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089B1 -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089B1
KR102184089B1 KR1020200058953A KR20200058953A KR102184089B1 KR 102184089 B1 KR102184089 B1 KR 102184089B1 KR 1020200058953 A KR1020200058953 A KR 1020200058953A KR 20200058953 A KR20200058953 A KR 20200058953A KR 102184089 B1 KR102184089 B1 KR 102184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ptc
elastic member
h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구
홍진형
Original Assignee
홍석구
홍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구, 홍진형 filed Critical 홍석구
Priority to KR102020005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석과 동시에 발열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둘레에 빗물유입부(130)가 형성되는 좌대프레임(120);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PTC 선상필름(300)에 의해 발생한 열이 하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200); 상기 단열재(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다수개의 PTC 선상필름(300); 상기 PTC 선상필름(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로부터 물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포(400);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500); 상기 좌대프레임(120) 상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접촉이 온(ON)/오프(OFF)되는 스위칭수단(600); 및 상기 스위칭수단(6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PTC 선상필름(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Heating chair for bus stop}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석과 동시에 발열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정류장에는 편히 앉아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도록 의자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동절기의 경우 좌대가 차갑기 때문에 사람들이 앉기를 꺼려하여 의자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버스정류장이나 철도역 또는 공원에 설치되어 좌대의 상부면 상에 일정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된 의자; 상기 좌대의 안착홈 상에 안착되는 보온패드; 상기 보온패드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탄소섬유 발열체; 상기 탄소섬유 발열체의 상부측으로 설치되어지되 탄소섬유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판; 상기 발열판의 상부측으로 씌워지되 상기 발열판과의 사이에 보온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뜬구조로 이루어지되 길이 방향 중심에 일정 길이의 절곡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라인으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형성된 구조와 모서리 각각으로부터 상기 절곡라인 끝단으로 형성되는 대각 절곡라인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전도성 덮개판; 및 상기 좌대의 안착홈 테두리를 마감하여 상기 보온공기층이 밀봉되도록 하는 마감 실리콘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덮개판의 상부로 이용자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전도성 덮개판의 하부면이 상기 발열판에 면접촉되는 반면 실린 하중이 소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곡라인에 의한 복원성과 보온공기층의 에어쿠션 기능을 통해 복원되도록 한 탄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의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정류장이나 공원에 설치되어 좌대의 상부면 상에 일정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된 의자; 상기 의자의 좌대 상부면의 안착홈 상에 안착 결합되어지되 좌우 양측이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발열트레이; 상기 발열트레이의 내측 좌우 양측에 각각 안착 결합되어지되 내부에는 열매체유가 충진되는 발열히터; 상기 발열히터 내부에 상기 열매체유의 충진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매체유 밸브; 상기 발열히터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를 통해 발열되어 열매체유를 가온시키는 탄소섬유 발열체; 상기 발열히터의 상부측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상기 발열트레이의 내측 양단에 가이드 결합되어 상기 발열히터로부터 전달된 열을 발산하는 방열판; 및 상기 발열히터의 상부측 내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전열면적을 향상시키는 방열핀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의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좌대의 상부면 상에 일정 깊이로 설치홈이 형성된 의자; 상기 의자의 설치홈 상에 안착 결합되어 가열에 의한 방열이 이루어지는 방열판; 및 상기 의자의 설치홈 상에 안착된 상기 방열판의 상부측으로 안착 결합되어지되 상하 다층으로 배열되는 탄소섬유 직물의 상하 다층 배열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탄소섬유 발열선이 배열되어 상기 탄소섬유 직물의 상하 다층 배열 대향면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하 다층 배열의 탄소섬유 직물을 일체로 접착한 구조의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의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탄소섬유 발열체를 의자 길이에 맞는 길이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좌대의 둘레를 따라 실링 처리하여 그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었지만, 실링 처리를 세밀하게 작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8798호(2015.06.0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382호(2015.01.0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0655호(2014.04.24.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의자에 내장된 PTC 선상필름을 다수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좌대프레임의 상부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홈 및 빗물유입홈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커버에 의해 단열재, PTC 선상필름, 방수포 및 좌대프레임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함으로써, 빗물이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발열의자의 내부에 구비된 스위칭수단을 통해 발열의자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사용자의 착석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한편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는 좌대프레임(120);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PTC 선상필름(300)에 의해 발생한 열이 하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200); 상기 단열재(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다수개의 PTC 선상필름(300); 상기 PTC 선상필름(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로부터 물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포(400);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500); 상기 좌대프레임(120) 상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접촉이 온(ON)/오프(OFF)되는 스위칭수단(600); 및 상기 스위칭수단(6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PTC 선상필름(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둘레에는 빗물유입부(13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빗물유입부(130)는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홈(131); 상기 빗물유입홈(131)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배수공(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면에는 단열페인트가 도포되고, 상기 단열재(200)의 하부면에는 은박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500)는 단열재(200), PTC 선상필름(300), 방수포(400) 및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커버(500)의 측벽(510)이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는 수평으로 가이드대(1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500)의 측벽(510)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5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TC 선상필름(300)들 사이에는 PTC 선상필름(300)들과 면접촉하여 PTC 선상필름(300)으로부터 복사된 열에너지로 발열되는 발열성 마감재(8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성 마감재(800)는 발열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40~50 중량부, 벤토나이트 40~50 중량부, 그래핀 1~10 중량부,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0.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관통공(61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스(610);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620); 상기 제1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로 작동되며, 내부에 제2 탄성부재(630)가 구비되는 작동체(640); 상기 작동체(64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자(650);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대(660): 및 상기 지지대(66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동단자(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640)에 힘이 가해지면 제1 탄성부재(620)를 가압하면서 커버(500)가 하강하고, 상기 작동체(64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으로 커버(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배수홀(61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스(610);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620); 상기 제1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작동체(640);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동단자(670); 및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 바닥에 구비된 고정단자(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PTC 선상필름(3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는 발열의자에 내장된 PTC 선상필름을 다수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 또는 파손된 필름만을 수리 또는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대프레임의 상부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홈 및 빗물유입홈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커버에 의해 단열재, PTC 선상필름, 방수포 및 좌대프레임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함으로써, 빗물이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커버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의자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사용자의 착석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신속한 발열이 가능하고, 쿠션 기능을 통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보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TC 선상필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는 지지프레임(110), 좌대프레임(120), 단열재(200), PTC 선상필름(300), 방수포(400), 커버(500), 스위칭수단(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복수개로 구성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내측에는 좌대프레임(120)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단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단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플랜지(1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랜지(111)의 볼트공을 통해 볼트 등을 체결하여 지지프레임(110)을 지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좌대프레임(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둘레에 빗물유입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좌대프레임(120)은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착석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스위칭수단(6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빗물유입부(130)는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홈(131)과, 상기 빗물유입홈(131)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배수공(1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빗물유입홈(131)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이 커버(500)를 따라 흘러내려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유입홈(131)으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공(132)을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빗물이 커버(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면에는 단열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고, 상기 단열재(200)의 하부면에는 은박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면에 단열페인트가 도포되고, 단열재(200)의 하부면에 은박시트가 부착되어 있어 열의 이동을 차단하게 되므로 의자 발열 시 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는 수평으로 가이드대(122)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대(122)는 커버(500)에 형성된 가이드홈(5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5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단열재(200)는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PTC 선상필름(300)에 의해 발생한 열이 하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PTC 선상필름(300)은 상기 단열재(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된다. 이러한 PTC 선상필름(300)은 제어부(7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조건 등을 조절함으로써 일정온도의 열을 발산한다.
상기 PTC 선상필름(300)은 박막형태로 양단에 얇은 전극을 삽입하여 전원을 연결하고, 공급된 전류 및 소재가 가지고 있는 저항성분으로 인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소재로서, 유연성이 뛰어나 이차원적인 넓은 면에 걸쳐 고르게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PTC 선상필름(300)을 다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발열시킴으로써 필름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름의 집열을 방지하여 화재 위험이 없고, 과도하게 일부 영역에 발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필름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PTC 선상필름(30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TC 선상필름(300)의 길이가 5㎝ 미만인 경우에는 PTC 선상필름(300)의 온도를 제어하는 부품의 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격이 높아질 우려가 있으며,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PTC 선상필름(300)들 사이에는 PTC 선상필름(300)들과 면접촉하여 PTC 선상필름(300)으로부터 복사된 열에너지로 발열되는 발열성 마감재(800)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TC 선상필름(300)을 다수개로 분할 형성하기 때문에 PTC 선상필름(300)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다. 즉, PTC 선상필름(300)들 사이의 틈새로 인하여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PTC 선상필름(300)들 사이에 발열성 마감재(800)를 부착함으로써 PTC 선상필름(300)으로부터 복사된 열에너지로 발열시켜 의자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발열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발열성 마감재(800)의 부착으로 인해 다수의 PTC 선상필름(300)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성 마감재(800)는 발열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40~50 중량부, 벤토나이트 40~50 중량부, 그래핀 1~10 중량부,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0.05~5 중량부를 포함된다.
상기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는 4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전도성 및 발열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그래핀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전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도성이 크게 나아지지 않아 재료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
상기 EDTA는 0.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재료 간의 결합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열 특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수포(400)는 상기 PTC 선상필름(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로부터 물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수포(400)는 치밀한 조직을 갖는 부직포로서, PTC 선상필름(3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두께가 얇으면서도 상부로부터 물이나 수분이 PTC 선상필름(300)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커버(500)는 단열재(200), PTC 선상필름(300), 방수포(400) 및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커버(500)의 측벽(510)이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 슬라이딩 접촉된다. 이는 상기 커버(500)에 의해 단열재(200), PTC 선상필름(300), 방수포(400) 및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함으로써, 빗물이 커버(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500)는 후술하게 될 스위칭수단(6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상기 구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커버(500)의 측벽(510)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5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520)은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대(122)가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5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상기 좌대프레임(120) 상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접촉이 온(ON)/오프(OFF)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케이스(610), 제1 탄성부재(620), 제2 탄성부재(630), 작동체(640), 고정단자(650), 지지대(660) 및 가동단자(6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610)는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관통공(6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11)에는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에 연결된 전선(680)이 통과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611)을 통해 온도차에 의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생긴 응결수를 케이스(6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620)는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탄성부재(630)는 작동체(64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작동체(640)에 힘이 가해지면 제1 탄성부재(620)를 가압하면서 커버(500)가 하강하고, 상기 작동체(64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으로 커버(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작동체(640)는 상기 제1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것으로, 내면에 고정단자(650)를 고정시켜 상기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 지지된 가동단자(670)가 고정단자(65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작동시킨다.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 중간에는 지지대(660)가 관통 구비된다.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 일측에는 온도차에 의해 발생된 응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6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공(642)을 통해 온도차에 의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생긴 응결수를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610)의 관통공(611)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또한, 상기 배수공(642)에 별도의 배수관(미도시)을 연결하여 관통공(611)을 통과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작동체(640) 및 가동단자(670)의 내측에는 절연판(641,67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641,671)은 금속 자체가 비전도성의 금속판이나 비전도성의 고분자화합물을 판상화한 절연판을 사용하며, 또한 금속판에 절연물질을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연판(641,671)은 작동체(640)를 고정단자(650) 및 가동단자(67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단자(650)는 상기 작동체(640)의 내부에 고정되어 가동단자(670)와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단자(65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651)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돌기(651)의 일측에는 라운드(6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단자(650)에 가동단자(670)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절곡돌기(651)가 변형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접촉 과정에서 발생한 충격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라운드(652)를 통해 가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접촉의 단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660)는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660)는 가동단자(670)가 고정단자(650)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제2 탄성부재(630)를 압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가동단자(670)는 상기 지지대(66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자(650)와 접촉이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가동단자(670)와 고정단자(650) 간의 단속이 이루어질 때 점접촉방식으로 접촉하게 되면, 접촉 면적이 좁아 안정적인 접촉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위칭수단(600)은 상기 고정단자(650)에 접촉되는 가동단자(670)가 상하로 작동되며, 상기 가동단자(670)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672)이 상기 고정단자(650)와 면접촉하여 단속되므로, 접촉의 단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스위칭 동작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열의자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사용자의 착석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한편 쿠션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의 스위칭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발열의자에 착석을 하면, 커버(500)가 하강을 하면서 스위칭수단(600)의 작동체(640)를 가압하는 동시에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 지지된 지지대(660)가 케이스(6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660)는 케이스(610)의 바닥면을 지지점으로 삼아 상승되고, 동시에 고정단자(650)에 접촉되어 있던 가동단자(670)는 상기 지지대(660)와 제2 탄성부재(630) 사이에 개재된 상태이므로, 상기 지지대(660)가 상승함에 따라 제2 탄성부재(630)를 가압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동단자(670)는 고정단자(650)와 이격된다.
상기 고정단자(650)와 가동단자(670)가 이격된 상태가 되면, 전선(680)을 통하여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PTC 선상필름(30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의자가 발열된다.
도 6 및 도 9에서와 같이, 발열의자에 착석하였던 사용자가 일어나게 되면, 커버(500)와 작동체(640)가 제1 탄성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하여 지지대(660)와 가동단자(670)가 하강을 하면서 상기 가동단자(670)는 고정단자(650)와 접촉된다.
상기 고정단자(650)와 가동단자(670)가 접촉된 상태가 되면, 전선(680)을 통하여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PTC 선상필름(300)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면서 발열의자의 발열이 정지된다.
도 10은 스위칭수단(6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케이스(610), 제1 탄성부재(620), 작동체(640), 고정단자(650) 및 가동단자(6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610)는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둘레에 배수홈(612)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홈(612)은 온도차에 의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생긴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 바닥에는 작동체(640) 하부에 구비된 가동단자(67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고정단자(6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620)는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작동체(640)에 힘이 가해지면 제1 탄성부재(620)를 가압하면서 커버(500)가 하강하고, 상기 작동체(64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으로 커버(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작동체(640)는 상기 제1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고정단자(650)와 접촉되는 가동단자(6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단자(650)와 가동단자(650)에는 절연판(641,671)이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절연판(641,671)은 작동체(640)를 고정단자(650) 및 가동단자(67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위칭수단(600)은 사용자가 발열의자에 착석을 하면, 커버(500)가 하강하는 동시에 스위칭수단(600)의 작동체(640)도 하강을 하면서 작동체(640)의 하부에 구비된 가동단자(670)가 고정단자(650)와 접촉된다. 상기 고정단자(650)와 가동단자(670)가 접촉된 상태가 되면, 전선(680)을 통하여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PTC 선상필름(30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의자가 발열된다.
반대로, 발열의자에 착석하였던 사용자가 일어나게 되면, 커버(500)와 작동체(640)가 제1 탄성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가동단자(670)는 고정단자(650)와 이격된다. 상기 고정단자(650)와 가동단자(670)가 이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PTC 선상필름(300)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면서 발열의자의 발열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위칭수단(6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PTC 선상필름(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PTC 선상필름(3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즉, 온도센서(900)를 PTC 선상필름(300) 표면에 부착시키고, PTC 선상필름(3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10 : 지지프레임 111 : 고정플랜지
120 : 좌대프레임 121 : 측벽
122 : 가이드대 130 : 빗물유입부
131 : 빗물유입홈 132 : 배수공
200 : 단열재 300 : PTC 선상필름
400 : 방수포 500 : 커버
510 : 측벽 520 : 가이드홈
600 : 스위칭수단 610 : 케이스
611 : 관통공 612 : 배수홈
620 : 제1 탄성부재 630 : 제2 탄성부재
640 : 작동체 641 : 절연판
642 : 배수공 650 : 고정단자
651 : 절곡돌기 652 : 라운드
660 : 지지대 670 : 가동단자
671 : 절연판 672 : 경사면
680 : 전선 700 : 제어부
800 : 발열성 마감재 900 : 온도센서

Claims (11)

  1.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둘레에 빗물유입부(130)가 형성되는 좌대프레임(120);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PTC 선상필름(300)에 의해 발생한 열이 하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200);
    상기 단열재(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다수개의 PTC 선상필름(300);
    상기 PTC 선상필름(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로부터 물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포(400);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500);
    상기 좌대프레임(120) 상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접촉이 온(ON)/오프(OFF)되는 스위칭수단(600); 및
    상기 스위칭수단(6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PTC 선상필름(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는 수평으로 가이드대(1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500)의 측벽(510)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520)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500)는 스위칭수단(6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둘레에는 빗물유입부(13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빗물유입부(130)는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홈(131);
    상기 빗물유입홈(131)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배수공(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면에는 단열페인트가 도포되고, 상기 단열재(200)의 하부면에는 은박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는 단열재(200), PTC 선상필름(300), 방수포(400) 및 좌대프레임(120)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커버(500)의 측벽(510)이 좌대프레임(120)의 측벽(121)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TC 선상필름(300)들 사이에는 PTC 선상필름(300)들과 면접촉하여 PTC 선상필름(300)으로부터 복사된 열에너지로 발열되는 발열성 마감재(8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마감재(800)는 발열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40~50 중량부, 벤토나이트 40~50 중량부, 그래핀 1~10 중량부,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0.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관통공(61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스(610);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620); 상기 제1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로 작동되며, 내부에 제2 탄성부재(630)가 구비되는 작동체(640); 상기 작동체(64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자(650);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대(660): 및 상기 지지대(66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동단자(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640)에 힘이 가해지면 제1 탄성부재(620)를 가압하면서 커버(500)가 하강하고, 상기 작동체(64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으로 커버(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600)은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배수홀(61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스(610);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620); 상기 제1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작동체(640); 상기 작동체(64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동단자(670); 및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 바닥에 구비된 고정단자(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PTC 선상필름(3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KR1020200058953A 2020-05-18 2020-05-18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KR10218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953A KR102184089B1 (ko) 2020-05-18 2020-05-18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953A KR102184089B1 (ko) 2020-05-18 2020-05-18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089B1 true KR102184089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953A KR102184089B1 (ko) 2020-05-18 2020-05-18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12B1 (ko) * 2020-12-15 2021-04-29 최태환 히팅시트
KR102539467B1 (ko) * 2022-07-28 2023-06-01 허금자 착석 감지 기능을 구현하는 온열 벤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329Y1 (ko) * 2002-02-08 2002-05-04 송영진 식재공간을 구비한 벤치
JP2006019286A (ja) * 2004-07-01 2006-01-19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フレキシブル座席ヒーター
KR101390655B1 (ko) 2014-01-27 2014-05-07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의자
KR101481382B1 (ko) 2014-07-16 2015-01-15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의자
KR101528798B1 (ko) 2015-03-03 2015-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의자
KR101993169B1 (ko) * 2018-05-21 2019-06-27 주식회사 주성 다목적 의자
KR102063720B1 (ko) * 2019-05-15 2020-01-08 주식회사 디딤디자인 공기 내부 순환 기능을 갖는 발열의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329Y1 (ko) * 2002-02-08 2002-05-04 송영진 식재공간을 구비한 벤치
JP2006019286A (ja) * 2004-07-01 2006-01-19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フレキシブル座席ヒーター
KR101390655B1 (ko) 2014-01-27 2014-05-07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의자
KR101481382B1 (ko) 2014-07-16 2015-01-15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의자
KR101528798B1 (ko) 2015-03-03 2015-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의자
KR101993169B1 (ko) * 2018-05-21 2019-06-27 주식회사 주성 다목적 의자
KR102063720B1 (ko) * 2019-05-15 2020-01-08 주식회사 디딤디자인 공기 내부 순환 기능을 갖는 발열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12B1 (ko) * 2020-12-15 2021-04-29 최태환 히팅시트
KR102539467B1 (ko) * 2022-07-28 2023-06-01 허금자 착석 감지 기능을 구현하는 온열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089B1 (ko) 버스정류장용 발열의자
KR101884265B1 (ko)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뜬구조 쿨링겸용 발열의자
US4798936A (en) Waterbed heater
US6426488B2 (en) Heater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s for waterbeds
US5508495A (en) Domestic cooking apparatus
EP2113456A2 (en) Aircraft heated floor panel
KR102063720B1 (ko) 공기 내부 순환 기능을 갖는 발열의자
SK500362009A3 (sk) Vyhrievaná zostava, najmä na sedadlá lavíc
NO170296B (no) Belegg for vegg-, tak- eller gulvkledninger
DE602005001501D1 (de) Elektrische heizanordnung
KR20150082033A (ko) 전기, 온수용 매트
KR20090000129U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매트리스
KR200415725Y1 (ko) 필름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열패널
JP5595533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設置構造
KR100932446B1 (ko) 온수 순환 돌침대
JPH07217924A (ja) 乾式二重床の床暖房装置
US6476361B2 (en) Heater unit for tray
ES2170457T3 (es) Radiador electrico de acumulacion.
CA2299561A1 (en) A low temperature low voltage heating device
RU211521U1 (ru) Шунгитовы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JP4180217B2 (ja) パネルヒータ及びパネルヒータの制御方法
RU217056U1 (ru) Подогреваемый коврик
KR100684619B1 (ko) 에폭시 전기온돌판넬
KR102257155B1 (ko) 열효율을 향상시킨 카본온돌판 및 카본온돌판이 형성된 온열기구
KR100686944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황토 구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