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49B1 -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349B1
KR102183349B1 KR1020190045710A KR20190045710A KR102183349B1 KR 102183349 B1 KR102183349 B1 KR 102183349B1 KR 1020190045710 A KR1020190045710 A KR 1020190045710A KR 20190045710 A KR20190045710 A KR 20190045710A KR 102183349 B1 KR102183349 B1 KR 10218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center
electric pole
recogni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694A (ko
Inventor
홍영기
김영만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4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K9/2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8Extraction of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007Matchin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6K2209/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Electric pole number recognition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으로부터 전주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기 용이한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중 취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주의 불량이나, 파손 또는 오염 등의 여부를 진단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 시스템에서, 특정 전주의 불량, 파손 또는 오염이 검출된 경우, 해당 전주의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해야만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주 진단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영상 분석을 통하여 전주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으로부터 전주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기 용이한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에서 인식한 전주 고유 번호, 전주가 위치한 GPS 좌표 및 영상을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가 전주의 이력을 확인하기 용이한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는,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특정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 상기 특정 영상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1, 제2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1 인식부 및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인식부에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면, 상기 전주 고유 번호와 매칭되는 GPS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 상기 전주 고유 번호 및 상기 GPS 좌표를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상단, 상기 중앙상단 및 상기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이거나, 또는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3 영역의 좌하단, 중앙하단 및 우하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하단, 상기 중앙하단 및 상기 우하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1 인식부는, 상기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특정 영상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4, 제5, 제6 및 제7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2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식부에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식부로 상기 특정 영상이 입력되게 상기 영상 추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4 영역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5 내지 제7 영역 각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2 인식부는, 상기 제4 내지 제7 영역에 순차적으로 상기 특정 영역이 이동되면, 상기 제2 영상의 중앙에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식부는,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인식부가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주의 GPS 좌표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GPS 좌표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 상기 GPS 좌표 및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중 적어도 2이상을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은, 카메라모듈로부터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영상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1, 제2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으로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면, 상기 전주 고유 번호와 매칭되는 GPS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 상기 전주 고유 번호 및 상기 GPS 좌표를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상단, 상기 중앙상단 및 상기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이거나, 또는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3 영역의 좌하단, 중앙하단 및 우하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하단, 상기 중앙하단 및 상기 우하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영상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4, 제5, 제6 및 제7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재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4 영역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5 내지 제7 영역 각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재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4 내지 제7 영역에 순차적으로 상기 특정 영역이 이동되면, 상기 제2 영상의 중앙에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상기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상기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재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전주 고유 번호가 미 인식되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복수의 영상을 기반으로 전주 고유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이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영상에서 인식한 전주 고유 번호, GPS 위치 및 영상을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함으로서, 해당 전주에 대한 이력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은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1 인식부에서 적용하는 제1 인식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제2 인식부에서 적용하는 제2 인식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주 번호 인식 장치(100)는 입력 모듈(110), 카메라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10)은 카메라 모듈(120)의 동작시키는 동작 명령(op1) 및 카메라 모듈(120)의 동작을 해제하는 해제 명령(op2)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10)은 동작 명령(op1)을 입력하기 이전에, 작업자에 의해 전주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중 일부 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110)은 동작 명령(op1) 및 해제 명령(op2)을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 고유 번호 중 일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20)은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m)을 제어 모듈(13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20)은 전주를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주를 포함하는 주위 환경에 때한 영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 모듈(130)은 영상 추출부(132), 제1, 2 인식부(134, 136) 및 제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추출부(132)는 카메라 모듈(120)에서 촬영한 복수의 영상(m) 중 전주의 특정 영역에 표기되는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sm)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특정 영상(sm)은 전주 고유 번호을 인식할 수 있는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으며, 해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영상 추출부(132)는 복수의 영상(m) 중 특정 영상(sm)을 추출하거나, 또는 복수의 영상(m) 중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편집한 특정 영상(sm)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1, 제2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으로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인식 패턴은 특정 영상(sm)의 중앙에 위치한 특정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상단, 상기 중앙상단 및 상기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이거나, 또는 특정 영역을 상기 제3 영역의 좌하단, 중앙하단 및 우하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하단, 상기 중앙하단 및 상기 우하단 각각에 위치한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특정 영역을 이동시킨 후,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인식부(134)는 상기 숫자 특징점들과 기 설정된 숫자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대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이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의 경계선에 위치하여 전주 고유 번호를 미인식하는 경우, 제1 인식부(134)는 제어부(138)로 미 인식된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인식부(134)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제2 인식부(136)는 영상 추출부(132)에서 추출한 특정 영상(sm)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2 인식부(136)는 특정 영상(sm)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4, 제5, 제6 및 제7 영역으로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식 패턴은 특정 영상(sm)의 중앙에 위치한 특정 영역을 상기 제4 영역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5 내지 제7 영역 각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을 제4 내지 제7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 후, 제2 인식부(136)는 특정 영상(sm)의 중앙에 특정 영역을 이동시킨 후 전주 고유 번호 형상과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기 설정된 숫자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대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8)는 제1, 2 인식부(134, 13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식한 전주 고유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먼저, 입력 모듈(110)로부터 동작 명령(op1)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8)는 카메라 모듈(120)에서 복수의 영상(m)이 촬영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1 인식부(134)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138)는 전주 고유 번호와 매칭되는 GPS 좌표(SPS)를 추출하고, 특정 영상(sm), 전주 고유 번호 및 GPS 좌표(GPS)를 포함하는 전주 정보(pp)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식부(134)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138)는 영상 추출부(132)에서 제2 인식부(136)로 복수의 영상(m)이 출력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2 인식부(136)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13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 정보(pp)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제1, 2 인식부(134, 136)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138)는 알림 메시지(pm)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pm)는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알람이나, 문자로 표기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전주 번호 인식 장치(100)는 통신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 모듈(140)은 전주의 GPS 좌표(GPS)를 수신하여 제어부(138)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8)는 GPS 좌표(GPS)를 설정하고, 전주 고유 번호에 따른 GPS 좌표(GPS)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언급한 복수의 영상(m) 중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특정 영상(sm)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특정 영상(sm)은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영역(se)은 상단부(se1) 및 하단부(se2)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se1) 및 하단부(se2)는 설명을 위하여 구분한 것으로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먼저, 상단부(se1)에는 "1981S" 및 "641"이 표기되어 있으며, 하단부(se2)에는 "137", "L14" 및 "L64"가 표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주 고유 번호는 "1981S", "641", "137", "L14" 및 "L64"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간략하게 전주 고유 번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981S"에서, "1981"은 동서남북 방위 표시를 나타내며, "S"는 항공스케일 사진에 따라 분류된 지역을 나타낸다.
또한, "641"에서, "641"은 S 중 번호지역에 속한 일련번호로써, 예를 들어1981 S 지역 641 번째 등록된 전주를 나타낸다.
"137", "L14" 및 "L64"는 방적간 137번째 전주에서 왼쪽 분기로 14번째 전주에서 왼쪽 분기로 64번째 있는 전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영상(sm)은 전주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특정 영역(se)를 포함하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1 인식부에서 적용하는 제1 인식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인식부(134)는 복수의 영상(m) 중 특정 영상(sm)을 추출하고,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도 3를 살펴보면,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분할된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제1 영역의 좌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제1 영역의 좌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이 제2 영역의 중앙으로 대각 이동시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제1 영역의 중앙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제1 영역의 중앙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이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은,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제1 영역의 우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제1 영역의 우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이 제2 영역의 중앙으로 대각 이동시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을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킨 후, 제1 인식부(134)는 각각의 이동에 따라 인식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의 동일함을 체크한 후,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다르게,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제3 영역의 좌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제3 영역의 좌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이 제2 영역의 중앙으로 대각 이동시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제3 영역의 중앙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제1 영역의 중앙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이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은, 제1 인식부(134)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제3 영역의 우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제1 영역의 우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이 제2 영역의 중앙으로 대각 이동시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제3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을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킨 후, 제1 인식부(134)는 각각의 이동에 따라 인식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의 동일함을 체크한 후,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1 인식부(134)는 제1 인식 패턴, 즉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또는 제3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특정 영역(se)을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제2 인식부에서 적용하는 제2 인식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인식부(136)는 복수의 영상(m) 중 특정 영상(sm)을 추출하고,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식부(134)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138)의 제어에 따라, 제2 인식부(136)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제2 인식부(136)는 특정 영상(sm)에서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se)을 분할된 제4 내지 제7 영역 중 제4 영역의 좌상단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2 인식부(136)는 제4 영역의 좌상단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을 제5 내지 제7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인식부(136)는 제4 내지 제7 영역, 즉 4개의 영역을 제1 인식부(134)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 즉 3개의 영역 중 중앙 영역에 해당되는 제2 영에 특정 영역(se)이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제2 인식부(136)는 제2 영역에 위치한 특정 영역(se)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을 인식하고,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제2 인식부(136)는 전주 고유 번호의 미 인식을 제어부(138)로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주 번호 인식 장치(100)의 제어 모듈(130)은 입력 모듈(110)로부터 동작 명령(op1)이 입력되면, 카메라 모듈(120)을 동작시켜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m)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제어 모듈(130)은 복수의 영상(m) 중 전주 고유 번호가 표기된 특정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sm)을 추출할 수 있다(S220).
이후, 제어 모듈(130)은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제어 모듈(130)은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240).
즉, (S230) 단계 및 (S240) 단계는 특정 영상(sm)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류된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으로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30)에 포함된 제1 인식부(134)는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1 인식부(134)는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제어 모듈(130)에 포함된 제어부(138)로 전달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면, 제어 모듈(130)은 전주 고유 번호와 매칭되는 GPS 좌표(GPS)를 추출하고(S250), 특정 영상(sm), 전주 고유 번호 및 GPS 좌표(GPS)를 포함하는 전주 정보(pp)를 생성할 수 있다(S260).
(S230) 단계 이후,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특정 영상(sm)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4, 제5, 제6 및 제7 영역에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특정 영상(sm)의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재 판단할 수 있다(S270).
제어 모듈(130)은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280).
즉, (S270) 단계 및 (S270) 단계는 특정 영상(sm)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류된 제4 내지 제7 영역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30)에 포함된 제2 인식부(134)는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2 인식부(134)는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제어부(138)로 전달할 수 있다.
(S270) 단계 이후, 전주 고유 번호가 미 인식되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알림 메시지(pm)를 출력할 수 있다(S290).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입력 모듈
120: 카메라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통신 모듈

Claims (18)

  1.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특정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
    상기 특정 영상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1, 제2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1 인식부; 및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인식부에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면, 상기 전주 고유 번호와 매칭되는 GPS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 상기 전주 고유 번호 및 상기 GPS 좌표를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상단, 상기 중앙상단 및 상기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이거나, 또는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3 영역의 좌하단, 중앙하단 및 우하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하단, 상기 중앙하단 및 상기 우하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인,
    전주 번호 인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식부는,
    상기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영상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4, 제5, 제6 및 제7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제2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식부에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식부로 상기 특정 영상이 입력되게 상기 영상 추출부를 제어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4 영역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5 내지 제7 영역 각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인,
    전주 번호 인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식부는,
    상기 제4 내지 제7 영역에 순차적으로 상기 특정 영역이 이동되면,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식부는,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인식부가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미 인식하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GPS 좌표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GPS 좌표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 상기 GPS 좌표 및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중 적어도 2이상을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
  12. 카메라모듈로부터 전주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영상을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1, 제2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2 영역으로 이동시켜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면, 상기 전주 고유 번호와 매칭되는 GPS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상, 상기 전주 고유 번호 및 상기 GPS 좌표를 포함하는 전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의 좌상단, 중앙상단 및 우상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상단, 상기 중앙상단 및 상기 우상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이거나, 또는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3 영역의 좌하단, 중앙하단 및 우하단 각각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하단, 상기 중앙하단 및 상기 우하단 각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식 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영상을 제2 인식 패턴에 따라 분할된 제4, 제5, 제6 및 제7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재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식 패턴은,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제4 영역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5 내지 제7 영역 각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패턴인,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재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4 내지 제7 영역에 순차적으로 상기 특정 영역이 이동되면, 상기 특정 영상의 중앙에 상기 특정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표기된 상기 전주 고유 번호 형상에 매칭되는 상기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숫자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숫자 특징점들에 따라 상기 전주 고유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특징점들의 추출 여부를 재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전주 고유 번호가 미 인식되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주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90045710A 2019-04-18 2019-04-18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8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10A KR102183349B1 (ko) 2019-04-18 2019-04-18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10A KR102183349B1 (ko) 2019-04-18 2019-04-18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94A KR20200122694A (ko) 2020-10-28
KR102183349B1 true KR102183349B1 (ko) 2020-11-26

Family

ID=7301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710A KR102183349B1 (ko) 2019-04-18 2019-04-18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2684A (ja) * 2017-08-08 2019-02-28 中国電力株式会社 巡視点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860A (ko) * 2013-09-25 2015-04-06 한국철도공사 전주번호 인식을 통한 위치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0858A (ko) * 2017-08-17 2019-03-05 한국전력공사 애자 고유 식별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2684A (ja) * 2017-08-08 2019-02-28 中国電力株式会社 巡視点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94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06345B (zh) 立体摄像装置
EP3740897B1 (en) License plate reader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n plural detected regions
KR10185123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현장치 및 방법
EP2620907A1 (en) Pupil detection device and pupil detection method
US119081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embedding and region-based object detection
JP20110958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8626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10100671A (ko) 자신의 사진들을 자동으로 찍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WO2020251099A1 (ko)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차량을 호출하는 방법
CN110569835A (zh) 一种图像识别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183349B1 (ko) 전주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3408512A (zh) 利用机器人进行集装箱查验的方法、系统、装置及介质
KR20150075505A (ko) 영상 기반 선박 주변 타선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20210352208A1 (en)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ed-portion setting apparatus,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KR20160087591A (ko) Qr 코드를 이용한 도로정보 및 위치정보 인식방법 및 그 장치
CN110555471B (zh) 一种移动终端及目标物的搜寻方法
KR20110036386A (ko)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US11070719B2 (en) Image capture assist device and image capture assist method
KR101509105B1 (ko) 증강현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222127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100138155A (ko)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9492B1 (ko) 카메라 렌즈를 조절하여 인식할 문자열을 영상의 중앙에 인식 가능한 크기로 위치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8055594A (ja) 出力情報読み取りシステム及び出力情報読み取り方法
CN107229941B (zh) 示教数据的生成方法
JP685965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