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405B1 - 레빈튜브 가이드 - Google Patents

레빈튜브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405B1
KR102184405B1 KR1020180153753A KR20180153753A KR102184405B1 KR 102184405 B1 KR102184405 B1 KR 102184405B1 KR 1020180153753 A KR1020180153753 A KR 1020180153753A KR 20180153753 A KR20180153753 A KR 20180153753A KR 102184405 B1 KR102184405 B1 KR 10218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in tube
levin
tube guide
patient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968A (ko
Inventor
정운갑
Original Assignee
정운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갑 filed Critical 정운갑
Priority to KR102018015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4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7Tools for handling tubes, e.g. crimping tool for connecting tubes to a conn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레빈튜브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에게 레빈튜브 삽입시 기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고 빠르게 삽입시키기 위한 레빈튜브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빈튜브 가이드{LEVIN TUBE GUIDE}
본 개시내용은 레빈튜브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에게 레빈튜브 삽입시 기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고 빠르게 삽입시키기 위한 레빈튜브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빈튜브는 위 내 가스와 수분의 제거를 통한 감압, 약물이나 음식물 공급, 폐쇄나 출혈부위 치료, 위장관 내 검사를 위한 검체확보, 위 세척 등을 시행하기 위한 의료기구로서 삽입시 콧구멍으로 넣어 비강을 통하여 식도를 연통하여 위까지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 비강에서 꺽여 식도로 들어가면서 비강을 통과한 레빈튜브는 넓어진 인두 내에서 정확하게 식도로 향하지 못하고 입 안에서 회전하여 감기면서 구강으로 나오거나, 식도보다 전면부에 위치하는 기도로 들어가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특히, 레빈튜브 삽입 과정에서 튜브가 기도로 들어가게 되면 환자에게 폐렴이나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레빈튜브를 콧구멍으로부터 식도까지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의료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레빈튜브 삽입방법은, 코를 통하여 삽입시 환자의 고개를 미세하게 들어올린 후 천천히 집어 넣어 상 인두의 후방으로 삽입하고, 레빈튜브가 비 인두에 도달하면 고개를 앞으로 숙이게 하여 삽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삽입방식은 비강을 통해 식도로 들어갈 때 환자의 자세에 따라 정확한 삽입이 어렵고, 의식이 없거나 상태가 위중한 환자의 경우 원하는 자세를 취하게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치료시간의 지체를 가져오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빈튜브 삽입 시 삽입자의 손가락을 환자의 입 안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빈튜브를 삽입하고 인두의 뒷벽에 밀착시켜 밀어넣는 방법을 사용하면 입안으로 말려 나오거나 기도로 들어가는 경우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삽입자의 손가락이 환자의 입안으로 들어가 고정시킬 필요가 있어 비위생적일 수 있으며, 환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심하게는 환자가 고통을 참지 못하고 삽입자의 손가락을 물어 의료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존재한다.
전술한 레빈튜브 삽입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142호(2018.09.21. 공고)에서는 환자에게 편리하고 쉽게 레빈튜브를 삽관시킬 수 있는 레빈튜브 삽입 가이더가 구비된 기관 삽관 튜브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142호(2018.09.21. 공고)
레빈튜브 삽입시 기도나 구강으로 들어가지 않고 식도로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한 레빈튜브 가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합부(20)는, 레빈튜브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1)과, 상기 관통홀(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완충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의 단면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23)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빈튜브 삽입자가 환자의 입에 손가락을 넣어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레빈튜브를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이면서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빈튜브를 다뤄보지 못한 초보자도 쉽게 활용하여 환자에게 레빈튜브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레빈튜브가 콧구멍으로부터 식도로 삽입되는 단면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가 적용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가 입 속에 삽입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레빈튜브가 콧구멍으로부터 식도로 삽입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빈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비강에서 꺽여 식도로 들어가면서 비강을 통과한 레빈튜브는 넓어진 인두 내에서 정확하게 식도로 향하지 못하고 입 안에서 회전하여 감기면서 구강으로 나오거나, 식도보다 전면부에 위치하는 기도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가 적용된 사용상태도를,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가 입 속에 삽입되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는 환자의 입 속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길게 구성되며, 탄력 있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의 입 속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아나 구강점막의 손상 등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이빨을 이용하여 물거나 하는 경우에도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 등의 소재를 통해 부드럽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10)의 단면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가 환자의 입을 연통하여 밀어 넣게 되면, 환자의 목젖에 닿아 구역질 등을 할 수 있어 환자의 불편함이 상당히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단면을 U자 형상으로 하여 그 중앙부에 공간을 둠으로써 삽입자가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환자의 입 속으로 넣는 경우에도 목젖이 상기 가이드에 닿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U자형의 본체부(10) 구성을 통하여,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입 속으로 삽입하면서 입 속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레빈튜브를 비강으로 삽입하게 되면 환자의 입을 통해 레빈튜브가 말려서 나오는지 또는 식도 방향으로 내려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의 본체부(10)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빈튜브 가이드를 환자의 입 속으로 집어넣는 과정에서 환자의 목젖을 건드리지 않기 위하여 목젖과 닿을 수 있는 영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본체부(10) 상부 공간을 넓히기 위한 구성이다. 그에 따라,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환자 입 속으로 삽입하는 레빈튜브 가이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 접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20)는 레빈튜브 가이드를 입 속으로 계속 삽입하게 되면 후 인두부분과 맞닿게 되는데 상기 후 인두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대한 구성으로,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합부(20)는, 레빈튜브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1)과, 상기 관통홀(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완충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빈튜브가 입 안으로 말려 나오거나 기도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접합부(20)의 최선단에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20)의 최선단 영역에서 레빈튜브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모양은 반원이나 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입으로 삽입하여 접합부(20)가 인두와 닿게 됨으로써 레빈튜브가 식도로 가는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입 속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빈튜브를 비강으로 삽입할 때 입 속으로 말려 들어가려는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20)에 형성되는 관통홀(21) 속으로 삽입되면서 식도로 가이드되어 위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관통홀(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완충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입 속으로 삽입하여 후 인두에 닿게 되었을 때 과도하게 삽입하여 후 인두의 피부조직을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줄여주기 위하여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의 최선단으로부터 본체부(10) 양측으로 연장되어 후 인두와 완충되는 완충부(23)를 구성함으로써 후 인두에 닿게 되더라도 상호 완충되면서 피부를 상하게 하는 등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23)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23)는 본체부(10)로부터 가이드 선단을 향해 연장되되 하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면, 상기 가이드를 입 속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공간이 좁아진다고 하더라도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23)를 포함하는 상기 접합부(20)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하부로 소정각도(θ), 바람직하게는 10~30°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구강으로 삽입하게 되면 후 인두면은 구강에서 위로 향할수록 인체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10) 및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를 포함하는 레빈튜브 가이드가 구강으로 그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완충부(23)의 전단면과 후 인두면이 서로 면접합을 통해 맞닿지 않게 되므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접합부(20)와 본체부(10) 사이에 경사각을 둠으로써 접합부(20)의 완충부(23)가 후 인두면과 상호 면접합을 통해 맞닿게 됨으로써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각은 10~30°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완충부(23)의 전단면이 환자의 후 인두면과 맞닿게 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어떤 각도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23)는 관통홀(21) 양측으로 두 개가 형성되고, 입 속으로 삽입시켜 후 인두와 맞닿았을 때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굽은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완충부(23)가 삽입되면서 좌우로 벌어지면서 굽어지게 됨으로써 가이드가 입 안에 삽입된 상태여도 환자의 구역감이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레빈튜브 가이드는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삽입자가 상기 레빈튜브 가이드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일정한 경도를 가지는 구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의 단면은 상기 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U자 또는 V자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가이드 삽입시 목젖과 입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부
20 : 접합부
21 : 관통홀
23 : 완충부
30 : 손잡이부

Claims (4)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 및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단면은 U자 형상이나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부(20)는 본체부(10)로부터 하부로 10~30°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빈튜브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20)는,
    최선단에 반원이나 사각형상으로 레빈튜브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로 형성되는 관통홀(21); 및
    상기 관통홀(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완충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빈튜브 가이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3)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빈튜브 가이드.

KR1020180153753A 2018-12-03 2018-12-03 레빈튜브 가이드 KR10218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53A KR102184405B1 (ko) 2018-12-03 2018-12-03 레빈튜브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53A KR102184405B1 (ko) 2018-12-03 2018-12-03 레빈튜브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68A KR20200066968A (ko) 2020-06-11
KR102184405B1 true KR102184405B1 (ko) 2020-11-30

Family

ID=7107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53A KR102184405B1 (ko) 2018-12-03 2018-12-03 레빈튜브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4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283A (en) * 1989-11-08 1992-12-29 Parker Jeffrey D Blind orolaryngeal and oroesophageal guiding and aiming device
JP3159537U (ja) * 2010-02-08 2010-05-27 財團法人塑膠工業技術發展中心 挿管補助器具
KR20120016681A (ko) * 2010-08-17 2012-02-27 정운갑 레빈튜브삽입가이드
KR101901142B1 (ko) 2017-02-13 2018-09-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빈튜브 삽입 가이더가 구비된 기관 삽관 튜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5953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68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821A (en) Bite block for oral passageway
US4612927A (en) Instrument for keeping clear the upper respiratory passages
US6474332B2 (en) Bite block
US5024218A (en) Intubating airway
US20080041392A1 (en) Laryngeal Mask with Esophageal Blocker and Bite Block
RU24995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храпа
KR101216154B1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AU2014330888B2 (en) Artificial airway device
US20200206012A1 (en) Nasal Device
US8146601B2 (en) Medical bite block and associated methods
US5033480A (en) Short self adhesive denture guard
KR102184405B1 (ko) 레빈튜브 가이드
KR101780958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US10286172B1 (en) Epiglottis avoidance airway
US20120199139A1 (en) Intra-oral saliva removal 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e device and method
CN108697526B (zh) 睡眠呼吸暂停综合征改善用辅助器具
KR20170011595A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JP2015167847A (ja) 経鼻胃管挿入時の補助器具および留置法
KR102295322B1 (ko) 레빈 튜브의 삽입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빈 튜브 복합체
CN111163824B (zh) 咳嗽治疗装置
KR20200076962A (ko) 기도유지장치
US11096820B2 (en) Tissue reten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ing and using them
KR102217932B1 (ko)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JP2020074934A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
KR20150010450A (ko) 코골이 방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