-13 박진영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71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3543B2 (ja) 電子デバイス用スタイラス
US7068262B2 (en) Writing stylus for electrographic position location apparatus
KR102184719B1 (ko) 연필 및 젓가락 파지 교정 장치
CN104423729A (zh) 触摸屏装置以及显示装置
US20090153509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3309471A (zh) 输入笔
US20150184003A1 (en) Gel-ink pen capable of erasing handwriting
KR100811310B1 (ko) 자세교정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KR102197207B1 (ko) 치주기구 교정기
Pourjafarian et al. Print-A-Sketch: A Handheld Printer for Physical Sketching of Circuits and Sensors on Everyday Surfaces
KR101967176B1 (ko) 필기구 보조장치
US201700216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Correct Positioning and Pressure of Digits on a Marking Instrument
KR20210088038A (ko) 웨어러블 키보드
JP6393179B2 (ja) 硬化性組成物、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前面板一体型センサ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の製造方法。
KR101899504B1 (ko) 평면 상을 이동하는 드로잉장치
US8760439B2 (en) Photoelectric blackboard pen
CN201143837Y (zh) 尺规笔
CN215244047U (zh) 尺子
CN204423342U (zh) 一种荧光增亮计算机手绘板
CN105094634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旋转检测方法
CN206544404U (zh) 防近视笔套及防近视笔
JP3048276U (ja) 指が接触する部分に色分けや絵模様で目印を付けた鉛筆
CN201001472Y (zh) 一种文具盒
CN201544649U (zh) 稳固式教学用圆规
JP2023554682A (ja) 筆記姿勢矯正用タッチ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