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661B1 -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661B1
KR102184661B1 KR1020180135335A KR20180135335A KR102184661B1 KR 102184661 B1 KR102184661 B1 KR 102184661B1 KR 1020180135335 A KR1020180135335 A KR 1020180135335A KR 20180135335 A KR20180135335 A KR 20180135335A KR 102184661 B1 KR102184661 B1 KR 10218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data
command
state
satellit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129A (ko
Inventor
허윤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6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4/00Too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p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G05B19/10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input of programme steps, i.e. setting up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4/00Too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pace
    • B64G2004/005Robotic manipulator systems for use in sp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는 위성상태 입력부,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위성명령 탐색부, 및 상기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절차서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mmand procedure}
본 발명은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공위성을 시험 또는 운영하기 위한 위성명령들로 이루어진 위성명령 절차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우주 기술을 대표하는 인공위성 기술은 광학, 시스템 공학, 전자 공학, 재료 공학, 기계 공학, 컴퓨터 공학 및 기타 여러 학문이 복합된 기술로서, 인공위성을 설계, 제작, 조립 및 성능 검증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인공위성 1대를 발사하는데 수천억 원이 소요될 정도로 인공위성 기술을 개발하는데 많은 자본이 필요하며, 인공위성을 발사한 후에 고장이 발생하면 지상으로 회수하여 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인공위성이 발사되어 실제로 운용될 우주 환경에서의 높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초기 설계부터 제작, 성능 검증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 별로 지상에서 엄격한 시험 평가 작업이 수반된다.
인공위성을 설계하고 조립한 후 발사하기 전까지 인공위성의 전력계, 자세제어계 및 원격측정 명령계 등의 요구에 따라 인공위성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지상에서 지상지원장비(Electronic Ground Support Equipment, EGSE)를 사용하여 인공위성 기능 시험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인공위성 기능 시험을 위한 위성명령 및 데이터 송수신, 텔레미트리 분석 및 디스플레이 등의 기능은 위성기능시험장치(Satellite Overall Control Equipment: SOCE)에서 수행한다. 인공위성 발사 전까지 지상지원장비(EGSE)를 통해 위성 기능 시험을 수행한 후 이상이 없으면 발사체를 통해 인공위성을 우주 공간으로 발사한다. 인공위성을 발사한 후에는 지상국에서 인공위성을 관제하여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게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위성임무관제장치(Mission Control Equipment: MCE)이다. 위성임무관제장치(MCE)도 위성기능시험장치(SOCE)와 마찬가지로 인공위성 임무를 위한 위성명령 및 데이터 송수신, 텔레미트리 분석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인공위성 기능을 시험하거나 인공위성 임무를 관제하는 등의 운영을 위하기 위해서는 시험 명령들 또는 임무 명령들로 이루어진 위성명령 절차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위성명령 절차서를 작성할 때, 해당 장치의 전문 기술자들과 협의하여야 한다. 해당 장치가 복합 기술 장치인 경우 여러 분야의 기술자들과 협의해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위성명령 절차서의 작성은 위성에 여러 위성명령들을 보내고 그 때마다 위성의 원격측정데이터(예컨대, 텔레미트리(Telemetry))의 확인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위성명령과 원격측정데이터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 소모가 심한 작업이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거에 인공위성의 시험 또는 운영을 위하여 인공위성과 송수신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는 위성상태 입력부,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위성명령 탐색부, 및 상기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절차서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상태 입력부는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되는 상기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상태 입력부는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1 위성상태 및 제2 위성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위성상태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탐색부는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상기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상기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명령 탐색부는 상기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절차서 출력부는 상기 제1 위성명령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이들의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과 각각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기 직전의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위성상태 데이터 및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에 응답하여 천이된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위성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와 연결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은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기 직전의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위성상태 데이터 및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에 응답하여 천이된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위성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이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1 위성상태 및 제2 위성상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상기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상기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는 상기 제1 위성상태에서 상기 제2 위성상태로의 시계열적 천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위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의 송신 시각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의 수신 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거에 인공위성의 시험 또는 운영을 위하여 인공위성과 송수신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인공위성을 시험 또는 운영하기 위한 위성명령 절차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시험 또는 운영하고자 하는 인공위성의 기능들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위성명령들을 직접 프로그래밍하지 않고, 해당 기능의 전후 상태를 입력하기만 하면 위성명령들을 자동으로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전산적으로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람의 실수에 의해 위성명령이 잘못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생성된 위성명령 절차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위성을 신뢰성있게 시험 또는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기능 블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상태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되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에 대응하여 탐색되는 위성명령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요소 외에 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또는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설명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은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스크립트 언어(scripting languag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기능 블록이 실행하는 기능이 복수의 기능 블록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 복수의 기능 블록들이 실행하는 기능들이 하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되는 다양한 기능적 연결, 물리적 연결, 또는 회로적 연결에 의해 요소들 간의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저장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인공위성을 시험하거나 운영하기 위한 위성명령 절차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에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한 이후로 일년에 인공위성을 1~2대씩 꾸준히 발사하고 있으며, 인공위성과 송수신한 데이터들도 많이 쌓여 있는 상태이다. 인공위성을 새로 개발할 때 인공위성의 모든 기능을 시험하기 위한 절차서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위성을 발사한 이후에도 인공위성을 운영하기 위한 절차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절차서는 위성명령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기존에 인공위성과 송수신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인공위성을 시험 또는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기존의 인공위성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기존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160) 및 저장 장치(160)와 연결되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고,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고,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성명령 데이터는 인공위성을 시험 또는 운영하기 위하여 인공위성을 제어하기 위한 위성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서, 인공위성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120-160)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120)로 옮기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 장치(160)로 옮길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고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에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에 접근하여,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의 운영 시스템(OS)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코드는 저장 장치(160)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버스(130)는 구성요소들(110-120, 140-16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110-120, 140-160) 간에 예컨대,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고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에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출력할 수 있다.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연결되는 입력 장치 및/또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컨대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장치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60)에는 기존의 인공위성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기존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기존의 인공위성과 통신하는 외부 장치(예컨대, 위성기능시험장치(Satellite Overall Control Equipment: SOCE) 또는 위성임무관제장치(Mission Control Equipment: MCE))는 인공위성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 장치(160)에 저장할 수 있다. 기존의 인공위성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인공위성과 통신하는 외부 장치 역시 복수 개일 수 있다. 저장 장치(160)에는 복수의 인공위성들 각각과 통신한 데이터들이 모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60)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장치(160)는 기존의 인공위성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기존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서버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저장 장치(160)가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에 포함되는 일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되지만,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와 저장 장치(160)로 기능하는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시스템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의 기능 블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위성상태 입력부(112), 위성 명령 탐색부(114) 및 절차서 출력부(116)를 포함한다.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위성 명령 탐색부(114)와 연결되는 히스토리 저장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상태 입력부(112), 위성 명령 탐색부(114) 및 절차서 출력부(116)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 블럭들일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62)는 저장 장치(160)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히스토리 저장부(162)는 저장 장치(160)에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블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장치(160)에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블럭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다른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고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공위성은 기존의 인공위성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되는 위성명령 절차서에 따라 운용될 인공위성과 다른 인공위성이다.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위성명령 데이터와 이의 송신 시각이 서로 연관지어 저장되고,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이의 수신 시각이 서로 연관지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되는 위성명령 데이터와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시간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와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통해 인공위성에 특정 위성명령 데이터를 송신하면 위성의 상태가 어떻게 천이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저장되는 위성명령 데이터에 제1 위성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되는 텔레미트리 데이터에는 인공위성이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기 직전의 인공위성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위성상태 데이터 및 인공위성이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천이된 인공위성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위성상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위성상태 입력부(112)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통신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위성상태 입력부(112)에 의해 입력되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상태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ST1, ST2, ST3, ST4)은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성상태(ST1)는 인공위성의 A 기능이 ON 상태이고, B 기능이 OFF 상태이고, C 기능은 enable로 설정되어 있고, D는 90인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2 위성상태(ST2)는 제1 위성상태(ST1)에서 천이한 것으로서, 인공위성의 A 기능이 OFF 상태이고, B 기능이 ON 상태이고, C 기능은 enable로 설정되어 있고, D는 90인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3 위성상태(ST3)는 제2 위성상태(ST2)에서 천이한 것으로서, 인공위성의 A 기능이 OFF 상태이고, B 기능이 ON 상태이고, C 기능은 disable로 설정되어 있고, D는 30인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4 위성상태(ST4)는 제3 위성상태(ST3)에서 천이한 것으로서, 인공위성의 A 기능이 ON 상태이고, B 기능이 OFF 상태이고, C 기능은 enable로 설정되어 있고, D는 30인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3에는 A 내지 D 기능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인공위성의 모든 상태들이 각각의 위성상태들에 기재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직전 위성상태와 현재 위성상태 간에 변경된 상태에 대해서만 위성상태들(ST1-ST4)에 기재될 수도 있다.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의 운영자는 인공위성을 시험 또는 운영하기 위하여 인공위성을 제어하기 위한 위성명령들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인공위성의 각각의 기능들을 시험 또는 운영하기 위하여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인공위성의 상태들을 결정하여 위성상태 입력부(112)에 입력하면 된다. 따라서,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의 운영자는 인공위성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위성명령들을 직접 알지 못하더라도, 위성명령 절차서를 신속하게 만들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할 수 있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접속하여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독출하거나,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데이터들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 또는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상태 입력부(112)에 의해 입력되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이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1 위성상태 및 제2 위성상태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제1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제2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인공위성에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위성명령을 송신하면, 인공위성은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에 상응하는 위성상태에서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에 상응하는 위성상태로 천이한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추출된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되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에 대응하여 탐색되는 위성명령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제1 위성상태(ST1) 및 제2 위성상태(ST2)에 각각 상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 및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성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위성명령(예컨대, CMD1) 및 제2 위성 명령(예컨대, CMD2)을 생성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제1 위성상태(ST1)에 상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 제1 위성명령(CMD1)과 제2 위성명령(CMD2)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 및 제2 위성상태(ST2)에 상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성상태(ST1)와 제2 위성상태(ST2) 사이의 제1 위성명령(CMD1) 및 제2 위성명령(CMD2)과 같이 위성상태들 사이의 위성명령의 개수는 복수개 일 수도 있고,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추출된 위성명령 데이터는 단수 또는 복수의 위성명령에 상응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위성명령(CMD1)은 A 기능을 OFF하라는 명령이고, 제2 위성명령(CMD2)은 B 기능을 ON하라는 명령으로 개념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실제 위성명령은 이와 같이 간단하지 않고 복잡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성상태(ST1)에서 A 기능이 ON이고, B 기능이 OFF라고 매우 간략하게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 위성상태는 이와 같이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 위성에서 A 기능이 ON 또는 OFF됨에 따라 제1 위성상태(ST1)의 복수의 측정값들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매우 간략화한 것이라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제3 위성상태(ST3)에 상응하는 제3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3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성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3 위성명령(CMD3) 및 제4 위성 명령(CMD4)을 생성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제3 위성명령(CMD3)과 제4 위성명령(CMD4)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 및 제3 위성상태(ST3)에 상응하는 제3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제4 위성상태(ST4)에 상응하는 제4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위성명령 탐색부(114)는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제3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4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성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5 위성명령(CMD5), 제6 위성명령(CMD6), 및 제7 위성 명령(CMD7)을 생성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제5 위성명령(CMD5), 제6 위성명령(CMD6), 및 제7 위성 명령(CMD7)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 및 제4 위성상태(ST4)에 상응하는 제4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62)에는 제1 내지 제4 위성상태(ST1-ST4)에 상응하는 제1 내지 제4 텔레미트리 데이터 및 제1 내지 제7 위성명령(CMD1-CMD7)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가 저장된다. 각각의 데이터는 이의 송수신 시각과 함께 연관되어 히스토리 저장부(162)에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위성상태(ST1)에 상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2 위성상태(ST2)에 상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의 사이에 제1 위성명령(CMD1)과 제2 위성명령(CMD2)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위성상태(ST2)에 상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3 위성상태(ST3)에 상응하는 제3 텔레미트리 데이터의 사이에 제3 위성명령(CMD3)과 제4 위성명령(CMD4)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제3 위성상태(ST3)에 상응하는 제3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제4 위성상태(ST4)에 상응하는 제4 텔레미트리 데이터의 사이에 제5 위성명령(CMD5), 제6 위성명령(CMD6), 및 제7 위성 명령(CMD7)에 상응하는 위성명령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절차서 출력부(116)는 위성명령 탐색부(114)에서 생성된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위성명령 절차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위성명령 절차서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통신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성명령 탐색부(114)가 제1 위성상태와 제2 위성상태 사이의 시계열적 천이에 상응하여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절차서 출력부(116)는 위성명령 탐색부(114)에서 생성된 제1 위성명령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성명령 절차서(PCD)는 제1 내지 제7 위성명령(CMD1-CMD7)을 포함한다. 위성명령 절차서(PCD)는 텔레미트리 데이터 확인 단계(VR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성명령 절차서에 따르면, 텔레미트리 데이터 확인 단계(VRF)에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확인하여, 의도한 위성상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텔레미트리 데이터 확인 단계(VRF)는 시계열적으로 제2 내지 제4 위성상태들(ST2-ST4)에 대응하는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위성명령(CMD1) 전에 텔레미트리 데이터 확인 단계(VRF)가 부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시계열적으로 배열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아 위성상태들에 대응하는 위성명령들로 이루어진 위성명령 절차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기존의 인공위성과 송수신한 데이터들(즉,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을 저장하거나, 저장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100)는 실제로 운영되는 인공위성과 송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위성상태들의 천이에 대응하는 위성명령을 자동으로 탐색할 수 있다. 실제로 운용되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므로, 생성되는 위성명령 절차서의 위성명령들은 매우 신뢰성이 높다. 또한, 위성명령 절차서를 작성해야 하는 운영자는 위성의 모든 기능에 대해 알지 못하더라도 기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장치(160)와 연결되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160)와 프로세서(110)는 도 1의 버스(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저장 장치(160)와 프로세서(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S10).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할 수 있다(S20).
프로세서(110)는 단계(S20)에서 탐색된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S30).
일 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기 직전의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위성상태 데이터 및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에 응답하여 천이된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위성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160)는 위성명령 데이터와 텔레미트리 데이터뿐만 아니라, 위성명령 데이터의 송신 시각 및 텔레미트리 데이터의 수신 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1 위성상태 및 제2 위성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20)에서, 프로세서(110)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고,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고,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상기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상기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30)에서 출력되는 위성명령 절차서는 제1 위성상태에서 제2 위성상태로의 시계열적 천이에 대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로 설명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는 위성상태 입력부;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에서, 상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위성명령 탐색부; 및
    상기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절차서 출력부를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상태 입력부는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되는 상기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상태 입력부는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1 위성상태 및 제2 위성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위성상태들을 입력받고,
    상기 위성명령 탐색부는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상기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상기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명령 탐색부는 상기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절차서 출력부는 상기 제1 위성명령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이들의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과 각각 연관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기 직전의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위성상태 데이터 및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에 응답하여 천이된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위성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에 송신한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텔레미트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와 연결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으로서,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에서, 상기 위성상태들의 시계열적 천이에 각각 대응하는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명령들을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기 직전의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위성상태 데이터 및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에 응답하여 천이된 상기 인공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위성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은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의 형태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적으로 천이하는 위성상태들이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1 위성상태 및 제2 위성상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위성명령들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위성상태에 대응하는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로부터 시간 상 상기 제1 텔레미트리 데이터와 상기 제2 텔레미트리 데이터 사이의 제1 위성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성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위성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명령 절차서는 상기 제1 위성상태에서 상기 제2 위성상태로의 시계열적 천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위성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위성명령 데이터의 송신 시각 및 상기 텔레미트리 데이터의 수신 시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
  13.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35335A 2018-11-06 2018-11-06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18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35A KR102184661B1 (ko) 2018-11-06 2018-11-06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35A KR102184661B1 (ko) 2018-11-06 2018-11-06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29A KR20200052129A (ko) 2020-05-14
KR102184661B1 true KR102184661B1 (ko) 2020-11-30

Family

ID=707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335A KR102184661B1 (ko) 2018-11-06 2018-11-06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6560A (zh) * 2020-12-03 2021-03-1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关联性健康基线的卫星关键分系统健康状态监测方法
CN115306591A (zh) * 2022-08-11 2022-11-08 江苏深蓝航天有限公司 火箭发动机远控点火装置及远控点火数据排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30B1 (ko) * 2006-09-28 200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위성운용데이터를 이용한 위성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98B1 (ko) * 2002-12-24 2004-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의 원격명령 수행 확인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30B1 (ko) * 2006-09-28 200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위성운용데이터를 이용한 위성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29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477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 data reconciliation framework
US9469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ult diagnosis of aircraft
CN110502374A (zh) 识别自动测试时设备故障的根本原因的流量捕获调试工具
US10676048B2 (en) Parametric data modeling for model based reasoners
US20170308640A1 (en) Providing early warning and assessment of vehicle design problems with potential operational impact
CN105404268B (zh) 交通工具审核和交通工具系统的维护和诊断控制
JP2010530062A5 (ko)
US20140372989A1 (en) Identification of a failed code change
KR102184661B1 (ko) 위성명령 절차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180113796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data coupling and control coupling test conditions
RU2633015C2 (ru) Параметризуемая система для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105512372B (zh) 模型化的星载数据处理仿真测试方法
US20050114836A1 (en) Block box testing in multi-tier application environments
CN112055837A (zh) 一种工业设备匹配方法和装置
CN107273575B (zh) 面向快速响应需求的卫星任务自主设计方法及系统
EP300268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nd using a reusable database framework for fault processing applications
US20170269581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turbomachine
US20230007894A1 (en) Intelligent Dynamic Web Service Testing Apparatus in a Continuous Integration and Delivery Environment
US20190286453A1 (en) System construction assis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9582334A (zh) 可编程逻辑器件的升级方法及装置
CN114091391A (zh) 芯片验证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735166B1 (ko) 위성 상태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Kahe Reliable flight computer for sounding rocket with dual redundancy: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COTS parts
Aït-Kadi et al. Fault isolation by test scheduling for embedded systems using a probabilistic approach
Troiano et al. Satellite fdir practices using timed failure propagation grap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